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서분(序分)
  • 가르침에 모인 청중-대아라한 등
메뉴닫기 메뉴열기

가르침에 모인 청중-대아라한 등


아미타경언해:2ㄴ

皆是大阿羅漢앳 衆所知識논 長老舍利弗와 摩訶目犍連과 摩訶迦葉과 摩訶迦旃延과 摩訶俱絺羅와 離婆多와 周利槃陁伽와 難陁와 阿難陁와 羅睺羅와 憍梵波提와 賓頭盧頗羅墮와 迦樓

아미타경언해:3ㄱ

陀夷와 摩訶劫賓那와 薄拘羅와 阿㝹樓馱와 如是等諸大弟子와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다:
다. 모두. 다[皆].
大阿羅漢 주002)
대아라한(大阿羅漢):
아라한(阿羅漢) 중에서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은 이를 이름.
주003)
-앳:
-의. -에 있는. ‘앳’은 ‘애(처소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통합형으로 조사의 상호결합형이다.
**【大 클씨라 주004)
클씨라:
큰 것이다. 크-[大]+ㄹ씨라(종결어미). ‘-ㄹ씨라’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가 문법화한 것이다.
阿羅漢 주005)
아라한(阿羅漢):
소승(小乘)의 교법(敎法)을 수행하는 성문(聲聞) 4과(果) 중 가장 윗자리에 있는 이를 이름. 응공(應供). 또는 살적(殺賊)이라고도 한다.
 殺賊이라 주006)
혼:
하는. +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디니 주007)
디니:
뜻이니. [意]+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殺 주길씨니 주008)
주길씨니:
죽이는 것이니. 죽-[殺]+이(사동접미사)+ㄹ씨니(연결어미). ‘-ㄹ씨니’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가 문법화한 것이다.
煩惱 주009)
번뇌(煩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름.
盜賊 주010)
도적(盜賊):
도둑.
주길씨라 주011)
주길씨라:
죽이는 것이다.
 不生이라 니 주012)
니:
하느니. 하니. -[爲]+(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나디 주013)
나디:
나지. 태어나지. 나[生]+디(연결어미).
아니탓 주014)
아니탓:
아니하다는. 아니한다고 하는. 아니-+다+ㅅ(관형격표지). 여기서의 관형격표지 ‘ㅅ’은 동격관형절에서 간접 인용된 말을 관형어로 사용할 경우에 쓰이는 형태소이다.
디니 외야 주015)
외야:
다시. 다시는. 외야[更].
生死ㅅ 果報 주016)
과보(果報):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줄임말. ‘인과응보(因果應報)’는 과거(過去)나 전생(前生)의 선악(善惡)·인연(因緣)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타나디 주017)
타나디:
타고나지. 태어나지. 타나-[出/生]+디(연결어미).
아니씨라 주018)
아니씨라:
아니하는 것이다.
應供 주019)
응공(應供):
응수공양(應受供養)의 줄임말. 온갖 번뇌(煩惱)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의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덕(德)이 있는 이를 이른다.
이라 니 應 맛당씨니 주020)
맛당씨니:
마땅한 것이니. 마땅하다는 것이니. 맛-[應]+ㄹ씨니(연결어미).
人天ㅅ 주021)
인천(人天)ㅅ:
인천(人天)의. 사람과 하늘의. ‘ㅅ’은 무정물 명사 뒤에 오는 관형격조사. ‘인천(人天)’은 인간계(人間界)와 천상계(天上界)의 중생을 이른다.
供養 주022)
공양(供養):
부처나 스승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
바도미 주023)
바도미:
받음이. 받-[被奉]+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맛당타 주024)
맛당타:
마땅하다(고). ‘맛다’의 축약형.
논 주025)
논:
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마리라 주026)
마리라:
말이다. 말[語]+이(서술격조사)+다(종결어미).
모다 주027)
모다:
모두. 다. 모다[衆].
아논 주028)
아논:
아는. 알-[識]+(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長老 주029)
장로(長老):
선종(禪宗)에서 지혜가 뛰어나고 도덕이 빼어난 절의 주지나 화상(和尙)을 높여서 일컫는 말.
舍利弗 주030)
사리불(舍利弗):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長老 주031)
덕(德):
윤리적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
놉고 주032)
놉고:
높고. 높-[高]+고(연결어미).
나히 주033)
나히:
나이가. 나ㅎ[齡]+이(주격조사).
늘글씨라 주034)
늘글씨라:
늙은 것이다. (나이가) 많은 것이다. 늙-[老]+을(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摩訶 주035)
마하(摩訶):
Mah󰐀. 흔히 ‘대(大)’로 번역한다. 〈지도론(智度論)〉에서는 ‘대(大)·다(多)·승(勝)’ 등 세 가지 뜻이 있다고 한다. 보통은 ‘위대함, 뛰어남, 불가사의(不可思議)함’ 등의 뜻으로 쓰인다.
目犍連 주036)
목건련(目犍連):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부처의 교법(敎法)을 널리 펼치는 데 앞장섰다. ‘신통(神通) 제일’이라고 부른다.
摩訶

