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상)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상)
  • 시사 하(時事下)
  • 유감스러워, 5수[有感五首]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감스러워, 5수[有感五首]


有感五首 주001)
유감오수(有感五首)
유감스러워, 다섯 수. 이 시의 저작 시기에 대해서는 광덕 원년 봄, 광덕 원년 가을, 광덕 원년 겨울, 광덕 원년 이후 감회가 있을 때마다, 광덕 2년 봄 경사를 수복한 이후 등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여기서는 광덕(廣德) 2년(764) 봄 두보 53세 때에 낭주(閬州)에서 지어진 것으로 본다. 당시 토번(吐蕃)은 물러갔지만, 여러 번진(藩鎭)이 발호해서 조정의 명을 따르지 않았다. 두보는 이에 따른 소요를 염려하여, 시를 써서 뜻을 표하였는데, 모두 정론(政論)이었다. 제1수는 번진이 외적의 침략을 제어하지 못한 것을 탄식했다. 제2수는 진장(鎭將)이 용병을 자중하고 조정도 자강(自强)하지 못한 것을 탄식했다. 제3수는 낙양으로 천도하는 것은 흥국의 계책이 아님을 말했다. 제4수는 조정이 종번(宗藩)들을 분봉해서 불복하는 번진을 억제할 것을 건의했다. 제5수는 당시 조정이 진장(鎭將)을 중시하고, 지방관은 경시한 것을 개탄하였다.

유감 오수
(유감스러워, 5수)

〈첫째 수〉

將帥 주002)
장수(將帥)
변경의 장수나 절도사를 가리킨다.
蒙恩澤 주003)
몽은택(蒙恩澤)
은택을 입다. 즉 이들은 모두 천자의 은택을 입고 있다는 말이다.
兵戈 주004)
병과(兵戈)
병사들과 창. 여기서는 전쟁을 뜻한다.
有歲年 주005)
유세년(有歲年)
오랜 세월 지속되고 있다는 뜻이다.
至今勞聖主 주006)
노성주(勞聖主)
성명한 군주를 괴롭게 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종(代宗)이 섬주(陝州)로 피난 간 일을 말한다.
何以報皇天 주007)
황천(皇天)
하늘의 경칭(敬稱). 하느님. 상제(上帝). 황천후토(皇天后土)는 천신(天神)과 지신(地神)을 아울러 말한 것. 여기서는 임금을 가리킨다.
주008)
장수몽은택 병과유세년 지금로성주 가이보황천(將帥蒙恩澤 兵戈有歲年 至今勞聖主 何以報皇天)
“장수가 임금의 은택을 입었어도, 벌어진 전쟁은 여러 해 동안 이어지도다! 지금까지도 성스런 군주를 수고롭게 하니, 어떻게 황천(皇天)의 은혜에 보답할 것인가?”란 말이다.
【此 言將帥ㅣ 皆蒙恩寵호 不勉討賊야 使至尊 주009)
지존(至尊)
더할 나위 없이 존귀하다는 뜻으로 임금을 공경하여 일컫는 말.
로 爲憂也ㅣ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13ㄴ

將帥ㅣ 님금 주010)
님금
임금. 『두시언해』에서 ‘님금’은 주로 ‘君, 聖, 御, 睿, 王, 帝, 主, 至尊’의 번역어로 쓰였다. ¶君 : 님금과 臣下왜 허믈와  이쇼 시니 河獄 히 다 陷沒야 쇽졀업시 金城과 湯沚 니로다(君臣忍瑕垢 河嶽空金湯)〈두시 1:52ㄱ〉 / 聖 : 녜 崆峒애 님금믈 뫼와 니던 나리여 灩澦예 正히 사 로다(扈聖崆峒日 端居灩澦時)〈두시 3:1ㄱ〉 / 御 : 새배 凌犯야 驪山 디나가니 님금 안시 榻ㅣ 뫼해 노하 잇도다(凌晨過驪山 御榻在嵽嵲)〈두시 2:34ㄴ〉 / 睿 : 님금 스치샤미 丹墀예 갓가오시니 神行앳 羽葆ㅅ 侍衛호미 굳도다(睿想丹墀近 神行羽衛牢)〈두시 5:4ㄱ〉 / 王 : 山東애 逆氣衰殘얏고 吳楚도 님금 法度 中얏니(山東殘逆氣 吳楚守王度)〈두시 1:49ㄱ〉 / 帝 : 蒼梧앳 님금 묻왯 히 아라 니 孟母의 이우지 올마 가놋다(縹緲蒼梧帝 推遷孟母鄰)〈두시 8:62ㄱ〉 / 主 :  타 님금 受辱샤 놀라고 갈 혀 나 늘구믈 러 리노라(揚鑣驚主辱 拔劒撥年衰)〈두시 3:2ㄴ〉 / 至尊 : 近侍로 京邑에 오니 마 올모 엇뎨 님금 디시리오(近侍歸京邑 移官豈至尊)〈두시 3:23ㄱ〉.
恩澤 니브나 주011)
니브나
입으나. 닙[蒙]-+으나. ¶닙다 : 모매 됴 옷 닙고져  씨라〈석상 3:22ㄴ〉 /  서리예 누비옷 닙고 니노니(江湖漂短褐)〈두시 21:1ㄴ〉.
兵戈 여러  주012)
여러 
여러 해.
잇도다 주013)
잇도다
있도다. 지났도다. 잇[有]-+도+다.
이제 주014)
이제
지금. 현재.
니르리 주015)
니르리
이르기까지. 현대국어로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말할 때 ‘-까지’에 대응되는 말로, 고려시대의 석독구결에도 ‘至’로 표기되었다. ¶니르리 : 사 몯 보게 放光샤 四天王과 淨居天에 니르리 비취시니〈석상 3:25ㄱ〉 / 元日로 人日에 니르리 어듭디 아니  잇디 아니토다(元日到人日 未有不陰時)〈두시 11:8ㄱ〉. 諸天의 히로 사히 다 올의 니 변조리던 각시히 다리 드러 내오 손 발 펴리고 주근 것티 그우드러 이셔 곳구무 데군케 드위고 믿 니르리 몯 초아셔 자며 고 춤 흘리고 오좀 니 니르리 며 고 고고 니 오 뷘 입 십고 긔 니르리 며 륫 갓 븓안고 라디엣거늘 그제 춋브리  가 잇더니 太子ㅣ 보시고 너기샤 겨지븨  이러 거시로다〈석상 3:25ㄴ-26ㄴ〉 / 이제 니르리 府庫앳 粟帛 모다 호니 殺伐ㅅ 氣運이 沅湘 므레 불옛도다(至今分粟帛 殺氣吹沅湘)〈두시 1:53ㄴ〉 / 곧마다 글월 요미 숫두워리고 집마다 솔옷 귿 니르리 토미 도다(處處喧飛檄 家家急競錐)〈두시 3:5ㄴ〉 / 成都애 勇猛 將軍이 花卿이 잇니 말 호 효 아 니르리 姓과 일후믈 아다(成都猛將有花卿 學語小兒知姓名)〈두시 5:40ㄱ〉.
聖主 시게 니 주016)
시게 니
피곤하시게 하니. [疲]-++시+게 -++니. ‘다’의 사동사는 ‘다’이며, ‘가다’의 파생동사도 쓰였는데 후자는 특히 『두시언해』에만 쓰였다. ¶다 : 城 안햇 사미며 孔雀이며 새 니르리  가 자더라(適來宮圍內人𥜒寐)〈석상 3:29ㄴ〉 / 渭水와 秦山 시러곰 볼가 몯가 사미 이제 가 病고 버미 하도다(渭水秦山得見否 人今罷病虎縱橫)〈두시 3:34ㄱ〉 / 다 : 티 아니호미 至極 甚커늘 엇뎨 브즈러니 며 分別야 두려호미 이러뇨〈내훈3:22ㄱ〉 / 이젯 님그미 오히려 亂 혀 려  며 호 글탈하 四方 기우시니라(至今今上猶撥亂 勞心焦思補四方)〈杜詩3:60ㄴ〉 / 가다 : 詩 采取리 跋涉호 가니 붇 가지니 오히려 可히 記錄홀 디니라(采詩倦跋涉 載筆尙可記)〈두시 6:23ㄱ〉 / 더위자바 올오 뎌 나래 가다니 즐거운 일 닐우믈 긴 바 브티노라(躋攀倦日短 語樂寄夜永)〈두시 9:14ㄴ〉 / 君子 고파 逶迤히 니거니와 小人 馳驟호 가놋다(君子強逶迤 小人困馳驟)〈두시 11:26ㄱ〉 / 디뇨매 俗人 애 가다니 해 와 이쇼니 매 어그리춘 배 업도다(經過倦俗態 在野無所違)〈두시 15:4ㄴ〉 / 드를 사미 가다 니디 말라 어리니와 智慧니왜 미 다 주겟도다(勿雲聽者疲 愚智心盡死)〈두시 16:49ㄴ〉 /  너흐로매 텨 료 가다니 너 依賴야 믈 히 너기노라(咂膚倦撲滅 賴爾甘服膺)〈두시 16:58ㄴ〉 / 巴蜀이 盜賊의 剽劫호매 가니 어류미 土風이 이럿도다(巴蜀倦剽掠 下愚成土風)〈두시 19:44ㄴ〉 / 尙方애셔 일즉 신 주던 이 머리 붓그리노니 地境이 내 히 아닐 樓에 올오 가노라(遠愧尙方曾賜履 竟非吾土倦登樓)〈두시 23:46ㄴ〉 / 蓐收ㅣ 일호 가고 玄冥이 蔚然히 세웓더라(蓐收困用事 玄冥蔚強梁)〈두시 25:5ㄴ〉 / 올히 젹고 亂亡을 디내니 기텟 사미 진실로 가놋다(州小經亂亡 遺人實困疲)〈두시 25:36ㄴ〉.
므스그로 주017)
므스그로
무엇으로써. 므슥[何]+으로#-+어.
皇天 갑올고 주018)
갑올고
갚겠는가? 갚[報]-++ㄹ+고. 중간본은 ‘갑옭고’이다.

【한자음】 장수몽은택 병과유세년 지금로성주 가이보황천【이것은 장수가 모두 은총을 입었지만, 도적떼를 토벌하는 데에는 힘쓰지 않으니, 지존(至尊)으로 하여금 걱정하게 만든다는 말이다.】
【언해역】 장수가 임금 은택을 입었으나, 병과(兵戈)는 여러 해 있도다! 이제까지 성주(聖主)를 수고롭게 하니, 무엇으로써 황천(皇天)을 갚을 것인가?

白骨 주019)
백골(白骨)
백골. 죽어서 전장에 흩어져 있는 백골을 말한다.
新交戰
주020)
백골신교전(白骨新交戰)
새로 교전을 치렀던 병사들이 백골이 되어, 나뒹굴고 있다는 뜻이다.
雲臺 주021)
운대(雲臺)
한(漢)나라 궁중에 있는 높은 누대의 이름. 한(漢)나라 명제(明帝)가 전대의 공신들을 추념(追念)하여 28명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능연각(凌烟閣)이라고도 불렀다. 이후 운대(雲臺)는 공신과 명장을 추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당나라 태종 정관(貞觀) 17년(643) 염립본(閻立本)에게 명해 개국척강공신(開國拓疆功臣) 24명의 그림을 능연각에 두도록 했다. ‘운(雲)’이 ‘윤(輪)’으로 된 판본도 있다.
拓邊 주022)
탁변(拓邊)
변경을 개척하다. 여기서는 영토의 확장을 말한다.
주023)
운대구척변(雲臺舊拓邊)
운대에 초상을 그려 공을 논의한 것은 예전에 변경을 개척한 공로 때문이라는 뜻이다.
【言今戰之地예 白骨이 暴橫니 雲臺圖畵 주024)
운대도서(雲臺圖書)
운대에 그린 그림과 쓴 글. ‘운대’는 한(漢)나라 궁중에 있는 높은 누대로서 한(漢)나라 명제(明帝)가 전대의 공신들을 추념(追念)하여 28명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이후 운대(雲臺)는 공신과 명장을 추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 皆舊日拓邊之臣이라니 所以深罪今之諸將也ㅣ라】

  주025)
 
흰 뼈는. 원시의 ‘백골(白骨)’의 번역어로 죽어서 전장에 널부러져 있는 백골을 말한다.
새려 주026)
새려
새로. 새+려. ‘려’는 부사파생접미사. 참조 : 오히려.
사호 섯게로소니 주027)
섯게로소니
섞여 있으니. [混]-+어+이+도+소+니. ‘이’는 계사이다. 보조적 연결어미 ‘-어’에 계사 ‘이’가 연결되는 구성은 현대국어로는 비문법적인 구성이다. 〈중간본〉은 ‘섯겟도소니’이다. ¶-도소니 : 늘거가매 죄 難히 다러로소니  오매 興이 甚히 기도다(老去才難盡 秋來興甚長)〈두시 20:35ㄴ〉 / 南녀긔셔 야 羽翮을 돌아가 北極에 星辰을 捧戴러로다(南圖回羽翮 北極捧星辰)〈두시 23:5ㄴ〉.
雲臺예 녜  주028)

가를. 변경을. 국경을. 〈중간본〉은 ‘’이다.
너피던 주029)
너피던
넓히던. 넓[廣]-+히+더+ㄴ.
사미니라

【한자음】 백골신교전 운대구척변【지금 전쟁하는 곳에 백골이 널려 있으니, 운대도서(雲臺圖書)는 모두 지난날 변경을 개척한 신하들이라 하니, 지금의 여러 장수들을 심하게 비난하는 까닭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언해역】 흰 뼈는 새로 싸움을 섞여 있으니, 운대(雲臺)에는 옛날 변경을 넓히던 사람이니라.

乘槎 주030)
승사(乘槎)
뗏목을 탔다는 뜻으로, 외국으로 사신을 가는 것을 말한다. 『박물지(博物志)』에 “천하(天河)가 바다와 통한다는 구설(舊說)에 의하면, 근세(近世)에 사람이 뗏목을 타고 가서, 십여 일 동안을 오히려 성월일신(星月日辰)을 보았는데, 뒤에는 주야(晝夜)를 깨닫지 못했다. 한 곳에 당도하여 멀리 바라보니, 궁중(宮中)에 직부(織婦)가 많고 한 장부(丈夫)가 소를 끌어 물을 마시게 하는 것도 보였다.”라고 했다.
斷消息 無處覓張騫 주031)
장건(張騫)
?-기원전 114. 전한 한중(漢中) 성고(成固) 사람. 한나라 무제(武帝) 건원(建元) 2년(기원전 139) 흉노(匈奴)를 견제하기 위,해 서방의 대월지(大月氏)와의 동맹을 촉진하고자 서역으로 가다가, 흉노에게 잡혀 10년 동안 포로 생활을 했고, 이후 대완(大宛)과 강거(康居)를 거쳐, 목적지에 다다랐지만, 뜻을 이루지 못한 채 13년 만인 원삭(元朔) 2년(기원전 127) 돌아왔다. 인도(印度) 지역과의 통로를 개척하고, 동서의 교통과 문화 교류의 길을 여는데 크게 공헌했다. 6년(기원전 123) 교위(校尉)로 대장군 위청(衛靑)과 함께 흉노를 공격해 박망후(博望侯)에 봉해졌다. 원수(元狩) 2년(기원전 121) 위위(衛尉)가 되어, 이광(李廣)과 함께 우북평(右北平)으로 나가 흉노를 공격했는데, 실기(失期)하여 참형을 당해야 했지만, 속환(贖還)하고 서인(庶人)이 되었다. 2년 뒤 다시 중랑장(中郞將)으로 오손(烏孫)에 사신을 갔다가 부사(副使)를 대완(大宛)과 강거(康居) 등지에 파견하여, 통호(通好)했는데, 이때부터 서역(西域)과 통하기 시작했다. 관직은 대행(大行)까지 올랐다. 여기서는 광덕 원년(763) 4월에 토번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던 어사대부 이지방을 가리킨다.
주032)
승사단소식 무처멱장건(乘槎斷消息 無處覓張騫)
승사(乘槎)와 장건(張騫)은 모두 사신을 말하는 것으로 토번에 사신으로 간 이지방의 소식이 없다는 말이다.
【此 用張騫事야 喩李之芳 주033)
이지방(李之芳)
?-768?. 당나라 종실의 후예. 어릴 때부터 영민했고, 5언시를 잘 지었다. 현종(玄宗) 개원(開元) 중에 시어사(侍御史)와 고부원외랑(庫部員外郞)을 지냈다. 천보(天寶) 초에 외직으로 나가, 제주사마(齊州司馬)를 지냈다. 13년(754) 안녹산(安祿山)이 주청해 범양사마(范陽司馬)가 되었다. 안녹산이 반란을 일으키자, 스스로 사직하고 돌아왔는데, 우사낭중(右司郞中)이 되었다. 공부시랑(工夫侍郞)과 태자우서자(太子右庶子)를 지냈다. 숙종(肅宗) 건원(乾元) 원년(758) 황문시랑(黃門侍郞)으로 검남절도채방사(劍南節度采訪使)에 충원되었다. 대종(代宗) 고아덕(廣德) 원년(763) 토번(吐蕃)에 사신을 갔다가, 2년 동안 억류된 뒤 돌아올 수 있었다.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오르고, 얼마 뒤 태자빈객(太子賓客)으로 옮겼다. 대력(大曆) 초에 강릉(江陵)에 거주했고, 두보(杜甫)와도 시를 주고받았다.
의 使吐蕃不還也ㅣ라】

