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제천공양(諸天供養)
  • 수행육도편(修行六度萹)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행육도편(修行六度萹)


삼단시식문언해:37ㄱ

슈·륙:도편

修行六度萹【六·륙度:도 修슈行··샤미·라】

:뎨·:모::이:위:모:가 :슈·불:계:참:회:죄·업 ·발:셰:원:이:뎨::묘·법 금:이:거··위 :시진·불··법:화 ·:위:모:가 :부슈·습·륙

삼단시식문언해:37ㄴ

:바라·밀다 :보리근: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弟子某䓁已爲某靈駕 受佛戒竟懺悔罪業 發誓願已諦聴妙法 從今已去入如來位 是眞佛子從法化生 次爲某靈駕 復令修習六 種波羅蜜多 用資菩提根種

수행육도편【육도 수행하심이라.】

“제자모등 이위모령가 수불계경참회죄업 발서원이체청묘법 종금이거입여래위 시진불자종법화생 차위모령가 부령수습륙종파라밀다 용자보제근종”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弟:뎨子··히 ·마 :아:모 靈駕:가 爲:위··와 부텻 戒:계· 受:슈·시·긔 ··오·며 罪:죄業·업·을 懺 :참悔:회·시·긔 ·오·며 誓:셰願:원·을 發·발·시·긔 ··오·며 妙:묘法·법·을 드르·시긔 ·오·니 오·브·터 :가매 如來ㅅ 位·위·예 ·드르·샤 ·이 眞진

삼단시식문언해:38ㄱ

實·실ㅅ 佛·불子·ㅣ·샤 法·법·을 조·차 化:화生··시릴 버·거 주001)
버거:
벅-ㅓ. 다음으로. “벅다”는 ‘버금가다, 다음가다’란 뜻임.
:아:모 靈駕:가 爲:위··와 · 여·슷 가·짓 波바羅라蜜:밀多다· 닷·가 주002)
닷가:
닷ㄱ-ㅏ. 닦아.
니·기샤 주003)
니기샤:
닉+ㅣ-샤. 익히사.
菩보提리ㅅ 불·휫 · :돕긔 ··노·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제자들이 이미 아무 영가 위하와 부처의 계를 받으시게 하오며, 죄업을 참회하시게 하오며, 서원을 발하시게 하오며, 묘법을 들으시게 하오니, 오늘부터 감에 여래의 지위에 들으사 이 진실한 불자이사 법을 좇아 화생하실 것이므로 다음으로 아무 영가 위하와 또 여섯 가지 바라밀다를 닦아 익히사 보리의 뿌리 씨를 돕게 하옵나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료디심셩무·탹 리간탐:고슈:슌슈 단바라·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了知心性無着 離慳貪故隨順修行 檀波羅

삼단시식문언해:38ㄴ


 性:·이 着·탹 :업슨 ·  아·라 앗기·며 貪탐 ·호· 여·희·욘 젼·로 조·차 順:슌·야 :뎍 주004)
뎍:
행적, 행실, 행위.
닷·고미 주005)
닷고미:
닷ㄱ-ㅗ-ㅁ~ㅣ. 닦음이.
檀단波바羅라蜜·밀·이오【조·차 順:슌·호 本·본性:·을 조 · 시·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요지심성무착 이간탐고 수순수행 단바라밀”
마음의 본성이 집착 없는 것을 사무치게 알아 아끼며 탐함을 여의 까닭으로 좇아 따르며 행실 닦음이 단바라밀이요,【조차 따름은 본성을 좇는다는 말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료디심:무: 리:오·욕:고슈:슌슈 시바라·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了知心性無染 離五欲故隨順修行 尸波羅

