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본초(本草)
  • 본초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본초 004


治療疫狐頭尾 燒灰以水飮之
Ⓒ 원문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牛矣傳染病乙 治療爲乎矣 狐頭汝兒頭 여머리 燒成灰和水飮之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2ㄴ

주001)
:
쇼+(속격 조사). 소의. 소들의. 소들 사이의. 여기서 처격으로 해석한 것은 문맥을 고려한 것이다. 형태상으로는 ‘소가’와 같이 주격형으로도 해석도 가능하다.
서 뎐염얏 주002)
뎐염얏:
뎐염(傳染)-+-j(조음소)-+아+ㅅ[有]-+--+-ㄴ(관형사형 어미). ‘전염하고 있는, 전염되고 있는’ 정도로 풀이가 가능하다. ‘-얏-’은 ‘-야+ㅅ(〈시- ‘있-’)’으로 ‘하여 있-’의 뜻이다. 현대의 ‘하고 있-’에 해당한다. ‘--’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로, ‘시-/이시-/잇(있-)’이 동사 활용을 하였기 때문에 취해진 선어말 어미이다.
을 고툐 주003)
고툐:
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치료하되. ‘-오/우-’를 확실성의 양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의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여 주004)
여:
여[狐]+(속격 조사). 여우의. ‘여’는 특수한 교체를 보여 ‘이(주격형), (속격형), (대격형)’ 등과 같은 변화를 보이던 것이다. ‘여’는 ‘’에서 반치음 ‘ㅿ’이 탈락한 형태이다.
머리와 주005)
머리와:
머리[頭]+와[접속 조사]. 머리와.
리와 주006)
리와:
리[尾]+와(접속조사). 꼬리와. 중세어에서는 끝에 접속되는 말 뒤에도 접속 조사가 쓰이었다.
라 주007)
라:
[燒]+아(연결 어미). 불살라. 불에 태워.
므레 주008)
므레:
믈[수] +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 ‘믈’의 모음 ‘ㅡ’가 순음 아래에서 순음화를 겪은 것이다.
프러 주009)
프러:
풀어.
머기라 주010)
머기라:
먹[식]-+-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먹이라.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소들 사이에 서로 전염되고 있는 병을 고칠 때에는 여우의 머리와 꼬리를 태워 물에 풀어 먹이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쇼+(속격 조사). 소의. 소들의. 소들 사이의. 여기서 처격으로 해석한 것은 문맥을 고려한 것이다. 형태상으로는 ‘소가’와 같이 주격형으로도 해석도 가능하다.
주002)
뎐염얏:뎐염(傳染)-+-j(조음소)-+아+ㅅ[有]-+--+-ㄴ(관형사형 어미). ‘전염하고 있는, 전염되고 있는’ 정도로 풀이가 가능하다. ‘-얏-’은 ‘-야+ㅅ(〈시- ‘있-’)’으로 ‘하여 있-’의 뜻이다. 현대의 ‘하고 있-’에 해당한다. ‘--’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로, ‘시-/이시-/잇(있-)’이 동사 활용을 하였기 때문에 취해진 선어말 어미이다.
주003)
고툐: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치료하되. ‘-오/우-’를 확실성의 양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의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주004)
여:여[狐]+(속격 조사). 여우의. ‘여’는 특수한 교체를 보여 ‘이(주격형), (속격형), (대격형)’ 등과 같은 변화를 보이던 것이다. ‘여’는 ‘’에서 반치음 ‘ㅿ’이 탈락한 형태이다.
주005)
머리와:머리[頭]+와[접속 조사]. 머리와.
주006)
리와:리[尾]+와(접속조사). 꼬리와. 중세어에서는 끝에 접속되는 말 뒤에도 접속 조사가 쓰이었다.
주007)
라:[燒]+아(연결 어미). 불살라. 불에 태워.
주008)
므레:믈[수] +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 ‘믈’의 모음 ‘ㅡ’가 순음 아래에서 순음화를 겪은 것이다.
주009)
프러:풀어.
주010)
머기라:먹[식]-+-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먹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