들굴 주034)
들굴
떼. 뗏목[査]. 떨기[叢].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된다. 특히 ‘들굴’과 ‘장건(張騫)’이 관련된 시상이 『두시언해』 권20의 용례에서도 확인된다. ¶들굴 : 時節ㅅ 菊花ㅣ 나모 들굴 서리예 브어뎟도다(時菊碎榛叢)〈두시 12:17ㄴ-18ㄱ〉 / 내 衰老야  니 들굴와 토니 됴히 건너가 蟠桃 잇  스치노라(吾衰同泛梗 利涉想蟠桃)〈두시 13:30ㄱ〉 / 눈 잇 두들게 들굴 梅花ㅣ 펫고   온 가짓 프리 낫도다(雪岸叢梅發 春泥百草生)〈두시 14:14ㄴ〉 / 들굴 타 다  무러 하해 올아 가리라(乘槎與問津)〈두시 16:7ㄴ〉 / 즈믄 들굴와 萬 들구리 가지 지즐워 얫도다(千朶萬朶壓枝低)〈두시 18:7ㄴ〉 / 긼 가온대 阮籍이 아니오 들굴 우희 張騫이 〈두시 20:12ㄴ〉 도다(途中非阮籍 查上似張騫)〈두시 20:12ㄴ〉.
주035)
탄. [乘]-+ㄴ.
사미 消息이 그츠니 주036)
그츠니
끊어지니. 긏[斷, 止]-+으니. 15세기 국어의 ‘긏-’은 자타동 양용동사로 ‘끊다’와 ‘끊어지다’의 뜻이 있다. 한편으로는 ‘그치-’와 같이 타동사에는 원동사의 사동사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그 사동사에 ‘-어 디다’가 결합된 ‘그처디-’도 사용되었다. ¶긏다(자동사) : 癡愛病이 업스면 生死ㅅ 緣이 그처 眞常 頓證리니(癡愛病이 除면 則生死緣이 斷야 頓證眞常리어니)〈석상 20:31ㄱ〉 / 祿 해 타 먹 넷 버든 書信이 그처 업고(厚祿故人書斷絕)〈두시 7:2ㄴ〉 / 긏다(타동사) : 를 그처 骨髓 내오 두  우의여 내니라(斷骨出髓 剜其兩目)〈석상 11:21ㄱ〉 / 父母ㅅ 恩惠 그처 리고(棄絕父母恩)〈두시 5:26ㄱ〉 /그치다 : 沙彌 새 出家 사미니 世間앳 들 그치고 慈悲ㅅ 뎌글 다 논 디니〈석상 6:2ㄴ〉 / 마 盃中엣 物을 그치고(忍斷杯中物)〈두시 8:13ㄱ〉 / 그처디다 : 이 觀世音菩薩 듣고 一心로 觀世音菩薩ㅅ 일후믈 일면 다 그처디여 즉자히 버서나리어며(設復有人이 若有罪커나 若無罪커나 杻械枷鏁ㅣ 檢繫其身야셔 稱觀世音菩薩名者ㅣ면 皆悉斷壞야 即得觧脫며)〈석상 21:5ㄴ〉 / 불휘 믌 미틔 싯기여 그처디니 엇뎨 하 디시리오(根斷泉源豈天意)〈두시 6:41ㄱ〉.
張騫을 어둘 주037)
어둘
얻을. 얻[得]-+우+ㄹ. 〈중간본〉은 ‘얻을’이다.
히 주038)
히
땅이. 곳이. ㅎ+이.
업도다

【한자음】 승사단소식 무처멱장건【이것은 장건(張騫)의 일을 빌려 이지방(李之芳)이 토번에 사신을 갔다가 돌아오지 못한 것을 비유했다.】
【언해역】 뗏목 탄 사람이 소식이 끊기니, 장건(張騫)을 찾을 땅이 없도다.

〈둘째 수〉

幽薊 주039)
유계(幽薊)
유주(幽州)과 계주(薊州). 유주는 하북 북부와 요녕성(遼寧省) 일대이며, 계주는 지금의 북경, 톈진 일대를 말한다. 모두 중국의 북동부 지역을 가리키고 있다.
蛇豕 주040)
사시(蛇豕)
안사(安史)의 남은 잔당들을 가리키는 말. 역사적으로 사조의(史朝義)가 죽은 뒤 하북(河北)의 반란군 장수들이 모두 항복했다. 복고회은(僕固懷恩)이 주청해 항복한 장수들을 배치해 하북을 지키자고 제안했다. 번진(藩鎭)의 소란은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사(蛇)’가 ‘봉(封)’으로 된 판본도 있다.
乾坤 주041)
건곤(乾坤)
①『주역(周易)』 팔괘(八卦) 가운데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②하늘과 땅. ③음(陰)과 양(陽). ④건방(乾方)과 곤방(坤方). 서북과 서남쪽. ⑤제왕(帝王)과 황후(皇后). ⑥남자와 여자. ⑦해와 달. ⑧한 나라 전체. 온 세상. 여기서는 ②의 뜻이다.
虎狼 주042)
호랑(虎狼)
범과 이리. 안사(安史)의 난 때 남은 잔당들을 가리키는 말. ‘호랑’을 토번과 강이(羌夷)로 보는 설도 있다.
주043)
유계여사시 건곤상호랑(幽薊餘蛇豕 乾坤尙虎狼)
사시(蛇豕)와 호랑(虎狼)은 각각 사조의가 죽은 뒤에 남은 잔당과 토번과 강이(羌夷)로 이들이 오히려 하북의 곳곳을 점거하고 있다는 말이다.
【此 言河北이 未盡服也ㅣ라】

幽薊예 얌 주044)
얌
뱀.
돋괘 주045)
돋괘
돼지가. 돝[豕]+과+이.
나맷고 주046)
나맷고
남아 있고. 남[餘]-+아#잇-+고.
乾坤애 주047)
범[虎]. 호랑이.
일히왜 주048)
일히왜
이리가. 일히[狼]+와+이.
오히려 주049)
오히려
오히려. 오히+려. ‘려’는 부사화접미사이다. 참조 : 새려.
잇도다

【한자음】 유계여사시 건곤상호랑【이것은 하북(河北) 지역이 아직 완전히 복종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언해역】 유주계주에 뱀과 돼지가 남아 있고, 건곤(乾坤)에 범과 이리가 오히려 있도다.

諸侯 주050)
제후(諸侯)
천자(天子) 다음으로 고귀한 신분의 사람에 대한 총칭. 고대 중국에서 천자에 딸려 있었고, 천자에게서 일정한 영토를 받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의무를 지녔으며, 영내의 백성을 지배하는 권력을 가졌다. 여기서는 이미 항복해서, 다시 임용된 하북의 항복한 장수들을 말한다.
春不貢 주051)
춘불공(春不貢)
봄에 공물을 바치는 것은 신하로서 천자에게 복종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의례인데, 하북의 잔당들은 봄에 공물을 바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주052)
제후춘불공(諸侯春不貢)
전쟁 때문에 통로가 끊기거나 여유가 없어, 매해 봄마다 이뤄지던 공물을 오지 않는다는 말이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14ㄱ

使者 주053)
사자(使者)
사신. 하북 등의 번진은 절도사나 방어사 등에 임명할 때에 모두 사자를 임명하여 부절을 지니고 진에 나아가 제수하기 때문에 시에서 사자(使者)를 언급하였다.
相望 주054)
상망(相望)
서로 보다. 복종하지 않는 번진에 파견되는 사신이 서로를 바라볼 정도로 사신들의 파견이 빈번하다는 뜻이다.
주055)
사자일상망(使者日相望)
복종하지 않는 번진을 설득하기 위해 파견되는 사신들끼리 서로 바라볼 정도로 자주 사신을 파견하고 있다는 뜻이다.
【此 言使者ㅣ 雖相繼而徃喩나 藩鎭 주056)
번진(藩鎭)
변방을 지키기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는 곳. 옛날 중국에서 지방의 치안을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던 곳. 당(唐)나라 때 변방에 설치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그 지방을 다스리던 관아. 절도사(節度使)가 우두머리였다.
이 不來貢也ㅣ라】

諸侯히 주057)
제후(諸侯)히
제후들이. 諸侯+ㅎ+이. ‘ㅎ’는 ‘ㅎ’말음체언.
보 주058)
보
봄에. 봄[春]+.
朝貢 주059)
조공(朝貢)
작은 나라가 큰 나라에 예물(禮物)을 바치는 일.
아니니
주060)
조공(朝貢) 아니니
조공을 하지 않으니. 아니#-++니.
使者ㅣ 나날 주061)
나날
매일. 날마다.
서르 주062)
서르
서로. ‘서르’가 ‘서로’로 되는 것은 원순모음화의 영향이다.
라놋다 주063)
라놋다
바라는구나. 라[望]-++오+ㅅ+다. 15세기의 ‘라다’는 ‘바라보다’와 ‘원하다’의 뜻이 있다.

【한자음】 제후춘불공 사자일상망【이것은 사자가 비록 서로 이어져 가서 회유하지만, 번진(藩鎭)이 조공(朝貢)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제후(諸侯)들이 봄에 조공(朝貢) 안하니, 사자(使者)가 날마다 서로 바라보네.

慎勿吞靑海 주064)
청해(靑海)
청장고원(青藏高原)의 북동부에 위치한 지역. 당시에는 이미 토번에 점령되어 있었다.
無勞問越裳 주065)
월상(越裳)
옛날 나라 이름. 교지(交趾) 남방에 있던 나라로 남조(南詔)를 가리키기도 한다. 천보(天寶) 이후 남조가 당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토번에 귀부(歸附)하였다. 중국에 백치(白雉)를 바쳤다.
주066)
신물탄청해 무로문월상(慎勿吞靑海 無勞問越裳)
서강(西羌)과 남조(南詔)를 정벌하지 말라고 경계한 말이다.
大君 주067)
대군(大君)
천자.
息戰 주068)
식전(息戰)
전쟁을 그치다.
歸馬 주069)
귀마(歸馬)
말을 화산의 남쪽으로 돌려보내다.
華山 주070)
화산(華山)
산(山) 이름. 오악(五嶽)의 하나. 섬서성(陝西省) 화음시(華陰市) 남쪽에 있다. 그 북쪽으로 위하평원(渭河平原)이 펼쳐지는데, 진령(秦嶺)의 동쪽 측면에 속한다. 태화산(太華山)이라 부르기도 하며 옛 명칭은 서악(西嶽)이다. 연화(蓮花, 西峰)와 낙안(落雁, 南峰), 조양(朝陽, 東峰), 옥녀(玉女, 中峰), 오운(五雲, 北峰) 등의 봉우리가 있어, 관광지로 유명하다. 예로부터 산세가 깊고, 상서로워 120여 세 가까운 장수를 누렸다고 전해지는 도사 진단을 비롯해서 수많은 수행자가 나온 곳으로 유명하다.
【書武成에 歸馬于華山之陽이라니 此 戒無事於西羌 주071)
서강(西羌)
중국 진대(晉代) 오호(五胡)의 하나. 중국 서쪽 변방에 살던 티베트계(系) 유목민족. 요장(姚萇)이 장안(長安)에 도읍하여, 후진(後秦; 요진)의 시조가 된다.
東夷 주072)
동이(東夷)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일컫는 말. 곧 조선(朝鮮), 왜국(倭國), 만주(滿洲) 등을 가리킨다.
코 唯願偃武修文 주073)
언무수문(偃武修文)
무기를 창고에 넣어두고 문교(文敎)를 닦아, 교화에 힘씀. 언무흥문(偃武興文).
德也ㅣ라】

靑海ㅅ 녀글 주074)
청해(靑海)ㅅ 녀글
청해 쪽을. ‘녁’은 ‘편(便)’의 고유어이다. ¶녁 : 右는 올 녀기라〈훈언 13ㄱ〉 / 나랏 臣下ㅣ 太子ㅅ 녀글 들면 須達 願을 몯 일울까 야〈석상 6:25ㄱ〉 / 岷嶺 南蠻ㅅ 北녀기오 徐關 東海ㅅ 西ㅅ 녀기로다〈두시 8:37ㄱ〉 /  渭水  업수미 至極야 시름왼  올로 東녀글 向야 흐르다(清渭無情極 愁時獨向東)〈두시 9:39ㄴ〉.
 주075)

삼킴을. [呑]-+오+ㅁ+.
삼가 말며 주076)
삼가 말며
삼가 말며. 삼가[愼]-+어 말-+며.
越裳ㅅ 녁 무롬도 주077)
무롬도
물음도. 묻[問]-+오+ㅁ+도.
잇비 주078)
잇비
피곤하게. 잇브[困]-+이.
말옥 주079)
말옥
말고. 말[止]-+고+ㄱ. ‘ㄱ’는 강세첨사이다. 〈중간본〉은 ‘말오’이다.
님그미 몬져 주080)
몬져
먼저.
사호 그쳐 주081)
그쳐
그쳐. 긏[止]-+어.
 華山 陽애 보내욜 디니라 주082)
보내욜 디니라
보낼 것이다. 보내[遣]-+오+ㄹ +이+니+라.

【한자음】 신물탄청해 무로문월상 대군선식전 귀마화산양【『서경(書經)』 〈무성편〉에 “화산(華山) 남쪽으로 말을 돌려보낸다.”는 말이 있으니, 이것은 서강(西羌)과 동이(東夷)에 위험한 일이 없고, 오직 언무수문(偃武修文)하는 덕을 원함을 경계하는 것이다.】
【언해역】 청해의 가를 삼킴을 삼가 말며, 월상(越裳) 쪽 물음도 수고롭게 말고, 임금이 먼저 싸움을 그쳐, 말을 화산(華山)의 남쪽에 돌려보낼 것이니라.

〈셋째 수〉

洛下 주083)
낙하(洛下)
낙수(洛水)의 아래. 즉 낙양(洛陽).
舟車入 天中 주084)
천중(天中)
천하의 한 가운데. 즉 낙양. 실제로는 장안을 가리켜 말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貢賦均 주085)
공부균(貢賦均)
공부(貢賦)는 ①공물(貢物)과 부세(賦稅). 공(貢)은 바치는 것이고, 부(賦)는 거두는 것이다. ②지방의 토산물을 나라에 바치던 세제(稅制). ③국가에서 각 군현 단위에 부과한 현물세. 여기서는 ①의 뜻이다. 즉 각 지역에서 토공과 부세를 운반하는 거리가 균등해졌다는 뜻이다.
주086)
낙하주거입 천중공부균(洛下舟車入 天中貢賦均)
반란이 평정되어서 낙양에 배와 마차가 들어오고 낙양은 지리적으로 중심이어서, 공부(貢賦)를 내는 거리도 균등하다는 뜻이다. 『당서(唐書)』에 곽자의가 장안(長安)을 수복한 뒤 정원진(程元振)이 대종에게 낙양에 도읍을 정해 토번을 피하자고 권하자, 대종이 윤허하였을 때, 곽자의가 상소하여 천도(遷都)의 폐단을 갖추어 말하는 한편 흥국(興國)의 계책을 논의하였다.
洛陽 주087)
낙양(洛陽)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상(商)나라의 주왕(紂王)을 주멸(誅滅)하고 구정(九鼎)을 옮겨 두었던 곳. 주나라의 땅인 낙읍(洛邑)인데, 이 낙읍은 뒤에 낙양(洛陽)으로 일컬어진 주나라의 서울 이름이다.
 天地之中이라 四方貢賦에 道里均也ㅣ라 此 言朝義 주088)
조의(朝義)
조정(朝廷)이 지켜야 할 의리(義理).
旣滅而道路ㅣ 不阻絶이니라】

洛下애 와 주089)
와
배와. 15세기의 ‘’는 ‘배(船)’와 ‘배(腹)’의 뜻이 있다.
술위왜 주090)
술위왜
수레와. 술위[車]+와. ¶술위 : 太子ㅣ 羊 술위 시고 東山애도 가시며 아자바긔도 가샤〈석상 3:6ㄴ〉 / 우믌 믈 기루 마다 힘 니 술위로 시러나 나날 니엇도다(汲井歲榾榾 出車日連連)〈두시 1:18ㄱ〉.
드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14ㄴ

주091)
드니
드니. 들어오니. 들[入]-++니.
하 가온 주092)
가온
가운데.
貢賦ㅣ 오미 고니라 주093)
고니라
고르다. 고[均]-+니+라.

【한자음】 낙하 주거입 천중공부균낙양(洛陽)은 천지의 가운데라. 사방의 공부(貢賦)에 도로와 마을이 균일하다. 이것은 조의(朝義)가 이미 없어졌어도, 도로가 막히거나 끊어지지 않았음을 말한다.】
【언해역】 낙양에 배와 수레가 드니, 하늘 가운데 공부(貢賦)가 오는 것이 균일하구나.

