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씨향약언해

  • 역주 여씨향약언해
  • 여씨향약언해
  • 월단집회독약지례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단집회독약지례 3


直月又引稍少者爲也 東面北上爲也 拜約正於等 約正荅之爲也等 稍少者退立于稍長者之南爲羅 直月以次引少者爲也 東北向西北上爲也 拜約正爲也等 約正

여씨향약언해:28ㄴ

受禮如儀爲羅 拜者復位於等 又引幼者亦如之爲羅【○此稍少者以下拜約正少者幼者則不敢當面故東北向而拜復立于前立之位】 旣畢爲古 揖各就次爲羅
同列未講禮者拜於西序如初【如初拜于東序之儀】
頃之約正揖就坐於等
約正坐堂東南向約中年最尊者坐堂西南向副正直月次約正之東南向西上餘人以齒爲序東西相向以北爲上若有異爵者則坐於尊者之西南向東上
直月抗聲讀約【高聲讀鄕約之文】 一過爲巨等【○一過謂一遍】

여씨향약언해:29ㄱ

正推說其意乎代 未達者羅隱 許其質問爲羅 於是亦伊 約中 有善者 衆推之爲古 有過者 直月紏之爲也 約正詢其實狀于衆爲也 無異辭於等 乃命直月書之爲羅 直月遂讀記善籍一過爲古 命執事爲也 以記過籍乙奴 徧呈在坐於等 各默觀一過爲古 旣畢乃食爲旀 食畢小休爲也 復會于堂上爲也 或說書爲旀 或習射爲也 講論從容爲也
講論須有益之事不得輒道神怪邪僻悖亂之言及私議朝廷州縣政事得失及揚人過惡違者直月 紏而書之

여씨향약언해:29ㄴ

至晡乃退爲羅
爲也 : 하야.
於等 : 어든/이어든.
爲也等 : 하야든.
爲羅 : 하라.
爲巨等 : 하거든.
乎代 :호되(하되).
羅隱 : 란/으란.
亦伊 : 예(에).
厓 : 에.
乙 :을/를.
爲古 : 하고.
乙奴 : 으로.
爲旀 : 하며.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여씨향약언해:33ㄱ

딕월이  져기 져믄 주001)
져믄:
졈-[少]+-은(관형사형 어미). 젊은. 이때에 ‘졈다’는 ‘어리다[少, 幼]’의 뜻이다.
사을 혀 녁을 도라 븍녁을 우 사마 약을 절거든 약이 답례야든 져기 져믄 사이 믈러 져기 애 사의 알 주002)
알:
앒[前]+-(처격 조사). 앞에.
가 셔라 딕월이 례로 져믄 사을 혀 븍을 야 셔븍을 우 사마 약졍을 절야든 약이 례 바도 주003)
바도:
받-[受]+-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받음을. 받는 것을.
법다이 라 절던