삼단시식문언해:39ㄱ


 性:·이 덜·몸 주006)
덜몸:
덞-ㅗ-ㅁ. “덞다”는 ‘물들다, 더러워 지다’를 뜻함.
:업슨 ·  아·라 五:오欲·욕·을 여·희·욘 젼·로 조·차 順:슌·야 :뎍 닷·고미 尸시波바羅라蜜·밀·이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요지심성무염 이오욕고 수순수행 시바라밀”
마음의 본성이 물듦 없는 것을 사무치게 알아 오욕을 여읜 까닭으로 좇아 따르며 행실 닦음이 시바라밀이요,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료디심:무·고 리진:로:고슈:슌슈 :찬바라·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了知心性無苦 離嗔怒故 隋順修行 羼波羅蜜

삼단시식문언해:39ㄴ

 性:·이 受:슈苦·고 :업슨 ·  아라 嗔진心심·을 여·희·욘 젼·로 조·차 順:슌·야 :뎍 닷·고미 羼 :찬波바羅라蜜·밀·이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요지심성무고 이진노고 수순수행 찬바라밀”
마음의 본성이 고생 없는 것을 사무치게 알아 성내는 마음을 여읜 까닭으로 좇아 따르며 행실 닦음이 찬바라밀이요,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료디심:셩무· 리::고슈:슌슈 :진바라·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了知心性無相 離懈怠故隨順修行 進波羅蜜

 性:·이 相· :업슨 ·  아·라 게을

삼단시식문언해:40ㄱ

오
주007)
게을오:
게을-오-ㅁ~. 게으름을. “게을-”은 “게으르다”의 르 벗어난 줄기임.
여희욘 젼·로 조·차 順:슌·야 :뎍 닷·고미 進진波바羅라蜜·밀·이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요지심성무상 이해태고 수순수행 진바라밀”
마음의 본성이 상 없는 줄을 사무치게 알아 게으름을 여읜 까닭으로 좇아 따르며 행실 닦음이 진바라밀이요,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료디심:: ·톄무:란:고 슈:슌슈 션바라·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了知心性常定 體無亂故隨順修行 禪波羅蜜

 性:·이 덛더디 주008)
덛더디:
덛덛+ㅣ. 떳떳이.
一·일定: ·  아·라 體·톄 ·어·즈러·옴 주009)
어즈러옴:
어즈러오-ㅁ. 어지러움, 혼란스러움.
:업·슨 젼·로 조·차 順

삼단시식문언해:40ㄴ

:슌·야 :뎍 닷·고미 禪션波바羅라蜜·밀·이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요지심성상정 체무란고 수순수행 선바라밀”
마음의 본성이 떳떳이 일정한 줄을 사무치게 알아 체가 어지러움 없는 까닭으로 좇아 따르며 행실 닦음이 선바라밀이요,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료디심:·톄 리무:고슈:슌슈 :혜바라·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了知心性體明 離無明故隨順修行 慧波羅蜜

 性:·이 體·톄 · ·  아·라 無무明·을 여·희·욘 젼·로 조·차 順:슌·야 :

삼단시식문언해:41ㄱ

뎍 닷·고미 慧:혜波바羅라蜜·밀·이·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요지심성체명 이무명고 수순수행 혜바라밀”
마음의 본성이 체가 밝은 것을 사무치게 알아 무명을 여읜 까닭으로 좇아 따르며 행실 닦음이 혜바라밀입니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벅-ㅓ. 다음으로. “벅다”는 ‘버금가다, 다음가다’란 뜻임.
주002)
닷가:닷ㄱ-ㅏ. 닦아.
주003)
니기샤:닉+ㅣ-샤. 익히사.
주004)
뎍:행적, 행실, 행위.
주005)
닷고미:닷ㄱ-ㅗ-ㅁ~ㅣ. 닦음이.
주006)
덜몸:덞-ㅗ-ㅁ. “덞다”는 ‘물들다, 더러워 지다’를 뜻함.
주007)
게을오:게을-오-ㅁ~. 게으름을. “게을-”은 “게으르다”의 르 벗어난 줄기임.
주008)
덛더디:덛덛+ㅣ. 떳떳이.
주009)
어즈러옴:어즈러오-ㅁ. 어지러움, 혼란스러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