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본초(本草)
  • 본초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본초 003


牛疫疾獺屎二升 湯淋取汁灌之
Ⓒ 원문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2ㄱ

牛矣傳染病乙 治療爲乎矣 獺糞汝古里叱同 너고리 二升乙 湯水矣淋浸其汁乙 牛口良中 灌注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주001)
:
쇼+(속격 조사). 소의. 소들의. 소들 사이의. 여기서 처격으로 해석한 것은 문맥을 고려한 것이다. 형태상으로는 ‘소가’와 같이 주격형으로도 해석도 가능하다.
서 뎐염얏 주002)
뎐염얏:
뎐염(傳染)-+-j(조음소)-+아+ㅅ[有]-+--+-ㄴ(관형사형 어미). ‘전염하고 있는, 전염되고 있는’ 정도로 풀이가 가능하다. ‘-얏-’은 ‘-야+ㅅ(〈시- ‘있-’)’으로 ‘하여 있-’의 뜻이다. 현대의 ‘하고 있-’에 해당한다. ‘--’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로, ‘시-/이시-/잇(있-)’이 동사 활용을 하였기 때문에 취해진 선어말 어미이다.
을 고툐 주003)
고툐:
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치료하되. ‘-오/우-’를 확실성의 양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의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너고릐 주004)
너고릐:
‘너고리+의(속격 조사)’의 축약형. ‘달(獺)’은 ‘수달’을 뜻하는 글자인데, 여기서는 이것을 ‘너구리’로 언해하고 있다.
주005)
:
[糞]. 똥.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
두 되 주006)
두 되:
두[二]#되[升]+. 두 되를.
더운 므레 주007)
더운 므레:
덥[溫]+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믈+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더운 물에. ‘덥-’이 현대어에서와 같이 ‘ㅂ’ 불규칙 활용을 하였다.
저져 주008)
저져:
젖-+-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젖게 하여.
그 즙을 주009)
그 즙을:
그(지시 대명사)#즙(汁)+을(대격 조사). 그 즙을.
가져다가 주010)
가져다가:
가지[持]-+-어(연결어미)+다가(보조사). 가져다가. 가지고 와서. ‘가지다’가 단순히 ‘소유하다’의 뜻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이하다.
이베 주011)
이베:
입[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입에. 입에다가.
브으라 주012)
브으라:
[灌(관)]-+-+-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반치음 ‘ㅿ’이 탈락하여 ‘브으라’가 된 것이다. 현대에는 ‘ㅡ’ 모음이 순음이 되고, 반치음이 ‘ㅅ’이 되어 ‘붓다’가 되었다.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소들 사이에 서로 전염되고 있는 병을 고칠 때에는 너구리의 똥 두 되를 더운 물에 젖게 하였다가 그 즙을 가져다가 소의 입에 부으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쇼+(속격 조사). 소의. 소들의. 소들 사이의. 여기서 처격으로 해석한 것은 문맥을 고려한 것이다. 형태상으로는 ‘소가’와 같이 주격형으로도 해석도 가능하다.
주002)
뎐염얏:뎐염(傳染)-+-j(조음소)-+아+ㅅ[有]-+--+-ㄴ(관형사형 어미). ‘전염하고 있는, 전염되고 있는’ 정도로 풀이가 가능하다. ‘-얏-’은 ‘-야+ㅅ(〈시- ‘있-’)’으로 ‘하여 있-’의 뜻이다. 현대의 ‘하고 있-’에 해당한다. ‘--’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로, ‘시-/이시-/잇(있-)’이 동사 활용을 하였기 때문에 취해진 선어말 어미이다.
주003)
고툐: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치료하되. ‘-오/우-’를 확실성의 양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의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주004)
너고릐:‘너고리+의(속격 조사)’의 축약형. ‘달(獺)’은 ‘수달’을 뜻하는 글자인데, 여기서는 이것을 ‘너구리’로 언해하고 있다.
주005)
:[糞]. 똥.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
주006)
두 되:두[二]#되[升]+. 두 되를.
주007)
더운 므레:덥[溫]+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믈+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더운 물에. ‘덥-’이 현대어에서와 같이 ‘ㅂ’ 불규칙 활용을 하였다.
주008)
저져:젖-+-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젖게 하여.
주009)
그 즙을:그(지시 대명사)#즙(汁)+을(대격 조사). 그 즙을.
주010)
가져다가:가지[持]-+-어(연결어미)+다가(보조사). 가져다가. 가지고 와서. ‘가지다’가 단순히 ‘소유하다’의 뜻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이하다.
주011)
이베:입[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입에. 입에다가.
주012)
브으라:[灌(관)]-+-+-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반치음 ‘ㅿ’이 탈락하여 ‘브으라’가 된 것이다. 현대에는 ‘ㅡ’ 모음이 순음이 되고, 반치음이 ‘ㅅ’이 되어 ‘붓다’가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