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제천공양(諸天供養)
  • 십이인연(十二因緣)
메뉴닫기 메뉴열기

십이인연(十二因緣)


·십·인연

삼단시식문언해:33ㄴ

十二因緣

:뎨·:모::부:위:모:가 ·셜:묘·법 ·각의:셰심:뎨: :아 ·불·민: ·무:시:이·지어금· 미진·튝: 슈 ·업표류 ·츌·몰: :·륙:도 :슈무··고 ·특:위: ·:대:하·탈문 :연·셜·십 :인연·법 ·각어언:하:돈· : :·졀륜회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弟子某䓁復爲某靈駕 稱說妙法 各宜洗心諦聴 我佛如來怜憫衆生 自無始以來至扵今日 迷眞逐妄 隋業漂流 出沒四生 往來六

삼단시식문언해:34ㄱ

道 受無量苦 特爲汝䓁開大解脫門 演說十二因緣法 各令扵言下頓明自性 永絶輪廻

십이인연

“제자모등 부위모령가 칭설묘법 각의세심체청 아불여래영민중생 자무시이래지어금일 미진축망 수업표류 출몰사생 왕래육도 수무량고 특위여등 개대해탈문 연설십이인연법 각령어언하돈명자성 영절윤회”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십:인연·법·쟈 무연 연·식 ·식연· ·연·륙 · ·륙·연·쵹 ·쵹연:슈 :슈연: :연: :연:유 :유연 연:로: 우비·고:노 무·멸·즉·멸 ·멸·즉·식·멸 ·식·멸·즉··멸 ··멸·즉·륙··멸 ·륙··멸·즉·쵹·멸 ·쵹·멸·즉:슈·멸 :슈·멸·즉:·멸 :·멸·즉:·멸 :·멸·즉:유·멸 :유·멸·즉·멸 ·멸·즉:로:우비·고:노·멸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十二因緣法者 無明緣行 行緣識 識緣名色 名色緣六入 六入緣觸 觸緣受 受緣愛 愛緣

삼단시식문언해:34ㄴ

取 取緣有 有緣生 生緣老 死憂悲苦惱 無明滅則行滅 行滅則識滅 識滅則名色滅 名色滅則六入滅 六入滅則觸滅 觸滅則受滅 受滅則愛滅 愛滅則取滅 取滅則有滅 有滅則生滅

삼단시식문언해:35ㄱ

生滅則老死憂悲苦惱滅

“십이인연법자 무명연행 행연식 식연명색 명색연륙입 육입연촉 촉연수 수연애 애연취 취연유 유연생 생연로 사우비고뇌 무명멸칙행멸 행멸칙식멸 식멸칙명색멸 명색멸칙륙입멸 육입멸칙촉멸 촉멸칙수멸 수멸칙애멸 애멸칙취멸 취멸칙유멸 유멸칙생멸 생멸칙로사우비고뇌멸”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弟:뎨子··히 · :아:모 靈駕:가 爲:위··와 妙:묘法·법·을 일·와 :노·니 各·각各·각 · 시스·샤 ·셔·히 드르·쇼셔 ·우리 부:톄 衆:生·이 無무始:시브·터 :오·로 오· 나·래 니·르리 眞진·을 모··고 妄:· 조·며【妄:· :거·츨 시·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제자들이 아무 영가 위하와 묘법을 일컫자와 사뢰나니, 각각 마음을 씻으사 자세히 들으로서. 우릴 부처가 중생이 무시부터 옴으로 오늘날에 이르도록 참을 모르고 망을 좇으며【망은 망령되다는 말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業·업·을 조·차 · 흘·러 四:生·애 나·며 ·드러【四 :사生· 卵:란生 胎生 濕

삼단시식문언해:35ㄴ

:습生 化:화生·이라】
六·륙道:도·애 가·며 오·며 ·야 無무量·苦·고 受 :슈·호 :어엿·비 너·기실· 特·특別·별·히 너희· 爲:위·야 ·큰 觧:하脫·탈門문·을 :여르·샤【觧:하脫·탈門문·은 버·서날 ·시라】十·십二:因인緣연法·법·을 불·어 니·샤 各·각各·각 :말 아·래 제 性:·을  주001)
:
사뭇. 꿰뚫어.
·겨 輪륜廻회· 기· 주002)
기리:
길+ㅣ. 길이.
긋·게 주003)
긋게:
긋-게. 그치게, 끊게. “긋-”은 “긏다”(〉그치다)의 “긏-”을 달리 적은 꼴임.
··시·니【無무明緣연·은 行·이오 行緣연·은 識·식·이오 識·식緣연·은 名色··이오 名色·緣연·은 六·륙入·

삼단시식문언해:36ㄱ

·이오 六·륙入·緣연·은 觸·쵹·이오 觸·쵹緣연·은 受:슈ㅣ·오 受:슈緣연·은 愛:·오 愛:緣연·은 取:·오 取:緣연·은 有:유ㅣ·오 有:유緣연·은 生·이오 生緣연·은 老:로死:憂우悲비苦·고惱:노ㅣ·라 無무明·이 滅·멸·면 行·이 滅·멸·코 行·이 滅·멸·면 識식·이 滅·멸·코 識·식·이 滅·멸·면 名色··이 滅·멸·코 名色··이 滅·멸·면 六·륙入··이 滅·멸코 六·륙入· ·이 滅·멸·면 觸·쵹·이 滅·멸·코 觸·쵹·이 滅·멸·면 受:슈ㅣ 滅·멸·코 受:슈ㅣ 滅·멸·면 愛: 滅·멸·코 愛: 滅·멸·면 取: 滅·멸·코 取: 滅·멸·면 有:유ㅣ 滅·멸 ·코 有:유ㅣ 滅·멸·면 生·이 滅·멸·코 生 滅·멸·면 老:로死:憂우悲비苦·고惱:노ㅣ 滅·멸·리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업을 좇아 떠 흘러 사생에 나며 들어【사생은 난생, 태생, 습생, 화생이다.】육도에 가며 오며 하여 무량한 고통 받음을 어여삐 여기시므로 특별히 너희들 위하여 큰 해탈문을 열으사【해탈문은 벗어난다는 말이다.】십이인연법을 풀어 이르사 각각 말씀 아래 제 본성을 사무치게 밝혀 윤회를 길이 그치게 하시나니【무명연은 행이요, 행연은 식이요, 식연은 명색이요, 명색연은 육입이요, 육입연은 촉이요, 촉연은 수요, 수연은 애요, 애연은 취요, 취연은 유요, 유연은 생이요, 생연은 늙고 죽고 근심하고 슬퍼하는 고뇌이다. 무명이 다하면 행이 다하고, 행이 다하면 식이 다하고, 식이 다하면 명색이 다하고, 명색이 다하면 육입이 다하고, 육입이 다하면 촉이 다하고, 촉이 다하면 수가 다하고, 수가 다하면 애가 멸하고, 애가 다하면 취가 멸하고, 취가 다하면 유가 다하고, 유가 다하면 생이 다하고, 생이 다하면 늙고 죽고 근심하고 슬퍼하는 고뇌가 다하리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뭇. 꿰뚫어.
주002)
기리:길+ㅣ. 길이.
주003)
긋게:긋-게. 그치게, 끊게. “긋-”은 “긏다”(〉그치다)의 “긏-”을 달리 적은 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