아미타경언해:3ㄴ

迦葉
주037)
마하가섭(摩訶迦葉):
대가섭(大迦葉).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불법(佛法)을 깨달은 뒤 죽림정사(竹林精舍)에 가서 부처의 제자가 되었다.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으며, 부처가 입멸(入滅)한 뒤에는 5백 아라한을 데리고 제1결집(結集)을 하면서 그 대표가 되었다. 수행(修行)이 깊어서 흔히 ‘두타(頭陀) 제일’이라고 한다.
摩訶迦旃延 주038)
마하가전연(摩訶迦旃延):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논의(論議) 제일’이라고 일컬어진다.
摩訶俱絺羅 주039)
마하구치라(摩訶俱絺羅):
부처의 제자 중 하나. 이치를 분명하게 판단하여 분별(分別)하는 재주인 변재(辨才)가 뛰어나 흔히 ‘문답(問答) 제일’이라고 한다.
離婆多 주040)
이바다(離婆多):
부처의 제자 중 하나. 사람의 몸이 가짜인 것을 알고 깨달음을 얻어 출가하였다고 한다.
周利槃陁伽 주041)
주리반타가(周利槃陁伽):
부처의 제자 중 하나. 어리석고 둔한 사람이었으나 노력하여 나중에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證得)하였다고 한다.
難陁 주042)
난타(難陀):
부처의 제자 중 하나. 가비라성의 왕자로 부처의 이복동생이었으나 출가하여 제자가 되었다고 전한다.
阿難陁 주043)
아난타(阿難陀):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부처의 4촌 동생이었으나 출가하여 제자가 되었다. 부처의 시자(侍者)로 활동하여 ‘다문(多聞) 제일’로 불린다.
羅睺羅 주044)
라후라(羅睺羅):
부처의 아들. 부처가 성도(成道)한 뒤에 출가하여 제자가 되었다. 사미(沙彌)의 시초로 ‘밀행(密行) 제일’이라고 한다.
憍梵波提 주045)
교범바제(憍梵波提):
부처의 제자로서 ‘해율(解律) 제일’이라고 알려져 있다.
賓頭盧頗羅墮 주046)
빈두로파타(賓頭盧頗羅墮):
부처의 제자 중 하나. 발차국(跋蹉國) 구사미성 보상(輔相)의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16라한 중 하나가 되었다고 전한다.
迦樓陁夷 주047)
가루타이(迦樓陁夷):
부처의 제자 중 하나. 나쁜 짓을 많이 하여 부처가 그 나쁜 행위에 따라 각종 계율(戒律)을 마련하였다고 전해진다.
와 摩訶劫賓那 주048)
겁빈나(劫賓那):
부처의 제자 중 하나. 천문(天文)·역수(曆數)에 능통하여 ‘지성수(知星宿) 제일’이라 일컬어진다.
薄拘羅 주049)
박구라(薄拘羅):
부처의 제자 중 하나. 몸매가 단정하고 한적한 곳에서 수양하기를 좋아하여 160세까지 장수(長壽)하였다고 한다. 이런 까닭에 ‘장수(長壽) 제일’이라고 알려져 있다.
阿㝹樓馱 주050)
아누루타(阿㝹樓馱):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수도(修道)에 정진하다가 눈이 멀고, 그 뒤에 천안통(天眼通)을 얻어서 ‘천안(天眼) 제일’이라고 부른다.
이러 주051)
이러:
이러하듯 한. 이와 같은. ‘이러-+(연결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 축약형.
弟子콰 주052)
제자(弟子)콰:
제자들과. 제자(弟子)+ㅎ(복수 접미사)+과(공동 부사격조사).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 앞의 해제에서 밝힌 대로 〈아미타경언해〉에는 다른 간경도감 간행(刊行)의 책들과는 달리 협주임을 보이는 【흑어미】 표시가 없다. 활자의 크기로 구분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역주서(譯註書)에서는 언해문과 구분하기 위해 다른 간경도감 간행의 책들에 준거(準據)해서 협주문(夾註文)의 앞뒤에 다음과 같은 모양의 【흑어미】 표시를 둔다. 이하 같다.
다 대아라한(大阿羅漢)의【‘대(大)’는 큰 것이다. ‘아라한(阿羅漢)’은 살적(殺賊)이라고 하는 뜻이다. ‘살(殺)’은 죽이는 것이니, 〈이는〉 번뇌 도적(煩惱盜賊)을 죽이는 것이다. 또한 ‘불생(不生)’이라고도 하느니, 〈이는〉 미계(迷界)에서 태어나지 아니하다는 뜻이니, 다시는 생사(生死)의 과보(果報)에 태어나지 아니한다는 것이다. 또 ‘응공(應供)’이라고도 한다. ‘응(應)’은 마땅하다는 것이니 인천(人天)의 공양(供養)을 받음이 마땅하다고 하는 말이다.】, 모두 아는 장로(長老)인 사리불(舍利弗)과【‘장로(長老)’는 덕(德)이 높고 나이가 늙은
