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편민도찬(便民圖纂)
  • 편민도찬 002
메뉴닫기 메뉴열기

편민도찬 002


治水牛瘟疫方用人參 芍藥 黃柏各二兩半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2ㄱ

貝母 知母 白磻 黃連 防風各二兩三錢 山梔子 鬱金 黃芩各二兩四錢 栝蔞 桔梗各二兩 大黃一兩九錢 共爲末每服二兩以蜜二兩沙糖一兩生薑一錢水二升同調灌之
Ⓒ 원문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水牛矣 傳染病乙 治療爲乎矣 人參 芍藥함박곳불휘 黃柏벽피 各二兩五錢 貝母唐藥 패모 知母디모 白磻번원주黃連唐藥년 防風불휘 各二兩三錢 山梔子지지 鬱金深黃 심 黃芩속서근플 各二兩四錢 栝蔞하타리불휘 桔梗돌앗 各二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2ㄴ

兩 大黃대 一兩九錢等乙一處作末爲良二兩式 作一服 爲乎矣 淸蜜 二兩 沙糖唐藥 사 一兩 生薑 一錢等果 水二升良中 調和 牛口良中 灌注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므 주001)
므:
므쇼(물소)+ㅣ(주격 조사). 물소가. 물소들이. ‘므쇼’에서 ‘므’는 ‘믈’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서 주002)
서:
서로.
뎐염거 주003)
뎐염거든:
뎐염(傳染病)-+-거든(연결 어미). 전염병을 앓거든. 전염병을 옮기거든. ‘전염병을 옮기거든’이나 ‘전염병이 퍼지거든’과 같이 해석하는 것은 문맥을 고려한 것이다.
고툐 주004)
고툐:
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오/우-’를 확실성의 양태를 나타내는 독립된 선어말 어미의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심과 함박곳불휘 주005)
함박꽃불휘:
작약(芍藥)의 뿌리. ‘작약’은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50~80cm이며, 잎은 일회 또는 이회 우상 복엽이며 작은 잎은 피침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꽃은 크며 5~6월에 원줄기 끝에 한 개씩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8월에 익는다. 관상용 또는 약초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학명은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이다.([1], [11], [24] 등 참조)
벽피 주006)
황벽피:
황벽(黃蘗)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다. 황벽(黃蘗)나무는 운향과의 낙엽교목. 황경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20m 정도로 자라고,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은 홈이 진다. 내피를 분말로 하거나 달여서 건위제 또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여러 가지 열성 질환과 황달, 대하(帶下), 각기(脚氣) 따위에도 쓴다고 한다. 황백(黃柏)이라고도 황벽이란 이름은 내피가 황색인 데서 생긴 이름이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학명은 Phellodendron amurense이다.([1], [11], [24] 참조)
각 두  다 돈과 패모 주007)
패모(貝母):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정도로 자라며, 잎은 돌려나고 선 모양이다. 5월에 자주색의 종 모양 꽃이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6개의 날개가 있다. 관상용이고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의 함경도와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산초(商山草)라고도 한다. 학명은 Fritillaria ussuriensis. 비늘줄기는 맹근(莔根)이라 하여 기침과 담(痰)을 다스리거나 젖을 나오게 하는 약재로 쓴다.([1], [11], [24] 참조)
디모 주008)
지모(知母):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벋으며, 잎은 끝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으로 잎 부분이 서로 안기어 줄기를 감싼다. 늦봄에 자줏빛 꽃이 두세 개씩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국의 황해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nemarrhena asphodeloides.([1], [11], [24] 참조)
번 주009)
번(白磻):
‘백번’으로는 적합한 약이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磻’은 ‘번’외에도 ‘반’으로 읽힐 수도 있으므로, ‘백반(白磻)’을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것으로도 찾을 수 있는 약이름은 ‘백반(白礬)’ 정도이다. ‘白礬’도 ‘백번’으로 읽힐 수 있다. 백반(白礬)은 명반(明礬)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흔히 우리가 손톱에 봉숭아 물을 들일 때 봉숭아 꽃잎과 함께 찧어서 손가락 끝에 싸매는 흰색 결정으로, 황산알루미늄과 리튬 이외의 알칼리금속, 탈륨, 암모늄 등 1가(價) 금속의 황산염이 만드는 복염(複鹽)이다.([1], [11], [24] 등 참조) 그러나 번(白磻)이 ‘백반(白礬)’과 같은 것인지는 아직 분명치 않다.
