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하)
  • 기간 상(寄簡上)
  • 소혜께[贈蘇徯]
메뉴닫기 메뉴열기

소혜께[贈蘇徯]


蘇徯 주001)
증소혜(贈蘇徯)
이 작품은 대력(大曆) 원년(766) 두보가 기주(夔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이다. 두보가 소혜(蘇徯)를 기주에서 상봉한 뒤 오래지 않아 소혜가 형양(荊揚)으로 유람가려고 했는데, 이에 두보가 이 시를 써서 전송하였다. 시에는 시인 자신과 소혜가 객지에서 고생한 일들이 서술되어 있고, 아울러 소혜에게 거듭 경계를 당부하는 말이 이어진다.
주002)
소혜(蘇徯)
?~?. 두보와 동시대 때 사람. 두보의 오랜 친구의 아들이다. 두보가 쓴 시로 볼 때 처지가 곤궁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세한 생애와 활동 상황은 미상이다.

증소혜
(소혜께)

異縣昔同遊 各云厭轉蓬

다 주003)
다
다른. 다-[異]+ㄴ.
올 주004)
올
고을에. 올ㅎ+. ‘올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주005)
옛날에.
 주006)

함께. ++. ‘(관형사)#(의존명사)+(부사격조사)’가 부사로 파생된 것.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노라 주007)
노라
놀아. 놀-[遊]+아.
제여곰 주008)
제여곰
각자. 각각. 제각기. ¶舍利弗이 그제 說法니 제여곰 前生애 닷곤 因緣으로 須陁洹 得리도 이시며〈석상 6:34ㄴ〉. 部伍ㅣ 제여곰 블로 뵈다(部伍各見招)「後出塞五首」〈두시 5:31ㄱ〉.
닐오 주009)
닐오
말하되. 말하기를. 니-[說]+오+. ‘니-’는 모음어미 앞에서 ‘닐ㅇ-’으로 활용하는 소위 ‘ㄹ·ㅇ’형 불규칙활용 동사이다.
올마 주010)
올마
옮아. 옮-[移]+아. 15세기 국어의 ‘옮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자동사 용법과 타동사 용법이 있지만, 타동사 용법이 약화되어 자동사 용법의 ‘옮다’에 사동접미사가 결합된 ‘옮기다’가 타동사 용법의 ‘옮다’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옮다(자동사) :  刻야 갈 어들 사  옮거늘 오히려  머리 딕욤과 엇뎨 리오〈남명상:36ㄱ〉. 樓ㅣ 아라니 올로 時ㅣ 옮록 이쇼라(樓迥獨移時)「垂白」〈두시 3:40ㄴ〉. 옮다(타동사) : 道 올마 變호미 업거늘 디 며 오람 이슈미   사미  時 옮디 아니야셔 메 한  디나 니〈법화 5:88ㄴ〉. 세  옮 燭 토라(三歲如轉燭)「寫懷二首」〈중간두시 2:58ㄴ〉. 옮기- : 몬졋 旋은 物을 옮규미니 假 두르 空애 드루미오〈석상 21:54ㄱ〉. 디새로 占卜야 鬼神의 마 옮기고(瓦卜傳神語)「戲作···二首」〈두시 3:47ㄱ〉.
니 주011)
니
다니는. -#니-+.
다붓 주012)
다붓
다북쑥. ‘다붓’은 『두시언해』에서만 쓰였는데, 『두시언해』에는 ‘다봇(다봊)’과 ‘다붖(다붓)’의 두 가지 표기가 있다. ‘다봇’은 44회나 쓰였지만 ‘다붓’은 2회만 쓰였다. ¶다봇 : 다봇 옮 호매 시르미 悄悄니(轉蓬憂悄悄)「風疾이어~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두시 3:16ㄴ〉. 다붓 : 兎絲ㅣ 다붓과 사매 버므러시니(兔絲附蓬麻)「新婚別」〈두시 8:67ㄱ〉.
토 주013)
토
같음을. -/-+오+ㅁ+.
아쳗노라 주014)
아쳗노라
싫어하노라. 아쳗-++오+라. ‘아쳗다’는 ‘브’ 파생형용사인 ‘아쳗브다’도 있는데 『두시언해』에는 쓰이지 않았다. 〈중간본〉에는 ‘아쳣노라’로 되어 있다. ¶아쳗- : 苦 이 生死報ㅣ니 몬져 드르샤 아쳗게 시고〈반야 51ㄱ〉. 집 안해셔 기 벌어지와 가야미와 머구믈 아쳗고(家中厭雞食蟲蟻)「縛雞行」〈두시 17:14ㄴ〉/ 아쳗브- : 爲頭 됴 일 삼디 아니야 世間이 아쳗븐  아라 見取를 그처리며〈월석 11:123ㄱ〉.
다소라 주015)
다소라
하는구나! -+더+오+ㅅ+오+라. ‘-소라’는 화자 호응의 선어말어미 ‘-오-’에 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오’ 앞에 ‘더’가 선행하였으므로 두 형태가 결합되어 ‘-다-’가 되었다. ¶-소라 : 제 너교 쳔랴 그지업소라 야 〈월석 12:47ㄱ〉. 우리도 이 偈 좃 외오노소라〈월석 8:100ㄴ〉. 흐린 술와 다 거플 바 조히 누네 이실 슬허호미 업소라(濁醪與脫粟 在眼無咨嗟)「柴門」〈두시 6:47ㄱ〉.  펴 忽然히 臺예 오로소라(披寫忽登臺)「鄭駙···同飲」〈두시 15:48ㄱ〉. 스믈  조차 녀 훤히 長安애셔 醉다소라(追隨二十載 浩蕩長安醉)「送顧···吉州」〈두시 16:18ㄱ〉.

【한자음】 이현석동유 각운염전봉
【언해역】 다른 고을에 옛날 한데 놀아 각각 이르되 옮아 다니는 다복 같음을 싫어하노라 하였네!
*시 구절 해석 : “다른 고을에서 옛날 함께 노닐었더니, 각자 뒹구는 다북쑥 됨이 싫다 말하리라”라는 뜻으로, 전에는 함께 어울렸는데 이제는 헤어져 있으니 각자 바람 불면 이리저리 불려 다니는 신세를 슬퍼한다는 뜻이다.

別離已五年 尙在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44ㄱ

行李 주016)
행리(行李)
①관청의 사자(使者). 또는 빈객(賓客)을 맡아보던 벼슬. 이(李)는 이(理)와 통해 이(吏, 관리)를 말한다. 행리(行吏). ②여행용 짐. 또는 그 상자. 행장(行裝).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여희연 디 주017)
여희연 디
이별한 지. 헤어진 지. 여희-+어+ㄴ 디. ‘-어-’는 ‘-거-’가 ‘ㅣ’ 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것이다. ¶忠誠이 이러실 죽다가 살언 百姓이 아긔 袞服 니피니〈용가 25〉. 네 디나건 녜 뉫 時節에 盟誓 發願혼 이 혜다 모다 〈석상 6:8ㄱ〉. 蘊藉야 郞官 외언 디 오라고 魁梧야 明哲호 자바 尊도다(蘊藉爲郞久 魁梧秉哲尊)「贈比···十兄」〈두시 8:64ㄴ〉. 門의 나건 디 나리 마 머니(出門日已遠)「前出塞九首」〈두시 5:26ㄱ〉.
마 주018)
마
이미. 16세기 후반이면 ‘이믜〈소언 5:43ㄴ〉․이믯〈소언 5:43ㄴ〉’과 동의관계이다. 때로는 “장차, 이제 곧”을 뜻하기도 한다. ¶太子 羅睺羅ㅣ 나히 마 아호빌(太子羅睺 年已九歲)〈석상 6:3ㄱ〉. 南陽ㅅ 氣運이 마 새롭도다(南陽氣已新)「喜達行在所三首」〈두시 5:5ㄴ〉.
다 로 주019)
다 로
다섯 해이도되. 다 +이+로+.
오히려 주020)
오히려
아직도. 오히려. 오히+려. ‘려’는 ‘새려’의 ‘-려’와 같은 부사화접미사이다. 원문의 ‘尙’에 대응한다. ¶ 貪 無量有情이 쳔랴 모도아 두고 제 도 오히려 아니거니 며 어버 내야 주며 가시며 子息이며 죠 주며 와 비 사 주리여〈석상 9:12ㄱ〉. 幽薊예 얌과 돋괘 나맷고 乾坤애 범과 일히왜 오히려 잇도다(幽薊餘蛇豕 乾坤尙虎狼)「有感五首」〈두시 5:13ㄴ〉.
길 녀 주021)
길 녀
길 가는. 녀-[行]+.
中에 이슈라 주022)
이슈라
잇구나! 잇-+ㅅ+우+라.

【한자음】 별리이오년 상재행리중
【언해역】 이별한지 이미 다섯 해인데 오히려 길 가는 중에 있구나!
*시 구절 해석 : “헤어진 지 벌써 다섯 해로되, 아직도 떠도는 길에 있어라.”라는 뜻으로, 이별한 지 오래 되었는데도 여전히 방랑하는 신세를 한탄하는 말이다.

戎馬 주023)
융마(戎馬)
①옛날에 병거(兵車)를 매던 말. ②군마(軍馬). 전마(戰馬). ③군대(軍隊)를 대신 일컫던 말. ④호마(胡馬). 북방 소수민족이 중국을 침략할 때 오는 군대를 말한다. ⑤전란(戰亂). 전쟁(戰爭). 여기서는 ⑤의 뜻으로 쓰였다.
衰息 주024)
쇠식(衰息)
서서히 세력이 쇠약해져서 일이나 상황이 중지됨.
乘輿 주025)
승여(乘輿)
대가(大駕). 임금이나 제후(諸侯)가 타는 수레.
九重 주026)
구중(九重)
①구중궁궐(九重宮闕). 궁중(宮中). ②구층(九層). 아홉 가지의 길. ③천문(天門). ④궁궐의 문. ⑤제왕.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乗輿 天子ㅅ 所乗이니 指言天子也ㅣ라】

사호미 주027)
사호미
싸움이. 사호-[鬪]+오+ㅁ+이. ‘융마(戎馬)’를 ‘사호미’로 의역하였다.
나날 그처 가니 주028)
그처 가니
그처 가니. 긏-[終]+어 가-+니. ¶긏- : 受苦ㅣ 니 긋디 몯야〈석상 13:57ㄱ〉. 父母ㅅ 恩惠 그처 리고(棄絕父母恩)「前出塞九首」〈두시 5:26ㄱ〉.
乘輿ㅣ 九重에 便安히 겨시도다 주029)
겨시도다
계시도다. 겨시-+도+다.