여씨향약언해:33ㄴ

사이 위예 도라 니거든 주004)
니거든:
니-[去]+-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가거든.
 져믄 사을 혀  그티 라 다 고 주005)
고:
-[畢]+-고(대등적 연결 어미). 마치고. 동사 어간 ‘-’이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자음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읍고 각각 위예 나가라렬 주006)
동렬(同列):
같은 반열(班列).
례티 주007)
례티:
례-[講禮]+-디(보조적 연결 어미). 예절을 익히지.
몯 사은 셔녁킈 주008)
셔녁킈:
셔녘[西便]+-의(처격 조사). 서쪽에. 지금까지 ‘녁’이던 형태가 유기음화로 ‘녘’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문헌 전체에는 아직 ‘녁’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녁킈’는 중철의 표기 형태이다.
가 절호 처티 라】
이고 주009)
이고:
이윽고. 얼마 있다가.
약이 읍고 좌애 주010)
좌애:
좌(坐)+-애(처격 조사). 자리에.
안든 주011)
안든:
앉-[坐]+-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앉거든. 동사 어간 ‘앉-’은 어미 ‘-거든’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으로 교체되면서 종성의 ㅅ을 그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내려 써서 ‘안든’의 표기 형태가 되었다.
【약이 오로 주012)
오로:
(堂)+-오로(조격 조사). 당(堂)으로. 조사 ‘-오로’는 ‘-로/으로’의 변이된 형태이다.
녁킈 안조 주013)
안조:
앉-[坐]+-오-(삽입 모음)+-(설명법 어미). 앉되.
람녁을 고 약에 주014)
약애:
약(約中)+-애(처격 조사). 향약원(鄕約員) 중에.
나히 주015)
나히:
나ㅎ[年齡]+-이(주격 조사). 나이가. ‘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 주016)
한:
하-[多]+-ㄴ(관형사형 어미). 많은.
사은 오로 셔녁 겨틔 안조 람녁을 고 부과 딕월은 약의 녁 겨틔 버거 안조 람녁을 야 셔녁을 우 삼고 녀나 사은 나호로 주017)
나호로:
나ㅎ[年齡]+-오로(조격 조사). 나이로.
례 호 녁 셔녁을 서 야 븍녁을 우 사라 만이레 특별이 벼슬 사이 잇거든 존 사의 셔녁 겨틔 안조 람녁을 야 녁을 우 사라】
딕월이 소리 노피 주018)
노피:
높-[高]+-이(부사 접미사). 높이.
야 긔약  주019)
긔약:
향약을 기록해 놓은 책.
을  번 주020)
내:
내내. 죽. 끝까지.
닐어든 주021)
닐어든:
니-[讀]+-어든(종속적 연결 어미). 읽거든. 이 문헌의 다음 예문에서도 ‘니-’가 ‘讀’의 뜻으로 쓰였다. ‘딕월이  어딘 일 긔록 을  번 내 니고(直月遂讀記善籍一過)’(34ㄱ) 또한 『이륜행실도』(1518)에서도 ‘니르-’[讀]의 예가 발견된다. ‘ 먹고 글 니르더니(忍飢食齏讀書)’(48ㄱ). 그러나 이 문헌에서도 ‘독서(讀書)’를 ‘글 닑다’로 나타낸 경우도 있다. 글 ‘닐그며(讀書)’4ㄱ).
부이 그 들 주022)
들:
[意]+-을(목적격 조사). 뜻을.
려 주023)
려:
리-[推]+-어(연결 어미). 짐직해서 알아.
닐오 아라 듣디 몯 사은 질 주024)
질:
질정(質正). 묻거나 따져서 바로잡음.
야 무라 주025)
무라:
묻-[問]+-라(명령법 어미). 물으라. 동사 어간 ‘묻-’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물-’로 교체된다.
이 긔약 듕에 어딘 일 잇 사을 모다 위고 허믈 잇 사으란 딕월이 고티며 약이 그 실 주026)
실:
실(精實)+-(목적격 조사). 실상(實狀)을. ‘실’은 중철 표기이다.
모 사의손 무러 다 말

