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신은(神隱)
  • 신은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신은 001


神隱 주001)
신은(神隱):
≪신은방(神隱方)≫이란 중국 고대의 의서. 쉽사리 확인되지 않는다.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8ㄴ

牛瘴疫用石菖蒲 淡竹葉 葛粉 鬱金 菉豆 蒼朮 右等分爲末每用一兩芭蕉自然汁三升入蜜一兩黃蠟二錢調和灌之未解再灌熱極加大黃鼻頭無汗加麻黃鼻口出血加蒲黃事林廣記 山居四要 並同

牛矣傳染病乙治療爲乎矣 石菖蒲松衣亇叱根 의맛불휘 淡竹葉댄닙 葛粉츩불휘 鬱金深黃 심 菉豆녹두 蒼朮두  무근 삽둇불휘 等乙兩數如一爲只爲均分作末用時一兩乙芭蕉盤蕉 반쵸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9ㄱ

汁三升淸蜜 一兩 黃蠟蜜乙 밀 二錢同處相和牛口良中灌注爲乎矣差愈不冬爲去等再灌爲齊熱氣極盛爲去等加大黃대 爲齊鼻頭無汗爲去等加麻黃唐藥 마 爲齊鼻口中出血爲去等加蒲黃 주002)
포(蒲黃):
부들의 꽃가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라 한다. 지혈제로 쓰인다. 부들은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높이가 1~1.5미터이며, 옆으로 뻗으면서 퍼지고 원기둥 모양이다. 잎은 가늘고 길다. 여름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노란 이삭 모양의 꽃이 육수(肉穗) 화서로 피는데 위쪽에 수꽃, 아래쪽에 암꽃이 달린다. 열매 이삭은 긴 타원형이며 붉은 갈색이다. 꽃가루는 지혈제로 쓰고, 잎과 줄기는 자리·부채 따위를 만드는 재료로 쓴다. 개울가나 연못가에서 저절로 나는데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와 난대, 지중해 연안에 분포한다. 향포(香蒲)라고도 한다. 학명은 Typha orientalis이다.([1], [11], [24], [59] 참조)
부도조잿 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 서 뎐염얏거 의맛불휘 주003)
의맛불휘:
송이맛뿌리. 창포에 대한 우리말 이름이다.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70~100cm 정도 자라며, 온몸에 향기가 있다. 뿌리줄기는 통통하고 마디가 많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고 가는 선 모양이다. 6~7월에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꽃줄기 끝에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붉은 장과(漿果)가 열린다. 뿌리는 약용하고 단옷날에 창포물을 만들어 머리를 감거나 술을 빚는다. 연못이나 도랑의 가장자리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동아시아, 시베리아, 말레이시아, 인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은객(隱客), 장포, 장풍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이다.([1], [11], [24] 등 참조)
댄닙 주004)
댄닙:
대+ㅅ(사이시옷)+닢. 대나무의 잎. ‘댄닙’의 ‘댄’은 ‘댓’의 받침 ‘ㄷ(ㅅ)’이 ‘ㄴ’ 앞에서 ‘ㄴ’에 동화된 것이다. ‘닙’은 ‘닢’이 내파화를 보인 것이다.
츩불휫 주005)
츩불휫:
츩(칡)+불휘(뿌리)+ㅅ(사이시옷)+(가루). 칡뿌리의 가루.
