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하)
  • 기간 상(寄簡上)
  • 간의 한주에게 드림[寄韓諫議註]
메뉴닫기 메뉴열기

간의 한주에게 드림[寄韓諫議註]


寄韓諫議註 주001)
기한간의주(寄韓諫議註)
이 작품은 대력(大曆) 원년(766) 가을, 두보 55세 때에 지어졌다. 당시 두보는 기주(夔州)에 있었다. 7언고시로, 일찍이 직언(直言)했다가 미움을 받아 형산(衡山)에 은거한 한주(韓註)를 격려하는 한편, 마땅히 국사(國事)에 뜻을 두어 재기해 나라를 안정시킬 것을 부탁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두보가 비록 궁벽한 지역에 살고 있지만 항상 당나라 왕실을 염려하는 치열한 심정도 노래하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표일(飄逸)한 기상을 드러내 이백(李白)의 시풍을 깊이 터득하고 있다.

기한간의주
(간의 한주에게 드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18ㄱ

今我不樂思岳陽 주002)
악양(岳陽)
호남성 악양현을 이르는 말. 악양성 서쪽 문 위에 있는 3층짜리 누각이 있는데, 악양루(岳陽樓)라 불렀다. 당나라 때 세웠고, 동정호가 내려다보여 경치가 좋기로 명성이 있다. 황학루(黃鶴樓), 등왕각(騰王閣)과 함께 강남의 3대 명루(名樓)로 꼽힌다. 두보의 〈등악양루(登岳陽樓)〉와 범중엄(范仲淹)의 〈악양루기(岳陽樓記)〉로 더 유명하다.
身欲奮飛病在床韓註 주003)
한주(韓註)
?~? 간의(諫議)를 지냈다는 것 외에 생애나 활동 사항은 알려진 것이 없다.
ㅣ 爲諌議야 直言이어 代宗 주004)
대종(代宗)
727~779. 이예(李豫). 당나라의 황제(재위, 762~779).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다. 처음 이름은 숙(俶)인데, 나중에 예로 고쳤다. 『주역』과 『예기』에 정통했다. 15살 때 광평왕(廣平王)에 봉해졌다. 숙종 지덕 2년(757) 천하병마원수(天下兵馬元帥)가 되어 곽자의(郭子儀) 등과 함께 병사를 이끌고 안경서(安慶緖)를 격파하고, 양경(兩京)을 수복했다. 건원 원년(758) 태자가 되었다. 보응 원년(762) 환관(宦官)의 옹립으로 황제에 올랐다. 17년 동안 재위했는데, 환관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번진(藩鎭)들이 발호했지만 제어하지 못했다. 시호는 예문효무황제(睿文孝武皇帝)다.
이 貶岳陽신대 註ㅣ 逰洞庭 주005)
동정(洞庭)
동정호(洞庭湖). 호남성 북부에 있는 중국 제2의 담수호. 면적은 계절에 따라 3,100~5,100㎢로 차이가 컸는데, 현재는 3,915㎢로 거의 고정되었다. 태고에 운몽대택(雲夢大澤)이라고 불린 큰 호수가 일대를 덮고 있었는데, 여러 하천의 퇴적작용에 의해 광대한 호광(湖廣) 평야와 크고 작은 무수한 소택군이 형성되었고, 동정호도 그 중 하나로 생겨났다. 상강(湘江)과 자수(資水), 원강(沅江), 풍하(澧河) 등의 물을 모아, 악양(岳陽) 북동쪽의 성릉기(城陵磯)를 거쳐 당강으로 배수한다. 호수 안에는 섬이 많아, 일찍이 소상팔경(瀟湘八景)의 하나로 꼽힌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명하고, 악양루 앞에 있는 높이 128m의 군산(君山, 湘山)에는 순제(舜帝)의 죽음을 비탄하여 물에 몸을 던진 아황와 여영 두 비를 모시는 묘우(廟宇)가 있다.
君山 주006)
군산(君山)
산 이름. 호남 동정호 입구에 있다. 상산(湘山)이라고도 부른다. 악양현 서남쪽 동정호 속에 있는 상산. 좋은 경치에 보이차로 알려진 군산은침(君山銀針)의 재배지로 유명하다. 상비묘(湘妃廟)가 있다.
야 棄人事고 爲長徃之計어 ㅣ 思而作此詩니라】

이제 주007)
내가. 내. 여기에 대해서는 「奉贈韋···二十二韻」의 ‘내 녜 져믄 제(甫昔少年日)’〈두시 19:1ㄱ〉 항목 참조.
즐기디 아니야셔 주008)
즐기디 아니야셔
즐기지 않아서. 즐기-[樂]+디 아니#-+야+셔. ¶즐기- : 太子 즐기시게 더시니〈석상 3:6ㄴ〉. 탯논 性은 本來로 幽獨호 즐기노라(受性本幽獨)「客堂」〈두시 6:52ㄴ〉.
岳陽노니 주009)
노니
생각하니. #-++오+니. 15세기 국어의 ‘다’는 ‘생각하다’와 ‘사랑하다’의 뜻이 있다. 여기서는 전자의 뜻으로 쓰였다. ‘-오-’는 종결어미가 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결어미 ‘-니’와도 쓰인다. ‘-오-’의 존재로 생각하는 주체가 두보 자신임을 알 수 있다. 〈중간본〉에는 ‘랑노니’로 되어 있다. ¶다(생각하다) : 茂陵이 病 한 後에 오히려 卓文君 랑니라(茂陵多病後 尙愛卓文君)「琴臺」〈두시 3:73ㄱ〉. 다(사랑하다) : 萬物ㅅ 비치 生長 디 兼야 잇도소니 凄凉호 니건  노라(物色兼生意 凄凉憶去年)〈두시 3:29ㄴ〉.
모미 주010)
모미
몸이. 몸[身]+이.
라가고져 주011)
라가고져
날아가고자. -[飛]+아#가-+고#지-+어. ¶- : 五百靑 새 圍繞 며 瑞雲香風이 섯버므러 잇더니〈석상 3:42ㄱ〉. 간 汾陽애 車駕 구펴 가시고 간 燕ㅅ 將軍의게 글워 여 보내시니라(暫屈汾陽駕 聊飛燕將書)「收京三首」〈두시 5:7ㄱ〉. -고져 :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훈언 2ㄱ〉. 슬허 셜워시논 詔書ㅣ 端拱야 겨샤 헐므닐 무르샤믈 듣고져 願노라(願聞哀痛詔 端拱問瘡痍)「有感五首」〈두시 5:16ㄱ〉.
나 주012)
나
하나. 하지만. -+나.
病야 주013)
병(病)야
병들어. 病#-+야. 15세기 국어에서 ‘병(病)이 들다’를 뜻하는 동사는 ‘病다’이다. ¶病- : 須達이 病얫거늘 부톄 가아 보시고 阿那含 得리라 니르시니라〈석상 6:44ㄴ〉. 郞 외야쇼매 머리 셰요 므던히 너기노니 病야 누우미 두 히어다(爲郞從白首 臥病數秋天)「歷歷」〈두시 5:17ㄴ〉.
床애 주014)
상(床)애
자리에. 침상에. 병상에. 床+애.
누어 잇노라 주015)
누어 잇노라
누어 있노라. 눕-[臥]+어 잇-++오+라. 화자 주어를 가리키는 선어말어미 ‘-오-’가 있으므로 이 문장의 주어는 두보 자신임을 알 수 있다. 15세기 국어에서 ‘-어 잇-’은 주로 축약되어 ‘-엣/앳/옛-’ 등으로 표기되지만 여기서는 본동사 ‘눕다’와 보조동사 ‘-어 잇-’이 분리되어 표기되었다. ¶-엣- : 즉자히 入定야 펴엣던  구필 예〈석상 6:2ㄱ〉. 깃부미 都城에 뮈유믈 알리로소니 슬프믄 남진 기지븨 우루미 니엣도다 집마다 빈혀와 쇠 라 香氣로왼 수를 받고져 너기놋다(喜覺都城動 悲連子女號 家家賣釵釧 準擬獻香醪)「喜聞···二十韻」〈두시 5:4ㄴ(번각본)〉. -앳- : 一切 有情의 그 慈悲心 내야 가도앳던 사 노코 알 니르던 다히 뎌 藥師瑠璃光如來 供養면〈석상 9:33ㄴ〉. 日月이 秦樹에 얫고 乾坤이 漢宮에 횟돌앳도다(日月低秦樹 乾坤繞漢宮)「投贈···二十韻」〈두시 5:42ㄱ〉. -옛- : 太子ㅣ 듣고 안닶겨 해 그우러 디옛더라 여슷 大臣이 議論호 太子 더러리디〈석상 11:19ㄱ〉. -어 잇- : 一切 甚히 기픈 이리 다 이 經에 現히 닐어 잇니라〈석상 19:43ㄱ〉. 기튼 치위예 곳과 플왜 디어 잇니 여희 셜운 미  올 얘라(餘寒折花卉 恨別滿江鄉)「送大~遂停니라」〈두시 8:70ㄱ-ㄴ〉. -아 잇- : 王이 듣고 깃거 그 나모 미틔 가 누늘 長常 아 잇더라〈석상 24:42ㄴ〉. 白小ㅣ 무리 목수믈 호아 잇니 天然 두 寸 만 고기로다(白小群分命 天然二寸魚)「白小」〈두시 17:39ㄴ〉.

【한자음】 금아불악사악양 신욕분비병재상한주(韓註)간의(諌議)가 되어 직언하거늘 대종(代宗)악양(岳陽)으로 쫓아냈는데, 한주동정호(洞庭湖)군산(君山)을 유람하다가 세상일을 버리고 멀리 떠날 계책으로 삼았다. 두보가 이 일을 생각하고 이 시를 지었다.】
【언해역】 이제 내 즐기지 않아서 악양(岳陽)을 생각하니, 몸이 날아가고자 하나 병들어 병상에 누워 있노라.
*시 구절 해석 : “이제 나는 즐겁지 않아 악양을 생각하노니, 몸은 떨쳐 날아가고자 하나 병들어 누워 있네”라는 뜻으로, 간의(諫議)한주(韓註)처럼 세상사를 버리고 은거하고자 하지만 몸이 병들어 뜻을 펼칠 수 없다는 말이다. 4구로 된 연면구이다.

美人娟娟隔秋水 濯足 주016)
탁족(濯足)
발을 씻는다는 뜻으로, 세속을 초탈하여 고결함을 지키는 것을 일컫는 말.
洞庭望八荒 주017)
팔황(八荒)
팔방(八方)의 멀고 넓은 범위. 곧 온 세상. 팔굉(八紘), 팔방(八方), 팔극(八極)이라고도 한다.
【美人은 指韓註니 言其髙傲야 有物外之心 주018)
물외지심(物外之心)
물외의 마음. ‘물외(物外)’란, ‘바깥 세상. 또는 형체 있는 물건 이외의 세계’를 말하므로, ‘신선의 마음’ 정도의 말이다.
也ㅣ라】

고온 주019)
고온
고운. 곱-[美]+오+ㄴ.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곱- : 아기 아리  곱거늘〈석상 6:13ㄴ〉. 고온 사미 누른 기 외니(美人爲黃土)「玉華宮」〈두시 6:1ㄴ〉.
사ᄅᆞ미 주020)
사미
사람이. 사+이.
ᄀᆞᅀᆞᆳ 주021)

가을의. [秋]+ㅅ. 〈중간본〉에는 ‘’로 되어 있다.
므레 주022)
므레
물에. 믈+에.
주쳇니 주023)
주쳇니
사이를 두니. 간격을 두니. 주+츠-+어#잇-++니.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되는 낱말로 ‘주’은 ‘사이’의 뜻인데, 15세기 문헌에서는 ‘즈’이 일반적으로 쓰였으며, 『두시언해』에는 ‘즈, 조, 조(1개), 조(1개)’으로도 쓰였으며, ‘-츠-’는 강세접미사이다. 『두시언해』에서 ‘주츠다’는 ‘주츠다’로도 쓰였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중간본〉에는 ‘주움쳿니’로 되어 있다. ¶주츠- : 노 石壁에 디나가 구루믄 錦繡 여러 내옛고 섯긘 소 므를 주처셔 뎌 피리 부 도다(絕壁過雲開錦繡 疎松隔水奏笙篁)「七月一日題終明府水樓二首」〈두시 14:16ㄱ〉. 즈츠- : 아랜 悟와 迷왜 즈추미 잇니라〈영가 하:69ㄴ〉.  리 서르 饒티 아니니 節序ㅣ 어젯 바 즈츠도다(日月不相饒 節序昨夜隔)「立秋後題」〈중간두시 10:28ㄴ-29ㄱ〉. 주츠- : 盤과 案과 와 두위티고 길흘 마가 여곰 주 츠게 다(踏藉盤案翻 塞蹊使之隔)「催宗文樹雞柵」〈두시 17:13ㄱ〉. 즈 : 佛性이 男女 즈 아니며〈법화 4:172ㄱ〉. 옷고 볘 三秋ㅅ 그테 平 받 온 이럼 즈미로다(香稻三秋末 平田百頃間)「茅堂···二首」〈두시 7:37ㄴ-38ㄱ〉. 주 : 요 주 누넷 가 아 리시 그 샤 으리와니 河東ㅅ 져믄 겨지비 모맷 姓이 柳개니라(近者抉眼去其夫 河東兒女身姓柳)「可歎」〈두시 25:9ㄴ〉. 조 : 요 조 이자비 마 사 보니 조 잇고 命은 업서 百寮ㅅ 아래셔 니놋다(比看伯叔四十人 有才無命百寮底)「寄狄明府博濟」〈두시 8:16ㄴ〉. 조(1개) : 아 白帝城의셔 나 나조 江陵의 가다 더니 요 조 누네 보니 眞實로 徵驗호미 잇도다(朝發白帝暮江陵 頃來目擊信有徵)「最能行」〈두시 25:47ㄱ〉. 조(1개) : 幕下앳 郞官은 便安디 아니녀 요 조브터 오매  줈 글도 받디 몯요라(幕下郞官安穩無 從來不奉一行書)「投簡梓州幕府兼韋十郞官」〈두시 21:25ㄱ〉. 즈- : 河水 즈야 되 닐 보니 믄드기 數百 무리로다(隔河見胡騎 攸忽數百群)「前出塞九首」〈두시 5:27ㄴ〉.
洞庭 므레 주024)
므레
물에. 믈[水]+에.
싯고 주025)
싯고
씻고. 싯-[洗]+고. ¶그 사미 본 젼로 本心을 시서 邪 아로매 수이 들리니〈능엄 9:95ㄱ〉. 아라히 北辰을 拱向호니 盜賊이 얼겟도소니 東海 기우려 乾坤 싯고져 노라(遙拱北辰纏寇盜 欲傾東海洗乾坤)「追酬···見寄」〈두시 11:7ㄱ〉.
八荒 라놋다 주026)
라놋다
바라보는구나. 라-[望]++오+ㅅ+다. 15세기 국어의 ‘라다’는 ‘바라보다’와 ‘원하다’의 두 가지 뜻이 있다. 여기서는 전자로 쓰였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바라보다) : 蜜多羅ㅣ 라고 마니 몯 안자 가라 업시 니러나(毘奢蜜多 遙見 不能自禁 遂使其身怱起)〈석상 3:8ㄱ〉. 누니 게 라오믈 디  當호니 미 주그니   노햇 도다(眼穿當落日 心死著寒灰)「喜達行在所三首」〈두시 5:3ㄱ〉. (원하다) : 庶幾 그러긧고 라노라 논 디라〈월석 1:석상서6ㄱ〉. 都市예 이셔 술 먹니 都邑ㅅ 사  도혀 北을 向야 우러 밤나 官軍의 오 다시 라다(都人回靣向北啼 日夜更望官軍至)「悲陳陶」〈중간두시 4:4ㄱ〉.

