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씨향약언해

  • 역주 여씨향약언해
  • 여씨향약언해
  • 과실상규 3-수양하지 않는 다섯 가지 잘못
메뉴닫기 메뉴열기

과실상규 3-수양하지 않는 다섯 가지 잘못


不修之過五伊尼 一曰交非其人伊五
所交不限士庶【士族庶人】 但凶惡及游惰無行衆所不齒者【不爲人所記數】 而已朝夕與之游處則爲交非其人若不得已而暫往還者非

여씨향약언해:7ㄱ

二曰游戲怠惰伊五
游謂無故出入及謁見人止務閑適者戲謂游笑無度及意在侵侮【侵凌人嘲弄人】 或馳馬擊鞠【或走馬或蹴鞠如今之踢建予】 而不賭財物者【徒戲而已不必賭物】 怠惰謂不修事業【不修已】 及家事不治【不治家】 門庭不潔者【不掃除門庭】
三曰動作無儀伊五
謂進退太踈野【麤率也】 不恭者【踞慢也】 不當言而言及當言而不言者衣冠太華飾及全不完整者【或奢侈或弊陋】 不衣冠而入街市者
四曰臨事不恪伊五

여씨향약언해:7ㄴ

主事廢忘【幹事而誤忘】 期會後時【約會而後往】 臨事怠慢者【當事而不勤】
五曰用度不節伊羅
謂不計有無過爲多費者不能安貧非道營求者
右件過失 同約之人 各自省察爲旀 互相規戒爲也 小則密規之爲古【○小過則私相戒之】 大則衆戒之乎代【○大過則衆共警戒之】 不聽則會集之日 直月以告于約正爲也等 約正 以義理 誨諭之爲也 謝過請改則書于籍爲也 以俟爲古【○俟其改過】 其爭辨不服

여씨향약언해:8ㄱ

與終不能改者羅隱 皆聽其出約爲羅【○不服其過而爭相辨論及有過而不卽悛改者任其去而不與約】
伊尼 : 이니.
伊五 : 이오.
伊羅 : 이라.
乙 : 을/를.
伊 : 이.
爲旀 : 하며.
爲也 : 하야.
爲古 : 하고.
乎代 : 호되(하되).
厓 : 에.
爲也等 : 하야든.
奴 : 로/으로.
果 : 과.
羅隱 : 란.
爲羅 : 하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닷디 주001)
닷디:
-[修]+-디(보조적 연결 어미). 닦지. 수양하지.
아니 허믈이 다 가지니 나 론 어디디 주002)
어디디:
어딜-[善]+-디(보조적 연결 어미). 어질지. 착하지. ‘어딜-’의 어간 말음 ㄹ이 ㄷ 앞에서 탈락하였다.
아니 사을 사괴요미오 주003)
사괴요미오:
사괴-[交]+-옴(명사형 어미)+-이고(서술격 조사). 사귐이고. 사귀는 것이고. j 아래에서 명사형 어미 ‘-옴’이 ‘-욤’으로 변동되었다.
둘재 주004)
둘재:
둘째. 앞에서는 ‘두을재’로 표기하였다.
 론 노롬노리 주005)
노롬노리:
놀음놀이.
간대로 주006)
간대로:
함부로. 되는 대로.
고 몸 닷골 주007)
닷골:
-[修]+-오-(삽입 모음)+-ㄹ(관형사형 어미). 닦을.
일 며 집 다릴 주008)
다릴:
다리-[治]+-ㄹ(관형사형 어미). 다스릴.
일 며 오래 주009)
:
뜰[庭].
서르믈 주010)
서르믈:
설-[灑掃]+-음(명사형 어미)+-을(목적격 조사). 쓰레질함을. 여기서는 명사형 어미에 필수적으로 첨가되던 삽입 모음 ‘-오-’가 탈락하였다.
게을이 주011)
게을이:
게으르-[怠]+-이(부사 접미사). 게을리. 게으르게. 형용사 어간 ‘게으르-’가 모음의 접사 앞에서 ‘게을-’로 교체되었다.
호미오 셋재 론 거 주012)
거:
행동하는 태도.
법답디 주013)
법답디:
법(法)+-답-(형용사 접미사)+-디(보조적 연결 어미). 법에 맞지.
아니호미오 넫재 론 이레 주014)
이레:
일[事]+-에(처격 조사). 일에.
다라 주015)
다라:
다-[臨]+-아(연결 어미). 다다라서. 임하여. 동사 어간 ‘다-’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다-’로 교체된다. 당시에는 기본형이 ‘다다’이나 현대 국어에서는 ‘다다르다’가 기본형이다.
조심티 아니호미오 다재 론 자 것 주016)
자 것:
잡-[取]+-(관형사형 어미)+것(의존 명사). 잡는 것. 연장이나 물건.
 주017)
:
-[用]+-움(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쓰기를.
너모 야 존졀 주018)
존졀:
준절(撙節). 알맞게 절제함. 씀씀이를 아껴 알맞게 씀.
주019)
존졀티:
준절(撙節)하지.
아니호미라 이러 허믈 주020)
허믈:
허믈[過失]+-(목적격 조사). 허물을. 잘못을. ‘허믈’은 중철 표기이다.
 긔약 사이 각각 제 몸애 피며 주021)
피며:
피-[察]+-며(대등적 연결 어미). 살피며.
서 계야 그 허믈이 젹거든 마니 주022)
마니:
가만히.
계

