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극락왕생을 발원
메뉴닫기 메뉴열기

극락왕생을 발원


아미타경언해:26ㄱ

舍利弗아 若有人이 已發願커나 今發願커나 當發願커나 欲生阿彌陀佛國者 是諸人等이 皆得不退轉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야 於彼國土애 若已生커나 若今生커나 若當生리라 是故로 舍利弗아 諸善男子善女人이 若有信者ㅣ어든 應當發願生彼國土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舍利弗다가 주001)
다가:
만약. 만일. 다가[若](부사).
사미 주002)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쎠 주003)
쎠:
벌써. 이미. 쎠[已](부사).
發願커나 주004)
발원(發願)커나:
발원(發願)하거나. ‘-커나’는 ‘-거나’의 축약형.
이제 發願 주005)
발원(發願):
원구(願救)하는 마음을 내는 것. 또는 수행(修行)을 게을리 하지 않고, 반드시 증과(證果)에 이르려고 하는 서원(誓願)을 세우는 것.
커나  주006)
:
장차. 앞으로. ‘쟝’는 ‘장차(將次)’의 정음 표기인데, 훈민정음 초기문헌부터 주로 ‘쟝’로 쓰였다.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던 듯하다.
發願커

아미타경언해:26ㄴ

阿彌陀佛國 주007)
아미타국(阿彌陀佛國):
아미타(阿彌陀) 부처의 세계. 곧, 극락세계(極樂世界).
에 나고져 주008)
:
하는. -+ᇙ(관형사형어미).
사 주009)
사:
사람은. 사[人]+(보조사).
주010)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모 주011)
모:
모든. 모[諸](관형사).
사히 주012)
사히:
사람들이. 사[人]+ㅎ[等](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13)
다:
다. 모두. 다[皆](부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주014)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미혹(迷惑)함을 여의고 깨달음과 지혜(智慧)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眞相)을 모두 아는 부처의 경지(境地). 곧, 최상(最上)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주015)
-예:
-에. 선행어의 끝음절 ‘뎨[提]’의 말음이 [j]이므로 처소부사격조사로 ‘-예’가 왔다.
므르디 주016)
므르디:
물러나지. 므르-[退]+디(보조적연결어미).
아니야 주017)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연결어미).
주018)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나라해 쎠 나거나 이제 나거나  나거나 리라 주019)
리라:
할 것이다. 하리라. -+리(추측법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이럴 주020)
이럴:
이러므로. 이러하므로. 이러()-+ㄹ(연결어미).
舍利弗아 善男子 善女人이 信리 주021)
신(信)리:
믿을 이가. 믿는 이가. 신(信)-+ㄹ(관형사형어미)+이[者](의존명사)+∅(주격조사).
잇거든 주022)
잇거든:
있거든. 있으면. 잇-[有]+거든(연결어미).
주023)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나라해 주024)
나라해:
나라에.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는 극락국토(極樂國土)를 이른다.
나고져 주025)
나고져:
나고자. 태어나고자. 나[生]+고져(의도형 연결어미).
發願디니라 주026)
디니라:
-할지니라. -할 것이니라. --+오/우(선어말어미)+ᇙ(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벌써 발원(發願)하였거나, 이제 발원(發願)하거나, 장차 발원(發願)하려고 하거나, 아미타불국(阿彌陀佛國)에 나고자 하는 사람은, 이 모든 사람들이 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에서 물러나지 아니하여, 저 나라
(세계)
에 벌써 났거나 이제 나거나 장차 나거나 할 것이다. 이러므로 사리불아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善女人) 〈중에〉 믿는 이가 있거든 저 나라
(극락국토)
에서 나고자 발원(發願)할지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약. 만일. 다가[若](부사).
주002)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03)
쎠:벌써. 이미. 쎠[已](부사).
주004)
발원(發願)커나:발원(發願)하거나. ‘-커나’는 ‘-거나’의 축약형.
주005)
발원(發願):원구(願救)하는 마음을 내는 것. 또는 수행(修行)을 게을리 하지 않고, 반드시 증과(證果)에 이르려고 하는 서원(誓願)을 세우는 것.
주006)
:장차. 앞으로. ‘쟝’는 ‘장차(將次)’의 정음 표기인데, 훈민정음 초기문헌부터 주로 ‘쟝’로 쓰였다.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던 듯하다.
주007)
아미타국(阿彌陀佛國):아미타(阿彌陀) 부처의 세계. 곧, 극락세계(極樂世界).
주008)
:하는. -+ᇙ(관형사형어미).
주009)
사:사람은. 사[人]+(보조사).
주010)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11)
모:모든. 모[諸](관형사).
주012)
사히:사람들이. 사[人]+ㅎ[等](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13)
다:다. 모두. 다[皆](부사).
주014)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미혹(迷惑)함을 여의고 깨달음과 지혜(智慧)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眞相)을 모두 아는 부처의 경지(境地). 곧, 최상(最上)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주015)
-예:-에. 선행어의 끝음절 ‘뎨[提]’의 말음이 [j]이므로 처소부사격조사로 ‘-예’가 왔다.
주016)
므르디:물러나지. 므르-[退]+디(보조적연결어미).
주017)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연결어미).
주018)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19)
리라:할 것이다. 하리라. -+리(추측법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20)
이럴:이러므로. 이러하므로. 이러()-+ㄹ(연결어미).
주021)
신(信)리:믿을 이가. 믿는 이가. 신(信)-+ㄹ(관형사형어미)+이[者](의존명사)+∅(주격조사).
주022)
잇거든:있거든. 있으면. 잇-[有]+거든(연결어미).
주023)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24)
나라해:나라에.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는 극락국토(極樂國土)를 이른다.
주025)
나고져:나고자. 태어나고자. 나[生]+고져(의도형 연결어미).
주026)
디니라:-할지니라. -할 것이니라. --+오/우(선어말어미)+ᇙ(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