日聞 주094)
일문(日聞)
날마다 들었다는 해석과 최근에 들었다는 해석이 있다. 언해에는 ‘날로 ~ 든니’로 되어 있다.
紅粟 주095)
홍속(紅粟)
저장(儲藏)한 지 아주 오래 되어 붉게 변한 묵은 쌀로 여기서는 풍족(豊足)한 식량(糧食)을 비유한다.
腐 寒待翠華 주096)
취화(翠華)
제왕(帝王)의 의장(儀仗) 중 물총새의 깃으로 장식한 기나 수레 덮개. 또는 천자의 깃발, 수레, 제왕. 천자가 임행하여 물자를 사급하는 것이 마치 봄날의 화창한 기운이 미치는 것과 같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마지막 해석에서 ‘취화’는 천자와 봄날을 함께 가리키는 중의적 표현이 된다.
주097)
일문홍속부 한대취화춘(日聞紅粟腐 寒待翠華春)
이 구는 이 시의 창작 시기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광덕 2년으로 보면 반란이 진압되어 수운이 회복되고 낙양이 이전처럼 넉넉해진 모습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此 言於京師애 日欲聞富實而民皆望天子之霈澤 주098)
패택(霈澤)
①빗물. 우수(雨水). ②은택(恩澤)을 비유하는 말. ③특별히 범죄에 대한 은사(恩赦)를 가리키는 말. 여기서는 ②의 뜻이다.
也ㅣ라】

날로 주099)
날로
나날이. 날+로.
블근 주100)
블근
붉은. 븕[紅]-+은.
조히 주101)
조히
곡식이. 조ㅎ[粟]+이. ‘율(栗)’은 잘 익은 곡식을 뜻한다.
서구믈 주102)
서구믈
썩음을. 석[腐]-+우+ㅁ+을.
든니 주103)
든니
듣나니. 들으니. 듣[聞]-++니. ‘듣’이 ‘든’이 된 것은 후행하는 ‘’의 영향을 받아 비음화(鼻音化)된 것을 표기한 것이다.
치워셔 주104)
치워셔
추워서. 칩[寒]-+어#시-+어.
翠華ㅅ 보 주105)
보
봄을. 봄[春]+을.
기들우니라 주106)
기들우니라
기다리니라. 기다린다. 기들우[待]-++니+라.

【한자음】 일문홍속부 한대취화춘【이것은 경사(京師)에 날마다 부유하고 풍성함을 듣고자 하고, 백성들이 모두 천자의 풍성한 혜택을 바라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날마다 붉은 곡식이 썩음을 듣나니, 추워서 취화(翠華)의 봄을 기다리니라.

莫取金湯 주107)
금탕(金湯)
금성탕지(金城湯池). 쇠로 쌓은 성과 끓는 물이 흐르는 호성하(護城河)로 견고한 성을 일컫는 말. 탕지(湯池)는 끓는 물이 고여 있어 사람이 가까이 갈 수 없는 성지(城池)다. 여기서는 낙하(洛河; 황하)를 가리킨다.
주108)
막취금탕고(莫取金湯固)
방어 진지가 잘 구축되었다고 방심하지 말고 경계에 더욱 힘을 쏟으라는 말이다.
長令宇宙新 주109)
장령우주구(長令宇宙新)
세상으로 하여금 길이 새롭게 되도록 하라는 말이다.
【無恃城池 如金湯之固ㅣ오 當務德化 주110)
덕화(德化)
덕행(德行)으로 감화(感化)시킴.
야 一新宇宙也ㅣ니라】

金湯티 구두믈 주111)
금탕(金湯)티 구두믈
금탕(金湯)같이 견고함을. 굳[固]-+우+ㅁ+을.
取디 말옥 주112)
말옥
말고. 말[止]-+고+ㄱ. ‘ㄱ’은 강세첨사이다. 〈중간본〉은 ‘말오’이다.
기리 주113)
기리
길이. 길[長]-+이.
宇宙로 여 주114)
우주(宇宙)로 여
우주로 하여금. 宇宙+로 -+이+어. 〈중간본〉은 ‘宇宙로 여지블’이다.
새롭게 홀디니라

【한자음】 막취금탕고 장령우주구【성벽과 저수지가 금성탕지(金城湯池)의 견고함과 같이 믿을 바 없고, 마땅히 덕화(德化)에 힘써 우주(宇宙)를 아주 새롭게 해야 한다.】
【언해역】 금탕(金湯)같이 굳음을 취하지 말고, 길이 우주로 하여금 새롭게 할 것이니라.

不過行儉德 주115)
검덕(儉德)
검약의 품덕.
盜賊 주116)
도적(盜賊)
신복하지 않는 번진의 장수. 토번 또는 그 당시 반란을 일으켰던 원조(袁晁)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本王臣
주117)
불과행검덕 도적본왕신(不過行儉德 盜賊本王臣)
토번의 침입을 피해 낙양으로 몽진을 한 후에 환관 정원진은 이 참에 아예 낙양으로 천도할 것을 건의한다. 여기에 대해 곽자의는 천자께서 검소함을 몸소 실천하여, 비용을 절약하여 만약 수조와 역아와 같은 권세가를 억제하고, 거원과 사추와 같은 강직한 사람을 임용한다면, 백성들은 절로 다르려지고 도적은 절로 멎게 될 것이라 건의하는데, 이 구절은 곽자의의 상소의 내용을 받은 것이다.
【言君能修德이면 叛逆이 必服이니라】

儉 德을 行호매 넘디 아니니 주118)
넘디 아니니
넘치지 않으니. 넘[濫]-+디 아니#-+니.
盜賊도 本來 주119)
본래(本來)
본디. 본래부터.
님 臣下ㅣ니라
주120)
도적(盜賊)도 본래(本來) 님 신하(臣下)ㅣ니라
도적도 본래 임금의 신하이니라. 예로부터 두보의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부분으로 지적되어 온 구절이다.

【한자음】 불과행검덕 도적본왕신【임금이 능히 덕을 닦으면 반역한 무리들도 반드시 항복함을 말한다.】
【언해역】 검소한 덕을 행함에 넘치지 아니하니, 도적도 본래 임금의 신하이니라.

〈넷째 수〉

丹桂 주121)
단계(丹桂)
계수나무의 한 종류로 껍질이 붉은 색이다. 붉은 색은 본래 한(漢) 왕실의 상징이지만, 여기서는 당 왕실에 대한 비유이다. 단(丹)은 장수하는 선약(仙藥)이 있는 곳으로 전해져, 그곳을 가리켜 신선과 같이 장수하기를 바라는 뜻을 나타낸다. 『한서(漢書)⋅오행지(五行志)』에 성제(成帝) 때의 동요에 “계수나무는 꽃이 피어도 열매가 없고, 노란 참새가 둥지를 틀었네.(桂樹華不實 黃雀巢其顚)”가 나오는데, 주석에 계수나무는 적색인데, 한나라 황실을 상징한다고 했다.
風霜急 靑梧 주122)
청오(靑梧)
오동(梧桐)나무의 한 종류. 나무껍질이 푸른색이라 이렇게 불린다. 상관의(上官儀)의 『책은왕문(冊殷王文)』에 “경사가 나면 오동을 심고, 덕이 이뤄지면 가래나무를 본다.(慶表栽梧 德成觀梓)”고 했는데, 오동나무는 종번(宗藩, 황제가 분봉한 종실의 제후)을 비유한다.
日夜彫 由來 주123)
유래(由來)
예로부터. 본래. 본디.
強幹 주124)
강간(強幹)
줄기를 강하게 하다. 왕실의 역량을 강하게 하다는 의미이다.
地 未有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15ㄱ

臣朝 주125)
신조(臣朝)
신하로서 천자를 조현(朝見)하다. 천자에게 신복함을 말한다.
주126)
유래강간지 미유불신조(由來強幹地 未有不臣朝)
만약 줄기가 강하면 가지는 줄기를 이겨낼 도리가 없으니, 이는 주군이 강하다면 신하가 절로 귀복하여, 조회하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丹桂ㅣ 耐風霜니 주127)
내풍상(耐風霜)니
비와 서리를 견디니.
喩強幹고 靑梧 易彫落이니 주128)
이조락(易彫落)이니
쉽게 말라 떨어지니.
喩弱枝니 言幹이 強壯則枝不能勝논디 주129)
언간(言幹)이 강장즉지불릉승(強壯則枝不能勝)논디
강하고 굳세면 가지도 능히 이길 수 없는 것이. ‘논디’는 ‘-++오+ㄴ#+이’로 분석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해석은 ‘~하는 것이’이다.
猶君強而臣自歸服也ㅣ라】

블근 桂樹엔 과 서리왜 고 프른 머귀 낫과 바 러디놋다 本來로 읏드미 구든 핸 臣服디 아니 朝ㅣ 잇디 아니니라

【한자음】 단계풍상급 청오일야조 유래강간지 미유불신조【단계(丹桂)는 비와 서리를 견디나니 굳센 가지를 비유하고, 청오(靑梧)는 쉽게 말라 덜어지니 약한 가지를 비유하니, 강하고 굳세면 가지도 능히 이길 수 없는데, 임금이 강하면 신하들이 절로 귀순해 복종하는 것과 같다.】
【언해역】 붉은 계수나무엔 바람과 서리가 빠르고, 푸른 오동은 낮과 밤에 떨어지는구나. 본래 본 가지가 굳은 땅엔 신복(臣服)하지 않을 조정이 있지 아니하니라.

受鉞 주130)
수월(授鉞)
철월(鐵鉞)을 맡기다. 부월(斧鉞)을 주다. 옛날에 대장군이 출정하면, 군주는 부월을 주어, 병권(兵權)을 주었다는 표시를 했다.
親賢 주131)
친현(親賢)
종실(宗室)의 어진 인재. 건원(乾元) 2년(759) 사사명(史思明)이 하북(河北)에서 참칭(僭稱)하자 이광필(李光弼)이 ‘친현’으로 군대를 통솔하게 하자면서, 조왕(趙王) 이계(李係)를 병마원수(兵馬元帥)로 삼자고 건의하였다. 다음해 4월 친왕(親王) 이요(李遙)로 병권을 통솔하게 했다. 대종이 즉위한 뒤 옹왕(雍王) 이혼(李辶+昏, 适)을 병마원수로 삼았다.
卑宮 주132)
비궁(卑宮)
궁전을 낮게 한다는 뜻. 현종이 촉(蜀) 땅에 들어간 뒤 성도(成都)에 건설한 행궁(行宮). 대종 즉위 후 당시 여러 장수들이 사는 집을 사치스럽게 꾸미자, 사는 집을 검소하게 하라는 조서를 내린 것을 가리킨다는 견해와 우임금의 고사에 착안하여, 아들에게 권한을 물려준 것을 뜻한다고 하는 견해와 단순히 궁전의 대칭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는데 『두시언해』에서는 두 번째 견해를 따르고 있다.
制詔 주133)
제조(制詔)
황제의 명령. 현종이 성도에 있을 때 방관(房琯)이 조서(詔書)를 지어, 태자 이형(李亨)이 북쪽으로 삭방(朔方)을 공략하게 하고, 나머지 제왕(諸王)들은 나누어 중요한 진(鎭)을 수비하게 했다. 안녹산이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놀랐다.
주134)
수월친현왕 비궁제조요(受鉞親賢往 卑宮制詔遙)
이 구를 현종 때의 일, 숙종 때의 일, 대종 때의 일 등으로 보고 있다. 『두시언해』에서는 대종이 즉위한 해에 장자 이괄(李适; 덕종)을 천하병마원수로 임명했던 일로 보았다. 뒤 구는 당시 여러 장수들이 사는 집을 사치스럽게 꾸미자 금지하는 조서를 내린 것으로 보았다.
【時예 雍王适이 爲元帥也ㅣ라 當時諸將이 侈其居第어 嘗下詔禁止之다】

鐵鉞 주135)
철월(鐵鉞)
쇠로 만든 도끼의 일종. 부월(斧銊).
맛뎌 주136)
맛뎌
맡겨. 맛디[任]-+어.
親賢이 가고 지블 주137)
지블
집을. 집+을. 〈중간본〉은 ‘집을’이다.
갑게 라 시논 주138)
갑게 라 시논
낮게 하라 하시는. [低]-+갑+게 -+라 -+시++오+ㄴ. ¶갑다 : 上聲은 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라〈훈언 13ㄴ〉 / 막대 디퍼 가매 門闌이 깁고 술위 메유매 개 갑도다(支策門闌邃 肩輿羽翮低)〈두시 3:21ㄴ〉.
詔書 머리 주139)
머리
멀리. 멀[遠]-+이. ¶머리 : 舍利弗이 금강力士 지 내야 금강杵로 머리셔 견지니(即便化作금강力士 以금강杵遙用指之)〈석상 6:31ㄴ〉 / 머리 가면 매 곧 迷失리언마(遠去終轉迷)〈두시 4:12ㄱ〉.
시놋다 주140)
시놋다
하시는구나. -+시++오+ㅅ+다.

【한자음】 수월친현왕 비궁제조요【그때 옹왕(雍王) 이괄(李适) 주141)
이괄(李适)
742-805. 당나라의 황제(재위, 780-805). 대종(代宗)의 맏아들이다. 대종 때 천하병마원수(天下兵馬元帥)가 되어 사조의(史朝義)를 토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해 이 공으로 상서령(尙書令)에 올랐다. 얼마 뒤 태자가 되었다. 제위를 이은 뒤 처음에는 정치가 청명(淸明)했고 양염(楊炎)을 등용해 재상으로 삼고 조용조(租庸調) 제도를 폐지하고, 양세법(兩稅法)을 실시했다. 즉위한 뒤 중앙재정의 재건을 도모했으며, 번진(藩鎭)을 억압하려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에 위박(魏博, 지금의 河北)과 성덕(成德, 지금의 河北) 두 지방에서 명령을 거부했고, 이에 대한 토벌로 인해 재정난에 빠졌다. 나중에 노기(盧杞) 등을 기용하여 위계를 어지럽혔다. 건중(建中) 4년(783) 경원(涇原)에서 병변이 일어나, 경사(京師)를 침범하자 봉천(奉天)으로 달아났다. 다음 해 〈자신을 죄 주는 칙서〉를 내려 잡세(雜稅)를 폐하고 여러 번(藩)의 독립을 승인함으로써 이후 군벌 시대의 단초를 열게 되었다. 흥원(興元) 원년(785) 이성(李晟)이 병사를 이끌고, 장안(長安)을 수복하자 돌아왔다. 이때부터 정치에 소홀하여 번진(藩鎭)이 나날이 강해져갔다. 말기에는 국가의 재정난과 지방 세력의 성장, 그리고 환관의 횡포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문벌에 관계없는 인재를 등용하거나, 조용조를 폐지하는 등 일부 개혁을 이룬 업적이 있다.
이 원수(元帥)가 되었다. 당시 여러 장수들이 그들이 사는 집이 사치로웠는데 일찍이 조서(詔書)를 내려 이를 금지했다.】
【언해역】 철월(鐵鉞)을 맡겨 친현(親賢)이 가고, 집을 낮게 하라 하시는 조서(詔書)를 멀리 하시는구나.

