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여씨향약언해

  • 역주 여씨향약언해
  • 여씨향약언해
  • 과실상규 2-규약을 어긴 네 가지 잘못
메뉴닫기 메뉴열기

과실상규 2-규약을 어긴 네 가지 잘못


犯約之過四伊尼 一曰德業不相勸伊五 二曰過失不

여씨향약언해:6ㄴ

相規伊五 三曰禮俗不相成伊五 四曰患難不相恤伊羅
伊尼 : 이니.
伊五 : 이오.
伊羅 : 이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긔약의 맛디 아니 허믈이 네 가지니 나 론 덕과 업과로 서 권 아니호미오 주001)
권 아니호미오:
이는 ‘권디(권티) 아니호미오’에서 접미사 ‘-디’가 삭제된 어형으로 보인다. 중세 국어의 부정법 표현에서 ‘한자 어근+다’ 용언의 경우는 ‘어근+디(티) 아니-’ 방식을 취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어근+디 아니-’ 형식에서 ‘-디’를 삭제한 ‘한자 어근+아니-’ 형식의 부정 표현도 또한 꽤 보편적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여기서의 ‘권 아니호미오’가 바로 이에 해당하며, 다음의 ‘계 아니호미오’도 같은 예에 속한다. 그러면서도 맨 마지막의 ‘구휼다’의 경우에는 부정 표현이 ‘구휼 아니호미라’가 아니고 ‘구휼티 아니호미라’의 형식을 선택하고 있다. 이처럼 ‘한자 어근+다’ 용언의 부정 표현에서 ‘-디’의 삭제는 수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두을재 론 허믈 서 계 아니호미오 셋재 론 례도야 쇽으로 서 사괴디 아니호미오 넫재 론 어려온 이레 서 구휼티 아니호미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향약의 규약을 어긴 잘못이 네 가지이니, 첫째는 이른바 덕과 업, 즉 좋은 일을 서로 권하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이른바 잘못을 서로 규제하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이른바 예의와 법도의 풍속을 지켜 서로 사귀지 않는 것이고, 넷째는 이른바 어려운 일에 서로 돕지 아니하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이본과의 비교■
〖화산문고본〗

여씨향약언해:7ㄴ

긔약의 맛디 아니 허믈이 네 가지니 나 론 덕과 업과로 서 권 아니호미오 두을재 론 허믈을 서 계 아니호미오 셋재 론 례도야 쇽으로 서 사괴디 아니호미오 넫재 론 어려온 이레 서 구휼티 아니호미라
「존경각본」「화산문고본」
허믈(6ㄴ)허믈을(7ㄴ)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일석본〗

여씨향약언해:7ㄴ

긔약의 맛디 아니 허믈이 네 가지니 나 론 덕과 업과로 서 권 아니호미오 두을재 론 허믈을 서 계 아니호미오 셋재 론 례도야 쇽으로 서 사괴디 아니호미오 넫재 론 어려온 이레 서 구휼티 아니호미라
「존경각본」「일석본」
허믈(6ㄴ)허믈을(7ㄴ)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권 아니호미오:이는 ‘권디(권티) 아니호미오’에서 접미사 ‘-디’가 삭제된 어형으로 보인다. 중세 국어의 부정법 표현에서 ‘한자 어근+다’ 용언의 경우는 ‘어근+디(티) 아니-’ 방식을 취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어근+디 아니-’ 형식에서 ‘-디’를 삭제한 ‘한자 어근+아니-’ 형식의 부정 표현도 또한 꽤 보편적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여기서의 ‘권 아니호미오’가 바로 이에 해당하며, 다음의 ‘계 아니호미오’도 같은 예에 속한다. 그러면서도 맨 마지막의 ‘구휼다’의 경우에는 부정 표현이 ‘구휼 아니호미라’가 아니고 ‘구휼티 아니호미라’의 형식을 선택하고 있다. 이처럼 ‘한자 어근+다’ 용언의 부정 표현에서 ‘-디’의 삭제는 수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