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제천공양(諸天供養)
  • 관행게찬(觀行偈讚)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행게찬(觀行偈讚)


관::게:잔

觀行偈讚【行:· 觀관··논 偈:게라】

졔·법·보 ··젹·멸· ·불·:도:이 :셰·득·작·불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佛子行道已 來世得作佛

諸졔法·법·이 本·본來브·터 ·녜 :제 寂·젹

삼단시식문언해:41ㄴ

滅·멸 相··이니 佛·불子·ㅣ 行道:도·면 來世:셰·예 부텨 외요 주001)
외요:
외-요-ㅁ~. 됨을. “외다”가 지금말 “되다”로 변함.
得·득·리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관행게찬【행위를 살피는 게이다.】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뭇 법이 본래부터 늘 스스로 적멸한 상이니, 불자가 도를 실행하면 내세에 부처 됨을 얻으리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졔·불:·죡존 디·법무: ·불:연·긔 :시·고·셜·일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諸佛兩足尊 知法常無性 佛種從緣起 是故說一乘

諸졔佛·불 兩:足·족尊존·이 法·법·의 ·녜

삼단시식문언해:42ㄱ

性: :업슨 · :알·언마· 주002)
알언마:
알-어-ㄴ마. 알건마는.
佛·불種:·이 緣연·을 조차 :닐 주003)
닐:
니-ㄹ. 일므로, 일어나므로. “니-”는 “닐다”(〉일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이런 ·로 一·일乘·을 니르·니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제불량족존 지법상무성 불종종연기 시고설일승”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뭇 부처 양족존이 법이 늘 본성 없는 줄을 알건마는 부처의 씨가 연을 좇아 일어나므로 이런 탓으로 일승을 이르나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시·법:듀·법·위 :셰간·:듀 어:도디:이 :도·변·셜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是法住法位 世間相常住 扵道塲知已 導師方便說

·이 法·법·이 法·법位·위예 住:듀·며 世:셰間

삼단시식문언해:42ㄴ

간相· ·이 ·녜 住:듀·니 道:도塲애 :알·오 導:도師ㅣ 方便·변 ·으·로 니·니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시법주법위 세간상상주 어도장지이 도사방편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이 법이 법위에 살며 세상 모습이 늘 머무니, 도량에서 알고 도사가 방편으로 이르나니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유·일:대:권 ·:삼쳔:계 :어·일딘: ·일쳬딘·역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有一大經卷 量䓁三千界 在於一塵內 一切塵亦然

 ·큰 經卷:권이 量··이 三삼千쳔界:계

삼단시식문언해:43ㄱ

·와 ·오 주004)
오:
오-. 가루다. “오-”는 “다”의 ㅂ 벗어난 줄기임.
듣글 주005)
듣글:
티끌. “드틀”과 같음.
·소·배 주006)
소배:
솝~ㅐ. 속에.
이·셔 一·일切·쳬 듣글·도 · 그·러·니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유일대경권 양등삼천계 재어일진내 일체진역연”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한 큰 경전이 분량이 삼천계와 가루되 한 티끌 속에 있어 모든 티끌도 또 그러하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유·일:혜 ::안·실:견 파딘·츌:권 :보·익 주007)
익:
유익하게 함.
: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有一聴慧人 淨眼悉明見 破塵出經卷 普饒益衆生

 聴慧:혜 :사·미 ·조 주008)
조:
좋-. 깨끗한.
·누·로 :다 ·기 ·보아 듣글 :헐오 經卷:권·을 :내·야 너비

삼단시식문언해:43ㄴ

衆:生·을 饒益·익·니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유일청혜인 정안실명견 파진출경권 보요익중생”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한 슬기로운 사람이 깨끗한 눈으로 다 밝히 보아 티끌 헐고 경전을 내어 널리 중생을 유익하게 하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불·디·역:시 :변::심 :·지:소뎐 ·블·각·역·블디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佛智亦如是 遍在衆生心 妄想之所纏 不覺亦不知