여씨향약언해:34ㄱ

이 업거든 딕월 주027)
딕월:
딕월(直月)+-(목적격 조사). 직월을. ‘딕월’은 중철 표기이다.
야 애 스라 딕월이  어딘 일 긔록 주028)
긔록:
기록(記錄). 어떤 사실을 적음.
 을  번 내 니고 집 주029)
집:
집사(執事). 주인 가까이 있으면서 그 집 일을 맡아보는 사람. 주인을 모시고 있는 사람.
 야 주030)
왼:
외-[非]+-ㄴ(관형사형 어미). 그릇된. 잘못된.
일 긔록 으로 좌애 안잣 사의손 다 나든 각각 고 주031)
고:
-[默]+-고(대등적 연결 어미). 잠잠하고. 말없이 조용하고.
보  번 다 고 밥 머그며 밥 머구 주032)
머구:
먹-[食]+-움(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먹기를.
고 져기 쉬여   우 모다 주033)
모다:
모두.
올아 혹 글 니르며 혹 활기 주034)
기:
-[射]+-기(명사형 어미). 〈활〉쏘기.
니겨 주035)
니겨:
닉-[習]+-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익혀.
론 주036)
강론(講論):
뜻을 설명하고 토론함.
호 히 주037)
히:
조용히. 종용(從容)히.
야 나조히 주038)
나조히:
나조ㅎ[夕]+-이(주격 조사). 저녁이. ‘나조ㅎ’는 ㅎ종성 체언이다.
니르러 주039)
니르러:
니를-[至]+-어(연결 어미)+-(강세 보조사). 이르러서야.
믈러가라【강론호 모로미 주040)
모로미:
모름지기. 15세기에는 ‘모로매’로 나타난다.
어딘 이 고 요괴 주041)
요괴(妖怪):
요사스럽고 괴이함.
로오며 간샤 주042)
간샤:
간사(奸邪). 간교하고 바르지 않음.
로오ㅑㅁ[며] 패란 주043)
패란(悖亂):
정의에 어그러지고 정도(正道)를 어지럽힘.
애 말와  아뎨 주044)
아뎨:
개인이 사사로이 차지하는 몫. 아람치. 사유(私有)치.
됴 주045)
됴:
조정(朝廷).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과 각 올 주046)
올:
고을[州]. ‘올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 주047)
:
공사(公事). 공무(公務). 공적(公的)인 일.
잘며 몯 일와  다 사의 허믈 며 모딘 주048)
모딘:
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나쁜. 악한.
이 니디 말라 이러 주049)
이러:
이렇듯한. 이와 같은.
어그르츤 주050)
어그르츤:
어그릋-[違]+-은(관형사형 어미). 어긴. 어긋난.
사으란 딕월이 고티고 애 스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직월(直月)이 또한 약간 젊은 사람을 인도하여 동쪽을 돌아서 북쪽을 윗자리로 삼고 약정(約正)에게 절한 데 대해 약정이 답례하거든 약간 젊은 사람은 물러나 약간 나이 많은 사람의 앞에 가 서라. 직월이 차례로 젊은 사람을 인도하여 동북쪽을 향하되 서북쪽을 윗자리로 삼아 약정에게 절하면 약정은 인사 받기를 법대로 하여라. 절하던 사람이 위(位)의 자리로 돌아가면 또한 어린 사람을 인도하여 역시 앞에서와 같이 하여라. 다 마치고는 읍례하고 각각 위(位)의 자리로 나아가라. 【같은 반열로서 예법을 익히지 못한 사람은 서쪽에 가서 절하기를 처음같이
(처음 동쪽에 가서 하였던 대로)
하여라.】
얼마 후 약정이 읍례하고 자리에 앉으면 【약정이 당(堂)으로 올라가 동쪽에 앉되 남쪽을 향하여 앉고, 향약원(鄕約員) 중에 나이가 가장 많은 사람은 당의 서쪽 곁에 앉되 남쪽을 향하고, 부정(副正)과 직월(直月)은 약정의 동쪽 곁 다음 자리에 앉되 남쪽을 향하면서 서쪽부터 윗자리로 삼으며, 그 밖의 사람은 나이 순서대로 자리를 잡되 동쪽 서쪽으로 나누어 서로 마주 보되 북쪽부터 윗자리로 삼아라. 만일 특별히 벼슬한 사람이 있으면 〈당의 서쪽에 있는〉 존귀한 사람의 서쪽 곁에 앉되 남쪽을 향하면서 동쪽부터 윗자리로 삼아라.】 직월이 소리를 높게 해서 향약을 기록해 놓은 책을 한 번 끝까지 읽으면 부정이 그 뜻을 알아차리도록 이르고,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은 바로 알기 위해 질문하라고 한다. 이 향약 중에 훌륭한 일을 한 사람은 모두 위하고 잘못이 있는 사람은 직월이 고치며, 약정이 그 실상(實狀)을 모든 사람에게 물어서 다른 말이 없거든 직월을 명하여 책에 기록하라고 한다. 직월이 또한 훌륭한 일을 기록한 책은 한 번 끝까지 읽고, 집사(執事)를 명하여 잘못한 일을 기록한 책으로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모두 보이면 각자 묵묵히 보기를 한 번 다 마치고 나서 밥 먹으며, 밥 먹기를 마치고 조금 쉬다가 또 당(堂) 위에 모두 올라가서 더러는 글 읽으며 더러는 활쏘기를 익혀 강론(講論)하기를 조용히 마친 뒤 저녁에 이르러서야 물러간다.【강론하기를 모름지기 훌륭한 일은 하고, 요사스럽고 간교하며 정의에 어긋나는 말과 또한 사사로이 조정과 각 고을의 공무(公務)를 꾀하며, 못하는 일과 또 다른 사람의 잘못과 나쁜 일은 말하지 마라. 이와 같은 일을 어긴 사람은 직월이 고치고 책에 기록하여라.】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이본과의 비교■
〖화산문고본〗
딕월이  져기 져믄 사을 혀 녁을 도라 븍녁을 우 사마 약을 절거든 약이 답례야든 져기 져믄 사이 믈러 져기 애 사의 알 가 셔라 딕월이 례로 져믄 사을 혀