終依古封建 주142)
봉건(封建)
봉건제도. 천자가 토지를 나누어서, 제후(諸侯)를 세우던 제도.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 때, 도읍을 중심으로 1천 리 사방을 왕기(王畿)라 하여, 천자가 직접 관할하고, 나머지 땅에는 제후가 다스리게 한 데서 나왔다. 진(秦)나라가 통일한 뒤에는 군현제(郡縣制)를 시행했다.
豈獨聽<용어 realname="">簫韶 주143)
소소(簫韶)
순(舜)임금 때의 음악 이름. 『상서(尙書)·우서(虞書)·익직(益稷)』에 “소소를 아홉 번 연주하니, 봉황이 와서 춤추네.(簫韶九成 鳳凰來儀)”란 말이 나온다. 전설에 따르면, 순(舜) 임금이 악곡 〈소소〉를 지었는데, 교화를 시행하는 정치의 완성을 체현하였다. 보통 아름답고 오묘(奧妙)한 선악(仙樂)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
주144)
종의고봉건 기독청소소(終依古封建 豈獨聽簫韶)
천자가 단지 원수와 부원수를 임명하는 데 그치지 말고, 최종적으로 봉건을 통하여 친현을 대우하도록 권하는 것이며, 지금 이때 문치를 앞세우는 순임금의 고고한 음악을 듣고 있지 말고, 무를 겸용하는 봉건을 따르라는 말이다. 뒤 구에 대해 봉건제를 따르면, 순임금의 음악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보는 견해도 있다. 두시언해는 전자의 해석을 따른다.
【言當依古制 주145)
고제(古制)
옛날에 갖춰져서 지금까지 시행되거나, 이미 중지되었어도 그 의미는 되새겨야 할 제도(制度)를 가리키는 말.
야 封建同姓 주146)
봉건동성(封建同姓)
‘봉건’이란 천자가 토지를 나누어서 제후(諸侯)를 세우던 제도.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 때, 도읍을 중심으로 1천 리 사방을 왕기(王畿)라 하여 천자가 직접 관할하고, 나머지 땅에는 제후가 다스리게 한 데서 나왔다. 진(秦)나라가 통일한 뒤에는 군현제(郡縣制)를 시행했다. 보통 황제와 같은 집안 친족들에게 시행했기 때문에 동성(同姓)이라 한 것이다.
야 以安國家홀 디니 豈獨聽簫韶之樂야 宴遊而已리오】

매 주147)
매
마침내. [終]-+ㅁ+애.
주148)
옛. ¶녯 : 둘재 션 일 아디 몯며 녯 도리 깃거 아니야 녯 經을 아호 붓그리디 아니고(其二 不知儒術며 不悅古道야 懵前經而不恥고)〈소학 5:17ㄱ〉 / 그 젯 이리 녯 님그믜 敗亂과 다니라(事與古先別)〈두시 1:8ㄴ〉.
封建을 브터 주149)
봉건(封建)을 브터
봉건제도에 의지해서. 『두시언해』에서 ‘븓다’ 동사는 아래의 예문과 같이 쓰였다. ¶仗 : 혜아료미 踈拙야 옷바비 업고 길히 窮迫야 버들 븓노라(計拙無衣食 途窮仗友生)〈두시 2:28ㄱ〉 / 著 : 늘근 리 바 길흘 알오 프른 매 주으려 사게 븓니라(老馬夜知道 蒼鷹飢著人)〈두시 5:53ㄱ〉 / 憑 :  달홀 사미 利히 건내욜 이 기들워셔  節制使ㅅ 尊嚴을 븓고져 놋다(舟子候利涉 亦憑節制尊)〈두시 6:49ㄴ〉 / 依 : 本來 스싀로 迦葉을 븓노니 어느 일즉 偓佺을 藉賴리오(本自依迦葉 何曾藉偓佺)〈두시 20:13ㄱ〉 / 傍 : 名利 진실로 可히 어들 거시면 모미 주글 니언 權要 븓니라(名利苟可取 殺身傍權要)〈두시 25:15ㄴ〉 / 置 : 기르믈 븓 블 우희 노니 슬피 제 글탈 도다(置膏烈火上 哀哀自煎熬)〈두시 3:56ㄱ〉 / 火 : 셔울히 다시 블 븓디 아니야 涇渭옛 사미 시름왼 양 훤야(京都不再火 涇渭開愁容)〈두시 4:24ㄱ〉 / 燃 : 미 니 새 더욱 오 뫼히 퍼러니 곳비치 블 븓 도다(江碧鳥逾白 山靑花欲燃)〈두시 10:17ㄱ〉 / 附 : 엇졔 시러곰 글월 브텨 우리 軍을 주어 마 來年을 기들워 리 말라 려뇨(焉得附書與我軍 忍待明年莫倉卒)〈두시 4:4ㄴ〉.
홀디니 주150)
홀디니
할 것이니. 해야 하니. ‘-ㄹ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 주로 ‘宜, 應’ 등의 번역에 쓰이지만, 『두시언해』에서는 그런 경우가 없지 않으나 『두시언해』에서는 ‘宜, 應’은 ‘맛다, 다이’ 등으로 언해되는 경우가 많다. ¶-ㄹ 디다 : 慈母ㅣ 나 려 耆婆天을 뵈 제 이 므를 디나니(慈母ㅣ 携我야 謁耆婆天제 ~)〈능엄 2:8ㄴ〉 / 兩校尉 큰 病이 잇니 다가 주그면 날로 예 刻혼 애와툐 기리 머거시리니 吉時 미처 홀디라 더듸 머므로미 몯리다(兩校尉 有大病니 如今不諱면 使臣으로 長抱刻骨之恨이니 宜及吉時라 不可稽留ㅣ니다)〈내훈2:52ㄴ〉 / 飄泊야 니 南庭엣 나 오직 水仙 이 홀 디로다(飄泊南庭老 秪應學水仙)〈두시 2:26ㄱ〉.
엇뎨 주151)
엇뎨
어찌. 어찌하여. 어째서. ¶엇뎨 : 엇뎨 우리그 와 절호려 커시뇨(如何今欲禮於我耶)〈석상 3:4ㄱ〉 / 後에 오  니 엇뎨 머믈리오(後來鞍馬何逡巡)〈두시 11:18ㄴ〉.
갓 주152)
갓
한갓. ‘한갓’은 국어사전에 ‘다른 것 없이 겨우’로 풀이되어 있다. ¶갓 : 香 갓 옷곳 것 분 아니라 고로 맏 거슬 다 니르니라〈석상 13:39ㄱ〉 / 그  블근 殿에 오리 갓 卿相이 尊니 아니러니라(當時上紫殿 不獨卿相尊)〈두시 16:3ㄱ〉.
簫韶를 드를 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15ㄴ

미리오
주153)
드를 미리오
들을 따름이겠는가? 듣[聞]-+을. +이+리+오. ‘-이리오’는 『두시언해』에서는 주로 반어적인 의문문에 쓰인다. ¶-ㄹ 미라 : 法이 심기샨  이쇼 證 미라(證法이 有所授而已라)〈능엄 1:23ㄱ〉 / 아야 디 몯리니 外道ㅣ 아야 冥諦 사 미 아니라 末學이 예 니르러 다 아아니라(冥然莫辯이니 匪唯外道ㅣ 昧爲冥諦라)〈능엄 2:26ㄱ〉 / 굴에 몃귀여 주구리라 호매 오직 踈放 미로소니 미친 노미 늘거도  미츄믈 내 웃노라(欲填溝壑唯踈放 自笑狂夫老更狂)〈두시 7:3ㄱ〉 / 어즈러이 이베 맛디 몯니 엇뎨 그 거프리 이실 미리오(紛然不適口 豈止存其皮)〈두시 18:16ㄴ〉 / -이리오 : 엇뎨 모로매  사 려 다시 무르리오(何須更問渡頭人이리오)〈남명 상16ㄱ〉 / 若非匠手ㅣ면 孰能抽毫야 稱實發揚이리오(다가 바지왼 소니 아니면 뉘 能히 부들 혀 實에 맛게 베퍼 펴리오)〈금삼 서:13ㄱ〉 / 엇디 갓 歲月ㅣ 졈을 이리오 다시 올 期約ㅣ 업도다(豈但歲月暮 重來未有期)〈두시 1:16ㄱ〉 / 此二句 言崔瓘이 善而被殺니 福善之理豈不顚倒ㅣ리오 明徵컨댄 豈不莽茫이리오〈두시 1:53ㄴ〉.

【한자음】 종의고봉건 기독청소소【마땅히 옛 제도에 의거하여 같은 성씨를 봉건(封建)하여 국가를 편안하게 해야 할지니, 어찌 홀로 음악의 즐거움을 들어 놀며 노닐 뿐인가라는 말이다.】
【언해역】 마침내 옛 봉건(封建)에 의지해야 할 것이니, 어찌 한갓 음악[簫韶]만을 들을 따름이리오?

〈다섯째 수〉

胡滅 주154)
호멸(胡滅)
오랑캐가 섬멸되다. ‘호(胡)’가 ‘도(盜)’로 된 판본도 있다. 안녹산은 영주 유성의 오랑캐이고, 사사명도 영이주 돌궐인이니 둘 다 오랑캐로 본 것이다. 이때 이르러 9년만에 안사의 난이 평정되었다.
人還亂 주155)
인환란(人還亂)
사람들이 여전히 어지럽다.
兵殘 주156)
병잔(兵殘)
병졸이 쇠잔하여 소수만 남아 있다.
將自疑 주157)
장자의(將自疑)
장수들이 스스로 의심하다. 휘하의 병사가 적어지니 장수들이 조정에 대하여 의심을 하기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주158)
호멸인환란 병잔장자의(胡滅人還亂 兵殘將自疑)
반란이 평정되었어도 장수 중에는 관할 지역 호구에 속한 장정을 모두 군적에 올려 백성들이 혼란해 하였고, 복고회은이 반란군이 평정되면 총애가 쇠해질까봐, 반란군의 장수로 하여금 반란 지역을 나누어 통솔케 하자는 상주를 한 것을 두고 한 말이다.
【此 言安史 주159)
안사(安史)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두 사람은 각각 절도사와 병마사(兵馬使)로 있다가 반란을 일으켰다.
ㅣ 旣平커 僕固懷恩 주160)
복고회은(僕固懷恩)
?-765. 당나라를 섬긴 터키계(系)의 무장(武將). 영식(寧式)의 복골(僕骨) 부족의 수령으로, 천보(天寶) 14년(755) 안사(安史)의 난이 일어나자 부족을 이끌고, 곽자의(郭子儀)를 도와 당나라를 위해 싸웠다. 위구르의 원군을 청하는 사자(使者)가 되기도 했고, 부족 중에 당나라를 위해 싸우다 죽은 자가 46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대종(代宗)의 신임을 얻어, 중서령(中書令)과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 등을 역임했는데, 뒤에는 모반 혐의를 받기에 이르렀다. 광덕(廣德) 원년(763) 반기를 들어 티베트와 토곡혼(吐谷渾), 회흘(回紇) 등 수십만 명의 부족을 거느리고 싸웠지만, 얼마 후 병으로 죽었다. 풍국공(豊國公)과 대녕군왕(大寧郡王)에 봉해졌다.
李光弼 주161)
이광필(李光弼)
708-764. 당나라 영주(榮州) 유성(柳城) 사람. 아버지는 거란(契丹)의 추장이었다. 어려서부터 절행(節行)이 있었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했으며, 엄격하고 의연하며 지략이 있었다. 좌위친부좌랑장(左衛親府左郞將)으로 벼슬을 시작했다. 숙종(肅宗)이 즉위하자 호부상서에 올랐고, 동중서문하평장사 겸 절도사를 지냈다.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했고,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이곽(李郭)’으로 불렸다. 전쟁을 할 때 전략을 정한 뒤 싸웠으며, 이 때문에 적은 병력으로 대부대를 상대할 수 있었다. 병사를 잘 다스리고 훈련을 절도 있게 해 사람들이 모두 위명(威名)에 감복했다. 대종(代宗) 때 임회군왕(臨淮郡王)에 봉해졌다. 태보(太保)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무목(武穆)이다.
이 以疑而叛沮니라】

주162)
오랑캐. ¶衆仙百靈 엳노니 이제 되 中國 어즈리거늘 天子ㅣ 邪曲 마 올히 드르시니〈월석 2:74ㄱ〉 / 爪牙ㅣ  번 맛디 몯대 되 兵馬ㅣ 다시 외니라(爪牙一不中 胡兵更陸梁)〈두시 2:43ㄴ〉.
滅니 주163)
멸(滅)니
없어지니. 평정되니.
사미 도혀 주164)
도혀
도로. 도리어. ¶도혀 : 오직 모며 갓로로 거츠리 我人 혜여 業 구데 디여 도혀 표 아디 몯(但以迷倒로 妄計我人야 淪沒業坑야)〈금삼 1:1ㄱ〉 / 이 가매 靑州 徐州 훤히 열리로소니 도혀 恒山 碣石녀클 아오 보리로다(此舉開靑徐 旋瞻略恒碣)〈두시 1:8ㄴ〉.
亂니 兵事ㅣ 衰殘니 주165)
쇠잔(衰殘)니
쇠잔하니. ‘쇠잔하다’는 ‘쇠하여 힘이나 세력이 점점 약해지다.’라는 뜻이다.
將軍이 주166)
스스로. 제가. ‘제’는 재귀대명사로 주격일 경우에는 ‘:제(상성)’, 관형격일 경우에는 ‘제(평성)’으로 쓰였다. 평성의 ‘제’는 ‘저+관형격’ 구성이고, 상성의 ‘제’는 ‘저+주격’ 구성이다.
疑畏놋다 주167)
의외(疑畏)놋다
의심하는구나. 『두시언해』에 오직 이 한 예가 쓰였다.

【한자음】 호멸인환란 병잔장자의【이것은 <용어 realname="" type="">안사(安史)의 난이 이미 평정되었는데, 복고회은(僕固懷恩)이광필(李光弼)이 의심을 받자, 반란을 일으켜 막으려 한 것을 말한다.】
【언해역】 오랑캐가 섬멸되었으나 사람이 도로 어지러우니, 병사(兵事)가 쇠잔하니, 장군이 스스로 의심해 두려워하는구나.

登壇 주168)
등단(登壇)
단(壇)에 오르다. 한 고조가 한신을 대장에 임명할 때에 단을 쌓고서, 한신을 오르게 하였다. 여기서는 광덕(廣德) 원년(763) 제도(諸道)의 절도사들이 모두 실제로 봉(封)해졌다.
名絕假 주169)
명절가(名絕假)
이름이 전혀 거짓이 아니다. 직함을 실제의 권한과 함께 주었다는 말이다.
報主 주170)
보주(報主)
주군께 보답하다. ‘집옥(執玉)’으로 된 판본도 있다.
爾何遲 주171)
이하지(爾何遲)
그대들은 어찌하여 늦어지는가?
주172)
등단명절가 보주이하지(登壇名絕假 報主爾何遲)
“단(壇)에 오르는 이는 이름과 권한에 어긋남이 없으니, 임금의 은혜 갚는 일을 네가 어찌 뒤로 미루겠는가?”란 말이다.
【此 言登壇拜將者ㅣ 皆眞授而非假節니 受君恩寵이 極矣니 報主之効 爾何以遲오 盖責之也ㅣ라】

壇애 오닌 주173)
오닌
오른 이는. 오[登]-+ㄴ#이+ㄴ. ¶오다 : 五百 釋童이 앏뒤헤 圍遶 學堂애 오 저긔〈석상 3:7ㄴ〉 / 南 녀그로 木皮嶺의 오니 어려우믈 수이 議論티 몯리로다(南登木皮嶺 艱險不易論)〈두시 1:27ㄱ〉.
일후미 假借ㅣ 업스니 주174)
가차(假借)ㅣ 업스니
빌린 것이 없으니. 거짓이 없으니.
님금 갑오 주175)
갑오
갚음을. 갑[報]-++오+ㅁ+. ¶갚다 : 됴타 됴타 너희히 藥師瑠璃光如來ㅅ 恩德 갑 이 念거든〈석상 9:41ㄱ〉 / 님금 恩惠 갑고져 나 모미 마 늙고 드러가 朝謁코져 나 病이 妨害호 뵈다(報主身已老 入朝病見妨)〈두시 1:54ㄴ〉.
주176)
네가. ¶네 : 王이 니샤 네 다 轉輪聖王이 외야 七寶千子 가져 四天下 다리리어늘 엇뎨 마리 갓고 즐기다〈석상 3:23ㄱ〉 / 네 가아 王 라 正覺 일우면 도라가리라〈석상 3:31ㄱ〉 / 어느 제 내 몸이 개 이셔 라가 네 알 디려뇨(何當有翅翎 飛去墮爾前)〈두시 1:14ㄱ〉 / 歎息야 妻子려 니노니 내 므스그라 네 구를 조차셔 니뇨(歎息謂妻子 我何隨汝曹)〈두시 1:30ㄴ〉.
엇뎨 주177)
엇뎨
어찌.
더듸니오 주178)
더듸니오
더딘가? 더디 하리오? 더디[遲]-+니+고. 〈중간본〉은 ‘더듸리오’이다.

【한자음】 등단명절가 보주이하지【이것은 단(壇)에 올라 장수에 임명된 사람이 모두 진짜 받은 것이고, 거짓 부절(符節)이 아니니, 임금의 은총을 받음이 극에 올랐으니, 군주에게 보답하는 효과가 너는 어찌 늦는가라고 말하는 것이니, 대개 꾸짖은 것이다.】
【언해역】 단(壇)에 오르는 이는 이름이 거짓이 없으니, 임금 은혜 갚는 것을 네가 어찌 더디 하리오?

領郡 주179)
영군(領郡)
군을 거느리다. 즉 군수(郡守)를 가리키는 말. 절도사의 권한이 커져 징세가 날로 번잡해지자 군수들이 자주(自主)할 수 없어 항상 의욕이 없어졌다.
輒無色 주180)
첩무색(輒無色)
자주 낯빛이 없다. 절도사의 권한이 지나치게 강하고, 징세의 부담이 날로 더해져 자주적인 행정이 불가능한 까닭에 자사가 되어도 얼굴빛에 기쁜 기색이 없다는 말이다.
之官 주181)
지관(之官)
관직에 나아가다. 황명을 받아 군수가 된 이를 말한다.
皆有詞 주182)
개유사(皆有詞)
모두 말이 있다. 황명을 받들어 지방관으로 나아갈 때 명을 받은 사람들은 모두 하나같이 말이 있다는 뜻이다.
주183)
영군첩무색 지관개유사(領郡輒無色 之官皆有詞)
당시 관리들이 내직을 좋아하고, 외직을 달가와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직을 받으면, 좋은 낯빛이 없고, 관직을 받는 순간 모두 말들이 있다는 뜻이다.
【時예 搢紳 주184)
진신(搢紳)
벼슬아치의 총칭. 진(縉, 搢)은 백관(百官)들의 관복(官服)과 제복(祭服)에 갖추는 홀(笏)을 허리띠에 꽂는다는 뜻이고, 신(紳)은 관복을 입을 때 매는 큰 띠를 말하는데, 곧 허리띠를 매면서 홀을 끼운다는 의미에서 모든 벼슬아치들을 아우르는 말로 쓰인다.
이 皆重內任 주185)
내임(內任)
조정(朝廷) 안에서 받는 중임(重任)과 요직(要職).
故로 領郡則無喜色而有推托 주186)
추탁(推托)
자신을 추천하여 부탁함.
之詞니 盖譏之也ㅣ라】

올흘 주187)
올흘
고을을. 올ㅎ[鄕]+을. ¶올ㅎ : 巷 올  길히오〈석상 19:1ㄴ〉 / 내  片帆이 郴州ㅅ 믌애 잇니 通히 뵈 城郭 알피 衡陽ㅅ 올히로다(華表雲鳥埤 名園花草香)〈두시 1:55ㄱ〉.
거느려든 주188)
거느려든
거느리면. 거느리[領]-+거+든.
비치 업고 주189)
비치 업고
얼굴빛이 없고. 빛[色]+이 없-[無]+고.
올 주190)
올
고을에. 올ㅎ[鄕]+.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16ㄱ

기어든
주191)
저기어든
적이거든. 때이거든. 적+이+거+든.
다 말미 잇도다 주192)
다 말미 잇도다
다 말씀이 있도다. 지방관으로 나가는 사람들은 모두 하나같이 말이 있다(불만스런 말을 한다)는 말이다.