【한자음】 융마일쇠식 승여안구중【‘승여(乗輿)’는 천자가 타는 수레니, 천자를 가리켜 말하는 것이다.】
【언해역】 싸움이 나날이 그처 가니 승여(乘輿)가 구중(九重)에 편안히 계시도다!
*시 구절 해석 : “싸움이 나날이 그쳐 가니, 승여(乘輿)는 구중(九重)에서 편안히 계시도다.”라는 뜻으로, 헤어져 있는 사이 전란도 끝나 천자도 편안하게 궁궐에 머물고 있다는 말이다.

有才何棲棲 將老委所窮棲棲 주030)
서서(棲棲)
①바삐 서두르는 모양. 불안정(不安定)한 모양. ②외롭고 영락한 모양.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 無所定處之意라 此 指徯다】

조 주031)
조
재주.
뒷 주032)
뒷
두고 있는. 두-+어#잇-+.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두-+-어#잇-’은 ‘뒷’으로 축약되었다.
사 주033)
사
사람은.
엇뎨 주034)
엇뎨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棲棲히 니뇨 주035)
니뇨
다니는가? -+니++뇨. ‘뇨’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한다.
將次ㅅ 주036)
장차(將次)ㅅ
장차. 將次+ㅅ. ‘ㅅ’은 부사화접미사이다. 『두시언해』에는 ‘, ’로도 표기되었다. 〈중간본〉에는 ‘將次ㅅ’로 되어 있다. ¶將次ㅅ : 將次ㅅ 崆峒山 비곗고져 노라(將欲倚崆峒)「投贈···二十韻」〈두시 5:43ㄴ〉. 녯 功業을  말리로소니(素業行已矣)「夔府書懷四十韻」〈두시 3:8ㄴ〉. 수프렛 곳다온 남 여르믈 내야  업수메 다랏고(林香出實垂將盡)「寒雨朝行視園樹」〈두시 15:15ㄱ〉.
늘구메 주037)
늘구메
늙음에.
窮困호 주038)
궁곤(窮困)호
곤궁함을. 窮困#-+오+ㅁ+.
롓도다 주039)
롓도다
버려 있도다. 리-+어#잇-+도+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선행하는 ‘窮困호’과 함께 ‘곤궁함에 버려져 있도다’로 해석되어야 할 부분이다.

【한자음】 유재하서서 장로위소궁【‘서서(棲棲)’는 정처가 없다는 뜻이다. 이것은 소혜(蘇徯)를 가리킨다.】
【언해역】 재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어찌 정처없이 다니는가? 장차 늙음에 곤궁함을 버리고 있도다!
*시 구절 해석 : “재주 있는 사람이 어찌 정처가 없는가, 장차 늙어가며 궁곤함에 버려지겠다.”라는 뜻으로, 재주를 가지고도 떠돌아다니니 늙어서도 궁핍을 면하지 못하겠다는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爲郞未爲賤 其奈疾病攻ㅣ 爲工部貟外郞也ㅣ라】

郞官 주040)
낭관(郞官)
시랑(侍郞)이나 낭중(郞中) 등의 관직. 진(秦)나라 때 낭중령(郞中令)을 설치해 황제의 주변에서 가깝게 시위(侍衛)한 고급 관원이 되었다. 호위배종(護衛陪從)하거나 때때로 건의(建議)하는 등의 일을 관장했다.
욀 주041)
욀
되었으므로. 되었기 때문에. 외-[爲]+ㄹ.
賤티 주042)
천(賤)티
천하지. 賤#-+디.
아니컨마 주043)
아니컨마
아니하지만. 아니#-+거+ㄴ+마. ‘-ㄴ마’은 역접의 연결어미이다. ¶-ㄴ마 : 내 得혼 智慧 微妙야 第一이언마〈석상 13:56ㄴ〉. 司直은 冗雜 벼스리 아니언마(司直非冗官)「送高···閬州」〈두시 22:39ㄴ〉.
그 病이 주044)
그 병(病)이
그 병이. 이때 두보는 ‘소갈병, 폐병, 편두통’ 등을 앓고 있었다.
나 주045)
나
나를. 두보 자신을 가리킨다.
攻治호매 주046)
공치(攻治)호매
공치(攻治)함에. 攻治#-+오+ㅁ+애.
엇뎨료 주047)
엇뎨료
어찌하겠는가? 엇뎨#-+리+오.

【한자음】 위랑미위천 기내질병공두보는 공부원외랑이 되었다.】
【언해역】 낭관(郞官)이 되므로 천(賤)하지 아니하지마는 그 병(病)이 나를 공격함에 어찌하겠는가?
*시 구절 해석 : “낭관이 되어 비천하지 아니하건만, 질병이 나를 공격하니 어찌하겠는가.”라는 뜻으로, 나는 낭관의 직위에 있지만 그래도 질병 때문에 고생한다는 말이다.

子何面黧黑 주048)
여흑(黧黑)
얼굴빛이 검음. 여기서 얼굴빛이 검다는 것은 외모만이 아니라 마음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 겉으로 드러난 것을 암시한다.
焉得豁心胷

그듸 주049)
그듸
그대는. 그듸+. 『두시언해』에서 ‘그듸’와 ‘그’는 같이 쓰였다.
엇뎨 주050)
엇뎨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치 주051)
치
낯이. [面]+이.
거므니오 주052)
거므니오
검는가? 검-[黑]+으니+오. ‘-오’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흥하는 설명의문의미이다.
엇뎨 시러곰 주053)
시러곰
능히. 시러+곰. ‘시러’는 문증되지 않는 ‘*실-’에 어미 ‘-어’가 연결된 형태이다. ‘시러곰’은 15세기 문헌 중에서는 『두시언해』에서만 보인다. ¶시러 :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훈언 2ㄴ〉. 丹砂 무로 시러 디 몯노라(不得問丹砂)「爲農」〈두시 7:5ㄴ〉. 시러곰 : 날이 졈으도록 술 먹오 시러곰 醉티 아니케 니〈소언 3:27ㄴ〉. 네히 아 金 시러곰 相近호라(得近四知金)「風疾이어~三十六韻이라」〈두시 3:16ㄴ〉.
 주054)

마음을. +. 〈중간본〉에는 ‘’로 되어 있다.
훤히 주055)
훤히
훤히. 훤하게. 훤#-+이. ¶훤- : 四部衆이 다 기 몸과 괘 훤야〈석상 13:16ㄴ〉. 훤야 모 사게 됴토다(疎快頗宜人)「賓客」〈두시 22:11ㄱ〉.
리오 주056)
리오
하겠는가? -+리+오. ‘-오’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하는 설명의문어미이다.

【한자음】 자하면려흑 언득활심흉
【언해역】 그대는 어찌 낯이 검는가? 어찌 능히 마음을 훤히 하리오?
*시 구절 해석 : “그대는 어찌 낯빛이 검은가, 어떻게 해야 마음이 환하게 열리겠는가.”라는 뜻으로, 소혜(蘇徯)의 처지는 두보보다 더욱 딱해 얼굴마저 어두우니 어떻게 해야 마음을 시원하게 할 수 있느냐는 말이다.

巴蜀 주057)
파촉(巴蜀)
진한(秦漢)시대 때 설치된 파촉(巴蜀) 2군(郡). 모두 사천성(四川省)에 있었다. 나중에 사천(四川)의 별칭(別稱)으로 쓰인다. 두견새가 중국 촉(蜀)나라의 망제(望帝)의 죽은 넋이 붙어 되었다는 전설에서 나왔다.
剽刼 주058)
표겁(剽劫)
표겁(剽刦). 창겁(搶劫). 위협을 받고 노략질을 당함.
下愚 주059)
하우(下愚)
①지극히 어리석은 사람. 또는, 그런 상황. ②겸사(謙詞)로 자신을 낮춰 부르는 말.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44ㄴ

土風 주060)
토풍(土風)
①향토(鄕土) 지방의 가요(歌謠)나 악곡(樂曲). ②어떤 지역이나 나라의 풍속(風俗). 습속(習俗).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巴蜀이 주061)
파촉(巴蜀)이
파촉이. 즉, 촉 지방이.
盜賊의 주062)
도적(盜賊)의
도적이. 盜賊+의. ‘-의’는 내포문의 의미상 주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격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剽刼호매 주063)
표겁(剽刼)호매
표겁(剽刼)함에. 剽刼#-+오+ㅁ+애.
가니 주064)
가니
피곤해 하니. -+아#-++니. ‘가다’는 『두시언해』에서만 쓰였다. ‘동사, 동사+어-, 동사+/브-, 동사+/브-어-’로 활용하는 동사로 이 경우 『두시언해』에서는 ‘동사+/브-어-’형이 잘 쓰이지 않는데, ‘갓바-’의 경우는 『두시언해』에서 용례가 확인된다. ¶- : 城 안햇 사미며 孔雀이며 새 니르리  가 자더라〈석상 3:29ㄴ〉. 사미 이제 가 病고 버미 하도다(人今罷病虎縱橫)「愁」〈두시 3:34ㄴ〉. 가- : 붇 가지니 오히려 可히 記錄홀 디니라(載筆尙可記)「題衡···陸宰」〈두시 6:23ㄱ〉 /- : 길 머러 실 보기 야〈석상 3:37ㄴ〉. 아니 님금 모미 신가(無乃聖躬勞)「收京三首」〈두시 5:8ㄱ〉. 바- : 蓐收ㅣ 일호 가고(蓐收困用事)「又上後園山脚」〈두시 25:5ㄴ〉.
어류미 주065)
어류미
어리석음이. 어리-[愚]+우+ㅁ+이. ¶어리여 미혹야 邪曲 보 信〈석상 9:36ㄴ〉. 이 말미  足히 어리도다(此語亦足爲愚蒙)「杜鵑行」〈두시 17:6ㄱ〉.
土風이 이럿도다 주066)
이럿도다
이루어져 있도다! 일-+어#잇-+도+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일-’의 사동사는 ‘일우-’이다. ¶일- :  氣韻이 流야 三世 일오〈석상 19:12ㄱ〉. 나랏 일며 야듀매 내 엇뎨 구틔여 리오 고(國家成敗吾豈敢)「寄韓諫議註」〈두시 19:19ㄱ-ㄴ〉. 일우- : 成佛은 부텻 道理 일우실 씨라〈석상 3:1ㄱ〉. 詩句 일우니 구스리 붇 두루튜메 잇도다(詩成珠玉在揮毫)「和賈···明宮」〈두시 6:4ㄱ-ㄴ〉.