(=많은)
것이다.】
마하목건련(摩訶目犍連)과 마하가섭(摩訶迦葉)과 마하가전연(摩訶迦旃延)과 마하구치라(摩訶俱絺羅)와 이바다(離婆多)와 주리반타가(周利槃陁伽)와 난타(難陁)와 아난타(阿難陁)와 라후라(羅睺羅)와 교범바제(憍梵波提)와 빈두로파라타(賓頭盧頗羅墮)와 가루타이(迦樓陁夷)와 마하겁빈나(摩訶劫賓那)와 박구라(薄拘羅)와 아누루타(阿㝹樓馱)와, 〈그리고〉 이와 같은 큰 제자(弟子)들과 〈함께 있으셨다.〉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다. 모두. 다[皆].
주002)
대아라한(大阿羅漢):아라한(阿羅漢) 중에서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은 이를 이름.
주003)
-앳:-의. -에 있는. ‘앳’은 ‘애(처소격조사)+ㅅ(관형격조사)’의 통합형으로 조사의 상호결합형이다.
주004)
클씨라:큰 것이다. 크-[大]+ㄹ씨라(종결어미). ‘-ㄹ씨라’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가 문법화한 것이다.
주005)
아라한(阿羅漢):소승(小乘)의 교법(敎法)을 수행하는 성문(聲聞) 4과(果) 중 가장 윗자리에 있는 이를 이름. 응공(應供). 또는 살적(殺賊)이라고도 한다.
주006)
혼:하는. +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7)
디니:뜻이니. [意]+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8)
주길씨니:죽이는 것이니. 죽-[殺]+이(사동접미사)+ㄹ씨니(연결어미). ‘-ㄹ씨니’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가 문법화한 것이다.
주009)
번뇌(煩惱):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름.
주010)
도적(盜賊):도둑.
주011)
주길씨라:죽이는 것이다.
주012)
니:하느니. 하니. -[爲]+(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3)
나디:나지. 태어나지. 나[生]+디(연결어미).
주014)
아니탓:아니하다는. 아니한다고 하는. 아니-+다+ㅅ(관형격표지). 여기서의 관형격표지 ‘ㅅ’은 동격관형절에서 간접 인용된 말을 관형어로 사용할 경우에 쓰이는 형태소이다.
주015)
외야:다시. 다시는. 외야[更].
주016)
과보(果報):인과응보(因果應報)의 줄임말. ‘인과응보(因果應報)’는 과거(過去)나 전생(前生)의 선악(善惡)·인연(因緣)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주017)
타나디:타고나지. 태어나지. 타나-[出/生]+디(연결어미).
주018)
아니씨라:아니하는 것이다.
주019)
응공(應供):응수공양(應受供養)의 줄임말. 온갖 번뇌(煩惱)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의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덕(德)이 있는 이를 이른다.
주020)
맛당씨니:마땅한 것이니. 마땅하다는 것이니. 맛-[應]+ㄹ씨니(연결어미).
주021)
인천(人天)ㅅ:인천(人天)의. 사람과 하늘의. ‘ㅅ’은 무정물 명사 뒤에 오는 관형격조사. ‘인천(人天)’은 인간계(人間界)와 천상계(天上界)의 중생을 이른다.
주022)
공양(供養):부처나 스승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
주023)
바도미:받음이. 받-[被奉]+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4)
맛당타:마땅하다(고). ‘맛다’의 축약형.
주025)
논:하는.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26)
마리라:말이다. 말[語]+이(서술격조사)+다(종결어미).
주027)
모다:모두. 다. 모다[衆].
주028)
아논:아는. 알-[識]+(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29)