【한자음】 미인연연격추수 탁족동정망팔황【미인은 한주(韓註)를 가리키니, 그가 고상하고 오만해서 물외의 마음을 가졌음을 말한다.】
【언해역】 고운 사람이 가을 물에 사이를 두니, 동정호(洞庭湖) 물에 발 씻고 팔황(八荒)을 바라보는구나!
*시 구절 해석 : “고운 사람이 가을 물에 서서 아름다우니, 동정호 물에 발 씻고 팔황을 바라본다.”라는 뜻으로, 한주가 가을 물에 선 미인처럼 동정호에서 세상을 오만하게 바라본다는 말이다.

鴻飛冥冥 주027)
명명(冥冥)
①어두운 모양. ②어두운 밤. 저녁. ③아득한 모양. ④높고 먼 모양. 고원(高遠)한 모양. ⑤저승. ⑤무지(無知)한 모양. ⑥깊이 생각하며 정성을 다하는 모양. ⑦그윽하고 깊숙한 모양. 여기서는 ③의 뜻으로 쓰였다.
日月白 靑楓 주028)
청풍(靑楓)
푸른 단풍나무.
葉赤天雨霜楊子 주029)
양자(楊子)
양웅(揚雄/楊雄, 기원전 53-기원후 18). 전한 촉군(蜀郡, 사천성) 성도(成都) 사람. 자는 자운(子雲)이다. 어릴 때부터 배우기를 좋아했고, 많은 책을 읽었으며, 사부(辭賦)에도 뛰어났다. 청년시절에 동향의 선배인 사마상여의 작품을 통해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40여 살 때 처음으로 경사(京師)에 가서 문장으로 부름을 받아, 성제의 여행에 수행하며 쓴 「감천부(甘泉賦)」와 「하동부(河東賦)」, 「우렵부(羽獵賦)」, 「장양부(長楊賦)」 등을 썼는데, 화려한 문장이면서도 성제의 사치를 꼬집는 풍자도 잊지 않았다. 급사황문시랑(給事黃門侍郞)에 임명되었다. 나중에 왕망(王莽) 밑에서도 일해 대부(大夫)가 되었다. 천록각(天祿閣)에서 책을 교정했다.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자신의 불우한 원인을 묘사한 「해조(解嘲)」과 「해난(解難)」도 독특한 여운을 주는 산문이다. 학자로서 각 지방의 언어를 집성한 『방언』과 『역경』에 기본을 둔 철학서 『태현경(太玄經)』, 『논어』의 문체를 모방한 『법언(法言)』, 『훈찬편(訓纂篇)』 등을 저술했다.
애 鴻飛冥冥니 弋人 何慕焉이리오 喻韓註의 髙蹈物外다 青楓은 楚地所有也ㅣ라】

그려기 주030)
그려기
기러기. ‘그려기’는 『두시언해』에서 ‘그력’으로도 쓰였다. 『두시언해』에 자주 나오는 새 이름으로는 ‘가마괴(烏), 가치(鵲), 가막가치(烏鵲), 그려기(鴈), 며기(鷗), (雞), 쇠로기(鳶 솔개), 믌(鸂鶒 물닭), 봉황(鳳), 알이새(꾀꼬리), 옫바미(鵩 올빼미), 올히/올(鴨), 졔비(燕), 해야로비/하야로비/야로비(黃鸝)’ 등이 있다. ¶그려기 : 太子ㅣ 本國에셔  그려기 치샤 더브르샤 노니더시니〈월석 22:17ㄱ〉. 햇 예  브리 갯고 자 그려기 두려운 몰애예 모댓도다(野船明細火 宿鴈聚圓沙)「遣意二首」〈두시 3:26ㄱ〉. 그력 : 그력 爲鴈〈훈해 57〉. 아 俗客 혀 드료 怪異히 너기디 아니곡 그력 올히로 여 갓가온 이우즐 어즈러이디 아니호리라(休怪兒童延俗客 不敎鵝鴨惱比隣)「將赴成都草堂途中有作先寄嚴鄭公五首」〈두시 21:3ㄴ〉.
아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18ㄴ

라히
주031)
아라히
아스라이. 아라-+-+이. ‘아라히’는 ‘아라이’로도 쓰였다. 참조; 아라다. 〈중간본〉에는 ‘아라히’로 되어 있다. ¶아라히 : 즈추므로브터 아라히 열  남거니 어느 날 니즈리오〈영가 하:108ㄱ〉. 穹廬ㅣ 아라히 牢落니 우희 잇 녀 구루미 시름외도다(穹廬莽牢落 上有行雲愁)「遣興三首」〈두시 5:34ㄴ〉. 아라이 : 正 길히 아라 이 리오 智日이 마 미 빗거 어드운 길헤 드러 家鄕 일허 릴시라〈남명 상76ㄴ〉. 비치 어즈러이 마 말리로소니 世閒앳 緣故ㅣ 아라이 서르 지즈러 오놋다(年華紛已矣 世故莽相仍)「寄劉···四十韻」〈두시 20:23ㄴ〉. 아라- : 逍 아라올 쇼 遙 아라올 요〈광주판천자문 32ㄱ〉. 곧 門 여러 이 므레 드러 디샛  아라 호니〈능엄 5:72ㄴ〉. 새려 블 브튼 棧道얫고 녯 던 壇場 아라도다(牢落新燒棧 蒼茫舊築壇)「王命」〈두시 5:12ㄴ〉.
오 주032)
오
날고. -[飛]+고.
리 주033)
 리
해와 달이. [日] [月]+이.
니 주034)
니
밝으니. -[明]+니.
프른 주035)
프른
푸른. 프르-[靑]+ㄴ.
싣나모 주036)
싣나모
신나무. 단풍나무[楓]. 15세기 국어에서 ‘나모’[木]는 음운환경에 따라 2가지 어형으로 나타난다. ①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통합될 때. ② 나모:공동격조사 ‘와’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관형격 ‘ㅅ’ 등), 그리고 휴지가 올 때. ¶楓 싣나모 〈훈몽 상:5ㄴ〉. 믌 올핸  蜃氣 무텻거 싣나모 션 두들게 프른 묏 그티 重疊도다(水鄉霾白蜃 楓岸疊靑岑)「風疾이어~三十六韻이라」〈두시 3:14ㄱ-ㄴ〉. 블근 닙 싣나못 수프레 百舌이 울오 누른   두들겐 하 기 춤츠놋다〈두시 7:28〉. 프른 싣나모 서리예 벼개예 굽스러셔 玉除 限隔호라〈두시 21:18ㄱ〉.
니피 주037)
니피
잎이. 닢[葉]+이.
븕고 주038)
븕고
붉고. 븕-[赤]+고.
하히 주039)
하히
하늘이. 하ㅎ[天]+이. ‘하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서리 리오놋다 주040)
리오놋다
내리는구나. 리-[下]+오++오+ㅅ+다. ‘리오-’는 ‘리-’의 사동사이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리- : 하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며〈석상 6:17ㄱ〉. 忽然히 드로니 슬허 셜워시 詔書ㅣ 聖明朝애  리도다(忽聞哀痛詔 又下聖明朝)「收京三首」〈두시 5:7ㄴ〉. 리오- : 難陁 깃브다 논 마리오 跋 어디다 논 마리니 時節ㅅ 비를 깃비 리와 어딘 德이 잇다 논 디라〈석상 13:7ㄴ〉. 犀角로 론 져 블어 오래 리오디 아니커늘 鸞刀로 실티 버휴믈 갓 어즈러이 놋다(犀筯厭飫久未下 鸞刀縷切空紛綸)「麗人行」〈두시 11:18ㄱ〉. 리우- :  服애 열다 丸으로 스믈 丸지히 空心에 茅根湯을 글혀 리우라〈구급방 상:69ㄱ〉. 祿山이 亂逆거 하히 주규믈 리우시니 다시 思明이 잇더니  마 업도다(祿山作逆降天誅 更有思明亦已無)「承聞···十二首」〈두시 5:21ㄴ〉.

【한자음】 홍비명명일월백 청풍엽적천우상【『양자(楊子)』에, “기러기가 아득히 날아가니 새 사냥꾼이 어찌 그리워하리오”라고 하니, 한주(韓註)가 물외(物外)에서 고고하게 걷는 것을 비유했다. ‘청풍(青楓)’은 초나라 땅에 있는 것이다.】
【언해역】 기러기 아스라이 날고 해와 달이 밝으니, 푸르던 신나무 잎이 붉고 하늘이 서리를 내리는구나!
*시 구절 해석 : “기러기 아스라이 나니 해와 달이 밝고, 푸르던 나무 잎이 붉고 하늘에서 서리가 나린다.”라는 뜻으로, 한주의 당당한 위풍을 묘사한 말이다.

玉京 주041)
옥경(玉京)
①도가(道家)에서 천제(天帝)가 살고 있는 곳을 일컫는 말. ②대개 선도(仙都)를 가리키는 말. ③제도(帝都)를 가리키는 말.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群帝集北斗 주042)
북두(北斗)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줄인 말. 초제(醮祭)의 대상(對象)이었다. 여기서는 협주에서, 천자가 있는 곳을 말한다고 하였다.
或騎麒麟 주043)
기린(麒麟)
고대 전설에 나오는 상서로운 동물. 기(騏)는 수컷 인(麟)은 암컷이다. 모양은 사슴과 같고 머리엔 뿔이 있으며 온 몸에 갑옷처럼 비늘이 있고 꼬리는 소꼬리 모양이라고 한다. 기린이 출현하면 세상에 성왕(聖王) 또는 성인(聖人)이 나올 징조로 여겼다. 애공(哀公) 14년(기원전 481) 봄 사냥에서 괴상한 짐승을 잡았는데, 공자가 이를 보고 기린이라고 한 일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공자가 태어났을 때 기린이 나타났는데, 공자의 어머니인 안징재(顔徵在)가 기린의 뿔에 수건을 매어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공자가 늙어서 다시 만난 기린은 그때까지도 그 수건이 뿔에 매어져 있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덕을 지닌 공자가 세상에 나왔으므로 기린이 세상에 나왔다는 것을 뜻한 말이다.
鳳凰 주044)
봉황(鳳凰)
고대 중국에서 상서로운 새로 여기던 상상(想像)의 새. 머리는 뱀, 턱은 제비, 등은 거북, 꼬리는 물고기 모양이며 깃에는 오색의 무늬가 있다고 한다. 수컷을 봉(鳳)이라 하고, 암컷을 황(凰)이라 한다. 성인(聖人)의 탄생에 맞추어 세상에 나타나는데, 오동나무에 살며 예천(醴川, 甘泉)을 마시고 대나무 열매를 먹으며, 깃털은 다섯 가지 색이고 울음소리는 퉁소 소리와 같다고 한다. 봉조(鳳鳥).
【玊京은 上帝所居ㅣ오 羣帝 五方之帝라 此 以群帝朝北斗로 喻羣臣이 朝覲天子니라】

玉京에 羣帝ㅣ 北斗에 모니 주045)
모니
모이니. 몯-[會]+니. ‘몯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여기서는 자동사 용법으로 쓰였다. ¶(자동사) : 공경홈은 德의 몯 거시니 能히 공경면 반시 德이 이실디라〈소학 4:34ㄴ〉. 盛 이리  모니 이 지븐 엇뎨 즈믄  니리오(盛事會一時 此堂豈千年)「陳拾遺故宅」〈두시 3:65ㄱ〉. (타동사) : 王이 붑 텨 조 겻 사 다 모라 시고〈석상 3:12ㄱ〉.
時或 麒麟도 며 주046)
며
타며. -[乘]+며. 15세기 국어의 ‘다’는 ‘받다, 오르다, 탈 것을 타다, 불에 타다’ 등의 의미가 있다. ¶首羅ㅣ니 여듧 히오 세 누니오  쇼 니〈석상 21:11ㄱ〉. 漁陽앳 이  니와 邯鄲앳 아히 수를 醉고 셕 와 고 金채 드리웻도다(漁陽突騎邯鄲兒 酒酣並轡金鞭垂)「承聞···十二首」〈두시 5:24ㄴ-25ㄱ〉.
鳳凰도 탓도다 주047)
탓도다
타고 있도다. -[乘]+아#잇-+도+다. 15세기 국어의 ‘다’는 ‘받다, 오르다, 탈 것을 타다, 불에 타다’ 등의 의미가 있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한자음】 옥경군제집배두 혹기기린예봉황【 ‘옥경(玊京)’은 상제(上帝)가 사는 곳이고, ‘군제(羣帝)’는 다섯 방향에 있는 제왕이다. 이것은 여러 제왕이 북두에 조회하는 것으로, 여러 신하가 천자에게 조회하는 것을 비유한다.】
【언해역】 옥경에 뭇 제왕이 북두(北斗)에 모이니, 때에 혹은 기린도 타며 봉황도 타고 있도다!
*시 구절 해석 : “옥경에서 여러 제왕이 북두에 모이나니, 혹시 기린을 타고 봉황도 탔다.”라는 뜻으로, 옥경에서 여러 제왕이 북두에 조공하는 것처럼 한주를 포함한 여러 신하들이 천자를 조회하는 것을 말한다.

