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편민도찬(便民圖纂)
  • 편민도찬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편민도찬 003


治牛卒疫方牛頭打脇巴豆七介去殼搗爛以生痲油和灌之仍用皂莢末一撮吹入鼻中更用鞋底於尾停骨下拍之 事林廣記 本草並同
Ⓒ 원문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牛矣急卒傳染爲良以頭打脇乙治療爲乎矣巴豆唐藥 파두 七介乙去皮搗之生眞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3ㄴ

기름果相和牛口良中灌注爲遣仍用皂莢주엽末一撮乙鼻中良中吹入爲齊更良 鞋底乙用良尾骨良中打之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주001)
:
쇼[牛]+ㅣ(주격 조사). 소가.
믄득 주002)
믄득:
갑자기, 문득.
서 뎐염야 머리로 녑블 주003)
녑블:
녚+을(대격 조사). 옆을. ‘녑블’과 같이 ‘ㅂ’이 둘로 된 것은 받침 ‘ㅍ’의 내파화를 반영한 중철 표기이다.
티거 고툐 파두 주004)
파두(巴豆):
대극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6~10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수한그루로 3~5월에 녹색 꽃이 핀다. 수꽃이 위에, 암꽃이 아래에 핀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중국 남부, 대만 이남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Croton tiglium이다.([1], [11], [24] 참조)
닐굽 주005)
닐굽:
일곱.
나 주006)
나:
낱[箇]+(대격 조사). 개(箇)를.
겁질 주007)
겁질:
껍질.
벗기고 므르 주008)
므르:
무르게[爛]. ‘므르’는 형용사 ‘므르다’의 어간과 동일한 형태로, 부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그르’가 ‘그릇’의 뜻을 나타내고, ‘뎌르’가 ‘짧게’의 뜻을 나타내고 ‘갇’이 ‘같게’의 뜻을 나타내던 것과 같다.
디허 주009)
디허:
딯-+-어(연결 어미). 찧어.
놀기름메 주010)
놀기르메:
+참+기름+에(처격 조사). 날참기름에. ‘놀’은 ‘’의 오각이다. ‘메’는 ‘기름’의 어말 ‘ㅁ’이 연철된 것이다.
프러 이베 븟고 다시 주엽 론 주011)
론:
-+-오(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가루로) 간.
 주012)
:
(가루)+. 가루를. ‘가루’의 중세어 기본형은 ‘ㅎ’였다. 이 단어는 조사를 가질 때 비자동적 교체를 하여, ‘이(주격), (대격), 애(처겨)’ 등과 같은 형식을 취하였다.
 쟈보 주013)
 쟈보:
[一]#쟈봄+(대격 조사). 한 줌을. 한 움큼을. ‘쟈봄’은 ‘쟙-’의 명사형일 것이나, 분량을 세는 단위로 분류사의 성격을 가진다.
고해 주014)
고해:
곻[鼻]+애(처격 조사). 코에.
부러 주015)
부러:
불[吹]-+-어(연결어미). 불어.
드리고 주016)
드리고:
들-+-이(사동접미사)-+-고(연결 어미). 들게 하고.
신당 주017)
신당:
신+ㅅ(사이시옷)+바당(바닥). 신바닥. 신발바닥.
으로 리 브튼  아래 티라 주018)
티라:
티-+-라(명령형 어미). 치라. ‘티-’가 ‘치-’가 된 것은 구개음화이다.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소들이 갑자기 서로 전염병이 들어 머리로 옆을 치거든 고치되, 파두 일곱 개를 껍질 벗기고 물러지도록 찧어 날참기름에 풀어 입에 붓고 다시 주엽을 간 가루를 한 움큼 코에 불어 넣고, 또 신발 바닥으로 꼬리 붙은 뼈 아래를 치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쇼[牛]+ㅣ(주격 조사). 소가.
주002)
믄득:갑자기, 문득.
주003)
녑블:녚+을(대격 조사). 옆을. ‘녑블’과 같이 ‘ㅂ’이 둘로 된 것은 받침 ‘ㅍ’의 내파화를 반영한 중철 표기이다.
주004)
파두(巴豆):대극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6~10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수한그루로 3~5월에 녹색 꽃이 핀다. 수꽃이 위에, 암꽃이 아래에 핀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중국 남부, 대만 이남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Croton tiglium이다.([1], [11], [24] 참조)
주005)
닐굽:일곱.
주006)
나:낱[箇]+(대격 조사). 개(箇)를.
주007)
겁질:껍질.
주008)
므르:무르게[爛]. ‘므르’는 형용사 ‘므르다’의 어간과 동일한 형태로, 부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그르’가 ‘그릇’의 뜻을 나타내고, ‘뎌르’가 ‘짧게’의 뜻을 나타내고 ‘갇’이 ‘같게’의 뜻을 나타내던 것과 같다.
주009)
디허:딯-+-어(연결 어미). 찧어.
주010)
놀기르메:+참+기름+에(처격 조사). 날참기름에. ‘놀’은 ‘’의 오각이다. ‘메’는 ‘기름’의 어말 ‘ㅁ’이 연철된 것이다.
주011)
론:-+-오(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가루로) 간.
주012)
:(가루)+. 가루를. ‘가루’의 중세어 기본형은 ‘ㅎ’였다. 이 단어는 조사를 가질 때 비자동적 교체를 하여, ‘이(주격), (대격), 애(처겨)’ 등과 같은 형식을 취하였다.
주013)
 쟈보:[一]#쟈봄+(대격 조사). 한 줌을. 한 움큼을. ‘쟈봄’은 ‘쟙-’의 명사형일 것이나, 분량을 세는 단위로 분류사의 성격을 가진다.
주014)
고해:곻[鼻]+애(처격 조사). 코에.
주015)
부러:불[吹]-+-어(연결어미). 불어.
주016)
드리고:들-+-이(사동접미사)-+-고(연결 어미). 들게 하고.
주017)
신당:신+ㅅ(사이시옷)+바당(바닥). 신바닥. 신발바닥.
주018)
티라:티-+-라(명령형 어미). 치라. ‘티-’가 ‘치-’가 된 것은 구개음화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