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모든 부처의 증명으로 믿음을 권함
메뉴닫기 메뉴열기

모든 부처의 증명으로 믿음을 권함


아미타경언해:27ㄱ

舍利弗아 如我今者애 稱讚諸佛不可思議功德야 彼諸佛等도 亦稱讚我不可思議功德샤 而作是言샤 釋迦牟尼佛이 能爲甚難希有之事샤 能於娑婆國土五濁惡世劫濁見濁煩惱濁衆生濁命濁中에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샤 爲諸衆生샤 說是一切世間難信之法이라 시니라 舍利弗

아미타경언해:27ㄴ

아 當知라 我於五濁惡世예 行此難事야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야 爲一切世間야 說此難信之法이 是爲甚難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舍利弗 주001)
사리불(舍利弗):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전한다.
주002)
사리불(舍利弗)아:
사리불(舍利弗)아. 사리불(舍利弗)이여. ‘-아’는 호격조사.
주003)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어이므로 ‘거성(去聲)’이다.
이제 주004)
이제:
이제. 지금. 이제[今].
諸佛ㅅ 주005)
제불(諸佛)ㅅ:
제불(諸佛)의. 모든 부처의. ‘제불(諸佛)’이 존대의 자질을 가진 명사이므로 관형격조사로 ‘ㅅ’이 왔다.
不可思議 주006)
불가사의(不可思議):
불가사의(不可思議)한. ‘불가사의(不可思議)’는 말로 나타낼 수 없고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는 오묘(奧妙)한 이치나 가르침을 이른다. 인도인(印度人)의 수개념 중 가장 많은 수를 말하기도 한다.
功德 주007)
공덕(功德):
공덕(功德)을. ‘공덕(功德)’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른다.
일 주008)
일:
일컬어. 일-[稱]+(겸양법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讚歎 주009)
찬탄(讚歎):
깊이 감동하여 찬양한다는 뜻.
주010)
찬탄(讚歎)홈:
찬탄(讚歎)함. 찬탄(讚歎)한 것. ‘-홈’은 ‘--+옴/움(명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야 주011)
야:
같아서. -[如]+야(연결어미).
주012)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諸佛도 주013)
제불(諸佛)도:
제불(諸佛)도. 여러 부처도.
내 주014)
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관형격조사). 주어적 관형어에 이러한 중복이 나타나기도 한다.
不可思議 功德을 일라 주015)
일라:
일컬어. 말하여. 일-[稱]+아(연결어미).
讚歎샤 주016)
찬탄(讚歎)샤:
찬탄(讚歎)하시어. 찬탄(讚歎)-+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7)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18)
말:
말을. 말씀을. 말[言].
샤 주019)
샤:
하시되.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연결어미).
釋迦牟尼佛 주020)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 불교(佛敎)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甚히 주021)
심(甚)히:
심히. 매우.
 주022)
:
어려운. -[難]+은(관형사형어미).