芙蓉 주048)
부용(芙蓉)
①하화(荷花, 연꽃)의 다른 이름. ②목련(木蓮). 즉 목부용(木芙蓉). ③미녀(美女)를 다르게 표현하는 말. ④보검(寶劍) 이름.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旌旗煙霧樂 影動倒景搖瀟湘 주049)
소상(瀟湘)
소상강(瀟湘江). 중국 호남성의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류하는 곳. 이곳에 순임금의 두 부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의 묘가 있으며, 순임금이 창오산(蒼梧山)에서 순수(巡狩) 중에 승하하자, 두 비가 뒤쫓아 가고자 했으나 소상강을 건너지 못해 서로 붙잡고 울다가 강에 몸을 던졌다고 한다. 그때 흘린 눈물이 피가 되어 붉은 반점이 생겼다는 반죽(斑竹)이 유명하다. 소상반죽(瀟湘斑竹).
【註ㅣ 在岳陽故로 言瀟湘다】

蓮ㅅ고로 주050)
연(蓮)ㅅ 고로
연꽃으로. 蓮+ㅅ 곶[花]+로.
론 주051)
론
만든. -[作]+오+ㄴ. ‘-오-’는 표제명사인 ‘정기(旌旗)’가 관형어의 의미상 목적어임을 알려주는 소위 대상 용법의 ‘-오-’이다. 〈중간본〉에는 ‘론’으로 되어 있다.
旌旗오 주052)
정기(旌旗)오
정기이고. 旌旗+이+고. ‘-오’는 ‘-고’가 계사 ‘이’에 후행하면서 ‘ㄱ’이 약화된 표기이다. ‘정기’는 천자의 깃발이다.
雲霧 서리옛 주053)
서리옛
사이의. 서리[間]+예+ㅅ.
音樂이로소니 주054)
음악(音樂)이로소니
음악이니. 音樂+이+도+ㅅ+오+니. ‘도’와 ‘ㅅ’ 또는 ‘돗’은 모두 감탄의 선어말어미들로서 ‘도’의 ‘ㄷ’이 계사 ‘이’에 후행하면서 ‘ㄹ’로 바뀌어서 실현된 표기이다.
그르메 주055)
그르메
그림자[影]. ¶ 그  五百 太子ㅣ 蓮 못  모다 안자 이셔 믈 미틧 그르메 보고 서르 닐오〈석상 11:36ㄱ〉. 그르메 千官ㅅ 소개 와 安靜고  닐굽 校尉ㅅ 알 요라(影靜千官裏 心蘇七校前)「喜達行在所三首」〈두시 5:6ㄴ〉.
갓고로 주056)
갓고로
거꾸로. 참조; 갓고로디다. ¶갓고로 : 어리여 迷惑야 邪曲 信야 갓고로 볼〈월석 9:57ㄴ〉. 긄  三峽 므를 갓고로 흘리리오 붇陣 올로 즈믄 사 軍 러 리리로다(詞源倒流三峽水 筆陣獨掃千人軍)「醉歌行」〈두시 8:30ㄴ〉. 갓고로디- : 네헨 구슬로 뮨 幢이 갓고로디며 如意珠를 일코〈석상 23:26ㄴ〉. 버미 갓고로딘 며 龍이 업더딘 야 가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虎倒龍顚委榛棘 淚痕血點垂胸臆)「柟木···拔歎」〈두시 6:41ㄴ〉.
비취 주057)
비취
비추는. 비추-[照]+. ‘비추-’ 자체도 ‘*빛-’과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사동사일 가능성이 있다.
비츨 주058)
비츨
햇빛을. [日]+ㅅ+빛[光]+을.
뮈워 주059)
뮈워
움직여. 뮈-[動]+어. ‘뮈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 ‘뮈우다’가 사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참조; 움즈기다. ‘뮈-’는 모음 어미가 뒤에 올 때의 ‘뮈-’형과 과도음 ‘ㅣ(j)’가 생략된 ‘무-’형의 2가지로 실현되었다. ¶무여〈두초 20:20〉. 무유미〈내훈 3:69〉. 뮈- : 聲聞 辟支佛 히 모미 뮈  몰라 니러 추믈 츠니〈석상 11:15ㄱ〉. 니은 笮 뮈여 움즈기니 길녀 사 오시 매 부리놋다(連笮動嫋娜 征衣颯飄颻)「桔柏渡」〈중간두시 1:34ㄱ〉. 뮈우- : 翳 눈과 어울면 조 누늘 뮈우니 業識이  그러니라〈월석 11:75ㄴ〉. 靑雲ㅣ 내의 노 興을 뮈우니 幽事도  즐겸즉도다(靑雲動高興 幽事亦可悅)「北征」〈중간두시 1:3ㄱ〉. 무이- : 어즈러이 무유미 勞ㅣ오〈능엄 4:16ㄱ〉. 兵戈 무여 니도다(兵戈動接聯)「寄岳···五十韻」〈두시 20:20ㄱ〉.
瀟湘 이어놋다 주060)
이어놋다
흔드는구나. 이어-[動]++오+ㅅ+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이어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자동사 용법은 ‘흔들리다’, 타동사 용법은 ‘흔들다’는 뜻이며, 사동사는 ‘이어이다’와 ‘이에다’로 표기되었다. 참조; 이어오다. ¶이어다(흔들리다) : 覺 구텨 보 일며 明을 이어 風이 나 風과 金괘 서르 츨〈능엄4:18ㄴ〉. 댓 비츤 햇 비체 도렫고 집 그르메  흐르  이어놋다(竹光團野色 舍影漾江流)「屏跡二首」〈두시 3:30ㄱ〉. 맷 蓮은  지치 이어 고 天棘은 프른 시리 너추렛 도다(江蓮搖白羽 天棘蔓靑絲)「巳上人茅齋」〈두시 9:25ㄴ〉. 이어다(흔들다) : 가온 괴외야 이어디 아니며 밧도 이어도 뮈디 아니리니〈몽산 43ㄴ〉. 밥 求 리 苦로이 이어고 恩 가  녜 노라(苦搖求食尾 常曝報恩腮)「秋日···三十韻」〈두시 3:9ㄱ〉. 이어이- : 다  正히 이어여 러디니 머리 도혀솔와 대 라노라(窮秋正搖落 廻首望松筠)「寄張···三十韻」〈두시 16:24ㄴ〉. 이에- : 매셔 이에어 러듀미 後에 니   어긔리츤가 전노라(江湖後揺落 亦恐歳蹉跎)「蒹葭」〈두시 18:10ㄱ-ㄴ〉. 이어오다(흔들다) : 覺 明과 空 昧왜 서르 기드려 이어오미 일 이런로 風輪이 잇니라〈능엄4:21ㄴ〉. 프른 시내  이어오매 어위니 블근 果實은 가지예 므르니거 하도다(碧溪搖艇闊 朱果爛枝繁)「園」〈두시 15:13ㄴ〉.

【한자음】 부용정기연무악 영동도경요소상【한주(韓註)가 악양(岳陽)에 있었기 때문에 소상강(瀟湘江)을 말한 것이다.】
【언해역】 연꽃으로 만든 정기(旌旗)이고 운무(雲霧) 사이의 음악이니, 그림자 거꾸로 비취는 햇빛을 움직여 소상(瀟湘)을 흔드는구나!
*시 구절 해석 : “연꽃으로 만든 정기요 운무와 서리의 음악이로소니, 그림자 거꾸로 비치는 햇빛을 움직여 소상을 흔들었다.”라는 뜻으로, 한주가 악양 소상강 가에 선 모습을 상징적으로 묘사한 말이다.

星宮 주061)
성궁(星宮)
천궁(天宮). 지리적으로 위치가 높은 곳에 있는 궁전(宮殿)이나 정대(亭臺)를 말한다.
之君醉瓊漿 주062)
경장(瓊漿)
신선들이 마시는 음료(飮料)를 일컫는 말. 당나라의 배항(裵航)이 남교(藍橋)를 지나다가 선녀인 운영(雲英)을 만나서 경장을 얻어 마셨다고 한다.
羽人 주063)
우인(羽人)
①주(周)나라 벼슬 이름. 부세(賦稅)로써 조류(鳥類)를 농가(農家)로부터 징수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②날개 달린 사람. 신선(神仙).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稀少不在傍【羽人은 仙人이니 指韓註니 言貶黜 주064)
폄출(貶黜)
①벼슬을 떨어뜨리어 물리침. 강직(降職) 또는 관작(官爵)을 박탈함. ②폄책(貶責). 배척(排斥). 남의 인망(人望)을 깎아 내려 배척함.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야 不在星宫羣帝之傍也ㅣ라】

星宮엣 님그믄 주065)
님그믄
임금은. 님금[王]+은. 〈중간본〉에는 ‘님금은’으로 되어 있다. ¶製 님금 지샨 그리라〈훈언 1ㄱ〉. 君臣ㅅ 法은 님금 臣下ㅅ 法이라〈석상 9:38ㄱ〉. 님그미 몬져 사호 그쳐  華山 陽애 보내욜 디니라(大君先息戰 歸馬華山陽)「有感五首」〈두시 5:14ㄱ〉.
瓊漿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19ㄱ

머거 주066)
머거
먹어. 먹-[食]+어. ¶여듧차힌 모딘 藥 먹거나〈석상 9:37ㄴ〉. 우리 무른  바비나 더 먹고 이셔 蠻과 다 荊에 가디 마롤 디로다(吾徒且加餐 休適蠻與荊)「揚旗」〈두시 5:49ㄱ〉.
醉거 주067)
취(醉)거
취하거늘. 醉#-+거+. ‘-’가 ‘ㅣ’하향모음과 ‘거’ 사이에서 생략되었다. ‘거’은 ‘카’의 잘못인데 〈중간본〉에는 ‘醉커’로 되어 있다.
짓옷 주068)
짓옷
깃옷. 짓[羽]+옷. ‘짓옷’이 ‘깃옷’이 된 것은 역구개음화 현상에 해당된다.
니븐 주069)
니븐
입은. 닙-[被]+은. ¶닙- : 獅子ㅣ 袈裟 니븐 사 보면 아니 믈 山行리 袈裟 닙니라〈석상 3:31ㄴ〉. 혼 녜 范增이 玉마를 려 리니 吳國ㅅ 兵馬로 여  오 닙디 몯게 홀 디니라(憶昔范增碎玉斗 未使吳兵著白袍)「久雨···不至」〈두시 5:37ㄱ〉.
사 주070)
사
사람은. 사[人]+.
드므러 주071)
드므러
드물어. 드믈-[希]+어. ¶드믈- : 希 드믈 씨오〈석상 13:15ㄱ〉. 希有는 드므리 잇다 혼 디라〈석상 13:15ㄱ〉. 蚕崖옌 甲 니븐 리 여위오 灌口엔  시른  드므도다(蠶崖鐵馬瘦 灌口米船稀)「西山三首」〈두시 5:11ㄱ〉.
 주072)

가에. [邊]+.
잇디 주073)
잇디
있지. 잇-[有]+디.
아니도다 주074)
아니도다
아니하도다. 아니#-+도+다.

【한자음】 성궁지군취경장 우인희소불재방【‘우인(羽人)’은 선인(仙人)이니 한주를 가리킨다. 폄출(貶黜)되어 성궁(星宫)의 여러 제왕 곁에 있지 못한 것을 말한다.】
【언해역】 성궁의 임금은 경장(瓊漿)을 먹어 취하거늘, 깃옷 입은 사람은 드물어 그 가에 있지 아니하도다!
*시 구절 해석 : “성궁의 임금은 경장을 마셔 취하거늘, 깃옷 입은 사람은 드물어 곁에 있지 않다.”라는 뜻으로, 궁궐의 임금이 신선의 음료를 마시지만, 정작 신선다운 사람은 벼슬에서 쫓겨나 곁에 많이 없다는 말이다.

似聞昨者赤松子 恐是漢代韓張良 昔隨劉氏定長安 주075)
장안(長安)
중국의 고대 도시. 서주(西周)와 진(秦), 전한(前漢), 신(新), 전조(前趙), 전진(前秦), 후진(後秦), 서위(西魏), 북주(北周), 수(隋), 당나라 등 11개 왕조가 도읍했던 중국 제1의 고도(古都)다. 지금의 섬서성 서안(西安)에 해당한다. 한(漢)나라와 당나라 때에 가장 번성했는데, 당나라 때에는 동도(東都)인 낙양(洛陽)에 대비시켜 서도(西都) 또는 상도(上都)라 불렀다.
帷幄 주076)
유악(帷幄)
①실내(室內)에 치는 휘장. ②천자가 정책을 결정하는 곳이나 대장이 작전 계획을 세우는 막부(幕府). 『한서(漢書)』 장량전(張良傳)에, “유악 안에서 산가지를 놓아서 천리 밖에 승리를 결정한다(運籌策帷幄中 決勝千里外)” 했다. ③제왕(帝王). ④모신(謀臣) 또는 일을 꾸미는 임무. 유악지신(帷幄之臣).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未改神慘傷赤松子 주077)
적송자(赤松子)
?~?. 원고(遠古) 시대 때 사람. 신선(神仙) 이름. 적송자(赤誦子)라고도 부른다. 『열선전(列仙傳)』에 보면 적송자는 신농씨(神農氏) 시대의 우사(雨師)였으며, 수정(水晶)을 복용하는 법에 대하여 신농씨에게 가르쳐 주었고, 불속에 들어가서 스스로를 태울 수도 있었다고 한다. 때로 곤륜산 위에 내려와 서왕모(西王母)의 석실 안에 머물렀는데, 바람과 비를 따라 오르내릴 수도 있었는데, 염제(炎帝)의 어린 딸이 그것을 보고 그를 따라 신선이 되어 갔다고 한다. 한영(韓嬰)이 지은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는 오제(五帝) 중 하나인 제곡(帝嚳)의 스승이었다고도 했다.
 仙人이라 張良 주078)
장량(張良)
?~기원전 186. 전한 패군(沛郡) 성보(城父) 사람. 자는 자방(子房)이고,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연이어 한(韓)나라의 재상을 지냈다. 진(秦)나라가 조국 한나라를 멸망시키자 자객을 시켜 박랑사(博浪沙)에서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 후 성명을 고치고 하비(下邳) 땅으로 달아나 살았는데, 흙다리 위에서 황석공(黃石公)이란 노인을 만나 태공망(太公望)의 병서(兵書) 『태공병법(太公兵法)』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진이세(秦二世) 원년(기원전 209) 무리를 모아 진승(陳勝)의 반란에 호응했다. 나중에 유방(劉邦)의 모신(謀臣)이 되었다. 유방이 군대를 이끌고 함양(咸陽)에 진군했을 때 번쾌(樊噲)와 함께 유방에게 궁실의 부고(府庫)를 봉하고 패상(覇上)으로 철군할 것을 권했다. 홍문연(鴻門宴)에서 기지를 발휘해 유방을 위기에서 구해냈다. 초한(楚漢) 전쟁 때 여섯 나라가 공존할 수 없음을 제시하여 영포(英布)와 팽월(彭越)과 연대하고 한신(韓信)을 등용하는 등 계책을 올렸다. 또 항우(項羽)를 공격하여 완전히 궤멸시킬 것을 건의했는데, 모두 유방이 채택했다. 고조(高祖) 6년(기원전 201) 유후(留侯)에 봉해졌다. 뜻을 이룬 뒤 속세를 벗어나 벽곡(辟穀)을 하여 신선술을 익히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이 從髙祖 주079)
고조(髙祖)
유방(劉邦, 기원전 256(247)~기원전 195). 전한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02~기원전 195). 자는 계(季)고, 묘호는 고조(高祖)며, 패(沛) 사람이다. 농가에서 태어났지만, 가업을 돌보지 않고 유협(遊俠)의 무리와 어울렸다. 진(秦)나라 말에 사수정장(泗水亭長)이 되었다. 진이세(秦二世) 원년(기원전 209) 진승(陳勝)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에 호응해 거병하고 패공(沛公)으로 불렸다. 처음에 항량(項梁)에 속했다가 항우(項羽)와 함께 반진(反秦) 세력의 주력이 되었다. 한왕(漢王) 원년 함양(咸陽)을 공격해 점령하고 진나라의 왕자 영(嬰)이 항복하자 약법삼장(約法三章)을 시행하면서 진나라의 가혹한 법령을 없앴다. 항우가 입관(入關)한 뒤 제후들을 봉할 때 한왕(漢王)에 봉해졌다. 얼마 뒤 항우와 피나는 결전 끝에 5년 승리를 거두고 황제로 즉위해서 한왕조(漢王朝)를 건설했다. 한왕조는 진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중앙집권제를 채택했다. 왕조 건설에 공이 큰 장수와 부하를 제후왕(諸侯王)과 열후(列侯)로 봉했지만, 얼마 뒤 이들을 하나 둘 도태시키고 왕실 일족 출신으로 대체했다. 이후 제후왕은 한실일족(漢室一族) 출신자에 한정된다는 불문율이 성립했다. 진나라 법률에 의거 한율구장(漢律九章)을 제정했다. 8년 동안 재위했다.
야 運籌帷幄 주080)
운주유악(運籌帷幄)
대장의 막사 안에서 전략을 세워 먼 곳에서 승리를 거둠. 장자방(張子房)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그는 중국 전한(前漢) 창업의 공신으로, 이름은 양(良)이고, 자가 자방이다. 유방의 모신(謨臣)으로 공을 세우고 유후(留侯)에 책봉되었다.
더니 後에 願棄人閒事고 從赤松子逰ㅣ라 니 又以二人으로 比韓註다】