【한자음】 영군첩무색 지관개유사【그때 진신(搢紳)이 모두 내임(內任)의 중임을 맡았기 때문에 군을 맡은 이들이라면, 기쁜 기색이 없이, 추탁(推托)하는 말만 있었으니, 대개 비방하는 것이다.】
【언해역】 고을을 거느리면 곧 얼굴빛이 없고, 갈 때마다 다 말씀이 있도다.

願聞哀痛詔 주193)
애통조(哀痛詔)
봉건 제왕 아래 나오는, 스스로를 자책하는 조서(詔書). 11월 태상박사(太常博士) 유항(柳伉)이 상소하여 토번이 공격해 경도(京都)가 함락된 원인은 모두 대종이 공신(功臣)을 멀리하고, 소인배들을 총애한 데서 왔음을 지적하면서, 대종이 조서를 내려, 허물을 인정할 것을 요구하였다.
端拱 주194)
단공(端拱)
①몸가짐을 단정히 하고 공수함. ②제왕이 장중한 몸가짐으로 조정에 나아가 깨끗한 정사를 폄. ③한가롭고 마음 편하게 지냄.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瘡痍 주195)
창이(瘡痍)
상처나 손상(損傷). 주로 백성의 질고(疾苦)를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주196)
원문애통조 단공문창이(願聞哀痛詔 端拱問瘡痍)
대종이 엄숙이 조정에 임하여 애통의 조서를 내려, 곤궁한 백성들을 근심하는 것이 지방관들이 목민관으로서의 임무를 중시하게 되는 길이라는 말이다.
【此 祈望君王之恤民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슬허 주197)
슬허
슬퍼하여. 슳[悲]-+어. ¶다 : 王과 大愛道와도 슬허 우르시며 나랏 사미 다 슬허 두루 얻니더라〈석상 3:30ㄴ〉 / 나라 리고 王粲ㅣ 슬허코 時節 슬허 賈生ㅣ 우니라(去國哀王粲 傷時哭賈生)〈두시 2:27ㄱ〉.
셜워시논 주198)
셜워시논
괴로워하시는. 셜워[痛]-+시++오+ㄴ. ¶셜워다 : 諸子ㅣ 슬허 셜워샤 生滅을 爲야 愛見엣 슬푸 니와샨 디 아니라 衆生 爲야 슬흐시니라〈법화 1:122ㄴ〉 / 忽然히 드로니 슬허 셜워시 詔書ㅣ 聖明朝애  리도다(忽聞哀痛詔 又下聖明朝)〈두시 5:7ㄴ〉.
詔書ㅣ 端拱야 겨샤 주199)
겨샤
계시어. 겨시[在]-+어. ¶겨시다 : 太子ㅣ 아 더브러 겨샤 글왌 根源을 子細히 니시고 無上正眞道理 勸시더라〈석상 3:10ㄱ〉 / 園陵에 진실로 神靈ㅣ 겨샤 子孫 도실 비록 危亂ㅣ 이셔도 祭祀샤 조 闕티 아니시놋다(園陵固有神 掃洒數不缺)〈두시 1:10ㄱ〉.
헐므닐 주200)
헐므닐
허물어진 것을. 여기서는 ‘헐벗은 사람을. 곤궁한 백성을’의 말이다. ‘헐믓다’는 『두시언해』에서는 번역으로 더러 쓰였으나 15세기의 다른 문헌에는 쓰이는 경우가 드물며 『두시언해』 이후 문헌에서 쓰인다. 〈중간본〉은 ‘헐므으닐묻노라’이다. ¶헐믓다 :  헐므 〈구간 목록:3ㄱ〉 /  헐므  버듨 니피어나 거프리어나 달혀 시스라〈구간 3:6ㄴ〉 / 어긔르츤가 전노니 人民의 헐므믈 문 디 아니도다(恐乖均賦斂 不似問瘡痍)〈두시 3:4ㄴ〉 / 請 헐므 기푸믈 어엿비 너겨 皇華使게 告訴홀 디니라(請哀瘡痍深 告訴皇華使)〈두시 16:19ㄴ〉.
무르샤 주201)
무르샤
물으심을. 묻[問]-+시+오+ㅁ+.
듣고져 願노라 주202)
듣고져 원(願)노라
듣고자 원하노라. 듣[聞]-+고#지-+어 원#-++오+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원문애통조 단공문창이【이것은 군왕이 백성을 돌보기를 기원해 바라는 것이다.】
【언해역】 슬퍼하여 괴로워하시는 조서(詔書)가 깨끗한 정사를 펴시고 계셔서, 헐벗은 이를 물으심을 듣고자 원하노라.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유감오수(有感五首) : 유감스러워, 다섯 수. 이 시의 저작 시기에 대해서는 광덕 원년 봄, 광덕 원년 가을, 광덕 원년 겨울, 광덕 원년 이후 감회가 있을 때마다, 광덕 2년 봄 경사를 수복한 이후 등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여기서는 광덕(廣德) 2년(764) 봄 두보 53세 때에 낭주(閬州)에서 지어진 것으로 본다. 당시 토번(吐蕃)은 물러갔지만, 여러 번진(藩鎭)이 발호해서 조정의 명을 따르지 않았다. 두보는 이에 따른 소요를 염려하여, 시를 써서 뜻을 표하였는데, 모두 정론(政論)이었다. 제1수는 번진이 외적의 침략을 제어하지 못한 것을 탄식했다. 제2수는 진장(鎭將)이 용병을 자중하고 조정도 자강(自强)하지 못한 것을 탄식했다. 제3수는 낙양으로 천도하는 것은 흥국의 계책이 아님을 말했다. 제4수는 조정이 종번(宗藩)들을 분봉해서 불복하는 번진을 억제할 것을 건의했다. 제5수는 당시 조정이 진장(鎭將)을 중시하고, 지방관은 경시한 것을 개탄하였다.
주002)
장수(將帥) : 변경의 장수나 절도사를 가리킨다.
주003)
몽은택(蒙恩澤) : 은택을 입다. 즉 이들은 모두 천자의 은택을 입고 있다는 말이다.
주004)
병과(兵戈) : 병사들과 창. 여기서는 전쟁을 뜻한다.
주005)
유세년(有歲年) : 오랜 세월 지속되고 있다는 뜻이다.
주006)
노성주(勞聖主) : 성명한 군주를 괴롭게 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종(代宗)이 섬주(陝州)로 피난 간 일을 말한다.
주007)
황천(皇天) : 하늘의 경칭(敬稱). 하느님. 상제(上帝). 황천후토(皇天后土)는 천신(天神)과 지신(地神)을 아울러 말한 것. 여기서는 임금을 가리킨다.
주008)
장수몽은택 병과유세년 지금로성주 가이보황천(將帥蒙恩澤 兵戈有歲年 至今勞聖主 何以報皇天) : “장수가 임금의 은택을 입었어도, 벌어진 전쟁은 여러 해 동안 이어지도다! 지금까지도 성스런 군주를 수고롭게 하니, 어떻게 황천(皇天)의 은혜에 보답할 것인가?”란 말이다.
주009)
지존(至尊) : 더할 나위 없이 존귀하다는 뜻으로 임금을 공경하여 일컫는 말.
주010)
님금 : 임금. 『두시언해』에서 ‘님금’은 주로 ‘君, 聖, 御, 睿, 王, 帝, 主, 至尊’의 번역어로 쓰였다. ¶君 : 님금과 臣下왜 허믈와  이쇼 시니 河獄 히 다 陷沒야 쇽졀업시 金城과 湯沚 니로다(君臣忍瑕垢 河嶽空金湯)〈두시 1:52ㄱ〉 / 聖 : 녜 崆峒애 님금믈 뫼와 니던 나리여 灩澦예 正히 사 로다(扈聖崆峒日 端居灩澦時)〈두시 3:1ㄱ〉 / 御 : 새배 凌犯야 驪山 디나가니 님금 안시 榻ㅣ 뫼해 노하 잇도다(凌晨過驪山 御榻在嵽嵲)〈두시 2:34ㄴ〉 / 睿 : 님금 스치샤미 丹墀예 갓가오시니 神行앳 羽葆ㅅ 侍衛호미 굳도다(睿想丹墀近 神行羽衛牢)〈두시 5:4ㄱ〉 / 王 : 山東애 逆氣衰殘얏고 吳楚도 님금 法度 中얏니(山東殘逆氣 吳楚守王度)〈두시 1:49ㄱ〉 / 帝 : 蒼梧앳 님금 묻왯 히 아라 니 孟母의 이우지 올마 가놋다(縹緲蒼梧帝 推遷孟母鄰)〈두시 8:62ㄱ〉 / 主 :  타 님금 受辱샤 놀라고 갈 혀 나 늘구믈 러 리노라(揚鑣驚主辱 拔劒撥年衰)〈두시 3:2ㄴ〉 / 至尊 : 近侍로 京邑에 오니 마 올모 엇뎨 님금 디시리오(近侍歸京邑 移官豈至尊)〈두시 3:23ㄱ〉.
주011)
니브나 : 입으나. 닙[蒙]-+으나. ¶닙다 : 모매 됴 옷 닙고져  씨라〈석상 3:22ㄴ〉 /  서리예 누비옷 닙고 니노니(江湖漂短褐)〈두시 21:1ㄴ〉.
주012)
여러  : 여러 해.
주013)
잇도다 : 있도다. 지났도다. 잇[有]-+도+다.
주014)
이제 : 지금. 현재.
주015)
니르리 : 이르기까지. 현대국어로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말할 때 ‘-까지’에 대응되는 말로, 고려시대의 석독구결에도 ‘至’로 표기되었다. ¶니르리 : 사 몯 보게 放光샤 四天王과 淨居天에 니르리 비취시니〈석상 3:25ㄱ〉 / 元日로 人日에 니르리 어듭디 아니  잇디 아니토다(元日到人日 未有不陰時)〈두시 11:8ㄱ〉. 諸天의 히로 사히 다 올의 니 변조리던 각시히 다리 드러 내오 손 발 펴리고 주근 것티 그우드러 이셔 곳구무 데군케 드위고 믿 니르리 몯 초아셔 자며 고 춤 흘리고 오좀 니 니르리 며 고 고고 니 오 뷘 입 십고 긔 니르리 며 륫 갓 븓안고 라디엣거늘 그제 춋브리  가 잇더니 太子ㅣ 보시고 너기샤 겨지븨  이러 거시로다〈석상 3:25ㄴ-26ㄴ〉 / 이제 니르리 府庫앳 粟帛 모다 호니 殺伐ㅅ 氣運이 沅湘 므레 불옛도다(至今分粟帛 殺氣吹沅湘)〈두시 1:53ㄴ〉 / 곧마다 글월 요미 숫두워리고 집마다 솔옷 귿 니르리 토미 도다(處處喧飛檄 家家急競錐)〈두시 3:5ㄴ〉 / 成都애 勇猛 將軍이 花卿이 잇니 말 호 효 아 니르리 姓과 일후믈 아다(成都猛將有花卿 學語小兒知姓名)〈두시 5:40ㄱ〉.
주016)
시게 니 : 피곤하시게 하니. [疲]-++시+게 -++니. ‘다’의 사동사는 ‘다’이며, ‘가다’의 파생동사도 쓰였는데 후자는 특히 『두시언해』에만 쓰였다. ¶다 : 城 안햇 사미며 孔雀이며 새 니르리  가 자더라(適來宮圍內人𥜒寐)〈석상 3:29ㄴ〉 / 渭水와 秦山 시러곰 볼가 몯가 사미 이제 가 病고 버미 하도다(渭水秦山得見否 人今罷病虎縱橫)〈두시 3:34ㄱ〉 / 다 : 티 아니호미 至極 甚커늘 엇뎨 브즈러니 며 分別야 두려호미 이러뇨〈내훈3:22ㄱ〉 / 이젯 님그미 오히려 亂 혀 려  며 호 글탈하 四方 기우시니라(至今今上猶撥亂 勞心焦思補四方)〈杜詩3:60ㄴ〉 / 가다 : 詩 采取리 跋涉호 가니 붇 가지니 오히려 可히 記錄홀 디니라(采詩倦跋涉 載筆尙可記)〈두시 6:23ㄱ〉 / 더위자바 올오 뎌 나래 가다니 즐거운 일 닐우믈 긴 바 브티노라(躋攀倦日短 語樂寄夜永)〈두시 9:14ㄴ〉 / 君子 고파 逶迤히 니거니와 小人 馳驟호 가놋다(君子強逶迤 小人困馳驟)〈두시 11:26ㄱ〉 / 디뇨매 俗人 애 가다니 해 와 이쇼니 매 어그리춘 배 업도다(經過倦俗態 在野無所違)〈두시 15:4ㄴ〉 / 드를 사미 가다 니디 말라 어리니와 智慧니왜 미 다 주겟도다(勿雲聽者疲 愚智心盡死)〈두시 16:49ㄴ〉 /  너흐로매 텨 료 가다니 너 依賴야 믈 히 너기노라(咂膚倦撲滅 賴爾甘服膺)〈두시 16:58ㄴ〉 / 巴蜀이 盜賊의 剽劫호매 가니 어류미 土風이 이럿도다(巴蜀倦剽掠 下愚成土風)〈두시 19:44ㄴ〉 / 尙方애셔 일즉 신 주던 이 머리 붓그리노니 地境이 내 히 아닐 樓에 올오 가노라(遠愧尙方曾賜履 竟非吾土倦登樓)〈두시 23:46ㄴ〉 / 蓐收ㅣ 일호 가고 玄冥이 蔚然히 세웓더라(蓐收困用事 玄冥蔚強梁)〈두시 25:5ㄴ〉 / 올히 젹고 亂亡을 디내니 기텟 사미 진실로 가놋다(州小經亂亡 遺人實困疲)〈두시 25:36ㄴ〉.
주017)
므스그로 : 무엇으로써. 므슥[何]+으로#-+어.
주018)
갑올고 : 갚겠는가? 갚[報]-++ㄹ+고. 중간본은 ‘갑옭고’이다.
주019)
백골(白骨) : 백골. 죽어서 전장에 흩어져 있는 백골을 말한다.
주020)
백골신교전(白骨新交戰) : 새로 교전을 치렀던 병사들이 백골이 되어, 나뒹굴고 있다는 뜻이다.
주021)
운대(雲臺) : 한(漢)나라 궁중에 있는 높은 누대의 이름. 한(漢)나라 명제(明帝)가 전대의 공신들을 추념(追念)하여 28명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능연각(凌烟閣)이라고도 불렀다. 이후 운대(雲臺)는 공신과 명장을 추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당나라 태종 정관(貞觀) 17년(643) 염립본(閻立本)에게 명해 개국척강공신(開國拓疆功臣) 24명의 그림을 능연각에 두도록 했다. ‘운(雲)’이 ‘윤(輪)’으로 된 판본도 있다.
주022)
탁변(拓邊) : 변경을 개척하다. 여기서는 영토의 확장을 말한다.
주023)
운대구척변(雲臺舊拓邊) : 운대에 초상을 그려 공을 논의한 것은 예전에 변경을 개척한 공로 때문이라는 뜻이다.
주024)
운대도서(雲臺圖書) : 운대에 그린 그림과 쓴 글. ‘운대’는 한(漢)나라 궁중에 있는 높은 누대로서 한(漢)나라 명제(明帝)가 전대의 공신들을 추념(追念)하여 28명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이후 운대(雲臺)는 공신과 명장을 추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주025)
  : 흰 뼈는. 원시의 ‘백골(白骨)’의 번역어로 죽어서 전장에 널부러져 있는 백골을 말한다.
주026)
새려 : 새로. 새+려. ‘려’는 부사파생접미사. 참조 : 오히려.
주027)
섯게로소니 : 섞여 있으니. [混]-+어+이+도+소+니. ‘이’는 계사이다. 보조적 연결어미 ‘-어’에 계사 ‘이’가 연결되는 구성은 현대국어로는 비문법적인 구성이다. 〈중간본〉은 ‘섯겟도소니’이다. ¶-도소니 : 늘거가매 죄 難히 다러로소니  오매 興이 甚히 기도다(老去才難盡 秋來興甚長)〈두시 20:35ㄴ〉 / 南녀긔셔 야 羽翮을 돌아가 北極에 星辰을 捧戴러로다(南圖回羽翮 北極捧星辰)〈두시 23:5ㄴ〉.
주028)
 : 가를. 변경을. 국경을. 〈중간본〉은 ‘’이다.
주029)
너피던 : 넓히던. 넓[廣]-+히+더+ㄴ.
주030)
승사(乘槎) : 뗏목을 탔다는 뜻으로, 외국으로 사신을 가는 것을 말한다. 『박물지(博物志)』에 “천하(天河)가 바다와 통한다는 구설(舊說)에 의하면, 근세(近世)에 사람이 뗏목을 타고 가서, 십여 일 동안을 오히려 성월일신(星月日辰)을 보았는데, 뒤에는 주야(晝夜)를 깨닫지 못했다. 한 곳에 당도하여 멀리 바라보니, 궁중(宮中)에 직부(織婦)가 많고 한 장부(丈夫)가 소를 끌어 물을 마시게 하는 것도 보였다.”라고 했다.
주031)
