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제천공양(諸天供養)
  • 삼귀의계(三歸依戒)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귀의계(三歸依戒)


삼귀의:계

三歸依戒

:뎨·:모:등 :부:위:모:가 :슈삼귀의:계 :소:이·쟈하 ·욕:슈·불:계션귀삼:보 :고금:권:슈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弟子某䓁復爲某靈駕 受三歸依戒所以者何 欲受佛戒先歸三寶 故今勸受

弟:뎨子··히 · :아:모 靈駕:가 爲:위·

삼단시식문언해:22ㄴ

·와 三삼歸귀依의戒:계· 受:슈·시·게 ·노·니 :엇·뎨어·뇨 ·란 부텻 戒:계· 受:슈·호려 ·홀딘·댄 몬져 三삼寶:보·애 歸귀依의·야· ·릴 ·이제 受:슈·쇼·셔 勸:권··노·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삼귀의계

“제자모등부위모령가 수삼귀의계소이자하 욕수불계선귀삼보 고금권수”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제자들이 또 아무 영가 위하와 삼귀의계를 받으시게 하옵나니, 어떠하냐 한다면, 부처의 계를 받으려 할찐대 먼저 삼보에 귀의하여야 할 것이므로 이제 받으십사고 권하나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귀의·불 귀의·법 귀의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歸依佛 歸依法 歸依僧【三삼說·셜】

귀의·불:·죡존 귀의·법리·욕존 귀의:존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삼단시식문언해:23ㄱ

歸依佛兩足尊 歸依法離欲尊 歸依僧衆中尊【三삼說·셜】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삼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귀의불량족존 귀의법리욕존 귀의승중중존”【삼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부텻 兩:足·죡尊·존· 歸귀依의··오·며 法·법·엣 離리欲·욕尊존· 歸귀依의··오·며 僧승衆:中尊존 · 歸귀依의··노·다 【兩:足·죡尊·존·은 :두 :이리 足죡·신 尊존·이시·니 定:慧:혜兩:足·죡·이라·도 · ·며 福·복智·디兩:足·죡·이라·도 ··니·라 離리欲·욕· 貪탐

삼단시식문언해:23ㄴ

欲·욕·을 여·흴 시·오 衆:中尊존·은 한 :사 中·에 尊존··실시·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부처 양족존께 귀의하오며 법의 이욕존께 귀의하오며 스님 중중존께 귀의하옵나이다.【양족존은 두 일이 족하신 존이시니 정과 혜의 양족이라고도 하며 복과 지혜의 양족이라고도 하느니라. 이욕은 탐욕을 여읜다는 말이고 중중존은 많은 사람 가운데 존귀하시다는 말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歸依佛竟 歸依法竟 歸依僧竟【三삼說·셜】

부텻·긔 歸귀依의··오· ··며 法·법·에 歸귀依의·오· ·며 주001)
며:
-며. 마치며. “다”가 지금말 “마치다”로 변함.
僧· 歸귀依의·오· ·고 주002)
고:
-고. “-”은 “다”의 “-”을 달리 적은 꼴임.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귀의불경 귀의법경 귀의승경”【삼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부처께 귀의하옴을 마치며 법에 귀의하옴을 마치며 스님께 귀의하옴을 마치고,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며:-며. 마치며. “다”가 지금말 “마치다”로 변함.
주002)
고:-고. “-”은 “다”의 “-”을 달리 적은 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