·부텻 智·디·도 · ·이 ··야 衆:生· ·매 :다 이·쇼 妄:想··애 얼·키여 주009)
얼키여:
얽+히-여. 얽히어.
디 주010)
디:
-디. 깨지.
:몯·며  :아디 :몯··니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불지역여시 편재중생심 망상지소전 불각역불지”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부처의 지혜도 또 이 같아서 중생의 마음에 다 있으되 망상에 얽히어 깨지 못하며 또 알지 못하나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삼단시식문언해:44ㄱ

졔·불:대비 기뎨:· :시:내·츌:현 ·익졔보·살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諸佛大慈悲 令其除妄想 如是乃出現 饒益諸菩薩

諸졔佛·불·이 ·큰 慈悲비·로 주011)
제:
저~ㅣ. 저의. 자기의.
妄:想·· :덜에 주012)
덜에:
덜-에. 덜게. 없애게.
·샤 ·이 ·티 나·토아 주013)
나토아:
낱+ㅗ-아. 나타내어.
:내샤 諸졔菩보薩·살· 饒益·익·시·니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제불대자비 영기제망상 여시내출현 요익제보살”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뭇 부처가 큰 자비로 저의 망상을 덜게 하사 이 같이 나타내사 뭇 보살을 유익하게 하시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비·식:소·식 ·역비심·:계 기:·본쳥: :시졔: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삼단시식문언해:44ㄴ

非識所能識 亦非心境界 其性本淸淨 開示諸衆生

識·식·의 能·히 아·롤 주014)
아롤:
알-ㅗ-ㄹ. 알.
·배 아·니며 · · 境·界 :계 아·니라 그 性:·이 本·본來 淸淨:·닐 모· 衆:生·을 여·러 :뵈시·니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비식소능식 역비심경계 기성본청정 개시제중생”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식으로 능히 알 바가 아니며 또 마음의 경계가 아니라 그 본성이 본디 청정한 것을 모든 중생에게 열어 보이시니,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어·일·쳬·디 ·발회:심 :견심무:소 ·획: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삼단시식문언해:45ㄱ

若於一切智 發生廻向心 見心無所生 當獲大名稱

·다·가 주015)
다가:
만일, 만약.
一·일切·쳬 智·디·예 廻회向:心심·을 니르와·다 :내·면 · :날 ·바 :업소· ·보아 다 주016)
다:
당당히, 마땅히, 당연히.
·큰 일·훔 일·로 주017)
일로:
일-ㅗ-ㅁ~. 일컬음을. “일-”은 “일다”의 ㄷ 벗어난 줄기.
:어·드리·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약어일체지 발생회향심 견심무소생 당획대명칭”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만일 일체 지혜에 회향심을 일으켜 내면 마음에 날 바 없음을 보아 마땅히 큰 이름 일컬음을 얻으리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외요:외-요-ㅁ~. 됨을. “외다”가 지금말 “되다”로 변함.
주002)
알언마:알-어-ㄴ마. 알건마는.
주003)
닐:니-ㄹ. 일므로, 일어나므로. “니-”는 “닐다”(〉일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주004)
오:오-. 가루다. “오-”는 “다”의 ㅂ 벗어난 줄기임.
주005)
듣글:티끌. “드틀”과 같음.
주006)
소배:솝~ㅐ. 속에.
주007)
익:유익하게 함.
주008)
조:좋-. 깨끗한.
주009)
얼키여:얽+히-여. 얽히어.
주010)
디:-디. 깨지.
주011)
제:저~ㅣ. 저의. 자기의.
주012)
덜에:덜-에. 덜게. 없애게.
주013)
나토아:낱+ㅗ-아. 나타내어.
주014)
아롤:알-ㅗ-ㄹ. 알.
주015)
다가:만일, 만약.
주016)
다:당당히, 마땅히, 당연히.
주017)
일로:일-ㅗ-ㅁ~. 일컬음을. “일-”은 “일다”의 ㄷ 벗어난 줄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