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극락세계 이름의 유래 2
메뉴닫기 메뉴열기

극락세계 이름의 유래 2


舍利弗아 極樂國土애 七重欄楯과 七重羅網과 七重行樹왜 皆是四寶ㅣ니 周帀園遶 是故로 彼國을 名爲極樂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
또. [又].
舍利弗아 極樂國土 주002)
극락국토(極樂國土):
극락정토(極樂淨土)를 달리 부르는 이름.
七重欄楯 주003)
칠중난순(七重欄楯):
극락국토에 있다는 일곱 겹으로 된 난간(欄干)과 널빤지.
七重 주004)
칠중(七衆):
일곱 겹.
닐굽 주005)
닐굽:
일곱. 닐굽[七].
리오 주006)
리오:
겹이고. [重]+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모음 /ㅣ/에 의해 ‘요’로 바뀌지 않는다. ‘ㄱ’은 서술격조사, [ㄹ],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 [ɦ]로 실현된다.
欄 欄干이오 주007)
-이오:
-이고. ‘-이오’는 ‘-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8)
난순(欄楯):
난간(欄干)과 난간에 있는 널빤지.

아미타경언해:7ㄱ

欄干 주009)
난간(欄干):
정자(亭子), 계단(階段), 다리 등의 가장자리에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 가로세로 세워 놓은 살.
주010)
-앳:
-의. -에 있는.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통합형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너리라 주011)
너리라:
널이다. 널빤지이다. 널[板]+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七重羅網 주012)
칠중나망(七重羅網):
극락국토의 불당(佛堂)을 장식하고 있다는 그물. 구슬을 꿰어서 일곱 겹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羅網 주013)
나망(羅網):
불당(佛堂)을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해 구슬을 꿰어서 만든 그물.
그므리라 주014)
그므리라:
그물이다. 그믈[網]+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七重行樹 주015)
칠중행수(七衆行樹):
극락국토의 보수(寶樹). 일곱 겹으로 줄을 지어 서 있어서 이렇게 부른다.
주016)
-왜:
-가.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의 나열인 경우, 접속조사가 마지막 명사의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격조사가 통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017)
다:
모두. 다. 다[皆].
가짓 주018)
가짓:
가지의. 종류의. 가지+ㅅ(관형격조사).
보니 주019)
보니:
보배이니. 의미상으로는 ‘보배로 되어 있으니’가 어울린다. 보[寶貝]+∅(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서술격조사 생략 표기.
두루 주020)
두루:
두루. 두루[周].
둘어실 주021)
둘어실:
둘러 있으므로. 둘러 있을새. ‘둘어실’는 ‘두르-[圍]+어(연결어미)#(이)시-[有]+ㄹ(종속적 연결어미)’의 축약형.
이런 주022)
이런:
이런. 이러한.
젼로 주023)
젼로:
까닭으로. 젼[故]+로(부사격조사).
주024)
뎌:
저. 뎌[彼].
나라 주025)
나라:
나라를. 나라ㅎ[國]+(목적격조사).
極樂이라 주026)
-이라:
-이라고. -이다 라고.
일훔니라 주027)
일훔니라:
이름을 지었느니라. 일컫느니라. 일훔-[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또 사리불(舍利弗)아, 극락(極樂) 국토에 〈있는〉 칠중(七衆) 난순(欄楯)과【‘칠중(七衆)’은 일곱 겹이고, ‘난(欄)’은 난간(欄干)이고, ‘순(楯)’은 난간(欄干)의 널빤지이다.】 칠중(七衆) 나망(羅網)과【‘나망(羅網)’은 그물이다.】 칠중(七衆) 행수(行樹)가 다 네 가지의 보배(寶貝)로 되어 있느니라. 두루 둘러 있으므로 이런 까닭에서 저 나라를 ‘극락(極樂)’이라고 이름을 지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又].
주002)
극락국토(極樂國土):극락정토(極樂淨土)를 달리 부르는 이름.
주003)
칠중난순(七重欄楯):극락국토에 있다는 일곱 겹으로 된 난간(欄干)과 널빤지.
주004)
칠중(七衆):일곱 겹.
주005)
닐굽:일곱. 닐굽[七].
주006)
리오:겹이고. [重]+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모음 /ㅣ/에 의해 ‘요’로 바뀌지 않는다. ‘ㄱ’은 서술격조사, [ㄹ],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후두마찰음 [ɦ]로 실현된다.
주007)
-이오:-이고. ‘-이오’는 ‘-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8)
난순(欄楯):난간(欄干)과 난간에 있는 널빤지.
주009)
난간(欄干):정자(亭子), 계단(階段), 다리 등의 가장자리에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 가로세로 세워 놓은 살.
주010)
-앳:-의. -에 있는.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통합형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주011)
너리라:널이다. 널빤지이다. 널[板]+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12)
칠중나망(七重羅網):극락국토의 불당(佛堂)을 장식하고 있다는 그물. 구슬을 꿰어서 일곱 겹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주013)
나망(羅網):불당(佛堂)을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해 구슬을 꿰어서 만든 그물.
주014)
그므리라:그물이다. 그믈[網]+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15)
칠중행수(七衆行樹):극락국토의 보수(寶樹). 일곱 겹으로 줄을 지어 서 있어서 이렇게 부른다.
주016)
-왜:-가.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의 나열인 경우, 접속조사가 마지막 명사의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격조사가 통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017)
다:모두. 다. 다[皆].
주018)
가짓:가지의. 종류의. 가지+ㅅ(관형격조사).
주019)
보니:보배이니. 의미상으로는 ‘보배로 되어 있으니’가 어울린다. 보[寶貝]+∅(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서술격조사 생략 표기.
주020)
두루:두루. 두루[周].
주021)
둘어실:둘러 있으므로. 둘러 있을새. ‘둘어실’는 ‘두르-[圍]+어(연결어미)#(이)시-[有]+ㄹ(종속적 연결어미)’의 축약형.
주022)
이런:이런. 이러한.
주023)
젼로:까닭으로. 젼[故]+로(부사격조사).
주024)
뎌:저. 뎌[彼].
주025)
나라:나라를. 나라ㅎ[國]+(목적격조사).
주026)
-이라:-이라고. -이다 라고.
주027)
일훔니라:이름을 지었느니라. 일컫느니라. 일훔-[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