여씨향약언해:40ㄴ

븍을 야 셔븍을 우 사마 약졍을 절야든 약이 례 바도 법다이 라 절던 사이 위예 도라 니거든  져믄 사을 혀  그티 라 다 고 읍고 각각 위예 나가라【렬이 례티 몯 사은 션녁의 가 절호 처티 라】 이고 약이 읍고 좌애 안든【약이 []오로 녁의 안조 남녁을 고 약에 나히  한 사은 []오로 션녁 겨틔 안조 남녁을 고 부과 딕월은 약의 녁 겨틔 버거 안조 남녁을 야 션녁을 우 삼고 녀나 사은 나호로 례 호 녁 션녁을 서 야 븍녁을 우 사라 만이레 특

여씨향약언해:41ㄱ

별이 벼슬 사이 잇거든 존 사의 션녁 겨틔 안조 남녁을 야 녁을 우 사라】
딕월이 소리 노피 야 긔약 을  번 내 닐어든 부이 그 들 려 닐오 아라 듣디 몯 사은 질야 무라 이 긔약 듕에 어딘 일 잇 사을 모다 위고 허믈 잇 사으란 딕월이 고티며 약이 그 실을 모 사의손 무러 다 말이 업거든 딕월을 야 애 스라 딕월이  어딘 일 긔록 을  번 내 니고 집

여씨향약언해:41ㄴ

야 왼 일 긔록 으로 좌애 안잣 사의손 다 나든 각각 고 보  번 다 고 밥 머그며 밥 머구 고 져기 쉬여   우 모다 올아 혹 글 니르며 혹 활기 니겨 론호 히 야 나조히 니르러 믈러가라【강론호 모로미 어딘 이 고 요괴로오며 간샤로오며 패란애 말와  아뎨로 됴과 각 올  잘며 몯 일와  다 사의 허믈 며 모딘 이 니디 말라 이러 일 어그르츤 사으란 딕월이 고티고 애 스라】
「존경각본」「화산문고본」
셔녁킈(33ㄴ)션녁의(40ㄴ)
녁킈(33ㄴ)녁의(40ㄴ)
람녁(33ㄴ)남녁(40ㄴ)
셔녁(33ㄴ)션녁(40ㄴ)
람녁(33ㄴ)남녁(40ㄴ)
람녁(33ㄴ)남녁(40ㄴ)
셔녁(33ㄴ)션녁(40ㄴ)
셔녁(33ㄴ)션녁(40ㄴ)
셔녁(33ㄴ)션녁(41ㄱ)
람녁(33ㄴ)남녁(41ㄱ)
실(33ㄴ)실을(41ㄱ)
딕월(34ㄱ)딕월을(41ㄱ)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일석본〗
딕월이  져기 져믄 사을 혀 녁을 도라 븍녁을 우 사마 약을 절거든 약이 답례

여씨향약언해:40ㄴ

야든 져기 져믄 사이 믈러 져기 애 사의 남녀킈 가 셔라 딕월이 례로 져믄 사을 혀 븍을 야 셔븍을 우 사마 약졍을 절야든 약이 례 바도 법다이 라 절던 사이 위예 도라 니거든  져믄 사을 혀  그티 라 다 고 읍고 각각 위예 나가라【렬이 례티 몯 사은 션녁의 가 절호 처티 라】 이고 약이 읍고 좌애 안든【약이 오로 녁의 안조 남녁을 고 약에 나히  한 사은 오로 션녁 겨틔

