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 정종분(正宗分)
  • 극락세계의 장엄
메뉴닫기 메뉴열기

극락세계의 장엄


아미타경언해:12ㄱ

舍利弗아 彼佛國土애 微風이 吹動면 諸寶行樹와 及寶羅網애 出微妙音호 譬如百千種樂이 同時俱作니 聞是音者 自然皆生念佛念法念僧之心니 舍利弗아 其佛國土ㅣ 成就如是功德莊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舍利弗 주001)
-아:
-아. -이여. ‘아’는 호격조사.
주002)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부텻 주003)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명사나 존대 자질의 유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나라해 주004)
나라해:
나라에.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 주005)
:
가만한. 잔잔한. -[微]+ㄴ(관형사형어미).
미 주006)
미:
바람이. [風]+이(주격조사).
부러 주007)
부러:
불어. 불어서. 불-[吹]+어(연결어미).
뮈우면 주008)
뮈우면:
움직이게 하면. 흔들리게 하면. 뮈-[動]+우(사동접미사)+면(연결어미).
보옛 주009)
보옛:
보배의. 보배로운. 보배로 꾸민. 보(寶貝)+옛(‘예’와 ‘ㅅ’의 상호결합형조사).
行樹 주010)
행수(行樹):
줄지어 서 있는 나무. 가로수(街路樹).
와 보옛 羅網 주011)
나망(羅網):
불당(佛堂)을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해 구슬을 꿰어서 만든 그물.
微妙 주012)
미묘(微妙):
미묘(微妙)한. ‘미묘(微妙)’는 섬세하고 야릇하여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상태를 이른다.
소리 주013)
소리:
소리가. 소리[音]+∅(주격조사).
나 주014)
나:
나되. 나-[出]+오/우(연결어미). ‘:나·’는 ‘·나-(어간,거성)+·오·(설명형 연결어미, 거성+거성) ⟶ :나·(상성+거성)’로 분석된다. 용언 어간의 말음 /ㅏ, ㅓ, ㅗ, ㅜ/ 뒤에 연결어미 ‘오/우’가 오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 예의 경우처럼 어간의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가비건댄 주015)
가비건댄:
비유(譬喩)하건대는. 비유(譬喩)할진대. 비유(譬喩)한즉. 가비-[譬喩]+거(확 인법 선어말어미)+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아미타경언해:12ㄴ

