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사림광기(事林廣記)
  • 사림광기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림광기 001


事林廣記 주001)
사림광기(事林廣記):
≪사림광기(事林廣記)≫. 이 책은 원나라 지원(至元) 6년 (1340년)에 간행된 생활 문화 백과사전으로, 원제목은 ≪찬도증신군서류요사림광기(纂圖增新群書類要事林廣記≫라고 한다. 현재 중국 북경대 도서관에 총 12권인 복건(福建) 건양(建陽)의 정씨(鄭氏) 적성당(積誠堂) 각본이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내용 중에 동물을 기르고, 병을 고치는 법을 다룬 ‘목양 수의류(牧養獸醫類)’가 있다고 한다.(블로그 ‘여백(餘白)’ 구글 검색 부분 참조. http://blog.naver.com/literatus)
人參細切水煮五升灌口中立差農桒輯要四時纂要山居四要並同

人參乙細剉水五升良中煎煮牛口良中灌注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심을 주002)
심을:
심(인삼)+을(대격 조사). 인삼을. 이 용법은 산삼채취인들이 산삼을 ‘심’이라 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리 주003)
리:
-+-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늘게.
사라 주004)
사라:
사-+-아(연결 어미). 썰어. ‘사-’이 ‘썰-’이 된 것은 경음화, ‘ㅎ’ 탈락 뒤에, ‘ㆍ’와 ‘아’의 축약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ㅓ’ 모음화하여 ‘썰-’이 된 것으로 보인다.
므레 주005)
므레:
믈[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
달혀 주006)
달혀:
달히-+-어(연결 어미). 달이어.
닷 되 이베 주007)
이베:
입+에(처격 조사). 입에.
브면 주008)
브면:
[灌]-+-으(조음소)-+-면(연결 어미). 부으면.
즉재 됸니라 주009)
됸니라:
둏-+--(선어말 어미)+-니라(평서 종결형 어미). 좋아지게 되느니라. ‘둏-’이 ‘됸’과 같이 된 것은 ‘둏-’가 ‘됻-’처럼 발음되고, 받침 ‘ㄷ’이 ‘’의 ‘ㄴ’에 동화되어 ‘ㄴ’이 된 것이다. ‘-니라’는 기원적으로 동명사 어미 ‘-ㄴ’과 ‘이(지정 형용사)+라(평서법 종결 어미)’에서 비롯한 것이다. ‘-니라’ 전체를 평서 종결형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인삼을 가늘게 썰어 물에 다려 닷(=다섯) 되를 입에 부으면 즉시 좋아지느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림광기(事林廣記):≪사림광기(事林廣記)≫. 이 책은 원나라 지원(至元) 6년 (1340년)에 간행된 생활 문화 백과사전으로, 원제목은 ≪찬도증신군서류요사림광기(纂圖增新群書類要事林廣記≫라고 한다. 현재 중국 북경대 도서관에 총 12권인 복건(福建) 건양(建陽)의 정씨(鄭氏) 적성당(積誠堂) 각본이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내용 중에 동물을 기르고, 병을 고치는 법을 다룬 ‘목양 수의류(牧養獸醫類)’가 있다고 한다.(블로그 ‘여백(餘白)’ 구글 검색 부분 참조. http://blog.naver.com/literatus)
주002)
심을:심(인삼)+을(대격 조사). 인삼을. 이 용법은 산삼채취인들이 산삼을 ‘심’이라 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주003)
리:-+-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늘게.
주004)
사라:사-+-아(연결 어미). 썰어. ‘사-’이 ‘썰-’이 된 것은 경음화, ‘ㅎ’ 탈락 뒤에, ‘ㆍ’와 ‘아’의 축약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ㅓ’ 모음화하여 ‘썰-’이 된 것으로 보인다.
주005)
므레:믈[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
주006)
달혀:달히-+-어(연결 어미). 달이어.
주007)
이베:입+에(처격 조사). 입에.
주008)
브면:[灌]-+-으(조음소)-+-면(연결 어미). 부으면.
주009)
됸니라:둏-+--(선어말 어미)+-니라(평서 종결형 어미). 좋아지게 되느니라. ‘둏-’이 ‘됸’과 같이 된 것은 ‘둏-’가 ‘됻-’처럼 발음되고, 받침 ‘ㄷ’이 ‘’의 ‘ㄴ’에 동화되어 ‘ㄴ’이 된 것이다. ‘-니라’는 기원적으로 동명사 어미 ‘-ㄴ’과 ‘이(지정 형용사)+라(평서법 종결 어미)’에서 비롯한 것이다. ‘-니라’ 전체를 평서 종결형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에 의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