주081)
옛. 녜[舊]+ㅅ. ¶녯 : 도로 녯 벼슬시고〈석상 11:33ㄱ〉. 伏羲와 堯舜과 녯어딘 皇帝시니라〈월석 2:70ㄴ〉. 才名 녯 楚앳 將軍이로소니 微妙 謀略로 兵機 려 가졧도다(才名舊楚將 妙略擁兵機)「警急」〈두시 5:11ㄴ〉.
赤松子ㅣ라 듣논 주082)
듣논
듣는. 듣-[聞]+오+ㄴ.
니 주083)
니
듯하니. #-+니.
저 주084)
저
두렵건대. 두렵되. ~함이 두렵다. 저#-+ㄴ. ‘저하다’는 ‘두렵다, 무섭다’의 뜻이다. ‘-ㄴ’은 ‘願다’ 등의 동사가 내포문을 지배하면서 후행하는 것이 한국어의 어순에 맞지만 동사를 한문 원문과 같이 제자리에 두고 내포문을 해석할 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어미이다. ‘저’이란 표현은 『두시언해』에서만 사용되었다. ¶저- : 太子ㅣ 出家가 저샤〈석상 3:4ㄴ〉. 곧 巫山ㅅ  저며 眞實로 白帝ㅅ  슬노라(直怕巫山雨 眞傷白帝秋)「更題」〈두시 12:28ㄴ〉. 문노라 大將 누고 저 이 霍嫖姚가 노라(借問大將誰 恐是霍嫖姚)「後出塞五首」〈두시 5:31ㄱ〉. 저 이 녯  卿相의 무더메 돌 셰여 表 사마 이제 지즈로 잇가 노라(恐是昔時卿相墓 立石爲表今仍存)「石笋行」〈두시 3:70ㄱ-ㄴ〉. 士卒이 內廐엣  해 더니 저 이 病 乘黃인가 야 슬노라(士卒多騎內廄馬 惆悵恐是病乘黃)「瘦馬行」〈두시 17:27ㄴ〉.
이 漢代옛 韓國ㅅ 張良인가 노라 녜 劉氏 조차 주085)
조차
좇아. 따라. 좇-[隨]+아. (~을) 좇아. (~을) 따라[隨]. 그대로 지켜. 이것은 서술어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어로도 기능하지 않고 그 의미가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도 나타난다. 이것은 기원적으로 ‘좇-+아’와 같은 동사 구성이 보조사(補助詞)로 문법화한 것이다. ¶좇- : 네 사미 메오 모다 울며 조차 가거늘〈석상 3:18ㄴ〉. 녜 漢ㅅ 使者 조차 즈믄 무딧 珍寶 가져오나 萬 匹 羅로 되 님그믈 져기 酬答더시니라(舊隨漢使千堆寶 少答胡王萬匹羅)「喜聞···五首」〈두시 5:21ㄱ〉. 외로왼 구루미 殺伐ㅅ 氣運을 좃고  새 轅門을 에여가놋다(孤雲隨殺氣 飛鳥避轅門)「觀安···二首」〈두시 5:53ㄴ〉. 조차(보조사) : 리  밤 재민 불휘조차 절로 디리라〈구간 3:17ㄴ〉.
長安 安定고 帷幄이 고티디 주086)
유악(帷幄)이 고티디
유악을 고치지. 帷幄+이 곧-[直]+히+디. 고티-[使直]. ‘고티-’는 ‘곧-’의 사동사 즉 타동사이기 때문에 대격을 지배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주격을 지배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주격조사는 주제 기능의 주격조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고티- : 惺惺은 無記 고티니라〈영가 상:100ㄴ〉. 곧 이제 다봇 구미티 고티니 菊花 푸믈 오직 붓그리노라(卽今蓬鬢改 但媿菊花開)「九日五首」〈두시 11:29ㄱ〉.
아니얫거 주087)
아니얫거
아니하고 있거늘. 아니#-+야#잇-+거+.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精神을 슬흐니라 주088)
슬흐니라
슬퍼한다. 슳-[悲]+으니+라. ‘슳-’은 ‘슬허-, 슬프-, 슬퍼-’의 파생형을 가지는 동사이다.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슳- : 어마니미 太子ㅅ 우희 업더디여 슬흐시더라〈석상 11:21ㄴ〉. 王이  슬흐샤〈석상 3:39ㄱ〉. 아라히 步兵이 울오 便安히 몯 자셔 仲宣이 슬흐니라(蒼茫步兵哭 展轉仲宣哀)「秋日···三十韻」〈두시 3:9ㄴ〉.

【한자음】 사문작자적송자 공시한대한장량 석수류씨정장안 유악미개신참상【적송자(赤松子)는 선인(仙人)이다. 장량(張良)이 고조를 따라 군영에서 계획을 운영하더니, 나중에 인간의 일을 버리고 적송자를 좇아 놀고자 원했다고 한다. 또 이 두 사람으로 한주(韓註)를 비유했다.】
【언해역】 옛 적송자(赤松子)라 듣는 듯하니, 두렵건대 이 한대(漢代)의 한국(韓國)의 장량(張良)인가 하노라. 옛 유 씨(劉氏)를 좇아 장안을 안정(安定)시키고, 유악(帷幄)을 고치지 아니하고 있거늘 정신을 슬퍼하네.
*〈중간본〉에는 ‘願棄人間事고’로 되어 있다.
*시 구절 해석 : “옛 적송자를 듣는 듯하니, 아마도 한나라 때에는 장량인가 하노라. 예전에 유 씨를 따라 장안을 안정시켰더니, 유악을 고치지 않았으나 정신은 슬퍼했지.”라는 뜻으로, 유방을 좇아 큰 공을 세운 장량도 나중에는 적송자를 따라 신선술을 배우고자 했던 것처럼 한주는 일찍부터 이런 뜻을 품은 것을 칭송한 말이다. 4구로 된 연면구이다.

國家成敗吾豈敢 色難腥腐飡楓香 주089)
풍향(楓香)
풍향수(楓香樹). 낙엽이 큰 교목(喬木). 보통 풍수(楓樹)라 한다. 잎이 서로 나서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잎 끝에 가는 톱 모양의 무늬가 있다.
列仙傳 주090)
열선전(列仙傳)
선인(仙人)의 행적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장생불사를 중심 주제로 한, 현존하는 중국 최초의 신선 설화집이자 신선 전기집이다. 계통적으로 잘 정리된 이러한 선화집(仙話集)의 출현에는 전대로부터 이어져 온 사회ㆍ사상적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
壷公 주091)
호공(壷公)
전설(傳說)에 나오는 선인(仙人). 가리키는 바가 각각 다르다.
이 令費長房 주092)
비장방(費長房)
?~?. 후한 때 사람. 시연(市掾)으로 있었다. 시장에서 어떤 노옹(老翁)이 약을 팔고 있었는데, 가게 앞에 호리병을 하나 걸어 두고 장사가 끝나면 호리병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누대에서 그것을 보고 비상(非常)한 사람인 것을 알았다. 다음 날 노옹에게 가서 말을 하니, 노옹과 함께 호리병 속으로 들어갔다. 그 속에는 옥당(玉堂)이 아름답게 세워져 있고, 맛있는 술과 안주가 상에 가득 차려져 있었다. 함께 마시고는 다시 나왔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사자성어 ‘호리건곤(壺裏乾坤)’이 나왔다.
으로 噉溷니 臭惡이 非常이어 長房이 色難之니라】

나랏 주093)
나랏
나라의. 나라[國]+ㅅ. ‘ㅅ’은 속격조사로 후행하는 ‘야듀매’의 의미상 주어이다.
일며 주094)
일며
일어나며. 일-[起]+며. 〈중간본〉에는 ‘일머’로 되어 있다. ¶일- :  氣韻이 流야 三世 일오〈석상 19:12ㄱ〉. 亂 代예 飄零야 내 예 왯노니 녯 사 일며 敗호매 네 엇뎨리오(亂代飄零予到此 古人成敗子如何)「寄栢學士林居」〈두시 7:28ㄴ〉. 일우- : 成佛은 부텻 道理 일우실 씨라〈석상 3:1ㄱ〉. 면  뉘 닐오 더듸다 뇨 됴 비 오미 일우메 잇디 아니니라(豐年孰云遲 甘澤不在早)「遣興三首」〈두시 5:34ㄴ〉.
야듀매 주095)
야듀매
패망함에. 무너짐에. 야디-[頹]+우+ㅁ+애. ‘야디다’는 기원적으로는 ‘다’에 ‘-어 디다’가 결합된 단어이지만 15세기에서는 ‘무너지다, 패망(敗亡)하다, 지워지다’의 의미로만 쓰였다. 『두시언해』에서 ‘야디다’는 ‘야디다’로도 쓰였다. ¶야디- : 그 冊앳 두 字ㅣ 야디여 아모도 모더니〈석상 3:10ㄱ〉. 時節이 바라온 제 사 이리 急促니 미 거스리 부니 짓과 터리왜 야디놋다(時危人事急 風逆羽毛傷)「暮春···五首」〈두시 7:15ㄴ〉. 야디- : 玉  이스레 싣나못 수프리 드러 야디니 巫山과 巫峽엣 氣運이 蕭森도다(玉露凋傷楓樹林 巫山巫峽氣蕭森)「秋興三首」〈중간두시 10:33ㄱ〉.
엇뎨 주096)
엇뎨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구틔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19ㄴ

주097)
구틔여
구태여.
리오 주098)
리오
하겠는가? -+리+오. 『두시언해』에서 ‘-리오’는 주로 수사의문문에 쓰인다. 여기서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한다.
고 顔色이 비리며 주099)
비리며
비리며. 비리-[腥]+며. 『두시언해』에는 ‘비리다’의 사동사로 ‘비리우다’도 쓰였다. ¶비리우- : 되히 四海 비리우니 머리 돌아 라오니 티 아라도다(羯胡腥四海 回首一茫茫)「送靈州李判官」〈두시 23:55ㄴ〉.
서근 주100)
서근
썩은. 석-[腐]+은. ¶석- : 사게론 더러 서근 내 리며 가야미 머구믈 免야〈월석 18:39ㄴ〉. 서근 를 서근  무두로 올타 고〈월석 18:40ㄱ〉. 江漢애셔 가고져  나그내여 하  예  서근 션로라(江漢思歸客 乾坤一腐儒)「江漢」〈두시 3:40ㄱ〉.
거슬 주101)
거슬
것을. 것+을.
어려이 주102)
어려이
어렵게. 어렵-[難]+이. 〈능엄경언해〉(1461) 이전 한글문헌에는 ‘어려’로 표기된다. 〈중간본〉에는 ‘이려이’로 되어 있다. ¶어려 :  사미 오히려 讀誦 어려 너기거니와〈월석 1:월인석보 서23ㄴ〉. 어려이 : 一切ㅅ 어려이 行 法엣 일 行호매 니르로미〈능엄 1:86ㄱ〉. 偶然히 英秀 요 어려이 얻디 아니리니(偶然擢秀非難取)「醉歌行」〈두시 8:31ㄱ〉.
너기고 주103)
너기고
여기고. 너기-[謂]+고.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훈언 2ㄴ〉. (너기샤) : 걔 너기샤 나라 니 아 마  아바 願 일우과라 시고〈석상 3:25ㄱ〉. 宮闈예 才人 야 드류리라 너기디 아니시니라(宮闈不擬選才人)「承聞···二首」〈두시 5:23ㄱ〉.
楓香 먹놋다 주104)
먹놋다
먹는구나. 먹-[食]++오+ㅅ+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한자음】 국가성패오기감 색난성부손풍향【『열선전(列仙傳)』에, “호공(壷公)이 비장방(費長房)으로 오물을 씹게 하니, 냄새가 고약하거늘 비장방이 난색을 표명하였다.】
【언해역】 나라의 일어나며 패망함에 내 어찌 구태여 하겠는가 하고, 안색이 비리며 썪은 것을 어렵게 여기고 풍향(楓香)을 먹는구나!
*시 구절 해석 : “나랏일의 성패를 내가 어찌 감히 하리오 하고, 안색이 비리고 썩은 것을 어렵게 여기고 풍향을 먹었다.”라는 뜻으로, 국가의 성패는 자신이 어쩔 수 없으니 비장방처럼 비린 음식을 먹고 풍향나무 열매를 먹으며 신선을 꿈꾸겠다는 말이다.