아미타경언해:28ㄱ

希有 주023)
희유(希有):
희유(稀有)한. 드물게 있는. 드문. ‘-’은 ‘--+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이 주024)
이:
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잘샤 주025)
잘샤:
잘하시어. 잘하셔서. 잘-[能爲]+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娑婆國土 주026)
사바국토(娑婆國土):
중생이 갖가지 고통을 참고 견뎌야 하는 이 세상. 사바세계, 또는 탁세(濁世).
娑婆 주027)
사바(娑婆):
사바(娑婆)는. ‘사바(娑婆)’는 수고(受苦)를 겪는다는 뜻이다.
受苦 주028)
수고(受苦):
수고(受苦)를. ‘수고(受苦)’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겻다 주029)
겻다:
겪는다. 겪는다고. -[經]+(직설법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논 주030)
논:
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디라 주031)
디라:
뜻이다. [意]+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五濁惡世 주032)
오탁악세(五濁惡世):
다섯 가지의 더러움이 나타나 악(惡)한 일이 많은 세상을 이름.
劫濁 주033)
겁탁(劫濁):
사람의 수명(壽命)이 차례로 감(減)하여 기근(饑饉)과 질병(疾病)과 전쟁이 잇달아 닥치는 일을 이른다.
見濁 주034)
견탁(見濁):
말법(末法)의 시대에 이르러, 사견(邪見)과 사법(邪法)이 다투어 일어나서 부정(不淨)한 사상(事相)의 탁함이 넘쳐나는 일을 이름.
煩惱濁 주035)
번뇌탁(煩惱濁):
사람의 마음이 번뇌로 가득하여 흐려지는 일을 이름.
衆生濁 주036)
중생탁(衆生濁):
사람이 악한 행위만을 하여 인륜(人倫)과 도덕(道德)을 돌아보지 않고, 나쁜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는 일을 이름.
命濁 주037)
명탁(命濁):
사람의 수명(壽命)이 짧아서 백 년을 채우기 어려운 일을 이름.
中에 주038)
중(中)에:
중에. 가운데.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주039)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미혹(迷惑)함을 여의고 깨달음과 지혜(智慧)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眞相)을 모두 아는 부처의 경지(境地). 곧, 최상(最上)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得샤 주040)
득(得)샤:
득(得)하시어. 얻으시어. ‘-샤’는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衆生 주041)
중생(衆生):
부처의 구제(救濟)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爲샤 주042)
위(爲)샤:
위(爲)하시어. ‘-샤’는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43)
이:
이. 이러한. 이[是](지시관형사).
一切 주044)
일체(一切):
일체(一切)의. ‘일체(一切)’는 모든 것. 또는 온갖 것을 이른다.
世間 주045)
세간(世間):
중생(衆生)이 서로 의탁(依託)하며 살아가는 이 세상을 이르는 말.
주046)
세간(世間)애:
세간(世間)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
信호미 주047)
신(信)호미:
믿음이. 믿기가. 신(信)-+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어려 주048)
어려:
어려운. 어-[難]+은(관형사형어미).
주049)
법(法):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름.
니르시다 주050)
니르시다:
이르신다(고). 말씀하신다(고). 니-[說]+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시니라 주051)
시니라:
하셨느니라. -+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직설법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舍利弗아 알라 주052)
알라:
알아라. 알-[知]+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53)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어이므로 거성(去聲)이다.
五濁 惡世예 이 어