장건(張騫) : ?-기원전 114. 전한 한중(漢中) 성고(成固) 사람. 한나라 무제(武帝) 건원(建元) 2년(기원전 139) 흉노(匈奴)를 견제하기 위,해 서방의 대월지(大月氏)와의 동맹을 촉진하고자 서역으로 가다가, 흉노에게 잡혀 10년 동안 포로 생활을 했고, 이후 대완(大宛)과 강거(康居)를 거쳐, 목적지에 다다랐지만, 뜻을 이루지 못한 채 13년 만인 원삭(元朔) 2년(기원전 127) 돌아왔다. 인도(印度) 지역과의 통로를 개척하고, 동서의 교통과 문화 교류의 길을 여는데 크게 공헌했다. 6년(기원전 123) 교위(校尉)로 대장군 위청(衛靑)과 함께 흉노를 공격해 박망후(博望侯)에 봉해졌다. 원수(元狩) 2년(기원전 121) 위위(衛尉)가 되어, 이광(李廣)과 함께 우북평(右北平)으로 나가 흉노를 공격했는데, 실기(失期)하여 참형을 당해야 했지만, 속환(贖還)하고 서인(庶人)이 되었다. 2년 뒤 다시 중랑장(中郞將)으로 오손(烏孫)에 사신을 갔다가 부사(副使)를 대완(大宛)과 강거(康居) 등지에 파견하여, 통호(通好)했는데, 이때부터 서역(西域)과 통하기 시작했다. 관직은 대행(大行)까지 올랐다. 여기서는 광덕 원년(763) 4월에 토번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던 어사대부 이지방을 가리킨다.
주032)
승사단소식 무처멱장건(乘槎斷消息 無處覓張騫) : 승사(乘槎)와 장건(張騫)은 모두 사신을 말하는 것으로 토번에 사신으로 간 이지방의 소식이 없다는 말이다.
주033)
이지방(李之芳) : ?-768?. 당나라 종실의 후예. 어릴 때부터 영민했고, 5언시를 잘 지었다. 현종(玄宗) 개원(開元) 중에 시어사(侍御史)와 고부원외랑(庫部員外郞)을 지냈다. 천보(天寶) 초에 외직으로 나가, 제주사마(齊州司馬)를 지냈다. 13년(754) 안녹산(安祿山)이 주청해 범양사마(范陽司馬)가 되었다. 안녹산이 반란을 일으키자, 스스로 사직하고 돌아왔는데, 우사낭중(右司郞中)이 되었다. 공부시랑(工夫侍郞)과 태자우서자(太子右庶子)를 지냈다. 숙종(肅宗) 건원(乾元) 원년(758) 황문시랑(黃門侍郞)으로 검남절도채방사(劍南節度采訪使)에 충원되었다. 대종(代宗) 고아덕(廣德) 원년(763) 토번(吐蕃)에 사신을 갔다가, 2년 동안 억류된 뒤 돌아올 수 있었다.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오르고, 얼마 뒤 태자빈객(太子賓客)으로 옮겼다. 대력(大曆) 초에 강릉(江陵)에 거주했고, 두보(杜甫)와도 시를 주고받았다.
주034)
들굴 : 떼. 뗏목[査]. 떨기[叢].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된다. 특히 ‘들굴’과 ‘장건(張騫)’이 관련된 시상이 『두시언해』 권20의 용례에서도 확인된다. ¶들굴 : 時節ㅅ 菊花ㅣ 나모 들굴 서리예 브어뎟도다(時菊碎榛叢)〈두시 12:17ㄴ-18ㄱ〉 / 내 衰老야  니 들굴와 토니 됴히 건너가 蟠桃 잇  스치노라(吾衰同泛梗 利涉想蟠桃)〈두시 13:30ㄱ〉 / 눈 잇 두들게 들굴 梅花ㅣ 펫고   온 가짓 프리 낫도다(雪岸叢梅發 春泥百草生)〈두시 14:14ㄴ〉 / 들굴 타 다  무러 하해 올아 가리라(乘槎與問津)〈두시 16:7ㄴ〉 / 즈믄 들굴와 萬 들구리 가지 지즐워 얫도다(千朶萬朶壓枝低)〈두시 18:7ㄴ〉 / 긼 가온대 阮籍이 아니오 들굴 우희 張騫이 〈두시 20:12ㄴ〉 도다(途中非阮籍 查上似張騫)〈두시 20:12ㄴ〉.
주035)
 : 탄. [乘]-+ㄴ.
주036)
그츠니 : 끊어지니. 긏[斷, 止]-+으니. 15세기 국어의 ‘긏-’은 자타동 양용동사로 ‘끊다’와 ‘끊어지다’의 뜻이 있다. 한편으로는 ‘그치-’와 같이 타동사에는 원동사의 사동사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그 사동사에 ‘-어 디다’가 결합된 ‘그처디-’도 사용되었다. ¶긏다(자동사) : 癡愛病이 업스면 生死ㅅ 緣이 그처 眞常 頓證리니(癡愛病이 除면 則生死緣이 斷야 頓證眞常리어니)〈석상 20:31ㄱ〉 / 祿 해 타 먹 넷 버든 書信이 그처 업고(厚祿故人書斷絕)〈두시 7:2ㄴ〉 / 긏다(타동사) : 를 그처 骨髓 내오 두  우의여 내니라(斷骨出髓 剜其兩目)〈석상 11:21ㄱ〉 / 父母ㅅ 恩惠 그처 리고(棄絕父母恩)〈두시 5:26ㄱ〉 /그치다 : 沙彌 새 出家 사미니 世間앳 들 그치고 慈悲ㅅ 뎌글 다 논 디니〈석상 6:2ㄴ〉 / 마 盃中엣 物을 그치고(忍斷杯中物)〈두시 8:13ㄱ〉 / 그처디다 : 이 觀世音菩薩 듣고 一心로 觀世音菩薩ㅅ 일후믈 일면 다 그처디여 즉자히 버서나리어며(設復有人이 若有罪커나 若無罪커나 杻械枷鏁ㅣ 檢繫其身야셔 稱觀世音菩薩名者ㅣ면 皆悉斷壞야 即得觧脫며)〈석상 21:5ㄴ〉 / 불휘 믌 미틔 싯기여 그처디니 엇뎨 하 디시리오(根斷泉源豈天意)〈두시 6:41ㄱ〉.
주037)
어둘 : 얻을. 얻[得]-+우+ㄹ. 〈중간본〉은 ‘얻을’이다.
주038)
히 : 땅이. 곳이. ㅎ+이.
주039)
유계(幽薊) : 유주(幽州)과 계주(薊州). 유주는 하북 북부와 요녕성(遼寧省) 일대이며, 계주는 지금의 북경, 톈진 일대를 말한다. 모두 중국의 북동부 지역을 가리키고 있다.
주040)
사시(蛇豕) : 안사(安史)의 남은 잔당들을 가리키는 말. 역사적으로 사조의(史朝義)가 죽은 뒤 하북(河北)의 반란군 장수들이 모두 항복했다. 복고회은(僕固懷恩)이 주청해 항복한 장수들을 배치해 하북을 지키자고 제안했다. 번진(藩鎭)의 소란은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사(蛇)’가 ‘봉(封)’으로 된 판본도 있다.
주041)
건곤(乾坤) : ①『주역(周易)』 팔괘(八卦) 가운데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②하늘과 땅. ③음(陰)과 양(陽). ④건방(乾方)과 곤방(坤方). 서북과 서남쪽. ⑤제왕(帝王)과 황후(皇后). ⑥남자와 여자. ⑦해와 달. ⑧한 나라 전체. 온 세상. 여기서는 ②의 뜻이다.
주042)
호랑(虎狼) : 범과 이리. 안사(安史)의 난 때 남은 잔당들을 가리키는 말. ‘호랑’을 토번과 강이(羌夷)로 보는 설도 있다.
주043)
유계여사시 건곤상호랑(幽薊餘蛇豕 乾坤尙虎狼) : 사시(蛇豕)와 호랑(虎狼)은 각각 사조의가 죽은 뒤에 남은 잔당과 토번과 강이(羌夷)로 이들이 오히려 하북의 곳곳을 점거하고 있다는 말이다.
주044)
얌 : 뱀.
주045)
돋괘 : 돼지가. 돝[豕]+과+이.
주046)
나맷고 : 남아 있고. 남[餘]-+아#잇-+고.
주047)
범 : 범[虎]. 호랑이.
주048)
일히왜 : 이리가. 일히[狼]+와+이.
주049)
오히려 : 오히려. 오히+려. ‘려’는 부사화접미사이다. 참조 : 새려.
주050)
제후(諸侯) : 천자(天子) 다음으로 고귀한 신분의 사람에 대한 총칭. 고대 중국에서 천자에 딸려 있었고, 천자에게서 일정한 영토를 받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의무를 지녔으며, 영내의 백성을 지배하는 권력을 가졌다. 여기서는 이미 항복해서, 다시 임용된 하북의 항복한 장수들을 말한다.
주051)
춘불공(春不貢) : 봄에 공물을 바치는 것은 신하로서 천자에게 복종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의례인데, 하북의 잔당들은 봄에 공물을 바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주052)
제후춘불공(諸侯春不貢) : 전쟁 때문에 통로가 끊기거나 여유가 없어, 매해 봄마다 이뤄지던 공물을 오지 않는다는 말이다.
주053)
사자(使者) : 사신. 하북 등의 번진은 절도사나 방어사 등에 임명할 때에 모두 사자를 임명하여 부절을 지니고 진에 나아가 제수하기 때문에 시에서 사자(使者)를 언급하였다.
주054)
상망(相望) : 서로 보다. 복종하지 않는 번진에 파견되는 사신이 서로를 바라볼 정도로 사신들의 파견이 빈번하다는 뜻이다.
주055)
사자일상망(使者日相望) : 복종하지 않는 번진을 설득하기 위해 파견되는 사신들끼리 서로 바라볼 정도로 자주 사신을 파견하고 있다는 뜻이다.
주056)
번진(藩鎭) : 변방을 지키기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는 곳. 옛날 중국에서 지방의 치안을 위해 군대를 주둔시키던 곳. 당(唐)나라 때 변방에 설치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그 지방을 다스리던 관아. 절도사(節度使)가 우두머리였다.
주057)
제후(諸侯)히 : 제후들이. 諸侯+ㅎ+이. ‘ㅎ’는 ‘ㅎ’말음체언.
주058)
보 : 봄에. 봄[春]+.
주059)
조공(朝貢) : 작은 나라가 큰 나라에 예물(禮物)을 바치는 일.
주060)
조공(朝貢) 아니니 : 조공을 하지 않으니. 아니#-++니.
주061)
나날 : 매일. 날마다.
주062)
서르 : 서로. ‘서르’가 ‘서로’로 되는 것은 원순모음화의 영향이다.
주063)
라놋다 : 바라는구나. 라[望]-++오+ㅅ+다. 15세기의 ‘라다’는 ‘바라보다’와 ‘원하다’의 뜻이 있다.
주064)
청해(靑海) : 청장고원(青藏高原)의 북동부에 위치한 지역. 당시에는 이미 토번에 점령되어 있었다.
주065)
월상(越裳) : 옛날 나라 이름. 교지(交趾) 남방에 있던 나라로 남조(南詔)를 가리키기도 한다. 천보(天寶) 이후 남조가 당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토번에 귀부(歸附)하였다. 중국에 백치(白雉)를 바쳤다.
주066)
신물탄청해 무로문월상(慎勿吞靑海 無勞問越裳) : 서강(西羌)과 남조(南詔)를 정벌하지 말라고 경계한 말이다.
주067)
대군(大君) : 천자.
주068)
식전(息戰) : 전쟁을 그치다.
주069)
귀마(歸馬) : 말을 화산의 남쪽으로 돌려보내다.
주070)
화산(華山) : 산(山) 이름. 오악(五嶽)의 하나. 섬서성(陝西省) 화음시(華陰市) 남쪽에 있다. 그 북쪽으로 위하평원(渭河平原)이 펼쳐지는데, 진령(秦嶺)의 동쪽 측면에 속한다. 태화산(太華山)이라 부르기도 하며 옛 명칭은 서악(西嶽)이다. 연화(蓮花, 西峰)와 낙안(落雁, 南峰), 조양(朝陽, 東峰), 옥녀(玉女, 中峰), 오운(五雲, 北峰) 등의 봉우리가 있어, 관광지로 유명하다. 예로부터 산세가 깊고, 상서로워 120여 세 가까운 장수를 누렸다고 전해지는 도사 진단을 비롯해서 수많은 수행자가 나온 곳으로 유명하다.
주071)
서강(西羌) : 중국 진대(晉代) 오호(五胡)의 하나. 중국 서쪽 변방에 살던 티베트계(系) 유목민족. 요장(姚萇)이 장안(長安)에 도읍하여, 후진(後秦; 요진)의 시조가 된다.
주072)
동이(東夷) : 중국 사람들이 그들의 동쪽에 있는 족속들을 일컫는 말. 곧 조선(朝鮮), 왜국(倭國), 만주(滿洲) 등을 가리킨다.
주073)
언무수문(偃武修文) : 무기를 창고에 넣어두고 문교(文敎)를 닦아, 교화에 힘씀. 언무흥문(偃武興文).
주074)
청해(靑海)ㅅ 녀글 : 청해 쪽을. ‘녁’은 ‘편(便)’의 고유어이다. ¶녁 : 右는 올 녀기라〈훈언 13ㄱ〉 / 나랏 臣下ㅣ 太子ㅅ 녀글 들면 須達 願을 몯 일울까 야〈석상 6:25ㄱ〉 / 岷嶺 南蠻ㅅ 北녀기오 徐關 東海ㅅ 西ㅅ 녀기로다〈두시 8:37ㄱ〉 /  渭水  업수미 至極야 시름왼  올로 東녀글 向야 흐르다(清渭無情極 愁時獨向東)〈두시 9:39ㄴ〉.
주075)
 : 삼킴을. [呑]-+오+ㅁ+.
주076)
삼가 말며 : 삼가 말며. 삼가[愼]-+어 말-+며.
주077)
무롬도 : 물음도. 묻[問]-+오+ㅁ+도.
주078)
잇비 : 피곤하게. 잇브[困]-+이.
주079)
말옥 : 말고. 말[止]-+고+ㄱ. ‘ㄱ’는 강세첨사이다. 〈중간본〉은 ‘말오’이다.
주080)
몬져 : 먼저.
주081)
그쳐 : 그쳐. 긏[止]-+어.
주082)
보내욜 디니라 : 보낼 것이다. 보내[遣]-+오+ㄹ +이+니+라.
주083)
낙하(洛下) : 낙수(洛水)의 아래. 즉 낙양(洛陽).
주084)
천중(天中) : 천하의 한 가운데. 즉 낙양. 실제로는 장안을 가리켜 말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주085)
공부균(貢賦均) : 공부(貢賦)는 ①공물(貢物)과 부세(賦稅). 공(貢)은 바치는 것이고, 부(賦)는 거두는 것이다. ②지방의 토산물을 나라에 바치던 세제(稅制). ③국가에서 각 군현 단위에 부과한 현물세. 여기서는 ①의 뜻이다. 즉 각 지역에서 토공과 부세를 운반하는 거리가 균등해졌다는 뜻이다.
주086)
낙하주거입 천중공부균(洛下舟車入 天中貢賦均) : 반란이 평정되어서 낙양에 배와 마차가 들어오고 낙양은 지리적으로 중심이어서, 공부(貢賦)를 내는 거리도 균등하다는 뜻이다. 『당서(唐書)』에 곽자의가 장안(長安)을 수복한 뒤 정원진(程元振)이 대종에게 낙양에 도읍을 정해 토번을 피하자고 권하자, 대종이 윤허하였을 때, 곽자의가 상소하여 천도(遷都)의 폐단을 갖추어 말하는 한편 흥국(興國)의 계책을 논의하였다.
주087)
낙양(洛陽) :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상(商)나라의 주왕(紂王)을 주멸(誅滅)하고 구정(九鼎)을 옮겨 두었던 곳. 주나라의 땅인 낙읍(洛邑)인데, 이 낙읍은 뒤에 낙양(洛陽)으로 일컬어진 주나라의 서울 이름이다.
주088)
조의(朝義) : 조정(朝廷)이 지켜야 할 의리(義理).
주089)
와 : 배와. 15세기의 ‘’는 ‘배(船)’와 ‘배(腹)’의 뜻이 있다.
주090)
술위왜 : 수레와. 술위[車]+와. ¶술위 : 太子ㅣ 羊 술위 시고 東山애도 가시며 아자바긔도 가샤〈석상 3:6ㄴ〉 / 우믌 믈 기루 마다 힘 니 술위로 시러나 나날 니엇도다(汲井歲榾榾 出車日連連)〈두시 1:18ㄱ〉.
주091)
드니 : 드니. 들어오니. 들[入]-++니.
주092)
가온 : 가운데.
주093)
고니라 : 고르다. 고[均]-+니+라.
주094)
일문(日聞) : 날마다 들었다는 해석과 최근에 들었다는 해석이 있다. 언해에는 ‘날로 ~ 든니’로 되어 있다.
