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아미타불을 일심으로 부르면 극락왕생함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미타불을 일심으로 부르면 극락왕생함


舍利弗아 不可以少善根福德因緣로 得生彼國니 舍利弗아 若有善男子善女人이 聞說阿彌陀佛고 執持名號 若一日若二日若三日若四日若五日若六日若七日이어나 一心不亂면 其人이 臨命終時예 阿彌陀佛이 與諸聖衆로 現

아미타경언해:17ㄱ

在其前시리니 是人終時예 心不顚倒야 卽得往生阿彌陀佛極樂國土리니 舍利弗아 我見是利 故說此言노니 若有衆生이 聞是說者 應當 發願生彼國土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舍利弗 주001)
사리불(舍利弗):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전한다.
주002)
사리불(舍利弗)아:
사리불(舍利弗)아. 사리불(舍利弗)이여. ‘-아’는 호격조사.
죠고맛 주003)
죠고맛:
조그마한. 죠고맛[少](관형사).
善根 주004)
선근(善根):
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또는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이 되는 것.
福德 주005)
복덕(福德):
타고난 복과 후(厚)한 마음.
因緣 주006)
인연(因緣):
결과를 내는 직접적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 원인인 연(緣)을 이름.
으로 주007)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나라해 주008)
나라해:
나라에.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는 ‘극락정토(極樂淨土)’를 가리킨다.
나디 주009)
나디:
나지. 태어나지. 나-[生]+디(연결어미).
몯니 주010)
몯니:
못하느니. 몯-[不可]+(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舍利弗아 다가 주011)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善男子 주012)
선남자(善男子):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善女人 주013)
선여인(善女人):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
【善男子 이든 주014)
이든:
착한. 어진. 읻-[善]+은(관형사형어미).
남지니오 주015)
남지니오:
사내이고. 남자이고. 남진[男人]+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善女人은 이든 겨지비라 주016)
겨지비라:
겨집이다. 여자이다. 겨집[女]+이+라.

아미타경언해:17ㄴ

彌陀佛 닐오 주017)
닐오:
말함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듣고 주018)
듣고:
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일후믈 주019)
일후믈:
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디니 주020)
디니:
지니어. 디니-[持]+(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리어나 주021)
리어나:
하루이거나. [一日]+ㅣ(서술격조사)+거(확인법 선어말어미)+나(연결어미). ‘-어-’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이트리어나 주022)
이트리어나:
이틀이거나. 이틀[二日]
사리어나 주023)
사리어나:
사흘이거나. 사[三日].
나리어나 주024)
나리어나:
나흘이거나. 나[四日].
다쐐어나 주025)
다쐐어나:
닷새이거나. 다쐐[五日].
여쐐어나 주026)
여쐐어나:
엿새이거나. 여쐐[六日].
닐웨어나 주027)
닐웨어나:
이레이거나. 닐웨[七日].
주028)
:
한. 같은. 한결같은.
로 주029)
로:
마음으로. 마[心]+로(부사격조사).
섯디 주030)
섯디:
섞지. 어지럽지. 흔들리지. -[亂]+디(연결어미).
아니면 주031)
아니면:
아니하면.
주032)
그:
그[其](지시관형사).
사미 주033)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마 주034)
마:
장차. 이미. 벌써.
命終 주035)
명종(命終):
명종(命終)할. 죽을.
주036)
쩨:
때에. 적에. 쩨[時]+∅(처소부사격조사).
阿彌陀佛 주037)
아미타불(阿彌陀佛):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고도 하며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요한 부처 중 하나이다.
聖衆 주038)
성중(聖衆):
극락 정토의 아미타불과 모든 보살·성자(聖者)들을 이름.
콰로 주039)
성중(聖衆)콰로:
성중(聖衆)들과. 성중(聖衆)들과 함께. ‘-콰로’는 ‘-ㅎ(복수접미사)+과(공동 부사격조사)+로(도구 부사격조사).’
알 주040)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41)
와:
와서. 오-[來]+아(연결어미).
뵈시리니 주042)
뵈시리니:
보이실 것이니. 보-[見]+ㅣ(사동접미사)+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43)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사 주044)
사:
사람이.
命終 주045)
명종(命終):
명종(命終)할. ‘-’은 ‘--+ㅭ(관형사형어미).’
주046)
제:
제. 적에. 때에. 제[時]++∅(처소부사격조사).
미 주047)
미:
마음이. [心]+이(주격조사).
가디 주048)
가디:
거꾸러지지. 가-[顚倒]+디(연결어미). 연결어미 ‘-디’의 /ㄷ/ 앞에서 /ㄹ/탈락 표기.
아니야 주049)
아니야:
아니하여.
즉재 주050)
즉재:
즉시. 곧.
阿彌陀佛 極樂國土애 주051)
가:
가서. 가-[往]+아(연결어미).
나리니 주052)
나리니:
날 것이니. 태어날 것이니. 나-[生]+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舍利弗

