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역주 삼단시식문언해
  • 삼단시식문
  • 발보리심(發菩提心)
메뉴닫기 메뉴열기

발보리심(發菩提心)


·발보리심

發菩提心【菩보提리心심 發·발·호미·라】

:뎨·:모:귀의·불 귀의·법 귀의 :아금·발심 ·블위·구텬·복:보 연·각문:내·지권졔·위보·살 유의:최:·발보리심 :원:여·법:계:유 ·일시:아·녹다라삼·먁삼보리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弟子某䓁歸依佛 歸依法 歸依僧【三삼說·셜】我今發心 不爲自求人天福報 緣覺聲聞乃

삼단시식문언해:2ㄴ

至權乘諸位菩薩 唯依最上乘發菩提心 願與法界有情 一時同證阿耨多羅三藐三菩提

발보리심【보리심 발하는 것이다.】

“제자모등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삼설】아금발심 불위자구인천복 보연각성문내지 권승제위보살 유의최상승발보리심 원여법계유정 일시동증 아누다라삼막삼보리”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弟:뎨子··히 부텨· 歸귀依의··오·며 法·법·에 歸귀依의··오·며 僧· 歸귀依의·노·니 ·내 ·이제 發·발心심·호

삼단시식문언해:3ㄱ

人天텬福·복報:보·와 緣연覺·각聲聞문·과 權권乘 여·러 位·위·옛 菩보薩·살· 求구·티 아·니 ·야 오·직 最:최上:乘·을 브·터 菩보提리心심·을 發·발··노·니 願:원 · 주001)
:
~ㄴ. 것은.
法·법界:계 有:유情·과【法·법界:계 :다 法·법 ·안힐· 주002)
안힐:
않~ㅣ-ㄹ. 안이므로.
法·법界:계라】
· 阿아耨·녹多다羅라三삼藐·먁三삼菩보提리· 證:·야 ·지·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제자들이 부처께 귀의하오며, 법에 귀의하오며, 스님께 귀의하옵나니, 제가 이제 발심하되 사람과 하늘의 복과 연각 성문과 권승 여러 지위의 보살을 구하지 아니하고 오직 최상승으로부터 보리심을 내옵나니, 원하건대 법계 유정과【법계는 다 법 안이므로 법계이다.】함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험하여 지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ㄴ. 것은.
주002)
안힐:않~ㅣ-ㄹ. 안이므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