황년 주010)
황년:
황련(黃連).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0~30cm 정도 자라고,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며 우상 복엽이다. 이른 봄에 흰 꽃이 핀다. 뿌리는 약용한다.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호황련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optis japonica이다.([24], [56], [59] 등 참조)
믈불휘 주011)
믈불휘:
병풍나물뿌리. 병풍나물은 방풍나물이라고도 한다. 방풍은 산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여름에 흰 꽃이 복산형(複繖形) 화서로 피고, 뿌리는 약용한다.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이다.([24] 참조)
각 두  세 돈과 지지 주012)
지지:
치자(梔子), 치자나무의 열매. 치자나무는 꼭두서닛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1~4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6월에 흰 꽃이 하나씩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9월에 익는다. 열매는 이뇨제 또는 주홍색 물감으로 쓴다. 한국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임란(林蘭)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Gardenia jasminoides이다.([1], [11], [24] 참조)
심황 주013)
심황(深黃):
울금(鬱金)을 말한다. 울금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늦봄에 나팔 모양의 담홍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린다. 뿌리줄기는 약용한다. 인도가 원산지로 중국 등지에서 재배된다. 강황(薑黃)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urcuma aromatica이다. ([11], [59] 참조)
속서근플 주014)
속서근플:
속썩은풀. 황금(黃芩)이라고도 한다. 황금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자줏빛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며,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황금초(黃芩草)라고도 하며, 학명은 Scutellaria baicalensis. 〈구급간이방〉에는 ‘솝서근플’로도 나타난다.([1], [11], [24] 참조)
각 두  네 돈과 하타리 주015)
하타리:
하눌타리. 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길이는 3~5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7~8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공 모양으로 누렇게 익는다. 과육은 화장품 재료로 쓰이고 덩이뿌리와 씨는 약용으로 쓴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과루(瓜蔞), 괄루(栝蔞), 오과(烏瓜), 쥐참외, 천원자(天圓子), 큰새박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Trichosanthes kirilowii이다. ([1], [11], [24] 참조)
불휘과 돌앗 주016)
돌앗:
도라지.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길경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Platycodon grandiflorum이다.([1], [11], [24] 참조)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3ㄱ

각 두 과 대 주017)
대(大黃):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로 속이 비어 있으며 잎의 길이는 25~30cm이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된다. 꽃은 황백색으로 7~8월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뿌리는 약용한다. 만주, 몽골 등지에서 자란다. 화삼(火蔘)·황량(黃良)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Rheum undulatum이다. ([1], [11], [24] 참조)
  아홉 돈  주018)
:
한데.
라 주019)
라:
[磨]-+-아(연결 어미). 갈아.
 버 주020)
 버:
[一]#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 번에.
두 식 주021)
두 식:
두[二]#[兩]+식(보조사). 두 냥씩.
 주022)
:
[以, 用]-+-우(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쓰되. 사용하되. ‘-우’를 하나의 어미로 취급하기도 한다.
 두 과 주023)
 두 과:
[蜜]#두[二]#(兩)+과(접속 조사). 꿀 두 냥과.
사  과 주024)
사  과:
사(砂糖) [一] #(兩)+과(접속 조사). 사탕 한 냥과.
 주025)
:
생강(生薑).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50cm이며, 잎은 두 줄로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경에 길이 2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서 잎집에 싸인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뿌리는 맵고 향기가 좋아서 향신료와 건위제로 쓰인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서 재배한다. 새앙·생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이다. ([1], [11], [24] 참조)
 돈과 주026)
  과:
(生薑) [一]#(兩)+과(접속 조사). 생강 한 냥과.