주095)
홍속(紅粟) : 저장(儲藏)한 지 아주 오래 되어 붉게 변한 묵은 쌀로 여기서는 풍족(豊足)한 식량(糧食)을 비유한다.
주096)
취화(翠華) : 제왕(帝王)의 의장(儀仗) 중 물총새의 깃으로 장식한 기나 수레 덮개. 또는 천자의 깃발, 수레, 제왕. 천자가 임행하여 물자를 사급하는 것이 마치 봄날의 화창한 기운이 미치는 것과 같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마지막 해석에서 ‘취화’는 천자와 봄날을 함께 가리키는 중의적 표현이 된다.
주097)
일문홍속부 한대취화춘(日聞紅粟腐 寒待翠華春) : 이 구는 이 시의 창작 시기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광덕 2년으로 보면 반란이 진압되어 수운이 회복되고 낙양이 이전처럼 넉넉해진 모습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098)
패택(霈澤) : ①빗물. 우수(雨水). ②은택(恩澤)을 비유하는 말. ③특별히 범죄에 대한 은사(恩赦)를 가리키는 말. 여기서는 ②의 뜻이다.
주099)
날로 : 나날이. 날+로.
주100)
블근 : 붉은. 븕[紅]-+은.
주101)
조히 : 곡식이. 조ㅎ[粟]+이. ‘율(栗)’은 잘 익은 곡식을 뜻한다.
주102)
서구믈 : 썩음을. 석[腐]-+우+ㅁ+을.
주103)
든니 : 듣나니. 들으니. 듣[聞]-++니. ‘듣’이 ‘든’이 된 것은 후행하는 ‘’의 영향을 받아 비음화(鼻音化)된 것을 표기한 것이다.
주104)
치워셔 : 추워서. 칩[寒]-+어#시-+어.
주105)
보 : 봄을. 봄[春]+을.
주106)
기들우니라 : 기다리니라. 기다린다. 기들우[待]-++니+라.
주107)
금탕(金湯) : 금성탕지(金城湯池). 쇠로 쌓은 성과 끓는 물이 흐르는 호성하(護城河)로 견고한 성을 일컫는 말. 탕지(湯池)는 끓는 물이 고여 있어 사람이 가까이 갈 수 없는 성지(城池)다. 여기서는 낙하(洛河; 황하)를 가리킨다.
주108)
막취금탕고(莫取金湯固) : 방어 진지가 잘 구축되었다고 방심하지 말고 경계에 더욱 힘을 쏟으라는 말이다.
주109)
장령우주구(長令宇宙新) : 세상으로 하여금 길이 새롭게 되도록 하라는 말이다.
주110)
덕화(德化) : 덕행(德行)으로 감화(感化)시킴.
주111)
금탕(金湯)티 구두믈 : 금탕(金湯)같이 견고함을. 굳[固]-+우+ㅁ+을.
주112)
말옥 : 말고. 말[止]-+고+ㄱ. ‘ㄱ’은 강세첨사이다. 〈중간본〉은 ‘말오’이다.
주113)
기리 : 길이. 길[長]-+이.
주114)
우주(宇宙)로 여 : 우주로 하여금. 宇宙+로 -+이+어. 〈중간본〉은 ‘宇宙로 여지블’이다.
주115)
검덕(儉德) : 검약의 품덕.
주116)
도적(盜賊) : 신복하지 않는 번진의 장수. 토번 또는 그 당시 반란을 일으켰던 원조(袁晁)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주117)
불과행검덕 도적본왕신(不過行儉德 盜賊本王臣) : 토번의 침입을 피해 낙양으로 몽진을 한 후에 환관 정원진은 이 참에 아예 낙양으로 천도할 것을 건의한다. 여기에 대해 곽자의는 천자께서 검소함을 몸소 실천하여, 비용을 절약하여 만약 수조와 역아와 같은 권세가를 억제하고, 거원과 사추와 같은 강직한 사람을 임용한다면, 백성들은 절로 다르려지고 도적은 절로 멎게 될 것이라 건의하는데, 이 구절은 곽자의의 상소의 내용을 받은 것이다.
주118)
넘디 아니니 : 넘치지 않으니. 넘[濫]-+디 아니#-+니.
주119)
본래(本來) : 본디. 본래부터.
주120)
도적(盜賊)도 본래(本來) 님 신하(臣下)ㅣ니라 : 도적도 본래 임금의 신하이니라. 예로부터 두보의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부분으로 지적되어 온 구절이다.
주121)
단계(丹桂) : 계수나무의 한 종류로 껍질이 붉은 색이다. 붉은 색은 본래 한(漢) 왕실의 상징이지만, 여기서는 당 왕실에 대한 비유이다. 단(丹)은 장수하는 선약(仙藥)이 있는 곳으로 전해져, 그곳을 가리켜 신선과 같이 장수하기를 바라는 뜻을 나타낸다. 『한서(漢書)⋅오행지(五行志)』에 성제(成帝) 때의 동요에 “계수나무는 꽃이 피어도 열매가 없고, 노란 참새가 둥지를 틀었네.(桂樹華不實 黃雀巢其顚)”가 나오는데, 주석에 계수나무는 적색인데, 한나라 황실을 상징한다고 했다.
주122)
청오(靑梧) : 오동(梧桐)나무의 한 종류. 나무껍질이 푸른색이라 이렇게 불린다. 상관의(上官儀)의 『책은왕문(冊殷王文)』에 “경사가 나면 오동을 심고, 덕이 이뤄지면 가래나무를 본다.(慶表栽梧 德成觀梓)”고 했는데, 오동나무는 종번(宗藩, 황제가 분봉한 종실의 제후)을 비유한다.
주123)
유래(由來) : 예로부터. 본래. 본디.
주124)
강간(強幹) : 줄기를 강하게 하다. 왕실의 역량을 강하게 하다는 의미이다.
주125)
신조(臣朝) : 신하로서 천자를 조현(朝見)하다. 천자에게 신복함을 말한다.
주126)
유래강간지 미유불신조(由來強幹地 未有不臣朝) : 만약 줄기가 강하면 가지는 줄기를 이겨낼 도리가 없으니, 이는 주군이 강하다면 신하가 절로 귀복하여, 조회하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주127)
내풍상(耐風霜)니 : 비와 서리를 견디니.
주128)
이조락(易彫落)이니 : 쉽게 말라 떨어지니.
주129)
언간(言幹)이 강장즉지불릉승(強壯則枝不能勝)논디 : 강하고 굳세면 가지도 능히 이길 수 없는 것이. ‘논디’는 ‘-++오+ㄴ#+이’로 분석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해석은 ‘~하는 것이’이다.
주130)
수월(授鉞) : 철월(鐵鉞)을 맡기다. 부월(斧鉞)을 주다. 옛날에 대장군이 출정하면, 군주는 부월을 주어, 병권(兵權)을 주었다는 표시를 했다.
주131)
친현(親賢) : 종실(宗室)의 어진 인재. 건원(乾元) 2년(759) 사사명(史思明)이 하북(河北)에서 참칭(僭稱)하자 이광필(李光弼)이 ‘친현’으로 군대를 통솔하게 하자면서, 조왕(趙王) 이계(李係)를 병마원수(兵馬元帥)로 삼자고 건의하였다. 다음해 4월 친왕(親王) 이요(李遙)로 병권을 통솔하게 했다. 대종이 즉위한 뒤 옹왕(雍王) 이혼(李辶+昏, 适)을 병마원수로 삼았다.
주132)
비궁(卑宮) : 궁전을 낮게 한다는 뜻. 현종이 촉(蜀) 땅에 들어간 뒤 성도(成都)에 건설한 행궁(行宮). 대종 즉위 후 당시 여러 장수들이 사는 집을 사치스럽게 꾸미자, 사는 집을 검소하게 하라는 조서를 내린 것을 가리킨다는 견해와 우임금의 고사에 착안하여, 아들에게 권한을 물려준 것을 뜻한다고 하는 견해와 단순히 궁전의 대칭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는데 『두시언해』에서는 두 번째 견해를 따르고 있다.
주133)
제조(制詔) : 황제의 명령. 현종이 성도에 있을 때 방관(房琯)이 조서(詔書)를 지어, 태자 이형(李亨)이 북쪽으로 삭방(朔方)을 공략하게 하고, 나머지 제왕(諸王)들은 나누어 중요한 진(鎭)을 수비하게 했다. 안녹산이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놀랐다.
주134)
수월친현왕 비궁제조요(受鉞親賢往 卑宮制詔遙) : 이 구를 현종 때의 일, 숙종 때의 일, 대종 때의 일 등으로 보고 있다. 『두시언해』에서는 대종이 즉위한 해에 장자 이괄(李适; 덕종)을 천하병마원수로 임명했던 일로 보았다. 뒤 구는 당시 여러 장수들이 사는 집을 사치스럽게 꾸미자 금지하는 조서를 내린 것으로 보았다.
주135)
철월(鐵鉞) : 쇠로 만든 도끼의 일종. 부월(斧銊).
주136)
맛뎌 : 맡겨. 맛디[任]-+어.
주137)
지블 : 집을. 집+을. 〈중간본〉은 ‘집을’이다.
주138)
갑게 라 시논 : 낮게 하라 하시는. [低]-+갑+게 -+라 -+시++오+ㄴ. ¶갑다 : 上聲은 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라〈훈언 13ㄴ〉 / 막대 디퍼 가매 門闌이 깁고 술위 메유매 개 갑도다(支策門闌邃 肩輿羽翮低)〈두시 3:21ㄴ〉.
주139)
머리 : 멀리. 멀[遠]-+이. ¶머리 : 舍利弗이 금강力士 지 내야 금강杵로 머리셔 견지니(即便化作금강力士 以금강杵遙用指之)〈석상 6:31ㄴ〉 / 머리 가면 매 곧 迷失리언마(遠去終轉迷)〈두시 4:12ㄱ〉.
주140)
시놋다 : 하시는구나. -+시++오+ㅅ+다.
주141)
이괄(李适) : 742-805. 당나라의 황제(재위, 780-805). 대종(代宗)의 맏아들이다. 대종 때 천하병마원수(天下兵馬元帥)가 되어 사조의(史朝義)를 토벌하고, 하북(河北)을 평정해 이 공으로 상서령(尙書令)에 올랐다. 얼마 뒤 태자가 되었다. 제위를 이은 뒤 처음에는 정치가 청명(淸明)했고 양염(楊炎)을 등용해 재상으로 삼고 조용조(租庸調) 제도를 폐지하고, 양세법(兩稅法)을 실시했다. 즉위한 뒤 중앙재정의 재건을 도모했으며, 번진(藩鎭)을 억압하려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에 위박(魏博, 지금의 河北)과 성덕(成德, 지금의 河北) 두 지방에서 명령을 거부했고, 이에 대한 토벌로 인해 재정난에 빠졌다. 나중에 노기(盧杞) 등을 기용하여 위계를 어지럽혔다. 건중(建中) 4년(783) 경원(涇原)에서 병변이 일어나, 경사(京師)를 침범하자 봉천(奉天)으로 달아났다. 다음 해 〈자신을 죄 주는 칙서〉를 내려 잡세(雜稅)를 폐하고 여러 번(藩)의 독립을 승인함으로써 이후 군벌 시대의 단초를 열게 되었다. 흥원(興元) 원년(785) 이성(李晟)이 병사를 이끌고, 장안(長安)을 수복하자 돌아왔다. 이때부터 정치에 소홀하여 번진(藩鎭)이 나날이 강해져갔다. 말기에는 국가의 재정난과 지방 세력의 성장, 그리고 환관의 횡포로 인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문벌에 관계없는 인재를 등용하거나, 조용조를 폐지하는 등 일부 개혁을 이룬 업적이 있다.
주142)
봉건(封建) : 봉건제도. 천자가 토지를 나누어서, 제후(諸侯)를 세우던 제도.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 때, 도읍을 중심으로 1천 리 사방을 왕기(王畿)라 하여, 천자가 직접 관할하고, 나머지 땅에는 제후가 다스리게 한 데서 나왔다. 진(秦)나라가 통일한 뒤에는 군현제(郡縣制)를 시행했다.
주143)
소소(簫韶) : 순(舜)임금 때의 음악 이름. 『상서(尙書)·우서(虞書)·익직(益稷)』에 “소소를 아홉 번 연주하니, 봉황이 와서 춤추네.(簫韶九成 鳳凰來儀)”란 말이 나온다. 전설에 따르면, 순(舜) 임금이 악곡 〈소소〉를 지었는데, 교화를 시행하는 정치의 완성을 체현하였다. 보통 아름답고 오묘(奧妙)한 선악(仙樂)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
주144)
종의고봉건 기독청소소(終依古封建 豈獨聽簫韶) : 천자가 단지 원수와 부원수를 임명하는 데 그치지 말고, 최종적으로 봉건을 통하여 친현을 대우하도록 권하는 것이며, 지금 이때 문치를 앞세우는 순임금의 고고한 음악을 듣고 있지 말고, 무를 겸용하는 봉건을 따르라는 말이다. 뒤 구에 대해 봉건제를 따르면, 순임금의 음악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보는 견해도 있다. 두시언해는 전자의 해석을 따른다.
주145)
고제(古制) : 옛날에 갖춰져서 지금까지 시행되거나, 이미 중지되었어도 그 의미는 되새겨야 할 제도(制度)를 가리키는 말.
주146)
봉건동성(封建同姓) : ‘봉건’이란 천자가 토지를 나누어서 제후(諸侯)를 세우던 제도.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 때, 도읍을 중심으로 1천 리 사방을 왕기(王畿)라 하여 천자가 직접 관할하고, 나머지 땅에는 제후가 다스리게 한 데서 나왔다. 진(秦)나라가 통일한 뒤에는 군현제(郡縣制)를 시행했다. 보통 황제와 같은 집안 친족들에게 시행했기 때문에 동성(同姓)이라 한 것이다.
주147)
매 : 마침내. [終]-+ㅁ+애.
주148)
녯 : 옛. ¶녯 : 둘재 션 일 아디 몯며 녯 도리 깃거 아니야 녯 經을 아호 붓그리디 아니고(其二 不知儒術며 不悅古道야 懵前經而不恥고)〈소학 5:17ㄱ〉 / 그 젯 이리 녯 님그믜 敗亂과 다니라(事與古先別)〈두시 1:8ㄴ〉.
주149)
봉건(封建)을 브터 : 봉건제도에 의지해서. 『두시언해』에서 ‘븓다’ 동사는 아래의 예문과 같이 쓰였다. ¶仗 : 혜아료미 踈拙야 옷바비 업고 길히 窮迫야 버들 븓노라(計拙無衣食 途窮仗友生)〈두시 2:28ㄱ〉 / 著 : 늘근 리 바 길흘 알오 프른 매 주으려 사게 븓니라(老馬夜知道 蒼鷹飢著人)〈두시 5:53ㄱ〉 / 憑 :  달홀 사미 利히 건내욜 이 기들워셔  節制使ㅅ 尊嚴을 븓고져 놋다(舟子候利涉 亦憑節制尊)〈두시 6:49ㄴ〉 / 依 : 本來 스싀로 迦葉을 븓노니 어느 일즉 偓佺을 藉賴리오(本自依迦葉 何曾藉偓佺)〈두시 20:13ㄱ〉 / 傍 : 名利 진실로 可히 어들 거시면 모미 주글 니언 權要 븓니라(名利苟可取 殺身傍權要)〈두시 25:15ㄴ〉 / 置 : 기르믈 븓 블 우희 노니 슬피 제 글탈 도다(置膏烈火上 哀哀自煎熬)〈두시 3:56ㄱ〉 / 火 : 셔울히 다시 블 븓디 아니야 涇渭옛 사미 시름왼 양 훤야(京都不再火 涇渭開愁容)〈두시 4:24ㄱ〉 / 燃 : 미 니 새 더욱 오 뫼히 퍼러니 곳비치 블 븓 도다(江碧鳥逾白 山靑花欲燃)〈두시 10:17ㄱ〉 / 附 : 엇졔 시러곰 글월 브텨 우리 軍을 주어 마 來年을 기들워 리 말라 려뇨(焉得附書與我軍 忍待明年莫倉卒)〈두시 4:4ㄴ〉.