【한자음】 파촉권표겁 하우성토풍
【언해역】 파촉(巴蜀)이 도적의 표겁(剽刼)함에 괴로워 하니 어리석음이 토풍(土風)을 이루도다!
*시 구절 해석 : “파촉이 도적들에게 약탈함에 물렸나니, 아주 어리석음이 토풍이 되었다.”라는 뜻으로, 파촉 지역이 오랫동안 전란에 시달려 사람들의 심성이 피폐해졌다는 말이다.

幽薊 주067)
유계(幽薊)
유주(幽州)와 계주(薊州)를 함께 부르는 이름. 유주는 ①유주(幽洲). 옛 구주(九州)의 하나. ②주명(州名). 한무제(漢武帝)가 설치한 13부(部) 자사(刺史)의 하나다. 후한(後漢) 때 치소(治所)는 계현(薊縣, 지금의 북경성[北京城] 서남쪽)이다. 관할 지역은 지금의 하북(河北) 북부와 요녕(遼寧) 등지였다.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계주는 계현(薊縣). 지금의 천진(天津) 북쪽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또는 북경(北京) 서남쪽에 있었던 마을 이름인데, 진(秦)나라 때 설치되었다. 그리하여 북경(北京) 일대를 말한다.
削平 주068)
삭평(削平)
평정됨. 소멸함.
荒徼 주069)
황요(荒徼)
황폐하고 먼 변방(邊方) 지역.
彎弓 주070)
만궁(彎弓)
활시위를 가득 잡아당기는 것을 일컫는 말. 활을 당김. 활을 쏨.

幽州 薊州ㅅ 녀기 주071)
유주(幽州) 계주(薊州)ㅅ 녀기
유주와 계주 지방이. 안녹산의 본거지를 가리킨다. 〈중간본〉에는 ‘녀기’가 ‘녀키’로 되어 있다.
마 주072)
마
이미. 16세기 후반이면 ‘이믜〈소언 5:43ㄴ〉․이믯〈소언 5:43ㄴ〉’과 동의관계이다. 때로는 ‘장차, 이제 곧’을 뜻하기도 한다. ¶(이미) : 沸星이 마 어우니 이제 時節이니 리 나쇼셔〈석상 3:29ㄱ〉. 南陽ㅅ 氣運이 마 새롭도다(南陽氣已新)「喜達行在所三首」〈두시 5:5ㄴ〉. (장차) : 나 늘거 마 無想天으로 가리니〈釋詳3:2ㄱ〉.
갓가 주073)
갓가
깎아. -[削]+아. ¶- : 다 머리 갓가 버서 나디 몯게 라〈월석 25:85ㄴ〉.  城에 盜賊 城壕 갓가 리도다(春城鏟賊壕)「收京三首」〈두시 5:8ㄱ〉.
平나 주074)
평(平)나
평정하나. 평#-+나.
거츤 주075)
거츤
거친. 거츨-[荒]+ㄴ.
 주076)

가애는. [邊]++ㄴ. 15세기 국어의 처격조사는 일반적으로 ‘-에, -애, -예’이나 ‘신체, 방위, 지리, 천문, 식물, 가옥, 가구’ 등을 지칭하는 100여 개 이상의 체언은 ‘/의’를 처격조사로 취하였는데, 낮, 밤, , 나조ㅎ, 새박[曉] 등은 ‘-’를 취하였고 집, , 우ㅎ, 녁, 밑, 곁,  등은 ‘-의’를 취하였다.
오히려 주077)
오히려
아직. 아직도. 오히려. 오히+려. ‘려’는 ‘새려’의 ‘려’와 같은 부사화접미사이다. ¶ 貪 無量有情이 쳔랴 모도아 두고 제 도 오히려 아니거니 며 어버 내야 주며 가시며 子息이며 죠 주며 와 비 사 주리여〈석상 9:12ㄱ〉. 函關애 오히려 將帥ㅣ 나가고(函關猶出將)「柳司馬至」〈두시 5:16ㄱ〉.
화 주078)
화
활을. 활[弓]+.
혀놋다 주079)
혀놋다
당기는구나! 혀-[引]++오+ㅅ+다. 정음 초기 문헌에는 ‘-’가 쓰였다.

【한자음】 유계이삭평 황요상만궁
【언해역】 유주(幽州) 계주(薊州)의 쪽이 이미 깎여 평정되나 이 거친 변방에는 오히려 활을 당기는구나!
*시 구절 해석 : “유주와 계주가 벌써 깎여 평정되었지만, 이 거친 땅에서는 활쏘기를 숭상하네.”라는 뜻으로, 전란이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어도 변방 지역에서는 여전히 소요가 이어진다는 말이다.

斯人脫身來 豈非吾道 주080)
오도(吾道)
나의 학설(學說)이나 주장(主張).
【斯人은 指徯니 脫冦亂而來蜀也ㅣ라 鄭玄 주081)
정현(鄭玄)
127~200. 후한 말기 북해(北海) 고밀(高密) 사람. 경학(經學)의 대성자다. 자는 강성(康成)이다. 젊어서 향색부(鄕嗇夫)가 되고, 나중에 태학(太學)에서 공부했다. 제오원선(第五元先)을 스승으로 『경씨역(京氏易)』과 『공양춘추(公羊春秋)』에 정통했다. 다시 장공조(張恭祖)에게 『주례』와 『좌씨춘추』, 『고문상서』를 배웠다. 시종 재야의 학자로 지냈고, 제자들에게는 물론 일반인들에게서도 훈고학과 경학의 시조로 깊은 존경을 받았다. 환제(桓帝) 때 당화(黨禍)가 일어나자 금고(禁錮)를 당했는데, 문을 걸어 잠그고 수업에만 전념했다. 북해상(北海相) 공융(孔融)이 깊이 존경하여 고밀현에 특별히 정공향(鄭公鄕)을 세우고, 문을 넓게 열고 통덕문(通德門)이라 했다. 그 후 마융(馬融) 등에게 사사하여, 『주역』과 『상서』, 『춘추(春秋)』 등의 고전을 배운 뒤 40살이 넘어서 귀향했다. 돌아와서 학생을 모아 강학했는데, 제자가 천 명에 이르렀다. 낙양을 떠날 때 마융이 “나의 학문이 정현과 함께 동쪽으로 떠나는구나.”하고 탄식했을 만큼 학문에 힘을 쏟았다. 건안(建安) 중에 대사농(大司農)에 올랐는데, 얼마 뒤 죽었다. 저서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모시전(毛詩箋)』과 『주례』, 『의례』, 『예기』에 대한 주해뿐이고, 나머지는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위주로 하면서 금문경설(今文經說)도 채용하여 일가를 이루었는데, 이를 일러 정학(鄭學)이라 부른다.
이 學扵馬融 주082)
마융(馬融)
79~166. 후한 부풍(扶風) 무릉(茂陵) 사람. 자는 계장(季長)이고, 마엄(馬嚴)의 아들이다. 스승을 정성으로 섬겼고, 경서와 서적에 박통(博通)했다. 처음에 등즐사인(鄧騭舍人)이 되었다. 안제(安帝) 영초(永初) 4년(119) 교서랑(校書郞)이 되어 동관(東觀)의 비서(秘書)를 교정했다. 「광성송(廣成頌)」을 올린 것이 등태후(鄧太后)의 심기를 거슬러 10년 동안 승진하지 못했다가 금고(禁錮)를 당했다. 태후가 죽은 뒤 의랑(議郞)으로 부름을 받아 환제(桓帝) 때 무도(武都)와 남군(南郡)의 태수를 지냈다. 대장군(大將軍) 양기(梁冀)에게 죄를 져 삭방(朔方)으로 쫓겨났다. 사면을 받고 돌아와 의랑에 복직하고, 다시 동관에서 저술에 전념했다. 이런 일로 권세가들에게 감히 거역을 못하게 되어 양기가 이고(李固)를 탄핵할 때 글의 초안을 잡았고, 또 「서제송(西第頌)」을 지어 찬양하여 뜻 있는 사람들의 빈축을 샀다. 나중에 병으로 사직했다. 재주가 높고 지식이 풍부했으며, 통유(通儒)로 제자만 천여 명에 이르렀다. 노식(盧植)과 정현(鄭玄) 등을 가르쳤다. 『춘추삼전이동설(春秋三傳異同說)』을 짓고, 『효경』과 『논어』, 『시경』, 『주역』, 『삼례(三禮)』, 『상서』, 『열녀전(列女傳)』, 『노자』, 『회남자』, 『이소(離騷)』를 주석했다. 문집 21편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단편만 남아 있다.
다가 辭歸어 融曰鄭生이 今去니 吾道ㅣ 東矣ㅣ라다】

이 사미 주083)
이 사미
이 사람이.
모 주084)
모
몸을.
바사 주085)
바사
벗어. 벗어나. 밧-[脫]+아.
나오니 엇뎨 주086)
엇뎨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우리 주087)
도가. 도(道)+ㅣ.
東녀그로 주088)
동(東)녀그로
동쪽으로. 東#녁+으로. ‘東, 西, 南, 北’ 중에서 ‘西’만 ‘西ㅅ녁’과 같이 사이시옷이 쓰인다. 〈중간본〉은 ‘東녀크로’로 되어 있다.
오미 아니리오 주089)
오미 아니리오
옴이 아니겠는가? 오+오+ㅁ+이 아니+리+오. 〈중간본〉에는 ‘오디’로 되어 있다. ‘엇뎨’와 ‘-리오’가 호응한다.

