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극락세계-칠보 연못
메뉴닫기 메뉴열기

극락세계-칠보 연못


舍利弗아 極樂國土애 有七寶池니 八功德水 充滿其中고 池底에 純以金沙로 布地고 四邊階道 金銀瑠璃玻瓈로 合成고 上有樓閣호 亦以

아미타경언해:7ㄴ

金銀瑠璃玻瓈硨磲赤珠碼𥔥로 而嚴飾之니 池中蓮華ㅣ 大如車輪호 靑色淸光이며 黃色黃光이며 赤色赤光이며 白色白光이라 微妙香潔니 舍利弗아 極樂國土ㅣ 成就如是功德莊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舍利弗 주001)
사리불(舍利弗):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전한다.
아 極樂國土애 七寶 주002)
칠보(七寶):
불교에서 이르는 일곱 종류의 보배(寶貝). 곧, 금(金)·은(銀)·유리(琉璃)·파려(玻瓈)·자거(硨磲)·적주(赤珠)·마노(瑪瑙) 등을 이른다.
모시 주003)
모시:
연못이. 못이. 못[池]+이(주격조사).
잇니 주004)
잇니:
있느니. 있는데.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八功德水 주005)
팔공덕수(八功德水):
팔공덕수(八功德水)가. 팔공덕수(八功德水)+∅(주격조사). ‘수(水)’의 동국정운 한자음이 ‘水(:)’여서 주격조사 자리에 ‘∅’이 실현되었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선행 체언의 말음이 ‘i’나 반모음 ‘j’인 경우 주격조사가 ‘∅’로 실현되었다. ‘팔공덕수’는 깨끗하고 맛이 단 것 등, 여덟 가지의 공덕을 갖추고 있는 물을 이른다.
中에 주006)
그 중(中)에:
그 중에. 여기서는 칠보(七寶) 못을 가리킨다.
고 주007)
고:
가득하고. -[滿]+고(연결어미).
미틔 주008)
미틔:
밑에. 바닥에. 밑[底]+의(부사격조사). ‘밑[底]’은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고 주009)
고:
고른. 고운. 고-[純])+ㄴ(관형사형어미).
金몰애로 주010)
금(金)몰애로:
금(金)모래로. 금(金)모래를. 금몰애[金沙]+로(도구 부사격조사).
해 주011)
해:
땅에.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오 주012)
오:
깔고. -[布]+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인 것이다. 이렇게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어서 연철하지 않았다.
주013)
네:
네. 네[四](수관형사).
주014)
:
가장자리. 가. [邊].
버길 주015)
버길:
섬돌 길을. 층계 길을. ‘버길’은 ‘버텅[階]+ㅅ(관형격조사)#길ㅎ[道]+(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金 銀 瑠璃 주016)
유리(瑠璃):
칠보(七寶)의 하나. 푸른 빛을 띤 보옥(寶玉)이다.