周南 주105)
주남(周南)
오늘날의 중국 하남성 낙양(洛陽) 지방을 가리킴인데, 그리하여 조정의 정사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먼 지방의 고을을 뜻하게 되었다. 『사기』 권 130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에, “이 해에 천자께서 비로소 한가의 봉선례를 행했는데, 태사공이 주남에 머물렀던 까닭에 부득이 그 일에 함께 따를 수 없었다(是歲 天子始建漢家之封 而太史公留滯周南 不得與從事)” 고 하는 구절에서 나왔다.
留滯古所惜 南極老人應壽昌 주106)
수창(壽昌)
장수(長壽)하여 창성(昌盛)함.
太史公 주107)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 기원전 145(135)~기원전 86?). 전한 좌풍익(左馮翊) 하양(夏陽) 사람. 자는 자장(子長)이고, 사마담(司馬談)의 아들이다. 7살 때 아버지가 천문 역법과 도서를 관장하는 태사령(太史令)이 된 이후 무릉(武陵)에 거주하며 고문을 익혔다. 20살 무렵 낭중(郞中)이 되어 무제(武帝)를 수행하여 강남(江南)과 산동(山東), 하남(河南) 등지를 사신으로 다니면서 여행했다. 원봉(元封) 원년(기원전 110) 아버지가 죽으면서 『사기(史記)』의 완성을 부탁했고, 3년(기원전 108) 태사령이 되면서 황실 도서에서 자료 수집을 시작했다. 태초(太初) 원년(기원전 104) 역법(曆法)의 개혁에 참여했고, 당도(唐都), 낙하굉(落下閎) 등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수정했다. 천한(天漢) 2년(기원전 99) 저술에 몰두하던 중 흉노(匈奴)의 포위 속에서 부득이 투항하지 않을 수 없었던 친구 이릉(李陵) 장군을 변호하다 황제의 노여움을 사 남자로서 가장 치욕스러운 궁형(宮刑)을 받았다. 출옥한 뒤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더욱 발분하여 정화(征和) 3년(기원전 90) 『사기』(원래 이름은 『태사공서(太史公書)』)를 완성했다.
이 留滯周南니 ㅣ 自喻也ㅣ라 老人星 주108)
노인성(老人星)
별 이름.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이라고도 하며, 현재의 1등성 카노프스이다. 옛날부터 사람의 수명을 관장하는 별이라고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보기가 매우 어렵다.
이 見則主夀니 比韓註의 在南方다】

周南애 머므러슈믄 주109)
머므러슈믄
머물러 있음은. 머믈-[留]+어#잇-+우+ㅁ+은. 말음이 ‘ㄹ’인 어간 ‘머믈-’ 뒤에 ‘ㄴ,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당시 음운규칙에 따라 말음 ‘ㄹ’이 자동 탈락한다. 근대국어에서 음절 첨가와 원순모음화를 거쳐 ‘머무르-’형으로 재구조화되었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머믈- : 부톄 舍衛國로 오 길헤 머므르 지비라〈석상 6:23ㄴ〉. 블러 薊門로 가니 軍士ㅣ 뮐 可히 머므렛디 몯리로다(召募赴薊門 軍動不可留)「後出塞五首」〈두시 5:30ㄱ〉. 大衆 中에 七寶塔이 해셔 솟나아 虛空애 머므니〈석상 11:16ㄴ〉.
녜브터 주110)
녜브터
예부터. 녜[舊]+브터.
슬논 주111)
슬논
슬퍼하는. 슳-[悲]++오+ㄴ. ‘슳-’은 ‘슬허-, 슬프-, 슬퍼-’의 파생형을 가지는 동사이다.
배니 주112)
배니
바이니. 바+이+니.
南極엣 老人星은 壽昌호 주113)
수창(壽昌)호
수창함을. 壽昌+-+오+ㅁ+.
相應니라 주114)
상응(相應)니라
상응한다. 相應+-++니+라.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한자음】 주남류체고소석 남극로인응수창【태사공(太史公)이 주남(周南) 땅에 머물렀으니, 두보가 자신을 비유한 것이다. 노인성(老人星)이 나타나면 목숨을 주관하니, 한주(韓註)가 남방에 있음을 비유했다.】
【언해역】 주남(周南)에 머물러 있음은 예부터 슬퍼하는 바이니, 남극의 노인성(老人星)은 수창(壽昌)함을 상응하네.
*시 구절 해석 : “주남에 머물렀음은 예부터 슬픈 바이니, 남극의 노인성이 장수를 창성하게 하는 것과 상응한다.”라는 뜻으로, 한주가 남쪽에 있는 것이 안타깝지만 노인성이 남극에서 장수를 관장하는 것처럼 한주의 능력을 비유했다.

美人胡爲隔秋水 焉得置之貢玉堂 주115)
옥당(玉堂)
①옥으로 장식한 전당(殿堂). 또한 궁전(宮殿)의 미칭(美稱)이다. ②한(漢)나라 때 궁전(宮殿) 이름.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美人은 指韓註니 言欲得此羙人야 貢之玊堂야 以輔天子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아다온 주116)
아다온
아름다운. 아#-+은. 앞에서는 ‘미인(美人)’을 ‘고운 사람’이라 언해하였다. ¶아답- : 美 아다 씨니〈석상 13:9ㄱ〉. 됴커나 굿거나 아답거나 아답디 아니커나〈석상 19:20ㄱ〉.
사 주117)
사
사람은. 사[人]+은.
엇뎨 주118)
엇뎨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 주119)