믈 두 되예 주027)
믈 두 되예:
믈[水]#두[二]#되[승]+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 두 되에.
 프러 주028)
 프러:
한데 풀어.
이베 주029)
이베:
입+에(처격 조사). 입에.
브라 주030)
브라:
[灌(관)]-+-+-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부으라.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물소들이 서로 전염병을 앓거든
(물소들에 서로 전염병이 퍼지거든)
고치되, 인삼과 함박꽃
(작약)
뿌리와 황백피 각 두 냥 다섯 돈과 패모과 지모과 백반과 황련과 병풍나물 뿌리 각 두 냥 세 돈과 치자와 심황과 속썩은풀 각 두 냥 네 돈과 하눌타리 뿌리와 도라지 각 두 냥과 대황 한 냥 아홉 돈을 한데 갈아 한 번에 두 냥씩 쓰되, 꿀 두냥과 사탕 한 냥과 생강 한 돈을 물 두 되에 한데 풀어 입에 부으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므:므쇼(물소)+ㅣ(주격 조사). 물소가. 물소들이. ‘므쇼’에서 ‘므’는 ‘믈’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주002)
서:서로.
주003)
뎐염거든:뎐염(傳染病)-+-거든(연결 어미). 전염병을 앓거든. 전염병을 옮기거든. ‘전염병을 옮기거든’이나 ‘전염병이 퍼지거든’과 같이 해석하는 것은 문맥을 고려한 것이다.
주004)
고툐: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오/우-’를 확실성의 양태를 나타내는 독립된 선어말 어미의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주005)
함박꽃불휘:작약(芍藥)의 뿌리. ‘작약’은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50~80cm이며, 잎은 일회 또는 이회 우상 복엽이며 작은 잎은 피침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꽃은 크며 5~6월에 원줄기 끝에 한 개씩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8월에 익는다. 관상용 또는 약초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학명은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이다.([1], [11], [24] 등 참조)
주006)
황벽피:황벽(黃蘗)나무의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다. 황벽(黃蘗)나무는 운향과의 낙엽교목. 황경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20m 정도로 자라고,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은 홈이 진다. 내피를 분말로 하거나 달여서 건위제 또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여러 가지 열성 질환과 황달, 대하(帶下), 각기(脚氣) 따위에도 쓴다고 한다. 황백(黃柏)이라고도 황벽이란 이름은 내피가 황색인 데서 생긴 이름이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학명은 Phellodendron amurense이다.([1], [11], [24] 참조)
주007)
패모(貝母):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정도로 자라며, 잎은 돌려나고 선 모양이다. 5월에 자주색의 종 모양 꽃이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6개의 날개가 있다. 관상용이고 약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국의 함경도와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산초(商山草)라고도 한다. 학명은 Fritillaria ussuriensis. 비늘줄기는 맹근(莔根)이라 하여 기침과 담(痰)을 다스리거나 젖을 나오게 하는 약재로 쓴다.([1], [11], [24] 참조)
주008)
지모(知母):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벋으며, 잎은 끝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으로 잎 부분이 서로 안기어 줄기를 감싼다. 늦봄에 자줏빛 꽃이 두세 개씩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국의 황해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nemarrhena asphodeloides.([1], [11], [24] 참조)
주009)
번(白磻):‘백번’으로는 적합한 약이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磻’은 ‘번’외에도 ‘반’으로 읽힐 수도 있으므로, ‘백반(白磻)’을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것으로도 찾을 수 있는 약이름은 ‘백반(白礬)’ 정도이다. ‘白礬’도 ‘백번’으로 읽힐 수 있다. 백반(白礬)은 명반(明礬)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흔히 우리가 손톱에 봉숭아 물을 들일 때 봉숭아 꽃잎과 함께 찧어서 손가락 끝에 싸매는 흰색 결정으로, 황산알루미늄과 리튬 이외의 알칼리금속, 탈륨, 암모늄 등 1가(價) 금속의 황산염이 만드는 복염(複鹽)이다.([1], [11], [24] 등 참조) 그러나 번(白磻)이 ‘백반(白礬)’과 같은 것인지는 아직 분명치 않다.