아미타경언해:8ㄱ

주017)
파려(玻瓈):
칠보(七寶)의 하나. 자색(紫色), 무색(無色), 홍색(紅色), 벽색(碧色) 등 4종이 있다. 파리(玻璃), 또는 수정(水晶)이라고도 한다.
뫼호아 주018)
뫼호아:
모아. 모아서. 뫼호-[合]+아(연결어미).
오 주019)
오:
만들고. -[成]+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인 것이다. 이렇게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어서 연철하지 않았다.
우희 주020)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樓閣 주021)
누각(樓閣):
사방이 탁 트이게 높이 지은 다락집.
이쇼 주022)
이쇼:
있되. 있는데. 이시-[有]+오/우(연결어미).
【閣 굴근 주023)
굴근:
굵은. 큰. 굵-[大]+은(관형사형어미).
지비라 주024)
지비라:
집이다. 집[家]+이+라(종결어미).
 金 銀 瑠璃 玻瓈 硨磲 주025)
자거(硨磲):
칠보(七寶)의 하나. 백산호. 조개 종류에서 얻을 수 있는 하얀 빛을 내는 보석.
赤珠 주026)
적주(赤珠):
칠보(七寶)의 하나. 붉은 색을 띤 진주.
碼𥔥 주027)
마노(碼𥔥):
칠보(七寶)의 하나. 석영(石英)의 일종으로 흰빛이나 붉은 빛이 나는데, 윤이 있고 아름다워서 장식품을 만드는데 쓴다.
싁싀기 주028)
싁싀기:
장엄하게. 엄숙하게. 싁싁()-[嚴]+이(부사파생 접미사).
몟니 주029)
몟니:
꾸미었느니. 꾸며 있느니. 미-[飾]+어#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모샛 주030)
모샛:
못에 있는. 못의. 못[池]+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蓮花ㅣ 주031)
연화(蓮花)ㅣ:
연꽃이. 부용화(芙蓉花)가. ‘ㅣ’는 주격조사.
주032)
킈:
크기가. 키가. 킈[大]+∅(주격조사).
술윗 주033)
술윗:
수레바퀴. 술위[車]+ㅅ(관형격 조사)#[輪]+∅(비교 부사격조사).
호 주034)
호:
같되. 갇-[如]+오/우(연결어미).
靑色靑光 주035)
청색청광(靑色靑光):
푸른 꽃에서 나는 푸른 광채.
이며 黃色黃光 주036)
황색황광(黃色黃光):
노란 꽃에서 나는 노란 광채.
이며 赤色赤光 주037)
적색적광(赤色赤光):
붉은 꽃에서 나는 붉은 광채.
이며 주038)
-이며:
-이며. -이(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白色白光 주039)
백색백광(白色白光):
흰 꽃에서 나는 흰 광채.
이라 주040)
-이라:
-이다. -이었다. -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微妙코 주041)
미묘(微妙)코:
미묘(微妙)하고. 미묘(微妙)-+고(연결어미).
香潔니 주042)
향결(香潔)니:
향결(香潔)하니. ‘향결(香潔)’은 향기(香氣)롭고 깨끗하다는 뜻이다.
【潔은 조씨라 주043)
조씨라:
깨끗한 것이다. 깨끗하다는 것이다. 조-[潔]+ㄹ씨라(종결어미).
舍利弗아 極樂國土ㅣ 이티 주044)
이티:
이와 같이. 이[是]+티(비교부사격조사).