가을의. ㅎ[秋]+ㅅ. ‘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중간본〉에는 ‘’로 되어 있다.
므레 주120)
므레
물에. 믈[水]+에.
주첫니오 주121)
주첫니오
사이를 두는가? 주#츠-+어#잇-++니+오. 『두시언해』에서는 ‘주츠다’도 쓰였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중간본〉에는 ‘주움첫니오’로 되어 있다.
엇뎨 주122)
엇뎨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시러곰 주123)
시러곰
능히. 시러+곰. ‘시러’는 기원적으로 ‘*실-’과 ‘-어’의 결합일 가능성이 있다.
두 주124)
두
두되. 두-[置]+우. ‘-(오/우)’는 대립적인 사실을 잇는 데 쓰는 연결어미이다.
玉堂애 바티려뇨 주125)
바티려뇨
바치겠는가? 받-[獻]+히+리+어+뇨. ‘-뇨’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하는 설명의문어미이다. ¶바티- : 海中엣 五百 바지 보 어더와 바티며〈월석 2:45ㄴ〉. 甲兵 닐언 數ㅣ 하니 賦斂 바티고 바미 깁거늘 도라오놋다(甲兵年數久 賦歛夜深歸)「夜二首」〈두시 11:45ㄴ〉.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미인호위격추수 언득치지공옥당【미인은 한주(韓註)를 가리키니, 이런 미인을 얻어 옥당에 바쳐 천자를 보좌하고 싶다는 말이다.】
【언해역】 아름다운 사람은 어찌 가을 물에 사이를 두는가? 어찌 능히 사이를 두되 옥당(玉堂)에 바치려는가?
*시 구절 해석 : “아름다운 사람은 어찌 가을 물에 떨어져 있는가, 어찌 얻어서 옥당에 이바지할까?”라는 뜻으로, 내쫓긴 미인 같은 한주를 어떻게 하면 얻어 천자를 보좌하게 할까 걱정한다는 말이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기한간의주(寄韓諫議註) : 이 작품은 대력(大曆) 원년(766) 가을, 두보 55세 때에 지어졌다. 당시 두보는 기주(夔州)에 있었다. 7언고시로, 일찍이 직언(直言)했다가 미움을 받아 형산(衡山)에 은거한 한주(韓註)를 격려하는 한편, 마땅히 국사(國事)에 뜻을 두어 재기해 나라를 안정시킬 것을 부탁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두보가 비록 궁벽한 지역에 살고 있지만 항상 당나라 왕실을 염려하는 치열한 심정도 노래하였다. 처음부터 끝까지 표일(飄逸)한 기상을 드러내 이백(李白)의 시풍을 깊이 터득하고 있다.
주002)
악양(岳陽) : 호남성 악양현을 이르는 말. 악양성 서쪽 문 위에 있는 3층짜리 누각이 있는데, 악양루(岳陽樓)라 불렀다. 당나라 때 세웠고, 동정호가 내려다보여 경치가 좋기로 명성이 있다. 황학루(黃鶴樓), 등왕각(騰王閣)과 함께 강남의 3대 명루(名樓)로 꼽힌다. 두보의 〈등악양루(登岳陽樓)〉와 범중엄(范仲淹)의 〈악양루기(岳陽樓記)〉로 더 유명하다.
주003)
한주(韓註) : ?~? 간의(諫議)를 지냈다는 것 외에 생애나 활동 사항은 알려진 것이 없다.
주004)
대종(代宗) : 727~779. 이예(李豫). 당나라의 황제(재위, 762~779).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다. 처음 이름은 숙(俶)인데, 나중에 예로 고쳤다. 『주역』과 『예기』에 정통했다. 15살 때 광평왕(廣平王)에 봉해졌다. 숙종 지덕 2년(757) 천하병마원수(天下兵馬元帥)가 되어 곽자의(郭子儀) 등과 함께 병사를 이끌고 안경서(安慶緖)를 격파하고, 양경(兩京)을 수복했다. 건원 원년(758) 태자가 되었다. 보응 원년(762) 환관(宦官)의 옹립으로 황제에 올랐다. 17년 동안 재위했는데, 환관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번진(藩鎭)들이 발호했지만 제어하지 못했다. 시호는 예문효무황제(睿文孝武皇帝)다.
주005)
동정(洞庭) : 동정호(洞庭湖). 호남성 북부에 있는 중국 제2의 담수호. 면적은 계절에 따라 3,100~5,100㎢로 차이가 컸는데, 현재는 3,915㎢로 거의 고정되었다. 태고에 운몽대택(雲夢大澤)이라고 불린 큰 호수가 일대를 덮고 있었는데, 여러 하천의 퇴적작용에 의해 광대한 호광(湖廣) 평야와 크고 작은 무수한 소택군이 형성되었고, 동정호도 그 중 하나로 생겨났다. 상강(湘江)과 자수(資水), 원강(沅江), 풍하(澧河) 등의 물을 모아, 악양(岳陽) 북동쪽의 성릉기(城陵磯)를 거쳐 당강으로 배수한다. 호수 안에는 섬이 많아, 일찍이 소상팔경(瀟湘八景)의 하나로 꼽힌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명하고, 악양루 앞에 있는 높이 128m의 군산(君山, 湘山)에는 순제(舜帝)의 죽음을 비탄하여 물에 몸을 던진 아황와 여영 두 비를 모시는 묘우(廟宇)가 있다.
주006)
군산(君山) : 산 이름. 호남 동정호 입구에 있다. 상산(湘山)이라고도 부른다. 악양현 서남쪽 동정호 속에 있는 상산. 좋은 경치에 보이차로 알려진 군산은침(君山銀針)의 재배지로 유명하다. 상비묘(湘妃廟)가 있다.
주007)
내 : 내가. 내. 여기에 대해서는 「奉贈韋···二十二韻」의 ‘내 녜 져믄 제(甫昔少年日)’〈두시 19:1ㄱ〉 항목 참조.
주008)
즐기디 아니야셔 : 즐기지 않아서. 즐기-[樂]+디 아니#-+야+셔. ¶즐기- : 太子 즐기시게 더시니〈석상 3:6ㄴ〉. 탯논 性은 本來로 幽獨호 즐기노라(受性本幽獨)「客堂」〈두시 6:52ㄴ〉.
주009)
노니 : 생각하니. #-++오+니. 15세기 국어의 ‘다’는 ‘생각하다’와 ‘사랑하다’의 뜻이 있다. 여기서는 전자의 뜻으로 쓰였다. ‘-오-’는 종결어미가 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결어미 ‘-니’와도 쓰인다. ‘-오-’의 존재로 생각하는 주체가 두보 자신임을 알 수 있다. 〈중간본〉에는 ‘랑노니’로 되어 있다. ¶다(생각하다) : 茂陵이 病 한 後에 오히려 卓文君 랑니라(茂陵多病後 尙愛卓文君)「琴臺」〈두시 3:73ㄱ〉. 다(사랑하다) : 萬物ㅅ 비치 生長 디 兼야 잇도소니 凄凉호 니건  노라(物色兼生意 凄凉憶去年)〈두시 3:29ㄴ〉.
주010)
모미 : 몸이. 몸[身]+이.
주011)
라가고져 : 날아가고자. -[飛]+아#가-+고#지-+어. ¶- : 五百靑 새 圍繞 며 瑞雲香風이 섯버므러 잇더니〈석상 3:42ㄱ〉. 간 汾陽애 車駕 구펴 가시고 간 燕ㅅ 將軍의게 글워 여 보내시니라(暫屈汾陽駕 聊飛燕將書)「收京三首」〈두시 5:7ㄱ〉. -고져 :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훈언 2ㄱ〉. 슬허 셜워시논 詔書ㅣ 端拱야 겨샤 헐므닐 무르샤믈 듣고져 願노라(願聞哀痛詔 端拱問瘡痍)「有感五首」〈두시 5:16ㄱ〉.
주012)
나 : 하나. 하지만. -+나.
주013)
병(病)야 : 병들어. 病#-+야. 15세기 국어에서 ‘병(病)이 들다’를 뜻하는 동사는 ‘病다’이다. ¶病- : 須達이 病얫거늘 부톄 가아 보시고 阿那含 得리라 니르시니라〈석상 6:44ㄴ〉. 郞 외야쇼매 머리 셰요 므던히 너기노니 病야 누우미 두 히어다(爲郞從白首 臥病數秋天)「歷歷」〈두시 5:17ㄴ〉.
주014)
상(床)애 : 자리에. 침상에. 병상에. 床+애.
주015)
누어 잇노라 : 누어 있노라. 눕-[臥]+어 잇-++오+라. 화자 주어를 가리키는 선어말어미 ‘-오-’가 있으므로 이 문장의 주어는 두보 자신임을 알 수 있다. 15세기 국어에서 ‘-어 잇-’은 주로 축약되어 ‘-엣/앳/옛-’ 등으로 표기되지만 여기서는 본동사 ‘눕다’와 보조동사 ‘-어 잇-’이 분리되어 표기되었다. ¶-엣- : 즉자히 入定야 펴엣던  구필 예〈석상 6:2ㄱ〉. 깃부미 都城에 뮈유믈 알리로소니 슬프믄 남진 기지븨 우루미 니엣도다 집마다 빈혀와 쇠 라 香氣로왼 수를 받고져 너기놋다(喜覺都城動 悲連子女號 家家賣釵釧 準擬獻香醪)「喜聞···二十韻」〈두시 5:4ㄴ(번각본)〉. -앳- : 一切 有情의 그 慈悲心 내야 가도앳던 사 노코 알 니르던 다히 뎌 藥師瑠璃光如來 供養면〈석상 9:33ㄴ〉. 日月이 秦樹에 얫고 乾坤이 漢宮에 횟돌앳도다(日月低秦樹 乾坤繞漢宮)「投贈···二十韻」〈두시 5:42ㄱ〉. -옛- : 太子ㅣ 듣고 안닶겨 해 그우러 디옛더라 여슷 大臣이 議論호 太子 더러리디〈석상 11:19ㄱ〉. -어 잇- : 一切 甚히 기픈 이리 다 이 經에 現히 닐어 잇니라〈석상 19:43ㄱ〉. 기튼 치위예 곳과 플왜 디어 잇니 여희 셜운 미  올 얘라(餘寒折花卉 恨別滿江鄉)「送大~遂停니라」〈두시 8:70ㄱ-ㄴ〉. -아 잇- : 王이 듣고 깃거 그 나모 미틔 가 누늘 長常 아 잇더라〈석상 24:42ㄴ〉. 白小ㅣ 무리 목수믈 호아 잇니 天然 두 寸 만 고기로다(白小群分命 天然二寸魚)「白小」〈두시 17:39ㄴ〉.
주016)
탁족(濯足) : 발을 씻는다는 뜻으로, 세속을 초탈하여 고결함을 지키는 것을 일컫는 말.
주017)
팔황(八荒) : 팔방(八方)의 멀고 넓은 범위. 곧 온 세상. 팔굉(八紘), 팔방(八方), 팔극(八極)이라고도 한다.
주018)
물외지심(物外之心) : 물외의 마음. ‘물외(物外)’란, ‘바깥 세상. 또는 형체 있는 물건 이외의 세계’를 말하므로, ‘신선의 마음’ 정도의 말이다.
주019)
고온 : 고운. 곱-[美]+오+ㄴ.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곱- : 아기 아리  곱거늘〈석상 6:13ㄴ〉. 고온 사미 누른 기 외니(美人爲黃土)「玉華宮」〈두시 6:1ㄴ〉.
주020)
사미 : 사람이. 사+이.
주021)
 : 가을의. [秋]+ㅅ. 〈중간본〉에는 ‘’로 되어 있다.
주022)
므레 : 물에. 믈+에.
주023)
주쳇니 : 사이를 두니. 간격을 두니. 주+츠-+어#잇-++니.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되는 낱말로 ‘주’은 ‘사이’의 뜻인데, 15세기 문헌에서는 ‘즈’이 일반적으로 쓰였으며, 『두시언해』에는 ‘즈, 조, 조(1개), 조(1개)’으로도 쓰였으며, ‘-츠-’는 강세접미사이다. 『두시언해』에서 ‘주츠다’는 ‘주츠다’로도 쓰였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중간본〉에는 ‘주움쳿니’로 되어 있다. ¶주츠- : 노 石壁에 디나가 구루믄 錦繡 여러 내옛고 섯긘 소 므를 주처셔 뎌 피리 부 도다(絕壁過雲開錦繡 疎松隔水奏笙篁)「七月一日題終明府水樓二首」〈두시 14:16ㄱ〉. 즈츠- : 아랜 悟와 迷왜 즈추미 잇니라〈영가 하:69ㄴ〉.  리 서르 饒티 아니니 節序ㅣ 어젯 바 즈츠도다(日月不相饒 節序昨夜隔)「立秋後題」〈중간두시 10:28ㄴ-29ㄱ〉. 주츠- : 盤과 案과 와 두위티고 길흘 마가 여곰 주 츠게 다(踏藉盤案翻 塞蹊使之隔)「催宗文樹雞柵」〈두시 17:13ㄱ〉. 즈 : 佛性이 男女 즈 아니며〈법화 4:172ㄱ〉. 옷고 볘 三秋ㅅ 그테 平 받 온 이럼 즈미로다(香稻三秋末 平田百頃間)「茅堂···二首」〈두시 7:37ㄴ-38ㄱ〉. 주 : 요 주 누넷 가 아 리시 그 샤 으리와니 河東ㅅ 져믄 겨지비 모맷 姓이 柳개니라(近者抉眼去其夫 河東兒女身姓柳)「可歎」〈두시 25:9ㄴ〉. 조 : 요 조 이자비 마 사 보니 조 잇고 命은 업서 百寮ㅅ 아래셔 니놋다(比看伯叔四十人 有才無命百寮底)「寄狄明府博濟」〈두시 8:16ㄴ〉. 조(1개) : 아 白帝城의셔 나 나조 江陵의 가다 더니 요 조 누네 보니 眞實로 徵驗호미 잇도다(朝發白帝暮江陵 頃來目擊信有徵)「最能行」〈두시 25:47ㄱ〉. 조(1개) : 幕下앳 郞官은 便安디 아니녀 요 조브터 오매  줈 글도 받디 몯요라(幕下郞官安穩無 從來不奉一行書)「投簡梓州幕府兼韋十郞官」〈두시 21:25ㄱ〉. 즈- : 河水 즈야 되 닐 보니 믄드기 數百 무리로다(隔河見胡騎 攸忽數百群)「前出塞九首」〈두시 5:27ㄴ〉.
주024)
므레 : 물에. 믈[水]+에.
주025)
싯고 : 씻고. 싯-[洗]+고. ¶그 사미 본 젼로 本心을 시서 邪 아로매 수이 들리니〈능엄 9:95ㄱ〉. 아라히 北辰을 拱向호니 盜賊이 얼겟도소니 東海 기우려 乾坤 싯고져 노라(遙拱北辰纏寇盜 欲傾東海洗乾坤)「追酬···見寄」〈두시 11:7ㄱ〉.
주026)
라놋다 : 바라보는구나. 라-[望]++오+ㅅ+다. 15세기 국어의 ‘라다’는 ‘바라보다’와 ‘원하다’의 두 가지 뜻이 있다. 여기서는 전자로 쓰였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바라보다) : 蜜多羅ㅣ 라고 마니 몯 안자 가라 업시 니러나(毘奢蜜多 遙見 不能自禁 遂使其身怱起)〈석상 3:8ㄱ〉. 누니 게 라오믈 디  當호니 미 주그니   노햇 도다(眼穿當落日 心死著寒灰)「喜達行在所三首」〈두시 5:3ㄱ〉. (원하다) : 庶幾 그러긧고 라노라 논 디라〈월석 1:석상서6ㄱ〉. 都市예 이셔 술 먹니 都邑ㅅ 사  도혀 北을 向야 우러 밤나 官軍의 오 다시 라다(都人回靣向北啼 日夜更望官軍至)「悲陳陶」〈중간두시 4:4ㄱ〉.
주027)
명명(冥冥) : ①어두운 모양. ②어두운 밤. 저녁. ③아득한 모양. ④높고 먼 모양. 고원(高遠)한 모양. ⑤저승. ⑤무지(無知)한 모양. ⑥깊이 생각하며 정성을 다하는 모양. ⑦그윽하고 깊숙한 모양. 여기서는 ③의 뜻으로 쓰였다.
주028)
청풍(靑楓) : 푸른 단풍나무.
주029)
양자(楊子) : 양웅(揚雄/楊雄, 기원전 53-기원후 18). 전한 촉군(蜀郡, 사천성) 성도(成都) 사람. 자는 자운(子雲)이다. 어릴 때부터 배우기를 좋아했고, 많은 책을 읽었으며, 사부(辭賦)에도 뛰어났다. 청년시절에 동향의 선배인 사마상여의 작품을 통해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40여 살 때 처음으로 경사(京師)에 가서 문장으로 부름을 받아, 성제의 여행에 수행하며 쓴 「감천부(甘泉賦)」와 「하동부(河東賦)」, 「우렵부(羽獵賦)」, 「장양부(長楊賦)」 등을 썼는데, 화려한 문장이면서도 성제의 사치를 꼬집는 풍자도 잊지 않았다. 급사황문시랑(給事黃門侍郞)에 임명되었다. 나중에 왕망(王莽) 밑에서도 일해 대부(大夫)가 되었다. 천록각(天祿閣)에서 책을 교정했다.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자신의 불우한 원인을 묘사한 「해조(解嘲)」과 「해난(解難)」도 독특한 여운을 주는 산문이다. 학자로서 각 지방의 언어를 집성한 『방언』과 『역경』에 기본을 둔 철학서 『태현경(太玄經)』, 『논어』의 문체를 모방한 『법언(法言)』, 『훈찬편(訓纂篇)』 등을 저술했다.
주030)
그려기 : 기러기. ‘그려기’는 『두시언해』에서 ‘그력’으로도 쓰였다. 『두시언해』에 자주 나오는 새 이름으로는 ‘가마괴(烏), 가치(鵲), 가막가치(烏鵲), 그려기(鴈), 며기(鷗), (雞), 쇠로기(鳶 솔개), 믌(鸂鶒 물닭), 봉황(鳳), 알이새(꾀꼬리), 옫바미(鵩 올빼미), 올히/올(鴨), 졔비(燕), 해야로비/하야로비/야로비(黃鸝)’ 등이 있다. ¶그려기 : 太子ㅣ 本國에셔  그려기 치샤 더브르샤 노니더시니〈월석 22:17ㄱ〉. 햇 예  브리 갯고 자 그려기 두려운 몰애예 모댓도다(野船明細火 宿鴈聚圓沙)「遣意二首」〈두시 3:26ㄱ〉. 그력 : 그력 爲鴈〈훈해 57〉. 아 俗客 혀 드료 怪異히 너기디 아니곡 그력 올히로 여 갓가온 이우즐 어즈러이디 아니호리라(休怪兒童延俗客 不敎鵝鴨惱比隣)「將赴成都草堂途中有作先寄嚴鄭公五首」〈두시 21:3ㄴ〉.
주031)
아라히 : 아스라이. 아라-+-+이. ‘아라히’는 ‘아라이’로도 쓰였다. 참조; 아라다. 〈중간본〉에는 ‘아라히’로 되어 있다. ¶아라히 : 즈추므로브터 아라히 열  남거니 어느 날 니즈리오〈영가 하:108ㄱ〉. 穹廬ㅣ 아라히 牢落니 우희 잇 녀 구루미 시름외도다(穹廬莽牢落 上有行雲愁)「遣興三首」〈두시 5:34ㄴ〉. 아라이 : 正 길히 아라 이 리오 智日이 마 미 빗거 어드운 길헤 드러 家鄕 일허 릴시라〈남명 상76ㄴ〉. 비치 어즈러이 마 말리로소니 世閒앳 緣故ㅣ 아라이 서르 지즈러 오놋다(年華紛已矣 世故莽相仍)「寄劉···四十韻」〈두시 20:23ㄴ〉. 아라- : 逍 아라올 쇼 遙 아라올 요〈광주판천자문 32ㄱ〉. 곧 門 여러 이 므레 드러 디샛  아라 호니〈능엄 5:72ㄴ〉. 새려 블 브튼 棧道얫고 녯 던 壇場 아라도다(牢落新燒棧 蒼茫舊築壇)「王命」〈두시 5:12ㄴ〉.
주032)
오 : 날고. -[飛]+고.
주033)
 리 : 해와 달이. [日] [月]+이.