여씨향약언해:8ㄴ

고 크거든 모다 주023)
모다:
몯-[會]+-아(연결 어미). 모여.
계호 아니 듣거든 모 나래 주024)
나래:
날[日]+-애(처격 조사). 날에.
딕월 주025)
딕월:
직월(直月). ※직월(直月) : ‘딕월’. 조선 시대 향약의 일을 맡아 보던 직책. 오늘날의 간사(幹事)와 같은 것이다.
약 주026)
약:
약정(約正). 조선 시대 향약 조직의 임원. 약정 중에 우두머리는 도약정(都約正)이고, 도약정의 다음은 부약정(副約正)이다.
의게 고야든 주027)
고야든:
고[告]+-야든(종속적 연결 어미). 알리거든.
약이 의리로 쳐 제 허믈 샤죄 주028)
사죄(謝罪):
지은 죄나 잘못에 대하여 용서를 빎.
고 호 주029)
호:
-[改]+-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고치기를.
거든 주030)
:
책(冊). 여기서는 문서나 장부를 가리킨다.
애 서 두고셔 그 허믈 호믈 기드리고 주031)
기드리고:
기드리-[待]+-고(대등적 연결 어미). 기다리고.
그 허믈 발 주032)
발:
발명(發明). 죄나 잘못이 없다고 발뺌함.
야 복 주033)
복:
항복(降伏). 굴복함.
아니며 내내 주034)
내내:
끝끝내.
티 주035)
티:
-[改]+-디(보조적 연결 어미). 고치지.
아니 사으란 다 긔약의 내티라 주036)
내티라:
내티-[黜]+-라(명령형 어미). 내치라. 내쫓으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자신을 닦아 수양하지 않는 잘못이 다섯 가지이니, 첫째는 이른바 어질지 못한 사람을 사귀는 것이고, 둘째는 이른바 놀음놀이를 함부로 하면서 몸을 수양하는 일을 하거나 집을 다스리는 일을 하거나 오래 뜰을 쓰레질함을 게을리 하는 것이며, 셋째는 이른바 행동 태도가 법에 맞지 않는 것이고, 넷째는 이른바 일에 임해서 조심하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이른바 물건 쓰기를 지나치게 하여 알맞게 절제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잘못에 대해서 같은 향약에 참가한 사람은 각각 자기 몸을 살피며 서로 타이르고 주의하게 하여 그 잘못된 일이 크지 않거든 가만히 주의를 주고, 크거든 사람이 모인 가운데 주의를 주되 듣지 않거든 모인 날에 직월이 약정에게 알려서 약정이 올바른 도리로 가르친 결과 자기의 잘못에 대해 용서를 빌고 고치기를 부탁하면 장부에 기록해 두고 그 잘못을 고칠 때까지 기다리며, 그러지 않고 그 잘못에 대해 변명하면서 굴복하지 않고 끝끝내 잘 고치지 않는 사람은 다 향약에서 내쫓아라.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이본과의 비교■
〖화산문고본〗

여씨향약언해:9ㄱ

몸 닷디 아니 허믈이 다 가지니 나 론 어디디 아니 사을 사괴요미오 둘재 론 노롬노리 간대로 고 몸 닷골 일 며 집 다릴 일 며 오래  서르믈 게을이 호미오 셋재 론 거이 법답

여씨향약언해:9ㄴ

디 아니호미오 넫재 론 이레 다라 조심티 아니호미오 다재 론 자 것  너모 야 존졀티 아니호미라 이러 허믈을  긔약 사이 각각 제 몸애 피며 서 계야 그 허믈이 젹거든 마니 계고 크거든 모다 계호 아니 듣거든 모 나래 딕월이 약의게 고야든 약이 의리로 쳐 제 허믈을 샤죄고 호 거든 애 서 두고셔 그 허믈 호

여씨향약언해:10ㄱ

믈 기드리고 그 허믈을 발야 복 아니며 내내 잘 티 아니 사으란 다 긔약의 내티라
「존경각본」「화산문고본」
허믈(8ㄱ)허믈을(9ㄴ)
허믈(8ㄴ)허믈을(9ㄴ)
허믈(8ㄴ)허믈을(10ㄱ)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일석본〗

