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유통분(流通分)
  • 가르침을 듣고 기뻐하며 떠남
메뉴닫기 메뉴열기

가르침을 듣고 기뻐하며 떠남


佛說此經已야시 舍利弗와 及諸比丘와 一切世

아미타경언해:29ㄱ

間天人阿脩羅等이 聞佛所說고 歡喜信受 作禮而法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부톄 주001)
부톄:
부처께서. ‘부:톄’는 ‘부텨[佛體]’에 주격조사 ‘-ㅣ’가 통합되어 하강 이중모음을 이룬 예인데, 체언 말음절이 평성이므로 주격조사와 통합시 성조가 상성으로 바뀐다.
經을 주002)
경(經)을:
경(經)을. ‘이 경(經)’은 아미타경(阿彌陀經)을 가리킨다.
닐어시 주003)
닐어시:
이르시거늘. 니-[說]+어(확인법 선어말어미)+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연결어미). 연결어미 ‘-어’의 사이에 주제존대 선어말어미 ‘-시-’가 삽입된, 이른바 한 형태소 내부에 다른 형태소 삽입형이다.
舍利弗와 주004)
사리불(舍利弗)와:
사리불(舍利弗)과. ‘와’는 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모 주005)
모:
모든. 모[諸](관형사).
比丘 주006)
비구(比丘):
출가(出家)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僧侶)를 이른다. 비구승(比丘僧).
와 一切 世間앳 주007)
세간(世間)앳:
세간(世間)의. 세간(世間)에 있는. ‘-앳’는 ‘-애(처소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天人 주008)
천인(天人):
천상(天上)의 유정(有情)들과 인간(人間)의 유정(有情)들을 이르는 말.
阿脩羅 주009)
아수라(阿脩羅):
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鬼神)을 이름. 인도(印度)에서 가장 오래된 귀신의 하나이다.
히 주010)
아수라(阿脩羅)히:
아수라(阿脩羅)들이. ‘-히’는 ‘-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阿脩羅 하 주011)
하:
하늘이.
아니라 주012)
아니라:
아니라고.
논 주013)
논:
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디니 주014)
디니:
뜻이니. [意]+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福과 주015)
복(福)과:
복(福)과. ‘-과’는 접속조사.
힘과 주016)
힘과:
힘은. ‘-과’은 ‘-과(접속조사)+(보조사)’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접속조사가 마지막 체언의 다음에까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하콰 주017)
하콰:
하늘과. 하ㅎ[天]+과(공동 부사격조사).
토 주018)
토:
같되. -[如]+오/우(연결어미).
하 주019)
하:
하늘의. 하[天]+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뎌기 주020)
뎌기:
행적(行蹟)이. ‘뎍’은 ‘행적(行蹟)’의 정음 표기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뎍’으로 적혔다. 이로 미루어 당시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던 듯하다. ‘-이’는 주격조사.
업스니 주021)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조건을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어미).
嗔心 주022)
진심(嗔心):
성내는 마음.
주023)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젼라 주024)
젼라:
까닭이다. 젼[故]+라(종결어미).
부텻 주025)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관형격조사). ‘ㅅ’은 존대 자질을 가진 체언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니샤 주026)
니샤:
이르심을. 말씀하시는 것을. 니-[說]+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듣고 주027)
듣고:
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歡喜 주028)
환희(歡喜):
불법(佛法)을 듣고 신심(信心)을 얻음으로써 오는 마음의 기쁨.
야 주029)
환희(歡喜)야:
환희(歡喜)하여.
미더 주030)
미더:
믿어. 믿어서. 믿-[信]+어(연결어미).
받 주031)
받:
받아서. 받아. 받-[受]+(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禮數 주032)
예수(禮數):
공손(恭遜)한 마음으로 절을 하는 일을 이름.
고 주033)
예수(禮數)고:
예수(禮數)하고. ‘-고’는 ‘--+(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로 분석된다.