아미타경언해:18ㄱ

주053)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거성(去聲).
이런 주054)
이런:
이러한.
利 주055)
이(利):
이익(利益)을. 이득(利得)을. ‘-’은 목적격조사.
볼 주056)
볼:
보므로. 볼새. 보-[見]+ㄹ(연결어미).
주057)
이:
이[此](지시관형사).
마 주058)
마:
말을. 말[說]+(목적격조사).
노니 주059)
노니:
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衆生이 이 말 드르니 주060)
드르니:
들은 이는. 듣-[聞]+은#이[者]+(보조사).
뎌 나라해 나고져 주061)
나고져:
나고자. 나-[生]+고져(의도형어미).
發願 주062)
발원(發願):
원구(願救)하는 마음을 내는 것. 또는 수행(修行)을 게을리하지 않고, 반드시 증과(證果)에 이르려고 하는 서원(誓願)을 세우는 것.
디니라 주063)
디니라:
-할 것이니라. -할지니라. --+오/우+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리불(舍利弗)아, 조그마한 선근(善根), 복덕(福德), 인연(因緣)으로는 저 나라[極樂淨土]에 태어나지 못하느니라. 사리불아, 만약에 선남자(善男子)와 선여인(善女人)이【‘선남자(善男子)’는 좋은 남자이고, ‘선여인(善女人)’은 좋은 여자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이 이르는 것을 듣고 이름을 지니어 〈불러서〉, 하루이거나 이틀이거나 사흘이거나 나흘이거나 닷새이거나 엿새이거나 이레이거나 한
(=한결같은)
마음으로 섞지
(=흔들리지)
아니하면, 그 사람이 〈누구든〉 장차 죽을 때 아미타불(阿彌陀佛)이 성중(聖衆)들과 〈함께〉 앞에 와 보이실 것이니라. 이 사람이 죽을 때 마음이 거꾸러지지
(=흐트러지지)
아니하여 즉시 아미타불의 극락국토(極樂國土)에 가서 태어날 것이다. 사리불아, 내가 이런 이익(利益)을 보므로 이 말을 하느니, 중생(衆生)이 이 말을 들은 이는 저 나라(극락국토)에 태어나고자 발원(發願)할지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리불(舍利弗):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수행 정진(修行精進)과 교화(敎化)가 뛰어났다고 전한다.
주002)
사리불(舍利弗)아:사리불(舍利弗)아. 사리불(舍利弗)이여. ‘-아’는 호격조사.
주003)
죠고맛:조그마한. 죠고맛[少](관형사).
주004)
선근(善根):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또는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이 되는 것.
주005)
복덕(福德):타고난 복과 후(厚)한 마음.
주006)
인연(因緣):결과를 내는 직접적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 원인인 연(緣)을 이름.
주007)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08)
나라해:나라에.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는 ‘극락정토(極樂淨土)’를 가리킨다.
주009)
나디:나지. 태어나지. 나-[生]+디(연결어미).
주010)
몯니:못하느니. 몯-[不可]+(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1)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12)
선남자(善男子):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주013)
선여인(善女人):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
주014)
이든:착한. 어진. 읻-[善]+은(관형사형어미).
주015)
남지니오:사내이고. 남자이고. 남진[男人]+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16)
겨지비라:겨집이다. 여자이다. 겨집[女]+이+라.
주017)
닐오:말함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18)
듣고: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19)
일후믈: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주020)
디니:지니어. 디니-[持]+(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21)
리어나:하루이거나. [一日]+ㅣ(서술격조사)+거(확인법 선어말어미)+나(연결어미). ‘-어-’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22)
이트리어나:이틀이거나. 이틀[二日]
주023)
사리어나:사흘이거나. 사[三日].
주024)
나리어나:나흘이거나. 나[四日].
주025)
다쐐어나:닷새이거나. 다쐐[五日].
주026)
여쐐어나:엿새이거나. 여쐐[六日].
주027)
닐웨어나:이레이거나. 닐웨[七日].
주028)
:한. 같은. 한결같은.
주029)
로:마음으로. 마[心]+로(부사격조사).
주030)
섯디:섞지. 어지럽지. 흔들리지. -[亂]+디(연결어미).
주031)
아니면:아니하면.
주032)
그:그[其](지시관형사).
주033)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34)
마:장차. 이미. 벌써.
주035)
명종(命終):명종(命終)할. 죽을.
주036)
쩨:때에. 적에. 쩨[時]+∅(처소부사격조사).
주037)
아미타불(阿彌陀佛):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고도 하며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요한 부처 중 하나이다.
주038)
성중(聖衆):극락 정토의 아미타불과 모든 보살·성자(聖者)들을 이름.
주039)
성중(聖衆)콰로:성중(聖衆)들과. 성중(聖衆)들과 함께. ‘-콰로’는 ‘-ㅎ(복수접미사)+과(공동 부사격조사)+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40)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41)
와:와서. 오-[來]+아(연결어미).
주042)
뵈시리니:보이실 것이니. 보-[見]+ㅣ(사동접미사)+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43)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44)
사:사람이.
주045)
명종(命終):명종(命終)할. ‘-’은 ‘--+ㅭ(관형사형어미).’
주046)
제:제. 적에. 때에. 제[時]++∅(처소부사격조사).
주047)
미:마음이. [心]+이(주격조사).
주048)
가디:거꾸러지지. 가-[顚倒]+디(연결어미). 연결어미 ‘-디’의 /ㄷ/ 앞에서 /ㄹ/탈락 표기.
주049)
아니야:아니하여.
주050)
즉재:즉시. 곧.
주051)
가:가서. 가-[往]+아(연결어미).
주052)
나리니:날 것이니. 태어날 것이니. 나-[生]+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53)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거성(去聲).
주054)
이런:이러한.
주055)
이(利):이익(利益)을. 이득(利得)을. ‘-’은 목적격조사.
주056)
볼:보므로. 볼새. 보-[見]+ㄹ(연결어미).
주057)
이:이[此](지시관형사).
주058)
마:말을. 말[說]+(목적격조사).
주059)
노니: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60)
드르니:들은 이는. 듣-[聞]+은#이[者]+(보조사).
주061)
나고져:나고자. 나-[生]+고져(의도형어미).
주062)
발원(發願):원구(願救)하는 마음을 내는 것. 또는 수행(修行)을 게을리하지 않고, 반드시 증과(證果)에 이르려고 하는 서원(誓願)을 세우는 것.
주063)
디니라:-할 것이니라. -할지니라. --+오/우+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