주034)
니 : 밝으니. -[明]+니.
주035)
프른 : 푸른. 프르-[靑]+ㄴ.
주036)
싣나모 : 신나무. 단풍나무[楓]. 15세기 국어에서 ‘나모’[木]는 음운환경에 따라 2가지 어형으로 나타난다. ①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통합될 때. ② 나모:공동격조사 ‘와’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관형격 ‘ㅅ’ 등), 그리고 휴지가 올 때. ¶楓 싣나모 〈훈몽 상:5ㄴ〉. 믌 올핸  蜃氣 무텻거 싣나모 션 두들게 프른 묏 그티 重疊도다(水鄉霾白蜃 楓岸疊靑岑)「風疾이어~三十六韻이라」〈두시 3:14ㄱ-ㄴ〉. 블근 닙 싣나못 수프레 百舌이 울오 누른   두들겐 하 기 춤츠놋다〈두시 7:28〉. 프른 싣나모 서리예 벼개예 굽스러셔 玉除 限隔호라〈두시 21:18ㄱ〉.
주037)
니피 : 잎이. 닢[葉]+이.
주038)
븕고 : 붉고. 븕-[赤]+고.
주039)
하히 : 하늘이. 하ㅎ[天]+이. ‘하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주040)
리오놋다 : 내리는구나. 리-[下]+오++오+ㅅ+다. ‘리오-’는 ‘리-’의 사동사이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리- : 하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며〈석상 6:17ㄱ〉. 忽然히 드로니 슬허 셜워시 詔書ㅣ 聖明朝애  리도다(忽聞哀痛詔 又下聖明朝)「收京三首」〈두시 5:7ㄴ〉. 리오- : 難陁 깃브다 논 마리오 跋 어디다 논 마리니 時節ㅅ 비를 깃비 리와 어딘 德이 잇다 논 디라〈석상 13:7ㄴ〉. 犀角로 론 져 블어 오래 리오디 아니커늘 鸞刀로 실티 버휴믈 갓 어즈러이 놋다(犀筯厭飫久未下 鸞刀縷切空紛綸)「麗人行」〈두시 11:18ㄱ〉. 리우- :  服애 열다 丸으로 스믈 丸지히 空心에 茅根湯을 글혀 리우라〈구급방 상:69ㄱ〉. 祿山이 亂逆거 하히 주규믈 리우시니 다시 思明이 잇더니  마 업도다(祿山作逆降天誅 更有思明亦已無)「承聞···十二首」〈두시 5:21ㄴ〉.
주041)
옥경(玉京) : ①도가(道家)에서 천제(天帝)가 살고 있는 곳을 일컫는 말. ②대개 선도(仙都)를 가리키는 말. ③제도(帝都)를 가리키는 말.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주042)
북두(北斗) :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줄인 말. 초제(醮祭)의 대상(對象)이었다. 여기서는 협주에서, 천자가 있는 곳을 말한다고 하였다.
주043)
기린(麒麟) : 고대 전설에 나오는 상서로운 동물. 기(騏)는 수컷 인(麟)은 암컷이다. 모양은 사슴과 같고 머리엔 뿔이 있으며 온 몸에 갑옷처럼 비늘이 있고 꼬리는 소꼬리 모양이라고 한다. 기린이 출현하면 세상에 성왕(聖王) 또는 성인(聖人)이 나올 징조로 여겼다. 애공(哀公) 14년(기원전 481) 봄 사냥에서 괴상한 짐승을 잡았는데, 공자가 이를 보고 기린이라고 한 일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공자가 태어났을 때 기린이 나타났는데, 공자의 어머니인 안징재(顔徵在)가 기린의 뿔에 수건을 매어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공자가 늙어서 다시 만난 기린은 그때까지도 그 수건이 뿔에 매어져 있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덕을 지닌 공자가 세상에 나왔으므로 기린이 세상에 나왔다는 것을 뜻한 말이다.
주044)
봉황(鳳凰) : 고대 중국에서 상서로운 새로 여기던 상상(想像)의 새. 머리는 뱀, 턱은 제비, 등은 거북, 꼬리는 물고기 모양이며 깃에는 오색의 무늬가 있다고 한다. 수컷을 봉(鳳)이라 하고, 암컷을 황(凰)이라 한다. 성인(聖人)의 탄생에 맞추어 세상에 나타나는데, 오동나무에 살며 예천(醴川, 甘泉)을 마시고 대나무 열매를 먹으며, 깃털은 다섯 가지 색이고 울음소리는 퉁소 소리와 같다고 한다. 봉조(鳳鳥).
주045)
모니 : 모이니. 몯-[會]+니. ‘몯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여기서는 자동사 용법으로 쓰였다. ¶(자동사) : 공경홈은 德의 몯 거시니 能히 공경면 반시 德이 이실디라〈소학 4:34ㄴ〉. 盛 이리  모니 이 지븐 엇뎨 즈믄  니리오(盛事會一時 此堂豈千年)「陳拾遺故宅」〈두시 3:65ㄱ〉. (타동사) : 王이 붑 텨 조 겻 사 다 모라 시고〈석상 3:12ㄱ〉.
주046)
며 : 타며. -[乘]+며. 15세기 국어의 ‘다’는 ‘받다, 오르다, 탈 것을 타다, 불에 타다’ 등의 의미가 있다. ¶首羅ㅣ니 여듧 히오 세 누니오  쇼 니〈석상 21:11ㄱ〉. 漁陽앳 이  니와 邯鄲앳 아히 수를 醉고 셕 와 고 金채 드리웻도다(漁陽突騎邯鄲兒 酒酣並轡金鞭垂)「承聞···十二首」〈두시 5:24ㄴ-25ㄱ〉.
주047)
탓도다 : 타고 있도다. -[乘]+아#잇-+도+다. 15세기 국어의 ‘다’는 ‘받다, 오르다, 탈 것을 타다, 불에 타다’ 등의 의미가 있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주048)
부용(芙蓉) : ①하화(荷花, 연꽃)의 다른 이름. ②목련(木蓮). 즉 목부용(木芙蓉). ③미녀(美女)를 다르게 표현하는 말. ④보검(寶劍) 이름.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주049)
소상(瀟湘) : 소상강(瀟湘江). 중국 호남성의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류하는 곳. 이곳에 순임금의 두 부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의 묘가 있으며, 순임금이 창오산(蒼梧山)에서 순수(巡狩) 중에 승하하자, 두 비가 뒤쫓아 가고자 했으나 소상강을 건너지 못해 서로 붙잡고 울다가 강에 몸을 던졌다고 한다. 그때 흘린 눈물이 피가 되어 붉은 반점이 생겼다는 반죽(斑竹)이 유명하다. 소상반죽(瀟湘斑竹).
주050)
연(蓮)ㅅ 고로 : 연꽃으로. 蓮+ㅅ 곶[花]+로.
주051)
론 : 만든. -[作]+오+ㄴ. ‘-오-’는 표제명사인 ‘정기(旌旗)’가 관형어의 의미상 목적어임을 알려주는 소위 대상 용법의 ‘-오-’이다. 〈중간본〉에는 ‘론’으로 되어 있다.
주052)
정기(旌旗)오 : 정기이고. 旌旗+이+고. ‘-오’는 ‘-고’가 계사 ‘이’에 후행하면서 ‘ㄱ’이 약화된 표기이다. ‘정기’는 천자의 깃발이다.
주053)
서리옛 : 사이의. 서리[間]+예+ㅅ.
주054)
음악(音樂)이로소니 : 음악이니. 音樂+이+도+ㅅ+오+니. ‘도’와 ‘ㅅ’ 또는 ‘돗’은 모두 감탄의 선어말어미들로서 ‘도’의 ‘ㄷ’이 계사 ‘이’에 후행하면서 ‘ㄹ’로 바뀌어서 실현된 표기이다.
주055)
그르메 : 그림자[影]. ¶ 그  五百 太子ㅣ 蓮 못  모다 안자 이셔 믈 미틧 그르메 보고 서르 닐오〈석상 11:36ㄱ〉. 그르메 千官ㅅ 소개 와 安靜고  닐굽 校尉ㅅ 알 요라(影靜千官裏 心蘇七校前)「喜達行在所三首」〈두시 5:6ㄴ〉.
주056)
갓고로 : 거꾸로. 참조; 갓고로디다. ¶갓고로 : 어리여 迷惑야 邪曲 信야 갓고로 볼〈월석 9:57ㄴ〉. 긄  三峽 므를 갓고로 흘리리오 붇陣 올로 즈믄 사 軍 러 리리로다(詞源倒流三峽水 筆陣獨掃千人軍)「醉歌行」〈두시 8:30ㄴ〉. 갓고로디- : 네헨 구슬로 뮨 幢이 갓고로디며 如意珠를 일코〈석상 23:26ㄴ〉. 버미 갓고로딘 며 龍이 업더딘 야 가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虎倒龍顚委榛棘 淚痕血點垂胸臆)「柟木···拔歎」〈두시 6:41ㄴ〉.
주057)
비취 : 비추는. 비추-[照]+. ‘비추-’ 자체도 ‘*빛-’과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사동사일 가능성이 있다.
주058)
비츨 : 햇빛을. [日]+ㅅ+빛[光]+을.
주059)
뮈워 : 움직여. 뮈-[動]+어. ‘뮈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 ‘뮈우다’가 사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참조; 움즈기다. ‘뮈-’는 모음 어미가 뒤에 올 때의 ‘뮈-’형과 과도음 ‘ㅣ(j)’가 생략된 ‘무-’형의 2가지로 실현되었다. ¶무여〈두초 20:20〉. 무유미〈내훈 3:69〉. 뮈- : 聲聞 辟支佛 히 모미 뮈  몰라 니러 추믈 츠니〈석상 11:15ㄱ〉. 니은 笮 뮈여 움즈기니 길녀 사 오시 매 부리놋다(連笮動嫋娜 征衣颯飄颻)「桔柏渡」〈중간두시 1:34ㄱ〉. 뮈우- : 翳 눈과 어울면 조 누늘 뮈우니 業識이  그러니라〈월석 11:75ㄴ〉. 靑雲ㅣ 내의 노 興을 뮈우니 幽事도  즐겸즉도다(靑雲動高興 幽事亦可悅)「北征」〈중간두시 1:3ㄱ〉. 무이- : 어즈러이 무유미 勞ㅣ오〈능엄 4:16ㄱ〉. 兵戈 무여 니도다(兵戈動接聯)「寄岳···五十韻」〈두시 20:20ㄱ〉.
주060)
이어놋다 : 흔드는구나. 이어-[動]++오+ㅅ+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이어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자동사 용법은 ‘흔들리다’, 타동사 용법은 ‘흔들다’는 뜻이며, 사동사는 ‘이어이다’와 ‘이에다’로 표기되었다. 참조; 이어오다. ¶이어다(흔들리다) : 覺 구텨 보 일며 明을 이어 風이 나 風과 金괘 서르 츨〈능엄4:18ㄴ〉. 댓 비츤 햇 비체 도렫고 집 그르메  흐르  이어놋다(竹光團野色 舍影漾江流)「屏跡二首」〈두시 3:30ㄱ〉. 맷 蓮은  지치 이어 고 天棘은 프른 시리 너추렛 도다(江蓮搖白羽 天棘蔓靑絲)「巳上人茅齋」〈두시 9:25ㄴ〉. 이어다(흔들다) : 가온 괴외야 이어디 아니며 밧도 이어도 뮈디 아니리니〈몽산 43ㄴ〉. 밥 求 리 苦로이 이어고 恩 가  녜 노라(苦搖求食尾 常曝報恩腮)「秋日···三十韻」〈두시 3:9ㄱ〉. 이어이- : 다  正히 이어여 러디니 머리 도혀솔와 대 라노라(窮秋正搖落 廻首望松筠)「寄張···三十韻」〈두시 16:24ㄴ〉. 이에- : 매셔 이에어 러듀미 後에 니   어긔리츤가 전노라(江湖後揺落 亦恐歳蹉跎)「蒹葭」〈두시 18:10ㄱ-ㄴ〉. 이어오다(흔들다) : 覺 明과 空 昧왜 서르 기드려 이어오미 일 이런로 風輪이 잇니라〈능엄4:21ㄴ〉. 프른 시내  이어오매 어위니 블근 果實은 가지예 므르니거 하도다(碧溪搖艇闊 朱果爛枝繁)「園」〈두시 15:13ㄴ〉.
주061)
성궁(星宮) : 천궁(天宮). 지리적으로 위치가 높은 곳에 있는 궁전(宮殿)이나 정대(亭臺)를 말한다.
주062)
경장(瓊漿) : 신선들이 마시는 음료(飮料)를 일컫는 말. 당나라의 배항(裵航)이 남교(藍橋)를 지나다가 선녀인 운영(雲英)을 만나서 경장을 얻어 마셨다고 한다.
주063)
우인(羽人) : ①주(周)나라 벼슬 이름. 부세(賦稅)로써 조류(鳥類)를 농가(農家)로부터 징수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②날개 달린 사람. 신선(神仙).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064)
폄출(貶黜) : ①벼슬을 떨어뜨리어 물리침. 강직(降職) 또는 관작(官爵)을 박탈함. ②폄책(貶責). 배척(排斥). 남의 인망(人望)을 깎아 내려 배척함.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주065)
님그믄 : 임금은. 님금[王]+은. 〈중간본〉에는 ‘님금은’으로 되어 있다. ¶製 님금 지샨 그리라〈훈언 1ㄱ〉. 君臣ㅅ 法은 님금 臣下ㅅ 法이라〈석상 9:38ㄱ〉. 님그미 몬져 사호 그쳐  華山 陽애 보내욜 디니라(大君先息戰 歸馬華山陽)「有感五首」〈두시 5:14ㄱ〉.
주066)
머거 : 먹어. 먹-[食]+어. ¶여듧차힌 모딘 藥 먹거나〈석상 9:37ㄴ〉. 우리 무른  바비나 더 먹고 이셔 蠻과 다 荊에 가디 마롤 디로다(吾徒且加餐 休適蠻與荊)「揚旗」〈두시 5:49ㄱ〉.
주067)
취(醉)거 : 취하거늘. 醉#-+거+. ‘-’가 ‘ㅣ’하향모음과 ‘거’ 사이에서 생략되었다. ‘거’은 ‘카’의 잘못인데 〈중간본〉에는 ‘醉커’로 되어 있다.
주068)
짓옷 : 깃옷. 짓[羽]+옷. ‘짓옷’이 ‘깃옷’이 된 것은 역구개음화 현상에 해당된다.
주069)
니븐 : 입은. 닙-[被]+은. ¶닙- : 獅子ㅣ 袈裟 니븐 사 보면 아니 믈 山行리 袈裟 닙니라〈석상 3:31ㄴ〉. 혼 녜 范增이 玉마를 려 리니 吳國ㅅ 兵馬로 여  오 닙디 몯게 홀 디니라(憶昔范增碎玉斗 未使吳兵著白袍)「久雨···不至」〈두시 5:37ㄱ〉.
주070)
사 : 사람은. 사[人]+.
주071)
드므러 : 드물어. 드믈-[希]+어. ¶드믈- : 希 드믈 씨오〈석상 13:15ㄱ〉. 希有는 드므리 잇다 혼 디라〈석상 13:15ㄱ〉. 蚕崖옌 甲 니븐 리 여위오 灌口엔  시른  드므도다(蠶崖鐵馬瘦 灌口米船稀)「西山三首」〈두시 5:11ㄱ〉.
주072)
 : 가에. [邊]+.
주073)
잇디 : 있지. 잇-[有]+디.
주074)
아니도다 : 아니하도다. 아니#-+도+다.
주075)
장안(長安) : 중국의 고대 도시. 서주(西周)와 진(秦), 전한(前漢), 신(新), 전조(前趙), 전진(前秦), 후진(後秦), 서위(西魏), 북주(北周), 수(隋), 당나라 등 11개 왕조가 도읍했던 중국 제1의 고도(古都)다. 지금의 섬서성 서안(西安)에 해당한다. 한(漢)나라와 당나라 때에 가장 번성했는데, 당나라 때에는 동도(東都)인 낙양(洛陽)에 대비시켜 서도(西都) 또는 상도(上都)라 불렀다.
주076)
유악(帷幄) : ①실내(室內)에 치는 휘장. ②천자가 정책을 결정하는 곳이나 대장이 작전 계획을 세우는 막부(幕府). 『한서(漢書)』 장량전(張良傳)에, “유악 안에서 산가지를 놓아서 천리 밖에 승리를 결정한다(運籌策帷幄中 決勝千里外)” 했다. ③제왕(帝王). ④모신(謀臣) 또는 일을 꾸미는 임무. 유악지신(帷幄之臣).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077)
적송자(赤松子) : ?~?. 원고(遠古) 시대 때 사람. 신선(神仙) 이름. 적송자(赤誦子)라고도 부른다. 『열선전(列仙傳)』에 보면 적송자는 신농씨(神農氏) 시대의 우사(雨師)였으며, 수정(水晶)을 복용하는 법에 대하여 신농씨에게 가르쳐 주었고, 불속에 들어가서 스스로를 태울 수도 있었다고 한다. 때로 곤륜산 위에 내려와 서왕모(西王母)의 석실 안에 머물렀는데, 바람과 비를 따라 오르내릴 수도 있었는데, 염제(炎帝)의 어린 딸이 그것을 보고 그를 따라 신선이 되어 갔다고 한다. 한영(韓嬰)이 지은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는 오제(五帝) 중 하나인 제곡(帝嚳)의 스승이었다고도 했다.
주078)
장량(張良) : ?~기원전 186. 전한 패군(沛郡) 성보(城父) 사람. 자는 자방(子房)이고,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연이어 한(韓)나라의 재상을 지냈다. 진(秦)나라가 조국 한나라를 멸망시키자 자객을 시켜 박랑사(博浪沙)에서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 후 성명을 고치고 하비(下邳) 땅으로 달아나 살았는데, 흙다리 위에서 황석공(黃石公)이란 노인을 만나 태공망(太公望)의 병서(兵書) 『태공병법(太公兵法)』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진이세(秦二世) 원년(기원전 209) 무리를 모아 진승(陳勝)의 반란에 호응했다. 나중에 유방(劉邦)의 모신(謀臣)이 되었다. 유방이 군대를 이끌고 함양(咸陽)에 진군했을 때 번쾌(樊噲)와 함께 유방에게 궁실의 부고(府庫)를 봉하고 패상(覇上)으로 철군할 것을 권했다. 홍문연(鴻門宴)에서 기지를 발휘해 유방을 위기에서 구해냈다. 초한(楚漢) 전쟁 때 여섯 나라가 공존할 수 없음을 제시하여 영포(英布)와 팽월(彭越)과 연대하고 한신(韓信)을 등용하는 등 계책을 올렸다. 또 항우(項羽)를 공격하여 완전히 궤멸시킬 것을 건의했는데, 모두 유방이 채택했다. 고조(高祖) 6년(기원전 201) 유후(留侯)에 봉해졌다. 뜻을 이룬 뒤 속세를 벗어나 벽곡(辟穀)을 하여 신선술을 익히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주079)