주150)
홀디니 : 할 것이니. 해야 하니. ‘-ㄹ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 주로 ‘宜, 應’ 등의 번역에 쓰이지만, 『두시언해』에서는 그런 경우가 없지 않으나 『두시언해』에서는 ‘宜, 應’은 ‘맛다, 다이’ 등으로 언해되는 경우가 많다. ¶-ㄹ 디다 : 慈母ㅣ 나 려 耆婆天을 뵈 제 이 므를 디나니(慈母ㅣ 携我야 謁耆婆天제 ~)〈능엄 2:8ㄴ〉 / 兩校尉 큰 病이 잇니 다가 주그면 날로 예 刻혼 애와툐 기리 머거시리니 吉時 미처 홀디라 더듸 머므로미 몯리다(兩校尉 有大病니 如今不諱면 使臣으로 長抱刻骨之恨이니 宜及吉時라 不可稽留ㅣ니다)〈내훈2:52ㄴ〉 / 飄泊야 니 南庭엣 나 오직 水仙 이 홀 디로다(飄泊南庭老 秪應學水仙)〈두시 2:26ㄱ〉.
주151)
엇뎨 : 어찌. 어찌하여. 어째서. ¶엇뎨 : 엇뎨 우리그 와 절호려 커시뇨(如何今欲禮於我耶)〈석상 3:4ㄱ〉 / 後에 오  니 엇뎨 머믈리오(後來鞍馬何逡巡)〈두시 11:18ㄴ〉.
주152)
갓 : 한갓. ‘한갓’은 국어사전에 ‘다른 것 없이 겨우’로 풀이되어 있다. ¶갓 : 香 갓 옷곳 것 분 아니라 고로 맏 거슬 다 니르니라〈석상 13:39ㄱ〉 / 그  블근 殿에 오리 갓 卿相이 尊니 아니러니라(當時上紫殿 不獨卿相尊)〈두시 16:3ㄱ〉.
주153)
드를 미리오 : 들을 따름이겠는가? 듣[聞]-+을. +이+리+오. ‘-이리오’는 『두시언해』에서는 주로 반어적인 의문문에 쓰인다. ¶-ㄹ 미라 : 法이 심기샨  이쇼 證 미라(證法이 有所授而已라)〈능엄 1:23ㄱ〉 / 아야 디 몯리니 外道ㅣ 아야 冥諦 사 미 아니라 末學이 예 니르러 다 아아니라(冥然莫辯이니 匪唯外道ㅣ 昧爲冥諦라)〈능엄 2:26ㄱ〉 / 굴에 몃귀여 주구리라 호매 오직 踈放 미로소니 미친 노미 늘거도  미츄믈 내 웃노라(欲填溝壑唯踈放 自笑狂夫老更狂)〈두시 7:3ㄱ〉 / 어즈러이 이베 맛디 몯니 엇뎨 그 거프리 이실 미리오(紛然不適口 豈止存其皮)〈두시 18:16ㄴ〉 / -이리오 : 엇뎨 모로매  사 려 다시 무르리오(何須更問渡頭人이리오)〈남명 상16ㄱ〉 / 若非匠手ㅣ면 孰能抽毫야 稱實發揚이리오(다가 바지왼 소니 아니면 뉘 能히 부들 혀 實에 맛게 베퍼 펴리오)〈금삼 서:13ㄱ〉 / 엇디 갓 歲月ㅣ 졈을 이리오 다시 올 期約ㅣ 업도다(豈但歲月暮 重來未有期)〈두시 1:16ㄱ〉 / 此二句 言崔瓘이 善而被殺니 福善之理豈不顚倒ㅣ리오 明徵컨댄 豈不莽茫이리오〈두시 1:53ㄴ〉.
주154)
호멸(胡滅) : 오랑캐가 섬멸되다. ‘호(胡)’가 ‘도(盜)’로 된 판본도 있다. 안녹산은 영주 유성의 오랑캐이고, 사사명도 영이주 돌궐인이니 둘 다 오랑캐로 본 것이다. 이때 이르러 9년만에 안사의 난이 평정되었다.
주155)
인환란(人還亂) : 사람들이 여전히 어지럽다.
주156)
병잔(兵殘) : 병졸이 쇠잔하여 소수만 남아 있다.
주157)
장자의(將自疑) : 장수들이 스스로 의심하다. 휘하의 병사가 적어지니 장수들이 조정에 대하여 의심을 하기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주158)
호멸인환란 병잔장자의(胡滅人還亂 兵殘將自疑) : 반란이 평정되었어도 장수 중에는 관할 지역 호구에 속한 장정을 모두 군적에 올려 백성들이 혼란해 하였고, 복고회은이 반란군이 평정되면 총애가 쇠해질까봐, 반란군의 장수로 하여금 반란 지역을 나누어 통솔케 하자는 상주를 한 것을 두고 한 말이다.
주159)
안사(安史) :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두 사람은 각각 절도사와 병마사(兵馬使)로 있다가 반란을 일으켰다.
주160)
복고회은(僕固懷恩) : ?-765. 당나라를 섬긴 터키계(系)의 무장(武將). 영식(寧式)의 복골(僕骨) 부족의 수령으로, 천보(天寶) 14년(755) 안사(安史)의 난이 일어나자 부족을 이끌고, 곽자의(郭子儀)를 도와 당나라를 위해 싸웠다. 위구르의 원군을 청하는 사자(使者)가 되기도 했고, 부족 중에 당나라를 위해 싸우다 죽은 자가 46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대종(代宗)의 신임을 얻어, 중서령(中書令)과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 등을 역임했는데, 뒤에는 모반 혐의를 받기에 이르렀다. 광덕(廣德) 원년(763) 반기를 들어 티베트와 토곡혼(吐谷渾), 회흘(回紇) 등 수십만 명의 부족을 거느리고 싸웠지만, 얼마 후 병으로 죽었다. 풍국공(豊國公)과 대녕군왕(大寧郡王)에 봉해졌다.
주161)
이광필(李光弼) : 708-764. 당나라 영주(榮州) 유성(柳城) 사람. 아버지는 거란(契丹)의 추장이었다. 어려서부터 절행(節行)이 있었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했으며, 엄격하고 의연하며 지략이 있었다. 좌위친부좌랑장(左衛親府左郞將)으로 벼슬을 시작했다. 숙종(肅宗)이 즉위하자 호부상서에 올랐고, 동중서문하평장사 겸 절도사를 지냈다.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했고,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이곽(李郭)’으로 불렸다. 전쟁을 할 때 전략을 정한 뒤 싸웠으며, 이 때문에 적은 병력으로 대부대를 상대할 수 있었다. 병사를 잘 다스리고 훈련을 절도 있게 해 사람들이 모두 위명(威名)에 감복했다. 대종(代宗) 때 임회군왕(臨淮郡王)에 봉해졌다. 태보(太保)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무목(武穆)이다.
주162)
되 : 오랑캐. ¶衆仙百靈 엳노니 이제 되 中國 어즈리거늘 天子ㅣ 邪曲 마 올히 드르시니〈월석 2:74ㄱ〉 / 爪牙ㅣ  번 맛디 몯대 되 兵馬ㅣ 다시 외니라(爪牙一不中 胡兵更陸梁)〈두시 2:43ㄴ〉.
주163)
멸(滅)니 : 없어지니. 평정되니.
주164)
도혀 : 도로. 도리어. ¶도혀 : 오직 모며 갓로로 거츠리 我人 혜여 業 구데 디여 도혀 표 아디 몯(但以迷倒로 妄計我人야 淪沒業坑야)〈금삼 1:1ㄱ〉 / 이 가매 靑州 徐州 훤히 열리로소니 도혀 恒山 碣石녀클 아오 보리로다(此舉開靑徐 旋瞻略恒碣)〈두시 1:8ㄴ〉.
주165)
쇠잔(衰殘)니 : 쇠잔하니. ‘쇠잔하다’는 ‘쇠하여 힘이나 세력이 점점 약해지다.’라는 뜻이다.
주166)
제 : 스스로. 제가. ‘제’는 재귀대명사로 주격일 경우에는 ‘:제(상성)’, 관형격일 경우에는 ‘제(평성)’으로 쓰였다. 평성의 ‘제’는 ‘저+관형격’ 구성이고, 상성의 ‘제’는 ‘저+주격’ 구성이다.
주167)
의외(疑畏)놋다 : 의심하는구나. 『두시언해』에 오직 이 한 예가 쓰였다.
주168)
등단(登壇) : 단(壇)에 오르다. 한 고조가 한신을 대장에 임명할 때에 단을 쌓고서, 한신을 오르게 하였다. 여기서는 광덕(廣德) 원년(763) 제도(諸道)의 절도사들이 모두 실제로 봉(封)해졌다.
주169)
명절가(名絕假) : 이름이 전혀 거짓이 아니다. 직함을 실제의 권한과 함께 주었다는 말이다.
주170)
보주(報主) : 주군께 보답하다. ‘집옥(執玉)’으로 된 판본도 있다.
주171)
이하지(爾何遲) : 그대들은 어찌하여 늦어지는가?
주172)
등단명절가 보주이하지(登壇名絕假 報主爾何遲) : “단(壇)에 오르는 이는 이름과 권한에 어긋남이 없으니, 임금의 은혜 갚는 일을 네가 어찌 뒤로 미루겠는가?”란 말이다.
주173)
오닌 : 오른 이는. 오[登]-+ㄴ#이+ㄴ. ¶오다 : 五百 釋童이 앏뒤헤 圍遶 學堂애 오 저긔〈석상 3:7ㄴ〉 / 南 녀그로 木皮嶺의 오니 어려우믈 수이 議論티 몯리로다(南登木皮嶺 艱險不易論)〈두시 1:27ㄱ〉.
주174)
가차(假借)ㅣ 업스니 : 빌린 것이 없으니. 거짓이 없으니.
주175)
갑오 : 갚음을. 갑[報]-++오+ㅁ+. ¶갚다 : 됴타 됴타 너희히 藥師瑠璃光如來ㅅ 恩德 갑 이 念거든〈석상 9:41ㄱ〉 / 님금 恩惠 갑고져 나 모미 마 늙고 드러가 朝謁코져 나 病이 妨害호 뵈다(報主身已老 入朝病見妨)〈두시 1:54ㄴ〉.
주176)
네 : 네가. ¶네 : 王이 니샤 네 다 轉輪聖王이 외야 七寶千子 가져 四天下 다리리어늘 엇뎨 마리 갓고 즐기다〈석상 3:23ㄱ〉 / 네 가아 王 라 正覺 일우면 도라가리라〈석상 3:31ㄱ〉 / 어느 제 내 몸이 개 이셔 라가 네 알 디려뇨(何當有翅翎 飛去墮爾前)〈두시 1:14ㄱ〉 / 歎息야 妻子려 니노니 내 므스그라 네 구를 조차셔 니뇨(歎息謂妻子 我何隨汝曹)〈두시 1:30ㄴ〉.
주177)
엇뎨 : 어찌.
주178)
더듸니오 : 더딘가? 더디 하리오? 더디[遲]-+니+고. 〈중간본〉은 ‘더듸리오’이다.
주179)
영군(領郡) : 군을 거느리다. 즉 군수(郡守)를 가리키는 말. 절도사의 권한이 커져 징세가 날로 번잡해지자 군수들이 자주(自主)할 수 없어 항상 의욕이 없어졌다.
주180)
첩무색(輒無色) : 자주 낯빛이 없다. 절도사의 권한이 지나치게 강하고, 징세의 부담이 날로 더해져 자주적인 행정이 불가능한 까닭에 자사가 되어도 얼굴빛에 기쁜 기색이 없다는 말이다.
주181)
지관(之官) : 관직에 나아가다. 황명을 받아 군수가 된 이를 말한다.
주182)
개유사(皆有詞) : 모두 말이 있다. 황명을 받들어 지방관으로 나아갈 때 명을 받은 사람들은 모두 하나같이 말이 있다는 뜻이다.
주183)
영군첩무색 지관개유사(領郡輒無色 之官皆有詞) : 당시 관리들이 내직을 좋아하고, 외직을 달가와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직을 받으면, 좋은 낯빛이 없고, 관직을 받는 순간 모두 말들이 있다는 뜻이다.
주184)
진신(搢紳) : 벼슬아치의 총칭. 진(縉, 搢)은 백관(百官)들의 관복(官服)과 제복(祭服)에 갖추는 홀(笏)을 허리띠에 꽂는다는 뜻이고, 신(紳)은 관복을 입을 때 매는 큰 띠를 말하는데, 곧 허리띠를 매면서 홀을 끼운다는 의미에서 모든 벼슬아치들을 아우르는 말로 쓰인다.
주185)
내임(內任) : 조정(朝廷) 안에서 받는 중임(重任)과 요직(要職).
주186)
추탁(推托) : 자신을 추천하여 부탁함.
주187)
올흘 : 고을을. 올ㅎ[鄕]+을. ¶올ㅎ : 巷 올  길히오〈석상 19:1ㄴ〉 / 내  片帆이 郴州ㅅ 믌애 잇니 通히 뵈 城郭 알피 衡陽ㅅ 올히로다(華表雲鳥埤 名園花草香)〈두시 1:55ㄱ〉.
주188)
거느려든 : 거느리면. 거느리[領]-+거+든.
주189)
비치 업고 : 얼굴빛이 없고. 빛[色]+이 없-[無]+고.
주190)
올 : 고을에. 올ㅎ[鄕]+.
주191)
저기어든 : 적이거든. 때이거든. 적+이+거+든.
주192)
다 말미 잇도다 : 다 말씀이 있도다. 지방관으로 나가는 사람들은 모두 하나같이 말이 있다(불만스런 말을 한다)는 말이다.
주193)
애통조(哀痛詔) : 봉건 제왕 아래 나오는, 스스로를 자책하는 조서(詔書). 11월 태상박사(太常博士) 유항(柳伉)이 상소하여 토번이 공격해 경도(京都)가 함락된 원인은 모두 대종이 공신(功臣)을 멀리하고, 소인배들을 총애한 데서 왔음을 지적하면서, 대종이 조서를 내려, 허물을 인정할 것을 요구하였다.
주194)
단공(端拱) : ①몸가짐을 단정히 하고 공수함. ②제왕이 장중한 몸가짐으로 조정에 나아가 깨끗한 정사를 폄. ③한가롭고 마음 편하게 지냄.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195)
창이(瘡痍) : 상처나 손상(損傷). 주로 백성의 질고(疾苦)를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주196)
원문애통조 단공문창이(願聞哀痛詔 端拱問瘡痍) : 대종이 엄숙이 조정에 임하여 애통의 조서를 내려, 곤궁한 백성들을 근심하는 것이 지방관들이 목민관으로서의 임무를 중시하게 되는 길이라는 말이다.
주197)
슬허 : 슬퍼하여. 슳[悲]-+어. ¶다 : 王과 大愛道와도 슬허 우르시며 나랏 사미 다 슬허 두루 얻니더라〈석상 3:30ㄴ〉 / 나라 리고 王粲ㅣ 슬허코 時節 슬허 賈生ㅣ 우니라(去國哀王粲 傷時哭賈生)〈두시 2:27ㄱ〉.
주198)
셜워시논 : 괴로워하시는. 셜워[痛]-+시++오+ㄴ. ¶셜워다 : 諸子ㅣ 슬허 셜워샤 生滅을 爲야 愛見엣 슬푸 니와샨 디 아니라 衆生 爲야 슬흐시니라〈법화 1:122ㄴ〉 / 忽然히 드로니 슬허 셜워시 詔書ㅣ 聖明朝애  리도다(忽聞哀痛詔 又下聖明朝)〈두시 5:7ㄴ〉.
주199)
겨샤 : 계시어. 겨시[在]-+어. ¶겨시다 : 太子ㅣ 아 더브러 겨샤 글왌 根源을 子細히 니시고 無上正眞道理 勸시더라〈석상 3:10ㄱ〉 / 園陵에 진실로 神靈ㅣ 겨샤 子孫 도실 비록 危亂ㅣ 이셔도 祭祀샤 조 闕티 아니시놋다(園陵固有神 掃洒數不缺)〈두시 1:10ㄱ〉.
주200)
헐므닐 : 허물어진 것을. 여기서는 ‘헐벗은 사람을. 곤궁한 백성을’의 말이다. ‘헐믓다’는 『두시언해』에서는 번역으로 더러 쓰였으나 15세기의 다른 문헌에는 쓰이는 경우가 드물며 『두시언해』 이후 문헌에서 쓰인다. 〈중간본〉은 ‘헐므으닐묻노라’이다. ¶헐믓다 :  헐므 〈구간 목록:3ㄱ〉 /  헐므  버듨 니피어나 거프리어나 달혀 시스라〈구간 3:6ㄴ〉 / 어긔르츤가 전노니 人民의 헐므믈 문 디 아니도다(恐乖均賦斂 不似問瘡痍)〈두시 3:4ㄴ〉 / 請 헐므 기푸믈 어엿비 너겨 皇華使게 告訴홀 디니라(請哀瘡痍深 告訴皇華使)〈두시 16:19ㄴ〉.
주201)
무르샤 : 물으심을. 묻[問]-+시+오+ㅁ+.
주202)
듣고져 원(願)노라 : 듣고자 원하노라. 듣[聞]-+고#지-+어 원#-++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