百千 가짓 주016)
가짓:
가지의.
풍 주017)
풍:
풍류(風流)가. 음악(音樂)이.
 주018)
:
함께. 동시(同時)에. ‘’는 ‘[一]#[時]+의(처소부사격조사)’가 어휘화 한 것이다. ‘’는 ‘의’를 처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함께.
 주019)
:
하는.
니 주020)
니:
듯하니.
소리 주021)
소리:
소리를. 소리[音].
드르닌 주022)
드르닌:
들은 이는. 듣-[聞]+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듣-[聞]’은 불규칙 활용어.
自然히 다 念佛 주023)
염불(念佛):
10념(念)의 하나. 부처의 모습이나 그 공덕(功德)을 생각하면서 부처의 명호(名號)를 외는 일이다.
念法 주024)
염법(念法):
10념(念)의 하나. 수행하는 법칙인 부처의 교법(敎法)을 진심으로 생각하는 일.
念僧 주025)
염승(念僧):
10념(念)의 하나. 승(僧)의 공덕을 생각하여 잊지 아니하는 것. 염중(念衆).
주026)
-홀:
-할. --+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 주027)
: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내니 주028)
내니:
내느니. 내-[生]+(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舍利弗아 그 부텻 國土ㅣ 주029)
국토(國土)ㅣ:
국토(國土)가. ‘-ㅣ’는 주격조사.
주030)
이:
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티 주031)
티:
같이. -[如]+이(부사파생접미사).
功德 주032)
공덕(功德):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올 선행(善行)을 이른다.
莊嚴 주033)
장엄(莊嚴):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하는 것을 이름.
이러 주034)
이러:
되어. 이루어져. 일-[成]+어(연결어미).
잇니라 주035)
잇니라:
있느니라.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리불아, 저 부처의 나라에 가만한 바람이 불어 움직이게 하면, 보배로 꾸민 행수(行樹)와 보배로 꾸민 그물[羅網]에서 미묘(微妙)한 소리가 난다. 비유한즉 백천(百千) 가지의 풍류가 함께 하는 듯하니, 이 소리를 들은 이는 자연히 다 염불(念佛), 염법(念法), 염승(念僧)할 마음을 내느니라. 사리불아, 그 부처의 국토가 이와 같이 공덕(功德) 장엄(莊嚴)이 되어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아. -이여. ‘아’는 호격조사.
주002)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03)
부텻:부처의. 부텨[佛]+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명사나 존대 자질의 유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04)
나라해:나라에. 나라ㅎ[國]+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5)
:가만한. 잔잔한. -[微]+ㄴ(관형사형어미).
주006)
미:바람이. [風]+이(주격조사).
주007)
부러:불어. 불어서. 불-[吹]+어(연결어미).
주008)
뮈우면:움직이게 하면. 흔들리게 하면. 뮈-[動]+우(사동접미사)+면(연결어미).
주009)
보옛:보배의. 보배로운. 보배로 꾸민. 보(寶貝)+옛(‘예’와 ‘ㅅ’의 상호결합형조사).
주010)
행수(行樹):줄지어 서 있는 나무. 가로수(街路樹).
주011)
나망(羅網):불당(佛堂)을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해 구슬을 꿰어서 만든 그물.
주012)
미묘(微妙):미묘(微妙)한. ‘미묘(微妙)’는 섬세하고 야릇하여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상태를 이른다.
주013)
소리:소리가. 소리[音]+∅(주격조사).
주014)
나:나되. 나-[出]+오/우(연결어미). ‘:나·’는 ‘·나-(어간,거성)+·오·(설명형 연결어미, 거성+거성) ⟶ :나·(상성+거성)’로 분석된다. 용언 어간의 말음 /ㅏ, ㅓ, ㅗ, ㅜ/ 뒤에 연결어미 ‘오/우’가 오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 예의 경우처럼 어간의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주015)
가비건댄:비유(譬喩)하건대는. 비유(譬喩)할진대. 비유(譬喩)한즉. 가비-[譬喩]+거(확 인법 선어말어미)+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6)
가짓:가지의.
주017)
풍:풍류(風流)가. 음악(音樂)이.
주018)
:함께. 동시(同時)에. ‘’는 ‘[一]#[時]+의(처소부사격조사)’가 어휘화 한 것이다. ‘’는 ‘의’를 처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함께.
주019)
:하는.
주020)
니:듯하니.
주021)
소리:소리를. 소리[音].
주022)
드르닌:들은 이는. 듣-[聞]+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듣-[聞]’은 불규칙 활용어.
주023)
염불(念佛):10념(念)의 하나. 부처의 모습이나 그 공덕(功德)을 생각하면서 부처의 명호(名號)를 외는 일이다.
주024)
염법(念法):10념(念)의 하나. 수행하는 법칙인 부처의 교법(敎法)을 진심으로 생각하는 일.
주025)
염승(念僧):10념(念)의 하나. 승(僧)의 공덕을 생각하여 잊지 아니하는 것. 염중(念衆).
주026)
-홀:-할. --+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27)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주028)
내니:내느니. 내-[生]+(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9)
국토(國土)ㅣ:국토(國土)가. ‘-ㅣ’는 주격조사.
주030)
이: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주031)
티:같이. -[如]+이(부사파생접미사).
주032)
공덕(功德):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올 선행(善行)을 이른다.
주033)
장엄(莊嚴):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거나, 향·꽃들을 부처께 올려 장식하는 것을 이름.
주034)
이러:되어. 이루어져. 일-[成]+어(연결어미).
주035)
잇니라:있느니라.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