장로(長老):선종(禪宗)에서 지혜가 뛰어나고 도덕이 빼어난 절의 주지나 화상(和尙)을 높여서 일컫는 말.
주030)
사리불(舍利弗):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지혜(智慧)가 가장 높다고 하여 ‘지혜(智慧) 제일’이라고 부른다.
주031)
덕(德):윤리적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
주032)
놉고:높고. 높-[高]+고(연결어미).
주033)
나히:나이가. 나ㅎ[齡]+이(주격조사).
주034)
늘글씨라:늙은 것이다. (나이가) 많은 것이다. 늙-[老]+을(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35)
마하(摩訶):Mah󰐀. 흔히 ‘대(大)’로 번역한다. 〈지도론(智度論)〉에서는 ‘대(大)·다(多)·승(勝)’ 등 세 가지 뜻이 있다고 한다. 보통은 ‘위대함, 뛰어남, 불가사의(不可思議)함’ 등의 뜻으로 쓰인다.
주036)
목건련(目犍連):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부처의 교법(敎法)을 널리 펼치는 데 앞장섰다. ‘신통(神通) 제일’이라고 부른다.
주037)
마하가섭(摩訶迦葉):대가섭(大迦葉). 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불법(佛法)을 깨달은 뒤 죽림정사(竹林精舍)에 가서 부처의 제자가 되었다.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았으며, 부처가 입멸(入滅)한 뒤에는 5백 아라한을 데리고 제1결집(結集)을 하면서 그 대표가 되었다. 수행(修行)이 깊어서 흔히 ‘두타(頭陀) 제일’이라고 한다.
주038)
마하가전연(摩訶迦旃延):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논의(論議) 제일’이라고 일컬어진다.
주039)
마하구치라(摩訶俱絺羅):부처의 제자 중 하나. 이치를 분명하게 판단하여 분별(分別)하는 재주인 변재(辨才)가 뛰어나 흔히 ‘문답(問答) 제일’이라고 한다.
주040)
이바다(離婆多):부처의 제자 중 하나. 사람의 몸이 가짜인 것을 알고 깨달음을 얻어 출가하였다고 한다.
주041)
주리반타가(周利槃陁伽):부처의 제자 중 하나. 어리석고 둔한 사람이었으나 노력하여 나중에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證得)하였다고 한다.
주042)
난타(難陀):부처의 제자 중 하나. 가비라성의 왕자로 부처의 이복동생이었으나 출가하여 제자가 되었다고 전한다.
주043)
아난타(阿難陀):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부처의 4촌 동생이었으나 출가하여 제자가 되었다. 부처의 시자(侍者)로 활동하여 ‘다문(多聞) 제일’로 불린다.
주044)
라후라(羅睺羅):부처의 아들. 부처가 성도(成道)한 뒤에 출가하여 제자가 되었다. 사미(沙彌)의 시초로 ‘밀행(密行) 제일’이라고 한다.
주045)
교범바제(憍梵波提):부처의 제자로서 ‘해율(解律) 제일’이라고 알려져 있다.
주046)
빈두로파타(賓頭盧頗羅墮):부처의 제자 중 하나. 발차국(跋蹉國) 구사미성 보상(輔相)의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16라한 중 하나가 되었다고 전한다.
주047)
가루타이(迦樓陁夷):부처의 제자 중 하나. 나쁜 짓을 많이 하여 부처가 그 나쁜 행위에 따라 각종 계율(戒律)을 마련하였다고 전해진다.
주048)
겁빈나(劫賓那):부처의 제자 중 하나. 천문(天文)·역수(曆數)에 능통하여 ‘지성수(知星宿) 제일’이라 일컬어진다.
주049)
박구라(薄拘羅):부처의 제자 중 하나. 몸매가 단정하고 한적한 곳에서 수양하기를 좋아하여 160세까지 장수(長壽)하였다고 한다. 이런 까닭에 ‘장수(長壽) 제일’이라고 알려져 있다.
주050)
아누루타(阿㝹樓馱):부처의 10대 제자 중 하나. 수도(修道)에 정진하다가 눈이 멀고, 그 뒤에 천안통(天眼通)을 얻어서 ‘천안(天眼) 제일’이라고 부른다.
주051)
이러:이러하듯 한. 이와 같은. ‘이러-+(연결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 축약형.
주052)
제자(弟子)콰:제자들과. 제자(弟子)+ㅎ(복수 접미사)+과(공동 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