여씨향약언해:41ㄱ

안조 남녁을 고 부과 딕월은 약의 녁 겨틔 버거 안조 남녁을 야 션녁을 우 삼고 녀나 사은 나호로 례 호 녁 션녁을 서 야 븍녁을 우 사라 만이레 특별이 벼슬 사이 잇거든 존 사의 션녁 겨틔 안조 남녁을 야 녁을 우 사라】
딕월이 소리 노피 야 긔약 을  번 내 닐어든 부이 그 들 려 닐오 아라 듣디 몯 사은 질야 무라 이 긔약 듕에 어딘 일 잇 사을 모다 위고 허믈 잇 사으란 딕월이 고티며 약이 그 실을 모 사의손 무러 다

여씨향약언해:41ㄴ

말이 업거든 딕월을 야 애 스라 딕월이  어딘 일 긔록 을  번 내 니고 집 야 왼 일 긔록 으로 좌애 안잣 사의손 다 나든 각각 고 보  번 다 고 밥 머그며 밥 머구 고 져기 쉬여   우 모다 올아 혹 글 니르며 혹 활기 니겨 론호 히 야 나조히 니르러 믈러가라【강론호 모로미 어딘 이 고 요괴로오며 간샤로오며 패란애 말와  아뎨로 됴과 각 올  잘며 몯 일와 

여씨향약언해:42ㄱ

다 사의 허믈 며 사오나온 이 니디 말라 이러 일 어그르츤 사으란 딕월이 고티고 애 스라】
「존경각본」「일석본」
알(33ㄱ)남녀킈(40ㄴ)
셔녁킈(33ㄴ)션녁의(40ㄴ)
오로(33ㄴ)오로(40ㄴ)
녁킈(33ㄴ)녁의(40ㄴ)
람녁(33ㄴ)남녁(40ㄴ)
셔녁(33ㄴ)션녁(40ㄴ)
람녁(33ㄴ)남녁(41ㄱ)
람녁(33ㄴ)남녁(41ㄱ)
셔녁(33ㄴ)션녁(41ㄱ)
셔녁(33ㄴ)션녁(41ㄱ)
셔녁(33ㄴ)션녁(41ㄱ)
람녁(33ㄴ)남녁(41ㄱ)
실(33ㄴ)실을(41ㄱ)
딕월(34ㄱ)딕월을(41ㄴ)
모딘(34ㄱ)사오나온(41ㄴ)
「화산문고본」「일석본」
알(40ㄱ)남녀킈(40ㄴ)
오로(40ㄴ)오로(40ㄴ)
모딘(41ㄴ)사오나온(41ㄴ)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여씨향약언해:34ㄴ