여씨향약언해:9ㄱ

몸 닷디 아니 허믈이 다 가지니 나 론 어디디 아니 사을 사괴요미오 둘재 론 노롬노리 간대로 고 몸 닷골 일 며 집 다릴 일 며 오래  서르믈 게을이 호미오 셋재 론 거이 법답

여씨향약언해:9ㄴ

디 아니호미오 넫재 론 이레 다라 조심티 아니호미오 다재 론 자 것  너모 야 존졀티 아니호미라 이러 허믈을  긔약 사이 각각 제 몸애 피며 서 계야 그 허믈이 젹거든 마니 계고 크거든 모다 계호 아니 듣거든 모 나래 딕월이 약의게 고야든 약이 의리로 쳐 제 허믈을 샤죄고 호 거든 애 서 두고셔 그 허믈 호

여씨향약언해:10ㄱ

믈 기드리고 그 허믈을 발야 복 아니며 내내 잘 티 아니 사으란 다 긔약의 내티라
「존경각본」「일석본」
허믈(8ㄱ)허믈을(9ㄴ)
허믈(8ㄴ)허믈을(9ㄴ)
허믈(8ㄴ)허믈을(10ㄱ)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닷디:-[修]+-디(보조적 연결 어미). 닦지. 수양하지.
주002)
어디디:어딜-[善]+-디(보조적 연결 어미). 어질지. 착하지. ‘어딜-’의 어간 말음 ㄹ이 ㄷ 앞에서 탈락하였다.
주003)
사괴요미오:사괴-[交]+-옴(명사형 어미)+-이고(서술격 조사). 사귐이고. 사귀는 것이고. j 아래에서 명사형 어미 ‘-옴’이 ‘-욤’으로 변동되었다.
주004)
둘재:둘째. 앞에서는 ‘두을재’로 표기하였다.
주005)
노롬노리:놀음놀이.
주006)
간대로:함부로. 되는 대로.
주007)
닷골:-[修]+-오-(삽입 모음)+-ㄹ(관형사형 어미). 닦을.
주008)
다릴:다리-[治]+-ㄹ(관형사형 어미). 다스릴.
주009)
:뜰[庭].
주010)
서르믈:설-[灑掃]+-음(명사형 어미)+-을(목적격 조사). 쓰레질함을. 여기서는 명사형 어미에 필수적으로 첨가되던 삽입 모음 ‘-오-’가 탈락하였다.
주011)
게을이:게으르-[怠]+-이(부사 접미사). 게을리. 게으르게. 형용사 어간 ‘게으르-’가 모음의 접사 앞에서 ‘게을-’로 교체되었다.
주012)
거:행동하는 태도.
주013)
법답디:법(法)+-답-(형용사 접미사)+-디(보조적 연결 어미). 법에 맞지.
주014)
이레:일[事]+-에(처격 조사). 일에.
주015)
다라:다-[臨]+-아(연결 어미). 다다라서. 임하여. 동사 어간 ‘다-’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다-’로 교체된다. 당시에는 기본형이 ‘다다’이나 현대 국어에서는 ‘다다르다’가 기본형이다.
주016)
자 것:잡-[取]+-(관형사형 어미)+것(의존 명사). 잡는 것. 연장이나 물건.
주017)
:-[用]+-움(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쓰기를.
주018)
존졀:준절(撙節). 알맞게 절제함. 씀씀이를 아껴 알맞게 씀.
주019)
존졀티:준절(撙節)하지.
주020)
허믈:허믈[過失]+-(목적격 조사). 허물을. 잘못을. ‘허믈’은 중철 표기이다.
주021)
피며:피-[察]+-며(대등적 연결 어미). 살피며.
주022)
마니:가만히.
주023)
모다:몯-[會]+-아(연결 어미). 모여.
주024)
나래:날[日]+-애(처격 조사). 날에.
주025)
딕월:직월(直月). ※직월(直月) : ‘딕월’. 조선 시대 향약의 일을 맡아 보던 직책. 오늘날의 간사(幹事)와 같은 것이다.
주026)
약:약정(約正). 조선 시대 향약 조직의 임원. 약정 중에 우두머리는 도약정(都約正)이고, 도약정의 다음은 부약정(副約正)이다.
주027)
고야든:고[告]+-야든(종속적 연결 어미). 알리거든.
주028)
사죄(謝罪):지은 죄나 잘못에 대하여 용서를 빎.
주029)
호:-[改]+-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고치기를.
주030)
:책(冊). 여기서는 문서나 장부를 가리킨다.
주031)
기드리고:기드리-[待]+-고(대등적 연결 어미). 기다리고.
주032)
발:발명(發明). 죄나 잘못이 없다고 발뺌함.
주033)
복:항복(降伏). 굴복함.
주034)
내내:끝끝내.
주035)
티:-[改]+-디(보조적 연결 어미). 고치지.
주036)
내티라:내티-[黜]+-라(명령형 어미). 내치라. 내쫓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