【한자음】 사인탈신래 기비오도동【‘사인(斯人)’은 소혜(蘇徯)를 가리키니, 오랑캐의 전란을 벗어나 촉 땅에 왔다는 것이다. 정현이 마융에게 배우다가 이별하고 귀향하거늘, 마융이 “정 선비가 지금 떠나니 내 도가 동쪽으로 가는구나.”라고 했다.】
【언해역】 이 사람이 몸을 벗어나 나오니 어찌 우리 도가 동쪽으로 옴이 아니겠는가?
*〈중간본〉에는 ‘辭歸이’과 ‘東矣라다’로 되어 있다.
*시 구절 해석 : “이 사람이 몸을 빼서 오니, 어찌 우리 도가 동쪽으로 오는 게 아니리오.”라는 뜻으로, 소혜(蘇徯)가 피난 때문에 두보가 사는 촉 땅으로 오니 그의 주장과 학문까지 오게 되었다는 말이다.

乾坤 주090)
건곤(乾坤)
①『주역(周易)』 팔괘(八卦) 가운데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②하늘과 땅. ③음(陰)과 양(陽). ④건방(乾方)과 곤방(坤方). 서북과 서남쪽. ⑤제왕(帝王)과 황후(皇后). ⑥남자와 여자. ⑦해와 달. ⑧한 나라 전체. 온 세상. 여기서는 ⑧의 뜻으로 쓰였다.
雖寬大 所適裝囊空【言徯之貧也ㅣ라】

하콰 쾌 주091)
하콰 쾌
하늘과 땅이. 하ㅎ+과 ㅎ+과+ㅣ. ‘하ㅎ’와 ‘ㅎ’은 ‘ㅎ말음체언’이다.
비록 어위오 주092)
어위오
넓고. 어위-[廣]+고. ‘오’는 ‘고’가 ‘ㅣ’ 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형태이다. 복합형사로 ‘어위크-’가 있는데, 이의 파생부사 ‘어위키’는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되며, 『두시언해』에는 ‘어위키 -’의 용례도 확인된다. ¶어위- : 大祝奉禮의 廳이 외린댄 마 어위니라〈내훈 3:60ㄴ〉. 허리와 四支예 貴 오시 어위도다(腰支膡寶衣)[膡寶衣 사미 여위면 오시 어위니]「卽事」〈두시 5:17ㄱ〉. 어위크- : 順 녀느 아니라 어위크며 호 니니〈내훈 2:8ㄱ〉. 어위키 : 어위키 后土ㅣ 저젓도다(泱莽后土濕)「送率···還鄉」〈두시 22:51ㄱ〉. 어위키 - : 뉘 지븨 조 가 술盞 어위키 리오(誰家數去酒杯寬)「遣悶···曹長」〈두시 3:48ㄱ〉. 늘거 가매  슬허셔 고파 내  어위키 노니(老去悲秋强自寬)「九日藍田崔氏莊」〈두시 11:33ㄱ〉. 나 가야 맛나 어위키 고(我寬螻蟻遭)「催宗文樹雞柵」〈두시 17:13ㄴ〉. 어디러 人士 待接호 어위키 놋다(惟良待士寬)「送楊···西蕃」〈두시 23:29ㄱ〉.
크나 가논  주093)
가논 
가는 데는. 가-++오+ㄴ +.
行裝 주094)
행장(行裝)
멀리 여행할 때 휴대하는 의복과 사물들.
囊橐 주095)
낭탁(囊橐)
낭(囊)은 주머니, 탁(橐)은 전대로 모두 식량을 보관하는 자루.
뷔엿도다 주096)
뷔엿도다
비었도다! 뷔-[空]+어#잇-+도+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한자음】 건곤수관대 소적장낭공【소혜(蘇徯)가 몹시 가난한 것을 말한다.】
【언해역】 하늘과 땅이 비록 넓고 크나 가는 데는 행장(行裝)의 낭탁(囊橐)이 비어 있도다!
*시 구절 해석 : “하늘과 땅이 비록 넓고 크지만, 가는 곳마다 행장과 전대가 비었다.”라는 뜻으로, 세상에 어느 곳에서도 도움을 받지 못해 소혜(蘇徯)의 처지가 항상 가난하다는 말이다.

肉食哂菜色 少壯欺老翁

고기 머그린 주097)
머그린
먹는 이는. 먹-+을#이+ㄴ.
 주098)

나물. ¶두 아기 對答호 나못 여름과 콰 먹고〈월석 20:88ㄴ〉. 몃 길흐로 미  바 저지뇨(幾道泉澆圃)「佐還···二首」〈두시 7:39ㄴ〉.
먹 비 주099)
비
빛을. 빛[色]+.
우며 주100)
우며
웃으며. 웃-+으며. 〈중간본〉에는 ‘우으며’로 되어 있다.
져믄 주101)
져믄
졂은. 졂-[少]+은. 15세기의 ‘졂-’은 ‘점다’와 함께 ‘어리다’의 뜻도 있다. ¶(젊다) : 王이 깃그샤 四百八夫人 다 브르샤 졈고 고니로 여듧 각시 샤〈월석 8:91ㄱ〉. 河陽 眞實로 나히 졈도다(河陽實少年)「夏夜···聯句」〈두시 23:53ㄱ〉. (어리다) : 내 져믄 브터 길어 사 외야〈석상 11:29ㄴ〉. 져믄 아 구룸   드러가셔 브르놋다(稚子入雲呼)「自閬···三首」〈중간두시 2:4ㄴ〉.
사 주102)
사
사람은. 사+.
늘근 주103)
늘근
늙은. 늙-+은.
한아비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9:45ㄱ

주104)
한아비
노임을. 할아버지를. 하+ㄴ#아비+.
欺弄니라 주105)
기롱(欺弄)니라
기롱하니라. 欺弄#-++니+라.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한자음】 육식신채색 소장기로옹
【언해역】 고기 먹을 이는 나물 먹는 빛을 웃으며, 젊은 사람은 늙은 할아비를 희롱하네!
*시 구절 해석 : “고기 먹는 사람이 나물 먹는 빛을 비웃으며, 젊은 사람은 늙은 할아비를 희롱한다.”라는 뜻으로, 나물만 먹고 늙은 사람을 잘 살고 젊은 사람들이 홀대를 한다는 말이다. ‘(채색)菜色’을 ‘ 먹 비’로 번역하였다.

况乃主客閒 古來偪側 주106)
핍측(偪側)
핍박하면서 무시함.

며 주107)
며
하물며. ¶머리며 누니며 손바리며 모맷 고기라도 비 사 주리어니 며 녀나 쳔랴녀〈석상 9:13ㄱ〉. 며 狄과 다 戎의게 이슈미녀(卷耳况療風 童兒且時摘)「前出塞九首」〈두시 5:29ㄴ〉.
主人과 나그냇 예 주108)
예
사이에. [間]+예. 〈중간본〉에는 ‘이에’로 되어 있다.
녜로 오매 주109)
녜로 오매
예로부터. 녜+로 오+오+ㅁ+애.
어려우미 가지니라 주110)
가지니라
같다. #가지+이+니+라. ‘가지’는 ‘형태, 성질, 동작 등이 서로 같은 것’을 뜻한다.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同 가지라 논 디라〈훈언 12ㄱ〉. 萬國이 오히려 미 가지로다(萬國尙同心)「提封」〈두시 5:19ㄱ〉.

【한자음】 황내주객한 고래핍측동
【언해역】 하물며 주인과 나그네 사이에 예로부터 어려움이 같네.
*시 구절 해석 : “하물며 주인과 나그네 사이에서, 옛날부터 어려움이 한가지로다.”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박대를 당하는 것은 어디를 가나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는 말이다.

君今下荊楊 주111)
형양(荊楊)
형주(荊州)와 양주(楊州). 크게 보면 장강(長江) 중하류 지역을 말한다. 형주는 옛날 구주(九州)의 하나. 형산(荊山)과 형산(衡山) 사이에 있었다. 한(漢)나라 때 13자사부(刺史部)의 하나가 되었다. 관할했던 지역은 대략 지금의 상악(湘鄂) 2성(省)과 계계검월(豫桂黔粵)의 일부분이었다. 한나라 말 이후 관할 지역이 점차 줄어들었다. 양주는 양자강의 남쪽 오호(五湖)의 사이에 있는 지역 이름이다.
獨帆 주112)
독범(獨帆)
외로운 배. 무리 없이 혼자 가는 고적한 여행길을 뜻하기도 한다.
如飛鴻

그듸 주113)
그듸
그대. ‘소혜(蘇徯)’를 가리킨다. 『두시언해』에서 ‘그듸’와 ‘그’는 같이 쓰였다.
이제 荊楊로 주114)
형양(荊揚)로
형주와 양주로. 荊揚+로. 〈중간본〉에는 ‘荊楊으로’로 되어 있다.
려가니 주115)
려가니
내려가니. 리-+어#가-++니.
외왼 주116)
외왼
외로운. 외#-+오+ㄴ. 정음 초기 문헌에는 ‘외’이 쓰였다. ¶오직 洮河元帥 郭蝦䗫ㅣ 외 城을 구디 守야 이셔〈삼강런던忠28〉. 이제 寶藏 몰라 艱難고 외니〈월석 9:22ㄴ〉. 니블 샤 외외며 늘그니 주시며〈내훈 2:101ㄱ〉. 四夷ㅣ  외왼 軍이로다(四夷且孤軍)「後出塞五首」〈두시 5:31ㄴ〉.
돗기 주117)
돗기
돛대가. +ㅅ++이. ‘’은 『두시언해』에만 쓰인 낱말이다. ¶구룸  돗기 遼海로 올마 오니(雲帆轉遼海)「後出塞五首」〈두시 5:32ㄱ〉.
 주118)

나는. -[飛]+ㄴ.
그려기 주119)
그려기
기러기. 15세기 국어에는 ‘그려기’와 함게 ‘그력’도 쓰였다. ¶그려기 : 太子ㅣ 本國에셔  그려기 치샤〈월석 22:17ㄱ〉. 그려기 올히 기리 혜요미 맛니(鵝鴨宜長數)「舍弟···此詩」〈두시 7:9ㄱ〉. 그력 : 그력 爲鴈〈훈해 57〉. 그력 올히로 여 갓가온 이우즐 어즈러이디 아니호리라(不敎鵝鴨惱比隣)「將赴···五首」〈두시 21:3ㄴ〉.
도다 주120)
도다
같도다. -[同]+도+다.

【한자음】 군금하형양 독범여비홍
【언해역】 그대 이제 형양(荊楊)으로 내려가니 외로운 돛대가 나는 기러기 같도다!
*시 구절 해석 : “그대 지금 형양으로 내려가나니, 외로운 배 한 척은 날아가는 기러기와 같다.”라는 뜻으로, 이제 소혜(蘇徯)가 형양 지역으로 가는데 여행길이 몹시 쓸쓸하다는 말이다.

