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서분(序分)
  • 가르침에 모인 청중-보살마하살 등
메뉴닫기 메뉴열기

가르침에 모인 청중-보살마하살 등


아미타경언해:4ㄱ

幷諸菩薩摩訶薩文殊師利法王子와 阿逸多菩薩와 乾陀訶提菩薩와 常精進菩薩와 興如是等諸大菩薩와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
또. [又].
菩薩摩訶薩 주002)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
마하살(摩訶薩)은 큰 보살, 또는 대성인(大聖人)을 가리키므로,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행(菩薩行)을 닦아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지덕(智德)이 높은 보살의 총칭이다.
文殊師利 주003)
문수사리(文殊師利):
대승보살(大乘菩薩).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이 되어 나타나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자리하여 지혜를 맡는다.

아미타경언해:4ㄴ

法王子 주004)
법왕자(法王子):
보살(菩薩)을 이른다. 부처를 법왕(法王)이라고 하는 데 대해 미래에 부처가 될 자리에 있다고 하여 보살(菩薩)을 법왕자라고 한다. 좁은 의미로는 문수(文殊)·미륵(彌勒) 등의 보살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摩訶 주005)
마하(摩訶):
Mah󰐀. 흔히 ‘대(大)’로 번역한다. ‘대(大)·다(多)·승(勝)’ 등 세 가지의 뜻이 있다. 보통은 ‘위대함, 뛰어남, 불가사의(不可思議)함’ 등의 뜻으로 쓰인다.
클씨니 주006)
클씨니:
큰 것이니. 크다고 하는 것이니. ‘ㄹ씨니’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가 문법화(어미화)한 것이다.
菩薩 주007)
보살(菩薩):
성불(成佛)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곧,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이다.
摩訶薩 菩薩ㅅ 中에 큰 菩薩이라 文殊師利 微妙 德이라 논 주008)
논:
하는.
마리라 주009)
마리라:
말이다. 말[語]+이+라(종결어미).
法王子 佛子 주010)
불자(佛子):
불교의 신자. 곧, 불제자(佛弟子)를 이른다.
ㅣ라 주011)
-ㅣ라:
-이다 (라고). -이라고.
호미 주012)
호미:
함과. -+옴/움(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니라 주013)
니라:
같으니라. -[如]+니라(종결어미).
阿逸多菩薩 주014)
아일다보살(阿逸多菩薩):
미륵보살(彌勒菩薩)을 이름. 미래에 성불(成佛)할 것이라는 수기(授記)를 받고 도솔천(兜率天)에 올라가서 천인(天人)들을 교화(敎化)하고 있다는 보살이다. ‘아일다(阿逸多)’는 가장 수승(殊勝)하다는 뜻이다.
乾陀訶提菩薩 주015)
건다하제보살(乾陀訶提菩薩):
현겁(賢劫) 16존(尊) 중의 하나. 금강계(金剛界) 외원(外院)에 있는 방단(方壇) 남쪽의 네 존상(尊像) 중에서 첫 번째에 있는 보살을 이른다. 향상보살(香象菩薩), 불가식보살(不可息菩薩) 등으로도 부른다.
常精進菩薩 주016)
상정진보살(常精進菩薩):
현겁(賢劫) 16존(尊) 중의 하나. 언제나 정진(精進)에 힘을 써서 붙여진 이름이다. 남방(南方) 4존(尊) 중 제2위의 보살으로 대정진보살(大精進菩薩)이라고도 한다.
이러틋 주017)
이러:
이러하듯 한. 이와 같은. ‘이러-+듯(연결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 축약형이다.
큰 菩薩콰 주018)
-콰:
-들과. -ㅎ(복수 접미사)+과(공동 부사격조사).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또,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인 문수사리(文殊師利) 법왕자(法王子)와【‘마하(摩訶)’는 크다는 것[뜻]이니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菩薩) 중에서 큰 보살이다. ‘문수사리(文殊師利)’는 미묘(微妙)한 덕(德)이라고 하는 말이다. ‘법왕자(法王子)’는 불자(佛子)라고 함과 같은 것이다.】 아일다보살(阿逸多菩薩)과 건다하제보살(乾陀訶提菩薩)과 상정진보살(常精進菩薩)과 이와 같은 큰 보살(菩薩)들과도 〈함께 있으셨다.〉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又].
주002)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마하살(摩訶薩)은 큰 보살, 또는 대성인(大聖人)을 가리키므로,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행(菩薩行)을 닦아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지덕(智德)이 높은 보살의 총칭이다.
주003)
문수사리(文殊師利):대승보살(大乘菩薩).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이 되어 나타나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자리하여 지혜를 맡는다.
주004)
법왕자(法王子):보살(菩薩)을 이른다. 부처를 법왕(法王)이라고 하는 데 대해 미래에 부처가 될 자리에 있다고 하여 보살(菩薩)을 법왕자라고 한다. 좁은 의미로는 문수(文殊)·미륵(彌勒) 등의 보살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주005)
마하(摩訶):Mah󰐀. 흔히 ‘대(大)’로 번역한다. ‘대(大)·다(多)·승(勝)’ 등 세 가지의 뜻이 있다. 보통은 ‘위대함, 뛰어남, 불가사의(不可思議)함’ 등의 뜻으로 쓰인다.
주006)
클씨니:큰 것이니. 크다고 하는 것이니. ‘ㄹ씨니’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가 문법화(어미화)한 것이다.
주007)
보살(菩薩):성불(成佛)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곧,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이다.
주008)
논:하는.
주009)
마리라:말이다. 말[語]+이+라(종결어미).
주010)
불자(佛子):불교의 신자. 곧, 불제자(佛弟子)를 이른다.
주011)
-ㅣ라:-이다 (라고). -이라고.
주012)
호미:함과. -+옴/움(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주013)
니라:같으니라. -[如]+니라(종결어미).
주014)
아일다보살(阿逸多菩薩):미륵보살(彌勒菩薩)을 이름. 미래에 성불(成佛)할 것이라는 수기(授記)를 받고 도솔천(兜率天)에 올라가서 천인(天人)들을 교화(敎化)하고 있다는 보살이다. ‘아일다(阿逸多)’는 가장 수승(殊勝)하다는 뜻이다.
주015)
건다하제보살(乾陀訶提菩薩):현겁(賢劫) 16존(尊) 중의 하나. 금강계(金剛界) 외원(外院)에 있는 방단(方壇) 남쪽의 네 존상(尊像) 중에서 첫 번째에 있는 보살을 이른다. 향상보살(香象菩薩), 불가식보살(不可息菩薩) 등으로도 부른다.
주016)
상정진보살(常精進菩薩):현겁(賢劫) 16존(尊) 중의 하나. 언제나 정진(精進)에 힘을 써서 붙여진 이름이다. 남방(南方) 4존(尊) 중 제2위의 보살으로 대정진보살(大精進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17)
이러:이러하듯 한. 이와 같은. ‘이러-+듯(연결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 축약형이다.
주018)
-콰:-들과. -ㅎ(복수 접미사)+과(공동 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