주010)
황년:황련(黃連).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0~30cm 정도 자라고,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며 우상 복엽이다. 이른 봄에 흰 꽃이 핀다. 뿌리는 약용한다.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호황련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optis japonica이다.([24], [56], [59] 등 참조)
주011)
믈불휘:병풍나물뿌리. 병풍나물은 방풍나물이라고도 한다. 방풍은 산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여름에 흰 꽃이 복산형(複繖形) 화서로 피고, 뿌리는 약용한다.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이다.([24] 참조)
주012)
지지:치자(梔子), 치자나무의 열매. 치자나무는 꼭두서닛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1~4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6월에 흰 꽃이 하나씩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9월에 익는다. 열매는 이뇨제 또는 주홍색 물감으로 쓴다. 한국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임란(林蘭)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Gardenia jasminoides이다.([1], [11], [24] 참조)
주013)
심황(深黃):울금(鬱金)을 말한다. 울금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늦봄에 나팔 모양의 담홍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린다. 뿌리줄기는 약용한다. 인도가 원산지로 중국 등지에서 재배된다. 강황(薑黃)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urcuma aromatica이다. ([11], [59] 참조)
주014)
속서근플:속썩은풀. 황금(黃芩)이라고도 한다. 황금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자줏빛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는 약용하며,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황금초(黃芩草)라고도 하며, 학명은 Scutellaria baicalensis. 〈구급간이방〉에는 ‘솝서근플’로도 나타난다.([1], [11], [24] 참조)
주015)
하타리:하눌타리. 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길이는 3~5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7~8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공 모양으로 누렇게 익는다. 과육은 화장품 재료로 쓰이고 덩이뿌리와 씨는 약용으로 쓴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과루(瓜蔞), 괄루(栝蔞), 오과(烏瓜), 쥐참외, 천원자(天圓子), 큰새박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Trichosanthes kirilowii이다. ([1], [11], [24] 참조)
주016)
돌앗:도라지.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길경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Platycodon grandiflorum이다.([1], [11], [24] 참조)
주017)
대(大黃):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로 속이 비어 있으며 잎의 길이는 25~30cm이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된다. 꽃은 황백색으로 7~8월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뿌리는 약용한다. 만주, 몽골 등지에서 자란다. 화삼(火蔘)·황량(黃良)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Rheum undulatum이다. ([1], [11], [24] 참조)
주018)
:한데.
주019)
라:[磨]-+-아(연결 어미). 갈아.
주020)
 버:[一]#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 번에.
주021)
두 식:두[二]#[兩]+식(보조사). 두 냥씩.
주022)
:[以, 用]-+-우(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쓰되. 사용하되. ‘-우’를 하나의 어미로 취급하기도 한다.
주023)
 두 과:[蜜]#두[二]#(兩)+과(접속 조사). 꿀 두 냥과.
주024)
사  과:사(砂糖) [一] #(兩)+과(접속 조사). 사탕 한 냥과.
주025)
:생강(生薑).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50cm이며, 잎은 두 줄로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열대 지방에서는 8월경에 길이 2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서 잎집에 싸인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뿌리는 맵고 향기가 좋아서 향신료와 건위제로 쓰인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서 재배한다. 새앙·생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이다. ([1], [11], [24] 참조)
주026)
  과:(生薑) [一]#(兩)+과(접속 조사). 생강 한 냥과.
주027)
믈 두 되예:믈[水]#두[二]#되[승]+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 두 되에.
주028)
 프러:한데 풀어.
주029)
이베:입+에(처격 조사). 입에.
주030)
브라:[灌(관)]-+-+-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부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