二州豪俠場 人馬皆自雄【言荆楊二州之人이 豪俠 주121)
호협(豪俠)
①사람됨이 호탕하고 매서우면서 의로움을 좋아하는 것. ②호탕하고 의협심이 많은 사람.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自雄야 以欺謾於客也ㅣ라】

두 올 주122)
두 올
두 고을은. 올ㅎ+. ‘올ㅎ’은 ‘ㅎ말음체언’이다. 두 고을은 형주와 양주를 가리킨다. 『두시언해』에서 ‘올ㅎ’은 ‘고을’과 ‘관아’의 뜻이 있다. 전자는 주로 ‘邑, 縣, 鄕, 州, 郡, 邦, 州縣’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州府, 官, 官曹, 宮’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고을) : 本鄕 本來 제 사 올히라〈월석 4:59ㄴ〉. 훤 山東ㅅ 一百 올히 갓가 일워 按 야 靑丘 아냇도다(澶漫山東一百州 削成如桉抱靑丘)「承聞···十二首」〈두시 5:23ㄱ〉. (관아) : 綿州ㅅ 州府ㅣ 모 노니(緜州州府何磊落)「越王樓歌」〈두시 14:1ㄱ〉. 받가롬 勸호 올로브터 놋다(勸耕自官曹)「大雨」〈두시 12:12ㄱ-ㄴ〉. 올흘 거느려든 곧 비치 업고 올 갈 저기어든 다 말미 잇도다(領郡輒無色 之官皆有詞)「有感五首」〈두시 5:15ㄴ〉.
豪俠 잇 히니 주123)
호협(豪俠) 잇 히니
호협 있는 땅이니. 즉 형주와 양주 두 고을에는 호협한들이 많이 있다는 말이다.
사과 왜 주124)
사과 왜
사람과 말이. 사+과 +와+이. 15세기 국어의 명사구 연결에서 접속조사 ‘-와/과’는 마지막 명사구에도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125)
제. ‘제’는 ‘형주와 양주 두 고을의 호협(豪俠)’을 가리키는 재귀대명사이다.
雄壯니라

【한자음】 이주호협장 인마개자웅【형주(荆州)와 양주(楊州) 두 고을의 사람들이 호협(豪俠)으로 스스로 자부하여 나그네를 기만한다는 말이다.】
【언해역】 두 고을은 호협(豪俠) 있는 땅이니 사람과 말이 다 웅장(雄壯)하네.
*시 구절 해석 : “두 고을은 호협 있는 사람들의 땅이니, 사람과 말이 다 스스로 웅장하다 여긴다.”라는 뜻으로, 소혜(蘇徯)가 가는 고을이 호협한 사람들이 많아 자칫 나그네로 핍박을 받을까 걱정하는 말이다.