심황 주006)
심황(深黃):
울금(鬱金)을 말한다. 울금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늦봄에 나팔 모양의 담홍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린다. 뿌리줄기는 약용한다. 인도가 원산지로 중국 등지에서 재배된다. 강황(薑黃)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urcuma aromatica이다.([11], [59] 참조)
녹두 주007)
녹두:
녹두(綠豆). 콩과의 1년초로, 중국·인도·한국 등의 아시아지역이 주산지를 이룬다. 줄기는 팥보다 가늘고 길이는 30~80 cm 정도 자란다. 녹두 나물로 우리에게 더 친숙하다. 잎은 1쌍의 떡잎과 초생엽(初生葉)이 나온 다음, 난형 또는 심장형의 3개의 작은잎으로 된 복엽(複葉)이 나온다. 꽃은 노란색이며 몇 개가 군생(群生)하나 3~4쌍만이 결협(結莢)한다.([11] 참조)
와 두  무근 삽둇 주008)
삽둇:
삽됴+ㅅ(사이시옷). 삽됴는 삽주를 말한다. 창출(蒼朮)이라고도 한다. 삽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각지의 햇볕이 잘드는 산지에 자란다.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을 띤 흰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백출은 비기를 보하고 입맛을 돕고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을 한다고 한다.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tractylodes japonica이다.([1], [11], [24], [59] 등 참조)
불휘와 주009)
두  무근 삽둇 불휘와:
두 해[年] 묵은 삽주의 뿌리와.
수 주010)
수:
수(兩數)+(대격 조사). ‘량수’는 무게를 재는 단위로서의 ‘냥(兩)’의 수를 말한다.
티야 주011)
티 야:
[同]+이(부사 파생 접미사)#야. 같이 하여. 같게 하여.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9ㄴ

주012)
라:
[磨]-+-아(연결 어미). 갈아.
 주013)
:
늘. 매번.
 식 주014)
 식:
[一]#냥(兩)+식(보조사). 한 냥씩.
 주015)
:
[用]-+-우(연결 어미). 쓰되.
반쵸 주016)
반쵸:
반쵸[芭蕉]+(대격 조사). ‘반쵸’는 파초를 말한다. 이는 파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형이다. 여름에 노란색을 띤 흰색의 단성화(單性花)가 피고 열매는 육질의 원기둥 모양이다. 약재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따뜻한 지방에서 자란다. 감초(甘蕉), 녹천, 선선(扇仙)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Musa basjoo이다.([1], [11], [24] 등 참조)
디허 연니 주017)
연니:
연(自然)-+-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연히. ‘히’에서 ‘ㅎ’이 탈락하고, ‘ㄴ’이 중철된 모습을 보인다. 같은 문헌에 ‘연히’도 나타난다.
난 즙 서 되와   과 주018)
밀:
밀[蠟]. 꿀벌의 집을 끓여서 만든 기름.
두 돈과  섯거 이베 브 주019)
브:
-+-오(연결 어미). 붓되.
됴티 주020)
됴티:
둏-+-디(연결 어미). 좋지.
아니커  야 브라  덥달어 주021)
덥달어:
덥-+달-+-거든(연결 어미). 덥게 달거든. 열이 많이 나거든.
대 주022)
대(大黃):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로 속이 비어 있으며 잎의 길이는 25~30cm이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된다. 꽃은 황백색으로 7~8월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뿌리는 약용한다. 만주, 몽골 등지에서 자란다. 화삼, 황량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Rheum undulatum이다.([11] 참조)
을 더 녀코 주023)
녀코:
녛[揷入]-+-고(연결 어미). 넣고.
주024)
곳:
고[鼻]+ㅅ(사이시옷). 코의. ‘ㅅ’을 속격 조사로 보기도 한다.
그테 주025)
그테:
긑(끝)+에(처격 조사). 끝에.
미 주026)
미:
[汗(땀 한)]+이(주격 조사). 땀이.
업거든 마 주027)
마(麻黃):
마황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30~70cm이며, 속새와 비슷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줄기에 뚜렷한 마디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여름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피며 열매는 붉게 익고 두 개의 씨가 들어 있다. 중국 북부, 몽골의 사막 지대에 분포한다. 학명은 Ephedra sinica이다.([1], [11], [24] 참조)
을 더 녀코 고히며 주028)
고히며:
고ㅎ[鼻]+이며(접속 조사). 코이며. 코이든지. ‘고(코)’가 ‘ㅎ’ 종성 체언이었다.
이베 피 나거 주029)
이베 피 나거:
입[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피[血]#나[出]-+-거든(연결 어미). 입에 피 나거든. 입에 피 나면.