고조(髙祖) : 유방(劉邦, 기원전 256(247)~기원전 195). 전한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02~기원전 195). 자는 계(季)고, 묘호는 고조(高祖)며, 패(沛) 사람이다. 농가에서 태어났지만, 가업을 돌보지 않고 유협(遊俠)의 무리와 어울렸다. 진(秦)나라 말에 사수정장(泗水亭長)이 되었다. 진이세(秦二世) 원년(기원전 209) 진승(陳勝)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에 호응해 거병하고 패공(沛公)으로 불렸다. 처음에 항량(項梁)에 속했다가 항우(項羽)와 함께 반진(反秦) 세력의 주력이 되었다. 한왕(漢王) 원년 함양(咸陽)을 공격해 점령하고 진나라의 왕자 영(嬰)이 항복하자 약법삼장(約法三章)을 시행하면서 진나라의 가혹한 법령을 없앴다. 항우가 입관(入關)한 뒤 제후들을 봉할 때 한왕(漢王)에 봉해졌다. 얼마 뒤 항우와 피나는 결전 끝에 5년 승리를 거두고 황제로 즉위해서 한왕조(漢王朝)를 건설했다. 한왕조는 진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중앙집권제를 채택했다. 왕조 건설에 공이 큰 장수와 부하를 제후왕(諸侯王)과 열후(列侯)로 봉했지만, 얼마 뒤 이들을 하나 둘 도태시키고 왕실 일족 출신으로 대체했다. 이후 제후왕은 한실일족(漢室一族) 출신자에 한정된다는 불문율이 성립했다. 진나라 법률에 의거 한율구장(漢律九章)을 제정했다. 8년 동안 재위했다.
주080)
운주유악(運籌帷幄) : 대장의 막사 안에서 전략을 세워 먼 곳에서 승리를 거둠. 장자방(張子房)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그는 중국 전한(前漢) 창업의 공신으로, 이름은 양(良)이고, 자가 자방이다. 유방의 모신(謨臣)으로 공을 세우고 유후(留侯)에 책봉되었다.
주081)
녯 : 옛. 녜[舊]+ㅅ. ¶녯 : 도로 녯 벼슬시고〈석상 11:33ㄱ〉. 伏羲와 堯舜과 녯어딘 皇帝시니라〈월석 2:70ㄴ〉. 才名 녯 楚앳 將軍이로소니 微妙 謀略로 兵機 려 가졧도다(才名舊楚將 妙略擁兵機)「警急」〈두시 5:11ㄴ〉.
주082)
듣논 : 듣는. 듣-[聞]+오+ㄴ.
주083)
니 : 듯하니. #-+니.
주084)
저 : 두렵건대. 두렵되. ~함이 두렵다. 저#-+ㄴ. ‘저하다’는 ‘두렵다, 무섭다’의 뜻이다. ‘-ㄴ’은 ‘願다’ 등의 동사가 내포문을 지배하면서 후행하는 것이 한국어의 어순에 맞지만 동사를 한문 원문과 같이 제자리에 두고 내포문을 해석할 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어미이다. ‘저’이란 표현은 『두시언해』에서만 사용되었다. ¶저- : 太子ㅣ 出家가 저샤〈석상 3:4ㄴ〉. 곧 巫山ㅅ  저며 眞實로 白帝ㅅ  슬노라(直怕巫山雨 眞傷白帝秋)「更題」〈두시 12:28ㄴ〉. 문노라 大將 누고 저 이 霍嫖姚가 노라(借問大將誰 恐是霍嫖姚)「後出塞五首」〈두시 5:31ㄱ〉. 저 이 녯  卿相의 무더메 돌 셰여 表 사마 이제 지즈로 잇가 노라(恐是昔時卿相墓 立石爲表今仍存)「石笋行」〈두시 3:70ㄱ-ㄴ〉. 士卒이 內廐엣  해 더니 저 이 病 乘黃인가 야 슬노라(士卒多騎內廄馬 惆悵恐是病乘黃)「瘦馬行」〈두시 17:27ㄴ〉.
주085)
조차 : 좇아. 따라. 좇-[隨]+아. (~을) 좇아. (~을) 따라[隨]. 그대로 지켜. 이것은 서술어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어로도 기능하지 않고 그 의미가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도 나타난다. 이것은 기원적으로 ‘좇-+아’와 같은 동사 구성이 보조사(補助詞)로 문법화한 것이다. ¶좇- : 네 사미 메오 모다 울며 조차 가거늘〈석상 3:18ㄴ〉. 녜 漢ㅅ 使者 조차 즈믄 무딧 珍寶 가져오나 萬 匹 羅로 되 님그믈 져기 酬答더시니라(舊隨漢使千堆寶 少答胡王萬匹羅)「喜聞···五首」〈두시 5:21ㄱ〉. 외로왼 구루미 殺伐ㅅ 氣運을 좃고  새 轅門을 에여가놋다(孤雲隨殺氣 飛鳥避轅門)「觀安···二首」〈두시 5:53ㄴ〉. 조차(보조사) : 리  밤 재민 불휘조차 절로 디리라〈구간 3:17ㄴ〉.
주086)
유악(帷幄)이 고티디 : 유악을 고치지. 帷幄+이 곧-[直]+히+디. 고티-[使直]. ‘고티-’는 ‘곧-’의 사동사 즉 타동사이기 때문에 대격을 지배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주격을 지배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주격조사는 주제 기능의 주격조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고티- : 惺惺은 無記 고티니라〈영가 상:100ㄴ〉. 곧 이제 다봇 구미티 고티니 菊花 푸믈 오직 붓그리노라(卽今蓬鬢改 但媿菊花開)「九日五首」〈두시 11:29ㄱ〉.
주087)
아니얫거 : 아니하고 있거늘. 아니#-+야#잇-+거+.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주088)
슬흐니라 : 슬퍼한다. 슳-[悲]+으니+라. ‘슳-’은 ‘슬허-, 슬프-, 슬퍼-’의 파생형을 가지는 동사이다.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슳- : 어마니미 太子ㅅ 우희 업더디여 슬흐시더라〈석상 11:21ㄴ〉. 王이  슬흐샤〈석상 3:39ㄱ〉. 아라히 步兵이 울오 便安히 몯 자셔 仲宣이 슬흐니라(蒼茫步兵哭 展轉仲宣哀)「秋日···三十韻」〈두시 3:9ㄴ〉.
주089)
풍향(楓香) : 풍향수(楓香樹). 낙엽이 큰 교목(喬木). 보통 풍수(楓樹)라 한다. 잎이 서로 나서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잎 끝에 가는 톱 모양의 무늬가 있다.
주090)
열선전(列仙傳) : 선인(仙人)의 행적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장생불사를 중심 주제로 한, 현존하는 중국 최초의 신선 설화집이자 신선 전기집이다. 계통적으로 잘 정리된 이러한 선화집(仙話集)의 출현에는 전대로부터 이어져 온 사회ㆍ사상적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
주091)
호공(壷公) : 전설(傳說)에 나오는 선인(仙人). 가리키는 바가 각각 다르다.
주092)
비장방(費長房) : ?~?. 후한 때 사람. 시연(市掾)으로 있었다. 시장에서 어떤 노옹(老翁)이 약을 팔고 있었는데, 가게 앞에 호리병을 하나 걸어 두고 장사가 끝나면 호리병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누대에서 그것을 보고 비상(非常)한 사람인 것을 알았다. 다음 날 노옹에게 가서 말을 하니, 노옹과 함께 호리병 속으로 들어갔다. 그 속에는 옥당(玉堂)이 아름답게 세워져 있고, 맛있는 술과 안주가 상에 가득 차려져 있었다. 함께 마시고는 다시 나왔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사자성어 ‘호리건곤(壺裏乾坤)’이 나왔다.
주093)
나랏 : 나라의. 나라[國]+ㅅ. ‘ㅅ’은 속격조사로 후행하는 ‘야듀매’의 의미상 주어이다.
주094)
일며 : 일어나며. 일-[起]+며. 〈중간본〉에는 ‘일머’로 되어 있다. ¶일- :  氣韻이 流야 三世 일오〈석상 19:12ㄱ〉. 亂 代예 飄零야 내 예 왯노니 녯 사 일며 敗호매 네 엇뎨리오(亂代飄零予到此 古人成敗子如何)「寄栢學士林居」〈두시 7:28ㄴ〉. 일우- : 成佛은 부텻 道理 일우실 씨라〈석상 3:1ㄱ〉. 면  뉘 닐오 더듸다 뇨 됴 비 오미 일우메 잇디 아니니라(豐年孰云遲 甘澤不在早)「遣興三首」〈두시 5:34ㄴ〉.
주095)
야듀매 : 패망함에. 무너짐에. 야디-[頹]+우+ㅁ+애. ‘야디다’는 기원적으로는 ‘다’에 ‘-어 디다’가 결합된 단어이지만 15세기에서는 ‘무너지다, 패망(敗亡)하다, 지워지다’의 의미로만 쓰였다. 『두시언해』에서 ‘야디다’는 ‘야디다’로도 쓰였다. ¶야디- : 그 冊앳 두 字ㅣ 야디여 아모도 모더니〈석상 3:10ㄱ〉. 時節이 바라온 제 사 이리 急促니 미 거스리 부니 짓과 터리왜 야디놋다(時危人事急 風逆羽毛傷)「暮春···五首」〈두시 7:15ㄴ〉. 야디- : 玉  이스레 싣나못 수프리 드러 야디니 巫山과 巫峽엣 氣運이 蕭森도다(玉露凋傷楓樹林 巫山巫峽氣蕭森)「秋興三首」〈중간두시 10:33ㄱ〉.
주096)
엇뎨 :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주097)
구틔여 : 구태여.
주098)
리오 : 하겠는가? -+리+오. 『두시언해』에서 ‘-리오’는 주로 수사의문문에 쓰인다. 여기서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한다.
주099)
비리며 : 비리며. 비리-[腥]+며. 『두시언해』에는 ‘비리다’의 사동사로 ‘비리우다’도 쓰였다. ¶비리우- : 되히 四海 비리우니 머리 돌아 라오니 티 아라도다(羯胡腥四海 回首一茫茫)「送靈州李判官」〈두시 23:55ㄴ〉.
주100)
서근 : 썩은. 석-[腐]+은. ¶석- : 사게론 더러 서근 내 리며 가야미 머구믈 免야〈월석 18:39ㄴ〉. 서근 를 서근  무두로 올타 고〈월석 18:40ㄱ〉. 江漢애셔 가고져  나그내여 하  예  서근 션로라(江漢思歸客 乾坤一腐儒)「江漢」〈두시 3:40ㄱ〉.
주101)
거슬 : 것을. 것+을.
주102)
어려이 : 어렵게. 어렵-[難]+이. 〈능엄경언해〉(1461) 이전 한글문헌에는 ‘어려’로 표기된다. 〈중간본〉에는 ‘이려이’로 되어 있다. ¶어려 :  사미 오히려 讀誦 어려 너기거니와〈월석 1:월인석보 서23ㄴ〉. 어려이 : 一切ㅅ 어려이 行 法엣 일 行호매 니르로미〈능엄 1:86ㄱ〉. 偶然히 英秀 요 어려이 얻디 아니리니(偶然擢秀非難取)「醉歌行」〈두시 8:31ㄱ〉.
주103)
너기고 : 여기고. 너기-[謂]+고.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훈언 2ㄴ〉. (너기샤) : 걔 너기샤 나라 니 아 마  아바 願 일우과라 시고〈석상 3:25ㄱ〉. 宮闈예 才人 야 드류리라 너기디 아니시니라(宮闈不擬選才人)「承聞···二首」〈두시 5:23ㄱ〉.
주104)
먹놋다 : 먹는구나. 먹-[食]++오+ㅅ+다. ‘오’는 이 문장의 화자가 ‘두보’임을 말해 준다.
주105)
주남(周南) : 오늘날의 중국 하남성 낙양(洛陽) 지방을 가리킴인데, 그리하여 조정의 정사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먼 지방의 고을을 뜻하게 되었다. 『사기』 권 130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에, “이 해에 천자께서 비로소 한가의 봉선례를 행했는데, 태사공이 주남에 머물렀던 까닭에 부득이 그 일에 함께 따를 수 없었다(是歲 天子始建漢家之封 而太史公留滯周南 不得與從事)” 고 하는 구절에서 나왔다.
주106)
수창(壽昌) : 장수(長壽)하여 창성(昌盛)함.
주107)
태사공(太史公) : 사마천(司馬遷, 기원전 145(135)~기원전 86?). 전한 좌풍익(左馮翊) 하양(夏陽) 사람. 자는 자장(子長)이고, 사마담(司馬談)의 아들이다. 7살 때 아버지가 천문 역법과 도서를 관장하는 태사령(太史令)이 된 이후 무릉(武陵)에 거주하며 고문을 익혔다. 20살 무렵 낭중(郞中)이 되어 무제(武帝)를 수행하여 강남(江南)과 산동(山東), 하남(河南) 등지를 사신으로 다니면서 여행했다. 원봉(元封) 원년(기원전 110) 아버지가 죽으면서 『사기(史記)』의 완성을 부탁했고, 3년(기원전 108) 태사령이 되면서 황실 도서에서 자료 수집을 시작했다. 태초(太初) 원년(기원전 104) 역법(曆法)의 개혁에 참여했고, 당도(唐都), 낙하굉(落下閎) 등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수정했다. 천한(天漢) 2년(기원전 99) 저술에 몰두하던 중 흉노(匈奴)의 포위 속에서 부득이 투항하지 않을 수 없었던 친구 이릉(李陵) 장군을 변호하다 황제의 노여움을 사 남자로서 가장 치욕스러운 궁형(宮刑)을 받았다. 출옥한 뒤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더욱 발분하여 정화(征和) 3년(기원전 90) 『사기』(원래 이름은 『태사공서(太史公書)』)를 완성했다.
주108)
노인성(老人星) : 별 이름.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이라고도 하며, 현재의 1등성 카노프스이다. 옛날부터 사람의 수명을 관장하는 별이라고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보기가 매우 어렵다.
주109)
머므러슈믄 : 머물러 있음은. 머믈-[留]+어#잇-+우+ㅁ+은. 말음이 ‘ㄹ’인 어간 ‘머믈-’ 뒤에 ‘ㄴ,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당시 음운규칙에 따라 말음 ‘ㄹ’이 자동 탈락한다. 근대국어에서 음절 첨가와 원순모음화를 거쳐 ‘머무르-’형으로 재구조화되었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머믈- : 부톄 舍衛國로 오 길헤 머므르 지비라〈석상 6:23ㄴ〉. 블러 薊門로 가니 軍士ㅣ 뮐 可히 머므렛디 몯리로다(召募赴薊門 軍動不可留)「後出塞五首」〈두시 5:30ㄱ〉. 大衆 中에 七寶塔이 해셔 솟나아 虛空애 머므니〈석상 11:16ㄴ〉.
주110)
녜브터 : 예부터. 녜[舊]+브터.
주111)
슬논 : 슬퍼하는. 슳-[悲]++오+ㄴ. ‘슳-’은 ‘슬허-, 슬프-, 슬퍼-’의 파생형을 가지는 동사이다.
주112)
배니 : 바이니. 바+이+니.
주113)
수창(壽昌)호 : 수창함을. 壽昌+-+오+ㅁ+.
주114)
상응(相應)니라 : 상응한다. 相應+-++니+라.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주115)
옥당(玉堂) : ①옥으로 장식한 전당(殿堂). 또한 궁전(宮殿)의 미칭(美稱)이다. ②한(漢)나라 때 궁전(宮殿) 이름.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주116)
아다온 : 아름다운. 아#-+은. 앞에서는 ‘미인(美人)’을 ‘고운 사람’이라 언해하였다. ¶아답- : 美 아다 씨니〈석상 13:9ㄱ〉. 됴커나 굿거나 아답거나 아답디 아니커나〈석상 19:20ㄱ〉.
주117)
사 : 사람은. 사[人]+은.
주118)
엇뎨 :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주119)
 : 가을의. ㅎ[秋]+ㅅ. ‘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중간본〉에는 ‘’로 되어 있다.
주120)
므레 : 물에. 믈[水]+에.
주121)
주첫니오 : 사이를 두는가? 주#츠-+어#잇-++니+오. 『두시언해』에서는 ‘주츠다’도 쓰였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중간본〉에는 ‘주움첫니오’로 되어 있다.
주122)
엇뎨 :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주123)
시러곰 : 능히. 시러+곰. ‘시러’는 기원적으로 ‘*실-’과 ‘-어’의 결합일 가능성이 있다.
주124)
두 : 두되. 두-[置]+우. ‘-(오/우)’는 대립적인 사실을 잇는 데 쓰는 연결어미이다.
주125)
바티려뇨 : 바치겠는가? 받-[獻]+히+리+어+뇨. ‘-뇨’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하는 설명의문어미이다. ¶바티- : 海中엣 五百 바지 보 어더와 바티며〈월석 2:45ㄴ〉. 甲兵 닐언 數ㅣ 하니 賦斂 바티고 바미 깁거늘 도라오놋다(甲兵年數久 賦歛夜深歸)「夜二首」〈두시 11:45ㄴ〉.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