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극락세계-하늘의 음악
메뉴닫기 메뉴열기

극락세계-하늘의 음악


舍利弗아 彼佛國土애 常作天樂고 黃金爲地고 晝夜六時로 兩天曼陀羅華ㅣ어든 其土衆生이 常以淸旦애 各以衣裓으로 盛衆妙華야 供養他方十萬億佛고 卽以食時예 還到本國야 飯食經行니 舍利弗아 極樂國土ㅣ 成就如是功德莊

아미타경언해:9ㄱ

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 舍利弗아 주001)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부텻 주002)
부텻:
부처의. 부텨[彿]+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나라해 주003)
나라해:
나라에. 나라에는.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샹녜 주004)
샹녜:
늘. 항상. 언제나. 한자어 ‘상례(常例)’에서 온 말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자음동화된 표기인 ‘샹녜’로 나타난다.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 풍류고 주005)
풍류고:
풍류(風流)하고. 음악이 연주(演奏)되고.
黃金이 히 주006)
히:
따이. ㅎ[地]+이(보격조사).
외오 주007)
외오:
되고. 오〉외오, 외-[爲]+고/오(연결어미). ‘-오’는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밤낫 주008)
밤낫:
밤낮[晝夜]. ‘낮→낫’은 팔종성표기.
여슷 주009)
여슷:
여섯[六].
로 주010)
로:
때[時]로. [時]+로(부사격조사).
【여슷 니 주011)
니:
때[時]. 끼니.
 낫 주012)
세:
셋[三].
세히라 주013)
세히라:
셋이다. 세ㅎ[三]+이+라(종결어미).
하 주014)
하:
하늘의. 하[天]+ㅅ(관형격조사).
曼陀羅花 주015)
만다라화(曼陀羅花):
부처가 설법(說法)할 때나 여러 부처가 나타날 때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꽃의 이름. 빛깔이 아름답고 묘(妙)하여 보는 이의 마음에 열락(悅樂)을 느끼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듣거든 주016)
듣거든:
떨어지거든. 내리거든. 떨어지는데. 듣-[落]+거든(연결어미).
주017)
:
땅의. ㅎ[地]+ㅅ(관형격조사).
衆生이 샹녜 아매 주018)
아매:
아침에. 아[旦]+애(부사격조사).
各各 衣裓 주019)
의극(衣裓):
대나무로 만들어 꽃을 담는 데 쓰는 그릇. 산화(散花) 의식을 할 때 쓰는 기구이다.
으로【衣裓은 주020)
곶:
꽃. 곶[花/華].
담 그(르)시라 주021)
그시라:
그릇이다. 그[器]+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22)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고 주023)
고:
고운. 예쁜. -[麗]+(관형사형어미).
고 주024)
고:
꽃을. 곶[花]+(목적격조사).
다마 주025)
다마:
담아. 담-[盛]+아(연결어미).
他方 주026)
타방(他方):
다른 지방. 다른 세계.
十萬億佛을 供養 주027)
공양(供養):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 부처나 스승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
고 주028)
-고:
-하옵고. --+(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즉재 주029)
즉재:
즉시. 곧.
머 주030)
머:
먹을. 먹-[食]+(관형사형어미).
주031)
:
때에. [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믿나라해 주032)
믿나라해:
본래 나라에. 본국(本國)에. 밑[本]#나라ㅎ[國]+애(부사격조사).
도라와 주033)
도라와:
돌아와. 돌아와서. 돌-[還]+아(연결어미)#오-[來]+아(연결어미).