부도조잿 주030)
부도조잿:
부도조재+ㅅ+[粉]+(대격 조사). ‘부도조재’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아마도 ‘부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는 ‘이(주격), (대격)’과 같이 특수한 교체를 보이던 단어였다. ‘’은 ‘ㄹ’이 중철된 것이다.
녀흐라 주031)
녀흐라:
녛[揷入]-+-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넣으라.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소들 사이에 전염병이 퍼지거든 창포와 댓닢과 칡뿌리 가루와 심황과 녹두와 두 해 묵은 삽주 뿌리를 같은 양으로 해서 갈아 매번 한 냥씩 쓰되 반초를 찧어 거기서 자연히 생긴 즙 석 되와 꿀 한 냥과 꿀벌의 집을 끓여서 짜낸 기름 즉 밀 두 돈을 한데 섞어 입에 붓되, 낫지 않거든 또 해서 부으라. 아주 열이 많이 나면 대황을 더 넣고 코 끝에 땀이 안 나거든 마황을 더 넣고, 코며 입에 피 나거든 부도조잿가루
(포황)
를 더 넣으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은(神隱):≪신은방(神隱方)≫이란 중국 고대의 의서. 쉽사리 확인되지 않는다.
주002)
포(蒲黃):부들의 꽃가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라 한다. 지혈제로 쓰인다. 부들은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높이가 1~1.5미터이며, 옆으로 뻗으면서 퍼지고 원기둥 모양이다. 잎은 가늘고 길다. 여름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노란 이삭 모양의 꽃이 육수(肉穗) 화서로 피는데 위쪽에 수꽃, 아래쪽에 암꽃이 달린다. 열매 이삭은 긴 타원형이며 붉은 갈색이다. 꽃가루는 지혈제로 쓰고, 잎과 줄기는 자리·부채 따위를 만드는 재료로 쓴다. 개울가나 연못가에서 저절로 나는데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와 난대, 지중해 연안에 분포한다. 향포(香蒲)라고도 한다. 학명은 Typha orientalis이다.([1], [11], [24], [59] 참조)
주003)
의맛불휘:송이맛뿌리. 창포에 대한 우리말 이름이다.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70~100cm 정도 자라며, 온몸에 향기가 있다. 뿌리줄기는 통통하고 마디가 많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고 가는 선 모양이다. 6~7월에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꽃줄기 끝에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붉은 장과(漿果)가 열린다. 뿌리는 약용하고 단옷날에 창포물을 만들어 머리를 감거나 술을 빚는다. 연못이나 도랑의 가장자리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동아시아, 시베리아, 말레이시아, 인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은객(隱客), 장포, 장풍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이다.([1], [11], [24] 등 참조)
주004)
댄닙:대+ㅅ(사이시옷)+닢. 대나무의 잎. ‘댄닙’의 ‘댄’은 ‘댓’의 받침 ‘ㄷ(ㅅ)’이 ‘ㄴ’ 앞에서 ‘ㄴ’에 동화된 것이다. ‘닙’은 ‘닢’이 내파화를 보인 것이다.
주005)
츩불휫:츩(칡)+불휘(뿌리)+ㅅ(사이시옷)+(가루). 칡뿌리의 가루.