一請甘飢寒 再請甘養蒙 주126)
양몽(養蒙)
몽매(蒙昧)한 척하면서 자신을 숨기고 정도(正道)를 수양(修養)하는 것.
【蒙은 蒙昧未明이니 此 欲其晦迹야 以自全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 번 請 주127)
청(請)
청하건대. 請#-+거+ㄴ대.
주리며 주128)
주리며
굶주리며. 주리-[饑]+며.
치우믈 주129)
치우믈
추움을. 칩-[寒]+우+ㅁ+을. 참조; 치. 치. 치위. 치. 치움.
히 주130)
히
달히. 달게. -[甘]+히.
너기고 주131)
너기고
여기고. 너기-[謂]+고. 『두시언해』에서 ‘너기-’는 ‘-고져’나 ‘-오’이 이끄는 내포문이나 부사를 지배한다. ¶늘그니 病니 주근 사 보시고 世間 슬히 너기샤〈석상 6:17ㄴ〉. 音信으란 가마괴와 가치 츠기 너기고 怒야 우르니란 熊罷 怪異히 너기노라(音書恨烏鵲 號怒怪熊羆)「偶題」〈두시 16:10ㄴ〉.
다시 請 養蒙호 히 너기라 주132)
너기라
여겨라. 너기-[謂]+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일청감기한 재청감양몽【‘몽(蒙)’은 몽매하여 명철(明哲)하지 않은 것이니, 이것은 그 자취를 숨겨 스스로 보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언해역】 한 번 청하건대, 주리며 추움을 달게 여기고 다시 청하건대, 양몽(養蒙)함을 달게 여겨라.
*시 구절 해석 : “한 번 청하니 굶주리고 추움을 달게 여기며, 다시 청하니 양몽함을 달게 여기라.”라는 뜻으로, 소혜(蘇徯)를 떠나보내면서 어디를 가든 난관을 이겨내고 스스로 당당해지기를 바라는 말이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증소혜(贈蘇徯) : 이 작품은 대력(大曆) 원년(766) 두보가 기주(夔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이다. 두보가 소혜(蘇徯)를 기주에서 상봉한 뒤 오래지 않아 소혜가 형양(荊揚)으로 유람가려고 했는데, 이에 두보가 이 시를 써서 전송하였다. 시에는 시인 자신과 소혜가 객지에서 고생한 일들이 서술되어 있고, 아울러 소혜에게 거듭 경계를 당부하는 말이 이어진다.
주002)
소혜(蘇徯) : ?~?. 두보와 동시대 때 사람. 두보의 오랜 친구의 아들이다. 두보가 쓴 시로 볼 때 처지가 곤궁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세한 생애와 활동 상황은 미상이다.
주003)
다 : 다른. 다-[異]+ㄴ.
주004)
올 : 고을에. 올ㅎ+. ‘올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주005)
녜 : 옛날에.
주006)
 : 함께. ++. ‘(관형사)#(의존명사)+(부사격조사)’가 부사로 파생된 것.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07)
노라 : 놀아. 놀-[遊]+아.
주008)
제여곰 : 각자. 각각. 제각기. ¶舍利弗이 그제 說法니 제여곰 前生애 닷곤 因緣으로 須陁洹 得리도 이시며〈석상 6:34ㄴ〉. 部伍ㅣ 제여곰 블로 뵈다(部伍各見招)「後出塞五首」〈두시 5:31ㄱ〉.
주009)
닐오 : 말하되. 말하기를. 니-[說]+오+. ‘니-’는 모음어미 앞에서 ‘닐ㅇ-’으로 활용하는 소위 ‘ㄹ·ㅇ’형 불규칙활용 동사이다.
주010)
올마 : 옮아. 옮-[移]+아. 15세기 국어의 ‘옮다’는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자동사 용법과 타동사 용법이 있지만, 타동사 용법이 약화되어 자동사 용법의 ‘옮다’에 사동접미사가 결합된 ‘옮기다’가 타동사 용법의 ‘옮다’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옮다(자동사) :  刻야 갈 어들 사  옮거늘 오히려  머리 딕욤과 엇뎨 리오〈남명상:36ㄱ〉. 樓ㅣ 아라니 올로 時ㅣ 옮록 이쇼라(樓迥獨移時)「垂白」〈두시 3:40ㄴ〉. 옮다(타동사) : 道 올마 變호미 업거늘 디 며 오람 이슈미   사미  時 옮디 아니야셔 메 한  디나 니〈법화 5:88ㄴ〉. 세  옮 燭 토라(三歲如轉燭)「寫懷二首」〈중간두시 2:58ㄴ〉. 옮기- : 몬졋 旋은 物을 옮규미니 假 두르 空애 드루미오〈석상 21:54ㄱ〉. 디새로 占卜야 鬼神의 마 옮기고(瓦卜傳神語)「戲作···二首」〈두시 3:47ㄱ〉.
주011)
니 : 다니는. -#니-+.
주012)
다붓 : 다북쑥. ‘다붓’은 『두시언해』에서만 쓰였는데, 『두시언해』에는 ‘다봇(다봊)’과 ‘다붖(다붓)’의 두 가지 표기가 있다. ‘다봇’은 44회나 쓰였지만 ‘다붓’은 2회만 쓰였다. ¶다봇 : 다봇 옮 호매 시르미 悄悄니(轉蓬憂悄悄)「風疾이어~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두시 3:16ㄴ〉. 다붓 : 兎絲ㅣ 다붓과 사매 버므러시니(兔絲附蓬麻)「新婚別」〈두시 8:67ㄱ〉.
주013)
토 : 같음을. -/-+오+ㅁ+.
주014)
아쳗노라 : 싫어하노라. 아쳗-++오+라. ‘아쳗다’는 ‘브’ 파생형용사인 ‘아쳗브다’도 있는데 『두시언해』에는 쓰이지 않았다. 〈중간본〉에는 ‘아쳣노라’로 되어 있다. ¶아쳗- : 苦 이 生死報ㅣ니 몬져 드르샤 아쳗게 시고〈반야 51ㄱ〉. 집 안해셔 기 벌어지와 가야미와 머구믈 아쳗고(家中厭雞食蟲蟻)「縛雞行」〈두시 17:14ㄴ〉/ 아쳗브- : 爲頭 됴 일 삼디 아니야 世間이 아쳗븐  아라 見取를 그처리며〈월석 11:123ㄱ〉.
주015)
다소라 : 하는구나! -+더+오+ㅅ+오+라. ‘-소라’는 화자 호응의 선어말어미 ‘-오-’에 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오’ 앞에 ‘더’가 선행하였으므로 두 형태가 결합되어 ‘-다-’가 되었다. ¶-소라 : 제 너교 쳔랴 그지업소라 야 〈월석 12:47ㄱ〉. 우리도 이 偈 좃 외오노소라〈월석 8:100ㄴ〉. 흐린 술와 다 거플 바 조히 누네 이실 슬허호미 업소라(濁醪與脫粟 在眼無咨嗟)「柴門」〈두시 6:47ㄱ〉.  펴 忽然히 臺예 오로소라(披寫忽登臺)「鄭駙···同飲」〈두시 15:48ㄱ〉. 스믈  조차 녀 훤히 長安애셔 醉다소라(追隨二十載 浩蕩長安醉)「送顧···吉州」〈두시 16:18ㄱ〉.
주016)
행리(行李) : ①관청의 사자(使者). 또는 빈객(賓客)을 맡아보던 벼슬. 이(李)는 이(理)와 통해 이(吏, 관리)를 말한다. 행리(行吏). ②여행용 짐. 또는 그 상자. 행장(行裝).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017)
여희연 디 : 이별한 지. 헤어진 지. 여희-+어+ㄴ 디. ‘-어-’는 ‘-거-’가 ‘ㅣ’ 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것이다. ¶忠誠이 이러실 죽다가 살언 百姓이 아긔 袞服 니피니〈용가 25〉. 네 디나건 녜 뉫 時節에 盟誓 發願혼 이 혜다 모다 〈석상 6:8ㄱ〉. 蘊藉야 郞官 외언 디 오라고 魁梧야 明哲호 자바 尊도다(蘊藉爲郞久 魁梧秉哲尊)「贈比···十兄」〈두시 8:64ㄴ〉. 門의 나건 디 나리 마 머니(出門日已遠)「前出塞九首」〈두시 5:26ㄱ〉.
주018)
마 : 이미. 16세기 후반이면 ‘이믜〈소언 5:43ㄴ〉․이믯〈소언 5:43ㄴ〉’과 동의관계이다. 때로는 “장차, 이제 곧”을 뜻하기도 한다. ¶太子 羅睺羅ㅣ 나히 마 아호빌(太子羅睺 年已九歲)〈석상 6:3ㄱ〉. 南陽ㅅ 氣運이 마 새롭도다(南陽氣已新)「喜達行在所三首」〈두시 5:5ㄴ〉.
주019)
다 로 : 다섯 해이도되. 다 +이+로+.
주020)
오히려 : 아직도. 오히려. 오히+려. ‘려’는 ‘새려’의 ‘-려’와 같은 부사화접미사이다. 원문의 ‘尙’에 대응한다. ¶ 貪 無量有情이 쳔랴 모도아 두고 제 도 오히려 아니거니 며 어버 내야 주며 가시며 子息이며 죠 주며 와 비 사 주리여〈석상 9:12ㄱ〉. 幽薊예 얌과 돋괘 나맷고 乾坤애 범과 일히왜 오히려 잇도다(幽薊餘蛇豕 乾坤尙虎狼)「有感五首」〈두시 5:13ㄴ〉.
주021)
길 녀 : 길 가는. 녀-[行]+.
주022)
이슈라 : 잇구나! 잇-+ㅅ+우+라.
주023)
융마(戎馬) : ①옛날에 병거(兵車)를 매던 말. ②군마(軍馬). 전마(戰馬). ③군대(軍隊)를 대신 일컫던 말. ④호마(胡馬). 북방 소수민족이 중국을 침략할 때 오는 군대를 말한다. ⑤전란(戰亂). 전쟁(戰爭). 여기서는 ⑤의 뜻으로 쓰였다.
주024)
쇠식(衰息) : 서서히 세력이 쇠약해져서 일이나 상황이 중지됨.
주025)
승여(乘輿) : 대가(大駕). 임금이나 제후(諸侯)가 타는 수레.
주026)
구중(九重) : ①구중궁궐(九重宮闕). 궁중(宮中). ②구층(九層). 아홉 가지의 길. ③천문(天門). ④궁궐의 문. ⑤제왕.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주027)
사호미 : 싸움이. 사호-[鬪]+오+ㅁ+이. ‘융마(戎馬)’를 ‘사호미’로 의역하였다.
주028)
그처 가니 : 그처 가니. 긏-[終]+어 가-+니. ¶긏- : 受苦ㅣ 니 긋디 몯야〈석상 13:57ㄱ〉. 父母ㅅ 恩惠 그처 리고(棄絕父母恩)「前出塞九首」〈두시 5:26ㄱ〉.
주029)
겨시도다 : 계시도다. 겨시-+도+다.
주030)
서서(棲棲) : ①바삐 서두르는 모양. 불안정(不安定)한 모양. ②외롭고 영락한 모양.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031)
조 : 재주.
주032)
뒷 : 두고 있는. 두-+어#잇-+.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두-+-어#잇-’은 ‘뒷’으로 축약되었다.
주033)
사 : 사람은.
주034)
엇뎨 :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와 관련된 낱말로 ‘엇디’로 『두시언해』에서 보인다.
주035)
니뇨 : 다니는가? -+니++뇨. ‘뇨’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한다.
주036)
장차(將次)ㅅ : 장차. 將次+ㅅ. ‘ㅅ’은 부사화접미사이다. 『두시언해』에는 ‘, ’로도 표기되었다. 〈중간본〉에는 ‘將次ㅅ’로 되어 있다. ¶將次ㅅ : 將次ㅅ 崆峒山 비곗고져 노라(將欲倚崆峒)「投贈···二十韻」〈두시 5:43ㄴ〉. 녯 功業을  말리로소니(素業行已矣)「夔府書懷四十韻」〈두시 3:8ㄴ〉. 수프렛 곳다온 남 여르믈 내야  업수메 다랏고(林香出實垂將盡)「寒雨朝行視園樹」〈두시 15:15ㄱ〉.
주037)
늘구메 : 늙음에.
주038)