아미타경언해:28ㄴ

려 이 주054)
이:
일을. 일[事]+(목적격조사).
行야 주055)
행(行)야:
행(行)하여. ‘-야’는 ‘--+야(연결어미)’로 분석된다.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야 주056)
득(得)야:
득(得)하여. 얻어.
一切 주057)
일체(一切):
일체(一切)의.
世間 주058)
세간(世間):
세간(世間)을.
爲야 주059)
위(爲)야:
위(爲)하여.
信호미 어려 주060)
법(法):
법(法)을.
닐우미 주061)
닐우미:
이르는 것이. 말함이. 말하는 것이. 니-[說]+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니-’는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62)
이:
이. 이것이. 이[此]+∅(주격조사).
甚히 주063)
심(甚)히:
심히.
어려 고디라 주064)
고디라:
것이다. 바이다. 곧[所]+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리불아, 내가 이제 제불(諸佛)의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공덕(功德)을 일컬어 찬탄(讚歎)하는 것과 같이 저 제불(諸佛)도 나의 불가사의한 공덕을 일컬어 찬탄해서 이 말씀을 하셨다.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심히 어렵고, 드문[希有] 일을 잘하셔서 사바국토(裟婆國土)의【‘사바(裟婆)’는 수고(受苦)를 겪는다고 하는 뜻이다.】 오탁악세(五濁惡世)인 겁탁(劫濁), 견탁(見濁), 번뇌탁(煩惱濁), 중생탁(衆生濁), 명탁(命濁) 중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얻고, 중생(衆生)을 위하여 이 일체(一切)의 세간(世間)에서 믿기 어려운 법(法)을 이르신다.’고 하셨느니라. 사리불아, 알아라. “내가 오탁악세(五濁惡世)에서 이 어려운 일을 행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얻고, 일체의 세간을 위하여 믿기 어려운 법을 이르는 것이, 이것이 심(甚)히 어려운 바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리불(舍利弗):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전한다.
주002)
사리불(舍利弗)아:사리불(舍利弗)아. 사리불(舍利弗)이여. ‘-아’는 호격조사.
주003)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어이므로 ‘거성(去聲)’이다.
주004)
이제:이제. 지금. 이제[今].
주005)
제불(諸佛)ㅅ:제불(諸佛)의. 모든 부처의. ‘제불(諸佛)’이 존대의 자질을 가진 명사이므로 관형격조사로 ‘ㅅ’이 왔다.
주006)
불가사의(不可思議):불가사의(不可思議)한. ‘불가사의(不可思議)’는 말로 나타낼 수 없고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는 오묘(奧妙)한 이치나 가르침을 이른다. 인도인(印度人)의 수개념 중 가장 많은 수를 말하기도 한다.
주007)
공덕(功德):공덕(功德)을. ‘공덕(功德)’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른다.
주008)
일:일컬어. 일-[稱]+(겸양법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9)
찬탄(讚歎):깊이 감동하여 찬양한다는 뜻.
주010)
찬탄(讚歎)홈:찬탄(讚歎)함. 찬탄(讚歎)한 것. ‘-홈’은 ‘--+옴/움(명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11)
야:같아서. -[如]+야(연결어미).
주012)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13)
제불(諸佛)도:제불(諸佛)도. 여러 부처도.
주014)
내: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관형격조사). 주어적 관형어에 이러한 중복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015)
일라:일컬어. 말하여. 일-[稱]+아(연결어미).
주016)
찬탄(讚歎)샤:찬탄(讚歎)하시어. 찬탄(讚歎)-+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7)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18)
말:말을. 말씀을. 말[言].
주019)
샤:하시되.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연결어미).
주020)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 불교(佛敎)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주021)
심(甚)히:심히. 매우.
주022)
:어려운. -[難]+은(관형사형어미).
주023)
희유(希有):희유(稀有)한. 드물게 있는. 드문. ‘-’은 ‘--+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24)
이: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주025)
잘샤:잘하시어. 잘하셔서. 잘-[能爲]+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26)
사바국토(娑婆國土):중생이 갖가지 고통을 참고 견뎌야 하는 이 세상. 사바세계, 또는 탁세(濁世).
주027)
사바(娑婆):사바(娑婆)는. ‘사바(娑婆)’는 수고(受苦)를 겪는다는 뜻이다.
주028)
수고(受苦):수고(受苦)를. ‘수고(受苦)’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주029)
겻다:겪는다. 겪는다고. -[經]+(직설법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주030)
논: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31)
디라:뜻이다. [意]+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32)
오탁악세(五濁惡世):다섯 가지의 더러움이 나타나 악(惡)한 일이 많은 세상을 이름.
주033)
겁탁(劫濁):사람의 수명(壽命)이 차례로 감(減)하여 기근(饑饉)과 질병(疾病)과 전쟁이 잇달아 닥치는 일을 이른다.
주034)
견탁(見濁):말법(末法)의 시대에 이르러, 사견(邪見)과 사법(邪法)이 다투어 일어나서 부정(不淨)한 사상(事相)의 탁함이 넘쳐나는 일을 이름.
주035)
번뇌탁(煩惱濁):사람의 마음이 번뇌로 가득하여 흐려지는 일을 이름.
주036)
중생탁(衆生濁):사람이 악한 행위만을 하여 인륜(人倫)과 도덕(道德)을 돌아보지 않고, 나쁜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는 일을 이름.
주037)
명탁(命濁):사람의 수명(壽命)이 짧아서 백 년을 채우기 어려운 일을 이름.
주038)
중(中)에:중에. 가운데.
주039)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미혹(迷惑)함을 여의고 깨달음과 지혜(智慧)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眞相)을 모두 아는 부처의 경지(境地). 곧, 최상(最上)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주040)
득(得)샤:득(得)하시어. 얻으시어. ‘-샤’는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41)
중생(衆生):부처의 구제(救濟)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042)
위(爲)샤:위(爲)하시어. ‘-샤’는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43)
이:이. 이러한. 이[是](지시관형사).
주044)
일체(一切):일체(一切)의. ‘일체(一切)’는 모든 것. 또는 온갖 것을 이른다.
주045)
세간(世間):중생(衆生)이 서로 의탁(依託)하며 살아가는 이 세상을 이르는 말.
주046)
세간(世間)애:세간(世間)에. ‘-애’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7)
신(信)호미:믿음이. 믿기가. 신(信)-+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48)
어려:어려운. 어-[難]+은(관형사형어미).
주049)
법(法):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름.
주050)
니르시다:이르신다(고). 말씀하신다(고). 니-[說]+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주051)
시니라:하셨느니라. -+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직설법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주052)
알라:알아라. 알-[知]+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53)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어이므로 거성(去聲)이다.
주054)
이: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주055)
행(行)야:행(行)하여. ‘-야’는 ‘--+야(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56)
득(得)야:득(得)하여. 얻어.
주057)
일체(一切):일체(一切)의.
주058)
세간(世間):세간(世間)을.
주059)
위(爲)야:위(爲)하여.
주060)
법(法):법(法)을.
주061)
닐우미:이르는 것이. 말함이. 말하는 것이. 니-[說]+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니-’는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62)
이:이. 이것이. 이[此]+∅(주격조사).
주063)
심(甚)히:심히.
주064)
고디라:것이다. 바이다. 곧[所]+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