아미타경언해:8ㄴ

功德 주045)
공덕(功德):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佛道)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름.
莊嚴 주046)
장엄(莊嚴):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하는 것을 이름.
이러 주047)
이러:
되어. 이루어져. 일-[成]+어(연결어미).
잇니라 주048)
잇니라:
있느니라. 잇-+(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또 사리불(舍利弗)아, 극락국토에는 칠보(七寶)의 못이 있느니라. 팔공덕수(八功德水)가 그 중에 가득하고, 못 밑[바닥]에 고른 금모래로[를] 땅에 깔고, 네 가장자리의 섬돌 길을 금(金)·은(銀)·유리(琉璃)·파려(玻瓈)로 모아서 만들고, 위에는 누각(樓閣)이 있다【‘각(閣)’은 큰 집이다.】 . 또 금(金)·은(銀)·유리(琉璃)·파려(玻瓈)·자거(硨磲)·적주(赤珠)·마노(瑪瑙)로 장엄(莊嚴)하게 꾸미었느니라. 못의 연꽃이 크기가 수레바퀴와 같되, 청색청광(靑色靑光)이며, 황색황광(黃色黃光)이며, 적색적광(赤色赤光)이며, 백색백광(白色白光)이었다. 미묘(微妙)하고 향결(香潔)하니【‘결(潔)’은 깨끗한 것이다.】 사리불아, 극락국토가 이와 같이 공덕(功德) 장엄(莊嚴)이 되어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리불(舍利弗):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전한다.
주002)
칠보(七寶):불교에서 이르는 일곱 종류의 보배(寶貝). 곧, 금(金)·은(銀)·유리(琉璃)·파려(玻瓈)·자거(硨磲)·적주(赤珠)·마노(瑪瑙) 등을 이른다.
주003)
모시:연못이. 못이. 못[池]+이(주격조사).
주004)
잇니:있느니. 있는데.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5)
팔공덕수(八功德水):팔공덕수(八功德水)가. 팔공덕수(八功德水)+∅(주격조사). ‘수(水)’의 동국정운 한자음이 ‘水(:)’여서 주격조사 자리에 ‘∅’이 실현되었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선행 체언의 말음이 ‘i’나 반모음 ‘j’인 경우 주격조사가 ‘∅’로 실현되었다. ‘팔공덕수’는 깨끗하고 맛이 단 것 등, 여덟 가지의 공덕을 갖추고 있는 물을 이른다.
주006)
그 중(中)에:그 중에. 여기서는 칠보(七寶) 못을 가리킨다.
주007)
고:가득하고. -[滿]+고(연결어미).
주008)
미틔:밑에. 바닥에. 밑[底]+의(부사격조사). ‘밑[底]’은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9)
고:고른. 고운. 고-[純])+ㄴ(관형사형어미).
주010)
금(金)몰애로:금(金)모래로. 금(金)모래를. 금몰애[金沙]+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11)
해:땅에.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012)
오:깔고. -[布]+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인 것이다. 이렇게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어서 연철하지 않았다.
주013)
네:네. 네[四](수관형사).
주014)
:가장자리. 가. [邊].
주015)
버길:섬돌 길을. 층계 길을. ‘버길’은 ‘버텅[階]+ㅅ(관형격조사)#길ㅎ[道]+(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6)
유리(瑠璃):칠보(七寶)의 하나. 푸른 빛을 띤 보옥(寶玉)이다.
주017)
파려(玻瓈):칠보(七寶)의 하나. 자색(紫色), 무색(無色), 홍색(紅色), 벽색(碧色) 등 4종이 있다. 파리(玻璃), 또는 수정(水晶)이라고도 한다.
주018)
뫼호아:모아. 모아서. 뫼호-[合]+아(연결어미).
주019)
오:만들고. -[成]+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뒤에서 ‘ㄱ’약화를 반영한 표기.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인 것이다. 이렇게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어서 연철하지 않았다.
주020)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1)
누각(樓閣):사방이 탁 트이게 높이 지은 다락집.
주022)
이쇼:있되. 있는데. 이시-[有]+오/우(연결어미).
주023)
굴근:굵은. 큰. 굵-[大]+은(관형사형어미).
주024)
지비라:집이다. 집[家]+이+라(종결어미).
주025)
자거(硨磲):칠보(七寶)의 하나. 백산호. 조개 종류에서 얻을 수 있는 하얀 빛을 내는 보석.
주026)
적주(赤珠):칠보(七寶)의 하나. 붉은 색을 띤 진주.
주027)
마노(碼𥔥):칠보(七寶)의 하나. 석영(石英)의 일종으로 흰빛이나 붉은 빛이 나는데, 윤이 있고 아름다워서 장식품을 만드는데 쓴다.
주028)
싁싀기:장엄하게. 엄숙하게. 싁싁()-[嚴]+이(부사파생 접미사).
주029)
몟니:꾸미었느니. 꾸며 있느니. 미-[飾]+어#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0)
모샛:못에 있는. 못의. 못[池]+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31)
연화(蓮花)ㅣ:연꽃이. 부용화(芙蓉花)가. ‘ㅣ’는 주격조사.
주032)
킈:크기가. 키가. 킈[大]+∅(주격조사).
주033)
술윗:수레바퀴. 술위[車]+ㅅ(관형격 조사)#[輪]+∅(비교 부사격조사).
주034)
호:같되. 갇-[如]+오/우(연결어미).
주035)
청색청광(靑色靑光):푸른 꽃에서 나는 푸른 광채.
주036)
황색황광(黃色黃光):노란 꽃에서 나는 노란 광채.
주037)
적색적광(赤色赤光):붉은 꽃에서 나는 붉은 광채.
주038)
-이며:-이며. -이(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주039)
백색백광(白色白光):흰 꽃에서 나는 흰 광채.
주040)
-이라:-이다. -이었다. -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41)
미묘(微妙)코:미묘(微妙)하고. 미묘(微妙)-+고(연결어미).
주042)
향결(香潔)니:향결(香潔)하니. ‘향결(香潔)’은 향기(香氣)롭고 깨끗하다는 뜻이다.
주043)
조씨라:깨끗한 것이다. 깨끗하다는 것이다. 조-[潔]+ㄹ씨라(종결어미).
주044)
이티:이와 같이. 이[是]+티(비교부사격조사).
주045)
공덕(功德):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佛道)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름.
주046)
장엄(莊嚴):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하는 것을 이름.
주047)
이러:되어. 이루어져. 일-[成]+어(연결어미).
주048)
잇니라:있느니라. 잇-+(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