주006)
심황(深黃):울금(鬱金)을 말한다. 울금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늦봄에 나팔 모양의 담홍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린다. 뿌리줄기는 약용한다. 인도가 원산지로 중국 등지에서 재배된다. 강황(薑黃)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Curcuma aromatica이다.([11], [59] 참조)
주007)
녹두:녹두(綠豆). 콩과의 1년초로, 중국·인도·한국 등의 아시아지역이 주산지를 이룬다. 줄기는 팥보다 가늘고 길이는 30~80 cm 정도 자란다. 녹두 나물로 우리에게 더 친숙하다. 잎은 1쌍의 떡잎과 초생엽(初生葉)이 나온 다음, 난형 또는 심장형의 3개의 작은잎으로 된 복엽(複葉)이 나온다. 꽃은 노란색이며 몇 개가 군생(群生)하나 3~4쌍만이 결협(結莢)한다.([11] 참조)
주008)
삽둇:삽됴+ㅅ(사이시옷). 삽됴는 삽주를 말한다. 창출(蒼朮)이라고도 한다. 삽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각지의 햇볕이 잘드는 산지에 자란다.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을 띤 흰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백출은 비기를 보하고 입맛을 돕고 음식물의 소화를 도우며 이뇨 작용을 한다고 한다.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tractylodes japonica이다.([1], [11], [24], [59] 등 참조)
주009)
두  무근 삽둇 불휘와:두 해[年] 묵은 삽주의 뿌리와.
주010)
수:수(兩數)+(대격 조사). ‘량수’는 무게를 재는 단위로서의 ‘냥(兩)’의 수를 말한다.
주011)
티 야:[同]+이(부사 파생 접미사)#야. 같이 하여. 같게 하여.
주012)
라:[磨]-+-아(연결 어미). 갈아.
주013)
:늘. 매번.
주014)
 식:[一]#냥(兩)+식(보조사). 한 냥씩.
주015)
:[用]-+-우(연결 어미). 쓰되.
주016)
반쵸:반쵸[芭蕉]+(대격 조사). ‘반쵸’는 파초를 말한다. 이는 파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형이다. 여름에 노란색을 띤 흰색의 단성화(單性花)가 피고 열매는 육질의 원기둥 모양이다. 약재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따뜻한 지방에서 자란다. 감초(甘蕉), 녹천, 선선(扇仙)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Musa basjoo이다.([1], [11], [24] 등 참조)
주017)
연니:연(自然)-+-이(부사 파생 접미사). 자연히. ‘히’에서 ‘ㅎ’이 탈락하고, ‘ㄴ’이 중철된 모습을 보인다. 같은 문헌에 ‘연히’도 나타난다.
주018)
밀:밀[蠟]. 꿀벌의 집을 끓여서 만든 기름.
주019)
브:-+-오(연결 어미). 붓되.
주020)
됴티:둏-+-디(연결 어미). 좋지.
주021)
덥달어:덥-+달-+-거든(연결 어미). 덥게 달거든. 열이 많이 나거든.
주022)
대(大黃):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로 속이 비어 있으며 잎의 길이는 25~30cm이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된다. 꽃은 황백색으로 7~8월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뿌리는 약용한다. 만주, 몽골 등지에서 자란다. 화삼, 황량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Rheum undulatum이다.([11] 참조)
주023)
녀코:녛[揷入]-+-고(연결 어미). 넣고.
주024)
곳:고[鼻]+ㅅ(사이시옷). 코의. ‘ㅅ’을 속격 조사로 보기도 한다.
주025)
그테:긑(끝)+에(처격 조사). 끝에.
주026)
미:[汗(땀 한)]+이(주격 조사). 땀이.
주027)
마(麻黃):마황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30~70cm이며, 속새와 비슷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줄기에 뚜렷한 마디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여름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피며 열매는 붉게 익고 두 개의 씨가 들어 있다. 중국 북부, 몽골의 사막 지대에 분포한다. 학명은 Ephedra sinica이다.([1], [11], [24] 참조)
주028)
고히며:고ㅎ[鼻]+이며(접속 조사). 코이며. 코이든지. ‘고(코)’가 ‘ㅎ’ 종성 체언이었다.
주029)
이베 피 나거:입[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피[血]#나[出]-+-거든(연결 어미). 입에 피 나거든. 입에 피 나면.
주030)
부도조잿:부도조재+ㅅ+[粉]+(대격 조사). ‘부도조재’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아마도 ‘부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는 ‘이(주격), (대격)’과 같이 특수한 교체를 보이던 단어였다. ‘’은 ‘ㄹ’이 중철된 것이다.
주031)
녀흐라:녛[揷入]-+-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넣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