가니라 주034)
가니라:
가니라. 갔다. 가-[去]+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부처께서 이 경(經)을 이르시거늘 사리불(舍利弗)과 모든 비구(比丘)와 일체 세간(世間)의 천인(天人)과 아수라(阿脩羅)들이【‘아수라(阿脩羅)’는 하늘이 아니라고 하는 뜻이다. 복(福)과 힘[力]은 하늘과 같되 하늘의 행적(行蹟)이 없으니, 진심(嗔心)이 많은 까닭이다.】 부처의 이르심을 듣고, 환희(歡喜)하여 믿고 받아서 예수(禮數)한 후 가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부처께서. ‘부:톄’는 ‘부텨[佛體]’에 주격조사 ‘-ㅣ’가 통합되어 하강 이중모음을 이룬 예인데, 체언 말음절이 평성이므로 주격조사와 통합시 성조가 상성으로 바뀐다.
주002)
경(經)을:경(經)을. ‘이 경(經)’은 아미타경(阿彌陀經)을 가리킨다.
주003)
닐어시:이르시거늘. 니-[說]+어(확인법 선어말어미)+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연결어미). 연결어미 ‘-어’의 사이에 주제존대 선어말어미 ‘-시-’가 삽입된, 이른바 한 형태소 내부에 다른 형태소 삽입형이다.
주004)
사리불(舍利弗)와:사리불(舍利弗)과. ‘와’는 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5)
모:모든. 모[諸](관형사).
주006)
비구(比丘):출가(出家)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僧侶)를 이른다. 비구승(比丘僧).
주007)
세간(世間)앳:세간(世間)의. 세간(世間)에 있는. ‘-앳’는 ‘-애(처소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주008)
천인(天人):천상(天上)의 유정(有情)들과 인간(人間)의 유정(有情)들을 이르는 말.
주009)
아수라(阿脩羅):싸움을 일삼는 나쁜 귀신(鬼神)을 이름. 인도(印度)에서 가장 오래된 귀신의 하나이다.
주010)
아수라(阿脩羅)히:아수라(阿脩羅)들이. ‘-히’는 ‘-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1)
하:하늘이.
주012)
아니라:아니라고.
주013)
논: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14)
디니:뜻이니. [意]+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15)
복(福)과:복(福)과. ‘-과’는 접속조사.
주016)
힘과:힘은. ‘-과’은 ‘-과(접속조사)+(보조사)’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접속조사가 마지막 체언의 다음에까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17)
하콰:하늘과. 하ㅎ[天]+과(공동 부사격조사).
주018)
토:같되. -[如]+오/우(연결어미).
주019)
하:하늘의. 하[天]+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20)
뎌기:행적(行蹟)이. ‘뎍’은 ‘행적(行蹟)’의 정음 표기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뎍’으로 적혔다. 이로 미루어 당시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던 듯하다. ‘-이’는 주격조사.
주021)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조건을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어미).
주022)
진심(嗔心):성내는 마음.
주023)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주024)
젼라:까닭이다. 젼[故]+라(종결어미).
주025)
부텻:부처의. 부텨[佛]+ㅅ(관형격조사). ‘ㅅ’은 존대 자질을 가진 체언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26)
니샤:이르심을. 말씀하시는 것을. 니-[說]+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7)
듣고: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28)
환희(歡喜):불법(佛法)을 듣고 신심(信心)을 얻음으로써 오는 마음의 기쁨.
주029)
환희(歡喜)야:환희(歡喜)하여.
주030)
미더:믿어. 믿어서. 믿-[信]+어(연결어미).
주031)
받:받아서. 받아. 받-[受]+(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32)
예수(禮數):공손(恭遜)한 마음으로 절을 하는 일을 이름.
주033)
예수(禮數)고:예수(禮數)하고. ‘-고’는 ‘--+(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34)
가니라:가니라. 갔다. 가-[去]+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