朱子增損呂氏鄕約 終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주자 증손 여씨 향약을 마침.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믄:졈-[少]+-은(관형사형 어미). 젊은. 이때에 ‘졈다’는 ‘어리다[少, 幼]’의 뜻이다.
주002)
알:앒[前]+-(처격 조사). 앞에.
주003)
바도:받-[受]+-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받음을. 받는 것을.
주004)
니거든:니-[去]+-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가거든.
주005)
고:-[畢]+-고(대등적 연결 어미). 마치고. 동사 어간 ‘-’이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자음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주006)
동렬(同列):같은 반열(班列).
주007)
례티:례-[講禮]+-디(보조적 연결 어미). 예절을 익히지.
주008)
셔녁킈:셔녘[西便]+-의(처격 조사). 서쪽에. 지금까지 ‘녁’이던 형태가 유기음화로 ‘녘’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문헌 전체에는 아직 ‘녁’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녁킈’는 중철의 표기 형태이다.
주009)
이고:이윽고. 얼마 있다가.
주010)
좌애:좌(坐)+-애(처격 조사). 자리에.
주011)
안든:앉-[坐]+-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앉거든. 동사 어간 ‘앉-’은 어미 ‘-거든’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으로 교체되면서 종성의 ㅅ을 그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내려 써서 ‘안든’의 표기 형태가 되었다.
주012)
오로:(堂)+-오로(조격 조사). 당(堂)으로. 조사 ‘-오로’는 ‘-로/으로’의 변이된 형태이다.
주013)
안조:앉-[坐]+-오-(삽입 모음)+-(설명법 어미). 앉되.
주014)
약애:약(約中)+-애(처격 조사). 향약원(鄕約員) 중에.
주015)
나히:나ㅎ[年齡]+-이(주격 조사). 나이가. ‘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16)
한:하-[多]+-ㄴ(관형사형 어미). 많은.
주017)
나호로:나ㅎ[年齡]+-오로(조격 조사). 나이로.
주018)
노피:높-[高]+-이(부사 접미사). 높이.
주019)
긔약:향약을 기록해 놓은 책.
주020)
내:내내. 죽. 끝까지.
주021)
닐어든:니-[讀]+-어든(종속적 연결 어미). 읽거든. 이 문헌의 다음 예문에서도 ‘니-’가 ‘讀’의 뜻으로 쓰였다. ‘딕월이  어딘 일 긔록 을  번 내 니고(直月遂讀記善籍一過)’(34ㄱ) 또한 『이륜행실도』(1518)에서도 ‘니르-’[讀]의 예가 발견된다. ‘ 먹고 글 니르더니(忍飢食齏讀書)’(48ㄱ). 그러나 이 문헌에서도 ‘독서(讀書)’를 ‘글 닑다’로 나타낸 경우도 있다. 글 ‘닐그며(讀書)’4ㄱ).
주022)
들:[意]+-을(목적격 조사). 뜻을.
주023)
려:리-[推]+-어(연결 어미). 짐직해서 알아.
주024)
질:질정(質正). 묻거나 따져서 바로잡음.
주025)
무라:묻-[問]+-라(명령법 어미). 물으라. 동사 어간 ‘묻-’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물-’로 교체된다.
주026)
실:실(精實)+-(목적격 조사). 실상(實狀)을. ‘실’은 중철 표기이다.
주027)
딕월:딕월(直月)+-(목적격 조사). 직월을. ‘딕월’은 중철 표기이다.
주028)
긔록:기록(記錄). 어떤 사실을 적음.
주029)
집:집사(執事). 주인 가까이 있으면서 그 집 일을 맡아보는 사람. 주인을 모시고 있는 사람.
주030)
왼:외-[非]+-ㄴ(관형사형 어미). 그릇된. 잘못된.
주031)
고:-[默]+-고(대등적 연결 어미). 잠잠하고. 말없이 조용하고.
주032)
머구:먹-[食]+-움(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먹기를.
주033)
모다:모두.
주034)
기:-[射]+-기(명사형 어미). 〈활〉쏘기.
주035)
니겨:닉-[習]+-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익혀.
주036)
강론(講論):뜻을 설명하고 토론함.
주037)
히:조용히. 종용(從容)히.
주038)
나조히:나조ㅎ[夕]+-이(주격 조사). 저녁이. ‘나조ㅎ’는 ㅎ종성 체언이다.
주039)
니르러:니를-[至]+-어(연결 어미)+-(강세 보조사). 이르러서야.
주040)
모로미:모름지기. 15세기에는 ‘모로매’로 나타난다.
주041)
요괴(妖怪):요사스럽고 괴이함.
주042)
간샤:간사(奸邪). 간교하고 바르지 않음.
주043)
패란(悖亂):정의에 어그러지고 정도(正道)를 어지럽힘.
주044)
아뎨:개인이 사사로이 차지하는 몫. 아람치. 사유(私有)치.
주045)
됴:조정(朝廷).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주046)
올:고을[州]. ‘올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47)
:공사(公事). 공무(公務). 공적(公的)인 일.
주048)
모딘: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나쁜. 악한.
주049)
이러:이렇듯한. 이와 같은.
주050)
어그르츤:어그릋-[違]+-은(관형사형 어미). 어긴. 어긋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