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삼단시식문
  •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


:보:쇼·진언

普召請眞言

·나모·보·보·디·리가·리다·리다·타:아다:야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曩謨步步地哩伽哩多哩怛他葛多野【三삼遍:변】

보소청진언

“나모보보 지리가리 다리다타 아다야”【세 번 왼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일심:· ·십·법:계:변:만허 :유무::뎐·일

삼단시식문언해:13의1ㄱ

·쳬:귀신 하:리:뎨:모쵸:면:귀 바라문션졔:아:귀: 금쇼::위:모:가 삼도·팔난:슈·고: ·슈·부산림간 음:계비:·악:무·쥬고혼 :원·불·력::도 :시:야금시:슈텸·법·식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一心奉請 十方法界 遍滿虛空 有無祀奠 一切鬼神 訶理帝母 焦面鬼王 婆羅門仙 諸餓鬼衆 今宵奉爲某靈駕 三途八難 受苦衆生 水府山林人間 陰界非命惡死無主孤魂 願承佛力 同降道塲 是夜今時受沾法食

삼단시식문언해:13의1ㄴ

一·일心심·으·로 받·와 請···노·니 十십方 法·법界:계·예 虛허空·애 ·신 이바··리 주001)
이바리:
이받-#이. 이바지할 이. 제사할 이.
이시·며 :업슨 一·일切·쳬 鬼:귀神신·과 訶하利:리帝:뎨母:모 주002)
하리제모(訶利帝母):
출산과 어린아이를 주관한다는 여신.
·와 焦쵸面 :면鬼:귀王··과 婆바羅라門문仙션·과 한 餓:아鬼:귀· 주003)
물:
무리.
·와 오· ·밤 받·와 爲:위·· :아:모 靈駕:가·와 三삼途도 주004)
삼도(三途):
세 가지 나쁜 과보의 상태.
·와 八팔難난 주005)
팔난(八難):
수행의 여덟 가지 난관.
·애 受·슈苦·고· 衆:生·과 水·슈府·부

삼단시식문언해:13의2ㄱ

·와 :뫼·콰 주006)
뫼콰:
묗~과. 산과.
수·플 주007)
수플:
수풀.
·와 人間간·과 陰음界:계 주008)
음계(陰界):
귀신의 세계.
·옛 命: 아 ·닌 주009)
게:
곳에.
구·지 주010)
구지:
궂+ㅣ. 궂게, 궂게.
주·근 :님자 주011)
님자:
임자. 주인.
:업·슨 孤고魂혼 주012)
고혼(孤魂):
외로운 넋.
·이 願:원··온· 佛·불力·력·을 ·샤 道:도場·애 · ·리샤 ·이 ·밤 ·이 · 法·법食·식·을 바·쇼·셔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일심봉청 십방법계 편만허공 유무사존 일절귀신 가리제모 초면귀왕 파라문선 제아귀중 금소봉위 모령가 삼도팔난 수고중생 수부산림인간 음계비명악사 무주고혼 원승불력 동강도장 시야금시 수첨법식”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한 마음으로 받들어 청하옵나니 시방 법계에 허공에 가득하신, 이바지할 이가 있거나 없는 일체 귀신과 하리제모와 초면귀왕과 바라문선과 많은 아귀 무리와 오늘 밤 받들어 위하옵는 영가와 삼도와 팔난에 고생하는 중생과 수부와 산과 수풀과 인간과 음계의 제 명 아닌 곳에 궂이 죽은 임자 없는 고혼이 원하건대 불력을 받으사 도량에 함께 내리사 이 밤 이 때 법식을 받으소서.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바리:이받-#이. 이바지할 이. 제사할 이.
주002)
하리제모(訶利帝母):출산과 어린아이를 주관한다는 여신.
주003)
물:무리.
주004)
삼도(三途):세 가지 나쁜 과보의 상태.
주005)
팔난(八難):수행의 여덟 가지 난관.
주006)
뫼콰:묗~과. 산과.
주007)
수플:수풀.
주008)
음계(陰界):귀신의 세계.
주009)
게:곳에.
주010)
구지:궂+ㅣ. 궂게, 궂게.
주011)
님자:임자. 주인.
주012)
고혼(孤魂):외로운 넋.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