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의방(牛馬醫方)
  • 우마의방 002
메뉴닫기 메뉴열기

우마의방 002


灸法牛馬疫初發時身體中有少腫仔細審之腫處以燒鐵條烙之又冷水浸竪令體寒爲度又以艾炷如小指大灸神闕穴三十壯神闕卽臍中也
Ⓒ 원문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牛果馬矣傳染病乙治療爲乎矣 身體良中腫處有去等仔細審見鐵條乙用良火燒烙之爲齊又冷水良中身寒爲限立置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8ㄱ

爲齊又臍中복 가온 三十壯乙灸之爲乎矣艾炷붓글乙如手小指頭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주001)
:
[灸]+ㄹ(관형사형 어미). 뜸을 뜰.
버베 주002)
버베:
법(法)+에(처격 조사). 법에. 방법에.
쇼와  뎐염 주003)
쇼와  뎐염:
쇼[牛]+와(접속 조사)#[馬]+(속격 조사)#뎐명(傳染病). 소와 말의 전염병.
처엄 시작 제 주004)
처엄 시작 제:
처음 시작할 때.
모매 주005)
모매:
몸+애(처격 조사). 몸에.
죠고매나 주006)
죠고매나:
조금만큼이나.
브으미 주007)
브으미:
[腫]-+-으(조음소)+-ㅁ(명사형 어미). 부은 것.
잇거 주008)
잇거:
잇-+-거든(연결 어미). 있거든.
셔히 주009)
셔히:
셔[仔細]-+-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세히.
펴 주010)
펴:
피[審]-+-어(연결 어미). 살펴.
브은 주011)
브은:
[灌(관)]-+-+-은(관형사형 어미). 부은.
 주012)
:
[處]+(대격 조사). 데를. 곳을.
쇠올 주013)
쇠올를:
쇠[鐵]+올[條]+를[대격 조사]. ‘쇠올’은 쇠로 된 줄. 여기서는 ‘쇠막대’로 풀이하였다. 대격 조사로는 ‘’이 쓰일 자리이나, ‘를’이 나타나, ‘ㄹ’이 중철된 것을 보이고, 모음 조화가 지켜지지 않은 것을 보인다.
브레 주014)
브레:
블[火]+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불에. ‘블’이 ‘불’이 된 것은 순음화임.
달와 주015)
달와:
달오-+-아(연결 어미). 달구어.
지지라 주016)
지지라:
지지[烙]-+-라(명령형 어미). 지지라.
므레 주017)
므레:
[冷]-+-ㄴ(관형사형 어미)#믈[水]+에(처격 조사). 찬물에.
가 주018)
가:
-+-아(연결 어미). 유창돈의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단어의 기본형을 ‘ㄱ다’와 같이 상정하였으나, 여기서는 ‘다’와 같이 상정한다. ‘-+-아’가 ‘가’와 같이 되는 것은 ‘ㆍ’ 탈락에 의한 것이다.
셰여 주019)
셰여:
셰-+-어(연결 어미). (수를) 세어.
모미  주020)
:
[冷]-+-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찬 것을.
그음라 주021)
그음라:
한정하라. ‘그음’은 한계나 경계를 뜻하는 말로, ‘그음하다’는 ‘경계를 짓다, 한계를 짓다’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15세기 어형은 ‘그’이었다. ¶열흘만 그음야 갑 게 가 시라 〈노걸대언해 하 52ㄱ〉([27] 참조). 道場애 닐웨로 그시고 세헤 이로 取시니라 〈능엄경언해 7:24ㄴ〉([45] 참조)
글 주022)
글:
[艾]+을(대격조사). 쑥을.
삿기손락만 주023)
삿기손락만:
삿기손락+만(보조사). 새끼손가락만큼.
크게 야 주024)
크게 야:
크게 하여.
보글 주025)
보글:
복[臍]+을(대격 조사). 배꼽을. ‘복’의 ‘복’이 ‘곱’이 된 것은 음운 도치에 의한 것이다.
셜흔 주026)
셜흔:
서른[三十].
붓글 주027)
붓글:
+을(대격 조사). ‘’은 뜸의 회수를 가리키는 분류사이다.
라 주028)
라:
[灸]-+라(명령형 어미). (뜸을) 뜨라.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뜸뜨는 법[灸法]에 소와 말의 전염병이 처음 시작될 때 몸에 조그마한 부기가 있거든 자세히 살펴 부은 데를 쇠막대를 불에 달구어 지지라. 또 찬물에 담가 수를 세어서 찬 것을 한정하라(아주 차게 하지 말라). 또 쑥을 새끼손가락만하게 만들어 배꼽을 서른 번 뜨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灸]+ㄹ(관형사형 어미). 뜸을 뜰.
주002)
버베:법(法)+에(처격 조사). 법에. 방법에.
주003)
쇼와  뎐염:쇼[牛]+와(접속 조사)#[馬]+(속격 조사)#뎐명(傳染病). 소와 말의 전염병.
주004)
처엄 시작 제:처음 시작할 때.
주005)
모매:몸+애(처격 조사). 몸에.
주006)
죠고매나:조금만큼이나.
주007)
브으미:[腫]-+-으(조음소)+-ㅁ(명사형 어미). 부은 것.
주008)
잇거:잇-+-거든(연결 어미). 있거든.
주009)
셔히:셔[仔細]-+-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세히.
주010)
펴:피[審]-+-어(연결 어미). 살펴.
주011)
브은:[灌(관)]-+-+-은(관형사형 어미). 부은.
주012)
:[處]+(대격 조사). 데를. 곳을.
주013)
쇠올를:쇠[鐵]+올[條]+를[대격 조사]. ‘쇠올’은 쇠로 된 줄. 여기서는 ‘쇠막대’로 풀이하였다. 대격 조사로는 ‘’이 쓰일 자리이나, ‘를’이 나타나, ‘ㄹ’이 중철된 것을 보이고, 모음 조화가 지켜지지 않은 것을 보인다.
주014)
브레:블[火]+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불에. ‘블’이 ‘불’이 된 것은 순음화임.
주015)
달와:달오-+-아(연결 어미). 달구어.
주016)
지지라:지지[烙]-+-라(명령형 어미). 지지라.
주017)
므레:[冷]-+-ㄴ(관형사형 어미)#믈[水]+에(처격 조사). 찬물에.
주018)
가:-+-아(연결 어미). 유창돈의 ≪이조어사전≫에서는 이 단어의 기본형을 ‘ㄱ다’와 같이 상정하였으나, 여기서는 ‘다’와 같이 상정한다. ‘-+-아’가 ‘가’와 같이 되는 것은 ‘ㆍ’ 탈락에 의한 것이다.
주019)
셰여:셰-+-어(연결 어미). (수를) 세어.
주020)
:[冷]-+-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찬 것을.
주021)
그음라:한정하라. ‘그음’은 한계나 경계를 뜻하는 말로, ‘그음하다’는 ‘경계를 짓다, 한계를 짓다’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15세기 어형은 ‘그’이었다. ¶열흘만 그음야 갑 게 가 시라 〈노걸대언해 하 52ㄱ〉([27] 참조). 道場애 닐웨로 그시고 세헤 이로 取시니라 〈능엄경언해 7:24ㄴ〉([45] 참조)
주022)
글:[艾]+을(대격조사). 쑥을.
주023)
삿기손락만:삿기손락+만(보조사). 새끼손가락만큼.
주024)
크게 야:크게 하여.
주025)
보글:복[臍]+을(대격 조사). 배꼽을. ‘복’의 ‘복’이 ‘곱’이 된 것은 음운 도치에 의한 것이다.
주026)
셜흔:서른[三十].
주027)
붓글:+을(대격 조사). ‘’은 뜸의 회수를 가리키는 분류사이다.
주028)
라:[灸]-+라(명령형 어미). (뜸을) 뜨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