궁곤(窮困)호 : 곤궁함을. 窮困#-+오+ㅁ+.
주039)
롓도다 : 버려 있도다. 리-+어#잇-+도+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선행하는 ‘窮困호’과 함께 ‘곤궁함에 버려져 있도다’로 해석되어야 할 부분이다.
주040)
낭관(郞官) : 시랑(侍郞)이나 낭중(郞中) 등의 관직. 진(秦)나라 때 낭중령(郞中令)을 설치해 황제의 주변에서 가깝게 시위(侍衛)한 고급 관원이 되었다. 호위배종(護衛陪從)하거나 때때로 건의(建議)하는 등의 일을 관장했다.
주041)
욀 : 되었으므로. 되었기 때문에. 외-[爲]+ㄹ.
주042)
천(賤)티 : 천하지. 賤#-+디.
주043)
아니컨마 : 아니하지만. 아니#-+거+ㄴ+마. ‘-ㄴ마’은 역접의 연결어미이다. ¶-ㄴ마 : 내 得혼 智慧 微妙야 第一이언마〈석상 13:56ㄴ〉. 司直은 冗雜 벼스리 아니언마(司直非冗官)「送高···閬州」〈두시 22:39ㄴ〉.
주044)
그 병(病)이 : 그 병이. 이때 두보는 ‘소갈병, 폐병, 편두통’ 등을 앓고 있었다.
주045)
나 : 나를. 두보 자신을 가리킨다.
주046)
공치(攻治)호매 : 공치(攻治)함에. 攻治#-+오+ㅁ+애.
주047)
엇뎨료 : 어찌하겠는가? 엇뎨#-+리+오.
주048)
여흑(黧黑) : 얼굴빛이 검음. 여기서 얼굴빛이 검다는 것은 외모만이 아니라 마음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 겉으로 드러난 것을 암시한다.
주049)
그듸 : 그대는. 그듸+. 『두시언해』에서 ‘그듸’와 ‘그’는 같이 쓰였다.
주050)
엇뎨 :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주051)
치 : 낯이. [面]+이.
주052)
거므니오 : 검는가? 검-[黑]+으니+오. ‘-오’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흥하는 설명의문의미이다.
주053)
시러곰 : 능히. 시러+곰. ‘시러’는 문증되지 않는 ‘*실-’에 어미 ‘-어’가 연결된 형태이다. ‘시러곰’은 15세기 문헌 중에서는 『두시언해』에서만 보인다. ¶시러 :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훈언 2ㄴ〉. 丹砂 무로 시러 디 몯노라(不得問丹砂)「爲農」〈두시 7:5ㄴ〉. 시러곰 : 날이 졈으도록 술 먹오 시러곰 醉티 아니케 니〈소언 3:27ㄴ〉. 네히 아 金 시러곰 相近호라(得近四知金)「風疾이어~三十六韻이라」〈두시 3:16ㄴ〉.
주054)
 : 마음을. +. 〈중간본〉에는 ‘’로 되어 있다.
주055)
훤히 : 훤히. 훤하게. 훤#-+이. ¶훤- : 四部衆이 다 기 몸과 괘 훤야〈석상 13:16ㄴ〉. 훤야 모 사게 됴토다(疎快頗宜人)「賓客」〈두시 22:11ㄱ〉.
주056)
리오 : 하겠는가? -+리+오. ‘-오’는 선행하는 ‘엇뎨’와 호응하는 설명의문어미이다.
주057)
파촉(巴蜀) : 진한(秦漢)시대 때 설치된 파촉(巴蜀) 2군(郡). 모두 사천성(四川省)에 있었다. 나중에 사천(四川)의 별칭(別稱)으로 쓰인다. 두견새가 중국 촉(蜀)나라의 망제(望帝)의 죽은 넋이 붙어 되었다는 전설에서 나왔다.
주058)
표겁(剽劫) : 표겁(剽刦). 창겁(搶劫). 위협을 받고 노략질을 당함.
주059)
하우(下愚) : ①지극히 어리석은 사람. 또는, 그런 상황. ②겸사(謙詞)로 자신을 낮춰 부르는 말.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였다.
주060)
토풍(土風) : ①향토(鄕土) 지방의 가요(歌謠)나 악곡(樂曲). ②어떤 지역이나 나라의 풍속(風俗). 습속(習俗).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061)
파촉(巴蜀)이 : 파촉이. 즉, 촉 지방이.
주062)
도적(盜賊)의 : 도적이. 盜賊+의. ‘-의’는 내포문의 의미상 주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격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주063)
표겁(剽刼)호매 : 표겁(剽刼)함에. 剽刼#-+오+ㅁ+애.
주064)
가니 : 피곤해 하니. -+아#-++니. ‘가다’는 『두시언해』에서만 쓰였다. ‘동사, 동사+어-, 동사+/브-, 동사+/브-어-’로 활용하는 동사로 이 경우 『두시언해』에서는 ‘동사+/브-어-’형이 잘 쓰이지 않는데, ‘갓바-’의 경우는 『두시언해』에서 용례가 확인된다. ¶- : 城 안햇 사미며 孔雀이며 새 니르리  가 자더라〈석상 3:29ㄴ〉. 사미 이제 가 病고 버미 하도다(人今罷病虎縱橫)「愁」〈두시 3:34ㄴ〉. 가- : 붇 가지니 오히려 可히 記錄홀 디니라(載筆尙可記)「題衡···陸宰」〈두시 6:23ㄱ〉 /- : 길 머러 실 보기 야〈석상 3:37ㄴ〉. 아니 님금 모미 신가(無乃聖躬勞)「收京三首」〈두시 5:8ㄱ〉. 바- : 蓐收ㅣ 일호 가고(蓐收困用事)「又上後園山脚」〈두시 25:5ㄴ〉.
주065)
어류미 : 어리석음이. 어리-[愚]+우+ㅁ+이. ¶어리여 미혹야 邪曲 보 信〈석상 9:36ㄴ〉. 이 말미  足히 어리도다(此語亦足爲愚蒙)「杜鵑行」〈두시 17:6ㄱ〉.
주066)
이럿도다 : 이루어져 있도다! 일-+어#잇-+도+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일-’의 사동사는 ‘일우-’이다. ¶일- :  氣韻이 流야 三世 일오〈석상 19:12ㄱ〉. 나랏 일며 야듀매 내 엇뎨 구틔여 리오 고(國家成敗吾豈敢)「寄韓諫議註」〈두시 19:19ㄱ-ㄴ〉. 일우- : 成佛은 부텻 道理 일우실 씨라〈석상 3:1ㄱ〉. 詩句 일우니 구스리 붇 두루튜메 잇도다(詩成珠玉在揮毫)「和賈···明宮」〈두시 6:4ㄱ-ㄴ〉.
주067)
유계(幽薊) : 유주(幽州)와 계주(薊州)를 함께 부르는 이름. 유주는 ①유주(幽洲). 옛 구주(九州)의 하나. ②주명(州名). 한무제(漢武帝)가 설치한 13부(部) 자사(刺史)의 하나다. 후한(後漢) 때 치소(治所)는 계현(薊縣, 지금의 북경성[北京城] 서남쪽)이다. 관할 지역은 지금의 하북(河北) 북부와 요녕(遼寧) 등지였다.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계주는 계현(薊縣). 지금의 천진(天津) 북쪽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또는 북경(北京) 서남쪽에 있었던 마을 이름인데, 진(秦)나라 때 설치되었다. 그리하여 북경(北京) 일대를 말한다.
주068)
삭평(削平) : 평정됨. 소멸함.
주069)
황요(荒徼) : 황폐하고 먼 변방(邊方) 지역.
주070)
만궁(彎弓) : 활시위를 가득 잡아당기는 것을 일컫는 말. 활을 당김. 활을 쏨.
주071)
유주(幽州) 계주(薊州)ㅅ 녀기 : 유주와 계주 지방이. 안녹산의 본거지를 가리킨다. 〈중간본〉에는 ‘녀기’가 ‘녀키’로 되어 있다.
주072)
마 : 이미. 16세기 후반이면 ‘이믜〈소언 5:43ㄴ〉․이믯〈소언 5:43ㄴ〉’과 동의관계이다. 때로는 ‘장차, 이제 곧’을 뜻하기도 한다. ¶(이미) : 沸星이 마 어우니 이제 時節이니 리 나쇼셔〈석상 3:29ㄱ〉. 南陽ㅅ 氣運이 마 새롭도다(南陽氣已新)「喜達行在所三首」〈두시 5:5ㄴ〉. (장차) : 나 늘거 마 無想天으로 가리니〈釋詳3:2ㄱ〉.
주073)
갓가 : 깎아. -[削]+아. ¶- : 다 머리 갓가 버서 나디 몯게 라〈월석 25:85ㄴ〉.  城에 盜賊 城壕 갓가 리도다(春城鏟賊壕)「收京三首」〈두시 5:8ㄱ〉.
주074)
평(平)나 : 평정하나. 평#-+나.
주075)
거츤 : 거친. 거츨-[荒]+ㄴ.
주076)
 : 가애는. [邊]++ㄴ. 15세기 국어의 처격조사는 일반적으로 ‘-에, -애, -예’이나 ‘신체, 방위, 지리, 천문, 식물, 가옥, 가구’ 등을 지칭하는 100여 개 이상의 체언은 ‘/의’를 처격조사로 취하였는데, 낮, 밤, , 나조ㅎ, 새박[曉] 등은 ‘-’를 취하였고 집, , 우ㅎ, 녁, 밑, 곁,  등은 ‘-의’를 취하였다.
주077)
오히려 : 아직. 아직도. 오히려. 오히+려. ‘려’는 ‘새려’의 ‘려’와 같은 부사화접미사이다. ¶ 貪 無量有情이 쳔랴 모도아 두고 제 도 오히려 아니거니 며 어버 내야 주며 가시며 子息이며 죠 주며 와 비 사 주리여〈석상 9:12ㄱ〉. 函關애 오히려 將帥ㅣ 나가고(函關猶出將)「柳司馬至」〈두시 5:16ㄱ〉.
주078)
화 : 활을. 활[弓]+.
주079)
혀놋다 : 당기는구나! 혀-[引]++오+ㅅ+다. 정음 초기 문헌에는 ‘-’가 쓰였다.
주080)
오도(吾道) : 나의 학설(學說)이나 주장(主張).
주081)
정현(鄭玄) : 127~200. 후한 말기 북해(北海) 고밀(高密) 사람. 경학(經學)의 대성자다. 자는 강성(康成)이다. 젊어서 향색부(鄕嗇夫)가 되고, 나중에 태학(太學)에서 공부했다. 제오원선(第五元先)을 스승으로 『경씨역(京氏易)』과 『공양춘추(公羊春秋)』에 정통했다. 다시 장공조(張恭祖)에게 『주례』와 『좌씨춘추』, 『고문상서』를 배웠다. 시종 재야의 학자로 지냈고, 제자들에게는 물론 일반인들에게서도 훈고학과 경학의 시조로 깊은 존경을 받았다. 환제(桓帝) 때 당화(黨禍)가 일어나자 금고(禁錮)를 당했는데, 문을 걸어 잠그고 수업에만 전념했다. 북해상(北海相) 공융(孔融)이 깊이 존경하여 고밀현에 특별히 정공향(鄭公鄕)을 세우고, 문을 넓게 열고 통덕문(通德門)이라 했다. 그 후 마융(馬融) 등에게 사사하여, 『주역』과 『상서』, 『춘추(春秋)』 등의 고전을 배운 뒤 40살이 넘어서 귀향했다. 돌아와서 학생을 모아 강학했는데, 제자가 천 명에 이르렀다. 낙양을 떠날 때 마융이 “나의 학문이 정현과 함께 동쪽으로 떠나는구나.”하고 탄식했을 만큼 학문에 힘을 쏟았다. 건안(建安) 중에 대사농(大司農)에 올랐는데, 얼마 뒤 죽었다. 저서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모시전(毛詩箋)』과 『주례』, 『의례』, 『예기』에 대한 주해뿐이고, 나머지는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위주로 하면서 금문경설(今文經說)도 채용하여 일가를 이루었는데, 이를 일러 정학(鄭學)이라 부른다.
주082)