아미타경언해:9ㄴ

밥 먹고 두루 니 주034)
니니:
다니느니. 돌아다니느니. 니다〉니다〉다니다. -[走]#니[行]+(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舍利弗아 極樂國土ㅣ 주035)
이:
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티 주036)
티:
같이. -[如]+이(부사 파생접미사).
功德 주037)
공덕(功德):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름.
莊嚴 주038)
장엄(莊嚴):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하는 것을 이름.
이러 주039)
이러:
되어. 이루어져. 일-[成]+어(연결어미).
잇니라 주040)
잇니라:
있느니라.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또 사리불(舍利弗)아, 저 부처의 나라에는 언제나 하늘의 음악이 연주(演奏)되고, 황금(黃金)이 땅이 되고, 밤낮 여섯 때로【‘여섯때’는 낮이 셋, 밤이 셋이다.】 하늘의 만다라화(曼陀羅花)가 떨어지느니라. 그 땅의 중생(衆生)이 언제나 아침에 각각 의극(衣裓)에【‘의극(衣裓)’은 꽃을 담는 그릇이다.】 많은 고운 꽃을 담아 다른 세계[他方]의 십만억(十萬億) 부처를 공양(供養)하고, 곧 밥 먹을 때에 본국(本國)에 돌아와서, 밥을 먹고 두루 〈정원을〉 돌아다니느니라. 사리불아, 극락국토는 이와 같이 공덕(功德) 장엄(莊嚴)이 되어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02)
부텻:부처의. 부텨[彿]+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이다.
주003)
나라해:나라에. 나라에는.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4)
샹녜:늘. 항상. 언제나. 한자어 ‘상례(常例)’에서 온 말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자음동화된 표기인 ‘샹녜’로 나타난다.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주005)
풍류고:풍류(風流)하고. 음악이 연주(演奏)되고.
주006)
히:따이. ㅎ[地]+이(보격조사).
주007)
외오:되고. 오〉외오, 외-[爲]+고/오(연결어미). ‘-오’는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8)
밤낫:밤낮[晝夜]. ‘낮→낫’은 팔종성표기.
주009)
여슷:여섯[六].
주010)
로:때[時]로. [時]+로(부사격조사).
주011)
니:때[時]. 끼니.
주012)
세:셋[三].
주013)
세히라:셋이다. 세ㅎ[三]+이+라(종결어미).
주014)
하:하늘의. 하[天]+ㅅ(관형격조사).
주015)
만다라화(曼陀羅花):부처가 설법(說法)할 때나 여러 부처가 나타날 때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꽃의 이름. 빛깔이 아름답고 묘(妙)하여 보는 이의 마음에 열락(悅樂)을 느끼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016)
듣거든:떨어지거든. 내리거든. 떨어지는데. 듣-[落]+거든(연결어미).
주017)
:땅의. ㅎ[地]+ㅅ(관형격조사).
주018)
아매:아침에. 아[旦]+애(부사격조사).
주019)
의극(衣裓):대나무로 만들어 꽃을 담는 데 쓰는 그릇. 산화(散花) 의식을 할 때 쓰는 기구이다.
주020)
곶:꽃. 곶[花/華].
주021)
그시라:그릇이다. 그[器]+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22)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주023)
고:고운. 예쁜. -[麗]+(관형사형어미).
주024)
고:꽃을. 곶[花]+(목적격조사).
주025)
다마:담아. 담-[盛]+아(연결어미).
주026)
타방(他方):다른 지방. 다른 세계.
주027)
공양(供養):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 부처나 스승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
주028)
-고:-하옵고. --+(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29)
즉재:즉시. 곧.
주030)
머:먹을. 먹-[食]+(관형사형어미).
주031)
:때에. [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32)
믿나라해:본래 나라에. 본국(本國)에. 밑[本]#나라ㅎ[國]+애(부사격조사).
주033)
도라와:돌아와. 돌아와서. 돌-[還]+아(연결어미)#오-[來]+아(연결어미).
주034)
니니:다니느니. 돌아다니느니. 니다〉니다〉다니다. -[走]#니[行]+(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5)
이: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주036)
티:같이. -[如]+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37)
공덕(功德):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름.
주038)
장엄(莊嚴):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하는 것을 이름.
주039)
이러:되어. 이루어져. 일-[成]+어(연결어미).
주040)
잇니라:있느니라.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