마융(馬融) : 79~166. 후한 부풍(扶風) 무릉(茂陵) 사람. 자는 계장(季長)이고, 마엄(馬嚴)의 아들이다. 스승을 정성으로 섬겼고, 경서와 서적에 박통(博通)했다. 처음에 등즐사인(鄧騭舍人)이 되었다. 안제(安帝) 영초(永初) 4년(119) 교서랑(校書郞)이 되어 동관(東觀)의 비서(秘書)를 교정했다. 「광성송(廣成頌)」을 올린 것이 등태후(鄧太后)의 심기를 거슬러 10년 동안 승진하지 못했다가 금고(禁錮)를 당했다. 태후가 죽은 뒤 의랑(議郞)으로 부름을 받아 환제(桓帝) 때 무도(武都)와 남군(南郡)의 태수를 지냈다. 대장군(大將軍) 양기(梁冀)에게 죄를 져 삭방(朔方)으로 쫓겨났다. 사면을 받고 돌아와 의랑에 복직하고, 다시 동관에서 저술에 전념했다. 이런 일로 권세가들에게 감히 거역을 못하게 되어 양기가 이고(李固)를 탄핵할 때 글의 초안을 잡았고, 또 「서제송(西第頌)」을 지어 찬양하여 뜻 있는 사람들의 빈축을 샀다. 나중에 병으로 사직했다. 재주가 높고 지식이 풍부했으며, 통유(通儒)로 제자만 천여 명에 이르렀다. 노식(盧植)과 정현(鄭玄) 등을 가르쳤다. 『춘추삼전이동설(春秋三傳異同說)』을 짓고, 『효경』과 『논어』, 『시경』, 『주역』, 『삼례(三禮)』, 『상서』, 『열녀전(列女傳)』, 『노자』, 『회남자』, 『이소(離騷)』를 주석했다. 문집 21편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단편만 남아 있다.
주083)
이 사미 : 이 사람이.
주084)
모 : 몸을.
주085)
바사 : 벗어. 벗어나. 밧-[脫]+아.
주086)
엇뎨 : 어찌. 『두시언해』에서 ‘엇뎨’와 비슷한 의문사로 ‘엇디’도 쓰였는데 전자는 ‘何, 豈, 寧, 焉, 曷, 安, 胡’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那, 豈, 奈何’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주087)
되 : 도가. 도(道)+ㅣ.
주088)
동(東)녀그로 : 동쪽으로. 東#녁+으로. ‘東, 西, 南, 北’ 중에서 ‘西’만 ‘西ㅅ녁’과 같이 사이시옷이 쓰인다. 〈중간본〉은 ‘東녀크로’로 되어 있다.
주089)
오미 아니리오 : 옴이 아니겠는가? 오+오+ㅁ+이 아니+리+오. 〈중간본〉에는 ‘오디’로 되어 있다. ‘엇뎨’와 ‘-리오’가 호응한다.
주090)
건곤(乾坤) : ①『주역(周易)』 팔괘(八卦) 가운데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②하늘과 땅. ③음(陰)과 양(陽). ④건방(乾方)과 곤방(坤方). 서북과 서남쪽. ⑤제왕(帝王)과 황후(皇后). ⑥남자와 여자. ⑦해와 달. ⑧한 나라 전체. 온 세상. 여기서는 ⑧의 뜻으로 쓰였다.
주091)
하콰 쾌 : 하늘과 땅이. 하ㅎ+과 ㅎ+과+ㅣ. ‘하ㅎ’와 ‘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주092)
어위오 : 넓고. 어위-[廣]+고. ‘오’는 ‘고’가 ‘ㅣ’ 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형태이다. 복합형사로 ‘어위크-’가 있는데, 이의 파생부사 ‘어위키’는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되며, 『두시언해』에는 ‘어위키 -’의 용례도 확인된다. ¶어위- : 大祝奉禮의 廳이 외린댄 마 어위니라〈내훈 3:60ㄴ〉. 허리와 四支예 貴 오시 어위도다(腰支膡寶衣)[膡寶衣 사미 여위면 오시 어위니]「卽事」〈두시 5:17ㄱ〉. 어위크- : 順 녀느 아니라 어위크며 호 니니〈내훈 2:8ㄱ〉. 어위키 : 어위키 后土ㅣ 저젓도다(泱莽后土濕)「送率···還鄉」〈두시 22:51ㄱ〉. 어위키 - : 뉘 지븨 조 가 술盞 어위키 리오(誰家數去酒杯寬)「遣悶···曹長」〈두시 3:48ㄱ〉. 늘거 가매  슬허셔 고파 내  어위키 노니(老去悲秋强自寬)「九日藍田崔氏莊」〈두시 11:33ㄱ〉. 나 가야 맛나 어위키 고(我寬螻蟻遭)「催宗文樹雞柵」〈두시 17:13ㄴ〉. 어디러 人士 待接호 어위키 놋다(惟良待士寬)「送楊···西蕃」〈두시 23:29ㄱ〉.
주093)
가논  : 가는 데는. 가-++오+ㄴ +.
주094)
행장(行裝) : 멀리 여행할 때 휴대하는 의복과 사물들.
주095)
낭탁(囊橐) : 낭(囊)은 주머니, 탁(橐)은 전대로 모두 식량을 보관하는 자루.
주096)
뷔엿도다 : 비었도다! 뷔-[空]+어#잇-+도+다. 15세기의 ‘-어 잇-’은 ‘-아/어#잇-’형, ‘-앳/엣-’형, ‘-앗/엇-’형이 공존했다.
주097)
머그린 : 먹는 이는. 먹-+을#이+ㄴ.
주098)
 : 나물. ¶두 아기 對答호 나못 여름과 콰 먹고〈월석 20:88ㄴ〉. 몃 길흐로 미  바 저지뇨(幾道泉澆圃)「佐還···二首」〈두시 7:39ㄴ〉.
주099)
비 : 빛을. 빛[色]+.
주100)
우며 : 웃으며. 웃-+으며. 〈중간본〉에는 ‘우으며’로 되어 있다.
주101)
져믄 : 졂은. 졂-[少]+은. 15세기의 ‘졂-’은 ‘점다’와 함께 ‘어리다’의 뜻도 있다. ¶(젊다) : 王이 깃그샤 四百八夫人 다 브르샤 졈고 고니로 여듧 각시 샤〈월석 8:91ㄱ〉. 河陽 眞實로 나히 졈도다(河陽實少年)「夏夜···聯句」〈두시 23:53ㄱ〉. (어리다) : 내 져믄 브터 길어 사 외야〈석상 11:29ㄴ〉. 져믄 아 구룸   드러가셔 브르놋다(稚子入雲呼)「自閬···三首」〈중간두시 2:4ㄴ〉.
주102)
사 : 사람은. 사+.
주103)
늘근 : 늙은. 늙-+은.
주104)
한아비 : 노임을. 할아버지를. 하+ㄴ#아비+.
주105)
기롱(欺弄)니라 : 기롱하니라. 欺弄#-++니+라.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주106)
핍측(偪側) : 핍박하면서 무시함.
주107)
며 : 하물며. ¶머리며 누니며 손바리며 모맷 고기라도 비 사 주리어니 며 녀나 쳔랴녀〈석상 9:13ㄱ〉. 며 狄과 다 戎의게 이슈미녀(卷耳况療風 童兒且時摘)「前出塞九首」〈두시 5:29ㄴ〉.
주108)
예 : 사이에. [間]+예. 〈중간본〉에는 ‘이에’로 되어 있다.
주109)
녜로 오매 : 예로부터. 녜+로 오+오+ㅁ+애.
주110)
가지니라 : 같다. #가지+이+니+라. ‘가지’는 ‘형태, 성질, 동작 등이 서로 같은 것’을 뜻한다. ‘-니라’는 화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실을 진술할 때 쓰는 종결어미이다. ¶同 가지라 논 디라〈훈언 12ㄱ〉. 萬國이 오히려 미 가지로다(萬國尙同心)「提封」〈두시 5:19ㄱ〉.
주111)
형양(荊楊) : 형주(荊州)와 양주(楊州). 크게 보면 장강(長江) 중하류 지역을 말한다. 형주는 옛날 구주(九州)의 하나. 형산(荊山)과 형산(衡山) 사이에 있었다. 한(漢)나라 때 13자사부(刺史部)의 하나가 되었다. 관할했던 지역은 대략 지금의 상악(湘鄂) 2성(省)과 계계검월(豫桂黔粵)의 일부분이었다. 한나라 말 이후 관할 지역이 점차 줄어들었다. 양주는 양자강의 남쪽 오호(五湖)의 사이에 있는 지역 이름이다.
주112)
독범(獨帆) : 외로운 배. 무리 없이 혼자 가는 고적한 여행길을 뜻하기도 한다.
주113)
그듸 : 그대. ‘소혜(蘇徯)’를 가리킨다. 『두시언해』에서 ‘그듸’와 ‘그’는 같이 쓰였다.
주114)
형양(荊揚)로 : 형주와 양주로. 荊揚+로. 〈중간본〉에는 ‘荊楊으로’로 되어 있다.
주115)
려가니 : 내려가니. 리-+어#가-++니.
주116)
외왼 : 외로운. 외#-+오+ㄴ. 정음 초기 문헌에는 ‘외’이 쓰였다. ¶오직 洮河元帥 郭蝦䗫ㅣ 외 城을 구디 守야 이셔〈삼강런던忠28〉. 이제 寶藏 몰라 艱難고 외니〈월석 9:22ㄴ〉. 니블 샤 외외며 늘그니 주시며〈내훈 2:101ㄱ〉. 四夷ㅣ  외왼 軍이로다(四夷且孤軍)「後出塞五首」〈두시 5:31ㄴ〉.
주117)
돗기 : 돛대가. +ㅅ++이. ‘’은 『두시언해』에만 쓰인 낱말이다. ¶구룸  돗기 遼海로 올마 오니(雲帆轉遼海)「後出塞五首」〈두시 5:32ㄱ〉.
주118)
 : 나는. -[飛]+ㄴ.
주119)
그려기 : 기러기. 15세기 국어에는 ‘그려기’와 함게 ‘그력’도 쓰였다. ¶그려기 : 太子ㅣ 本國에셔  그려기 치샤〈월석 22:17ㄱ〉. 그려기 올히 기리 혜요미 맛니(鵝鴨宜長數)「舍弟···此詩」〈두시 7:9ㄱ〉. 그력 : 그력 爲鴈〈훈해 57〉. 그력 올히로 여 갓가온 이우즐 어즈러이디 아니호리라(不敎鵝鴨惱比隣)「將赴···五首」〈두시 21:3ㄴ〉.
주120)
도다 : 같도다. -[同]+도+다.
주121)
호협(豪俠) : ①사람됨이 호탕하고 매서우면서 의로움을 좋아하는 것. ②호탕하고 의협심이 많은 사람.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였다.
주122)
두 올 : 두 고을은. 올ㅎ+. ‘올ㅎ’은 ‘ㅎ말음체언’이다. 두 고을은 형주와 양주를 가리킨다. 『두시언해』에서 ‘올ㅎ’은 ‘고을’과 ‘관아’의 뜻이 있다. 전자는 주로 ‘邑, 縣, 鄕, 州, 郡, 邦, 州縣’ 등의 번역으로 쓰였고, 후자는 주로 ‘州府, 官, 官曹, 宮’ 등의 번역으로 쓰였다. ¶(고을) : 本鄕 本來 제 사 올히라〈월석 4:59ㄴ〉. 훤 山東ㅅ 一百 올히 갓가 일워 按 야 靑丘 아냇도다(澶漫山東一百州 削成如桉抱靑丘)「承聞···十二首」〈두시 5:23ㄱ〉. (관아) : 綿州ㅅ 州府ㅣ 모 노니(緜州州府何磊落)「越王樓歌」〈두시 14:1ㄱ〉. 받가롬 勸호 올로브터 놋다(勸耕自官曹)「大雨」〈두시 12:12ㄱ-ㄴ〉. 올흘 거느려든 곧 비치 업고 올 갈 저기어든 다 말미 잇도다(領郡輒無色 之官皆有詞)「有感五首」〈두시 5:15ㄴ〉.
주123)
호협(豪俠) 잇 히니 : 호협 있는 땅이니. 즉 형주와 양주 두 고을에는 호협한들이 많이 있다는 말이다.
주124)
사과 왜 : 사람과 말이. 사+과 +와+이. 15세기 국어의 명사구 연결에서 접속조사 ‘-와/과’는 마지막 명사구에도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125)
제 : 제. ‘제’는 ‘형주와 양주 두 고을의 호협(豪俠)’을 가리키는 재귀대명사이다.
주126)
양몽(養蒙) : 몽매(蒙昧)한 척하면서 자신을 숨기고 정도(正道)를 수양(修養)하는 것.
주127)
청(請) : 청하건대. 請#-+거+ㄴ대.
주128)
주리며 : 굶주리며. 주리-[饑]+며.
주129)
치우믈 : 추움을. 칩-[寒]+우+ㅁ+을. 참조; 치. 치. 치위. 치. 치움.
주130)
히 : 달히. 달게. -[甘]+히.
주131)
너기고 : 여기고. 너기-[謂]+고. 『두시언해』에서 ‘너기-’는 ‘-고져’나 ‘-오’이 이끄는 내포문이나 부사를 지배한다. ¶늘그니 病니 주근 사 보시고 世間 슬히 너기샤〈석상 6:17ㄴ〉. 音信으란 가마괴와 가치 츠기 너기고 怒야 우르니란 熊罷 怪異히 너기노라(音書恨烏鵲 號怒怪熊羆)「偶題」〈두시 16:10ㄴ〉.
주132)
너기라 : 여겨라. 너기-[謂]+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