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요병구산방 권중
  • 불정심요병구산방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정심요병구산방 005


又諸善男子善女人或東隣西舍有飛符注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13ㄴ

煞破射雄雌魍魎鬼神橫相惱亂在人家宅中伺求人便者若遇得此陁羅尼經於所在供養者是諸鬼神悉能奔走不敢侵害
佛頂心經 中卷 終
Ⓒ 편찬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주001)
:
또. [又](부사).
善男子 주002)
선남자(善男子):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善女人이 주003)
선여인(善女人)이:
‘선여인(善女人)’은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를 이른다. ‘- 이’는 주격조사.
東녁 주004)
동(東)녁:
동(東)녘.
이웃과 주005)
이웃과:
이웃과. 이웃[隣]+과(접속조사).
西ㅅ녁 주006)
서(西)ㅅ녁:
서(西)녘. ‘ㅅ’은 사잇소리 표기.
지븨 주007)
지븨:
집에. 집[舍]+의(처소부사격조사). ‘집’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글왈 주008)
글왈:
글을. 문건(文件)을.
[]여 주009)
[]여:
날리어. -[飛]+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원전에는 이 부분이 탈각되어 보이지 않으나 역자가 의미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飛]’로 판독했다. 이는 나중에 복각본을 통해서도 확인이 되었다.
주규믈 주010)
주규믈:
죽임을. 죽인다는 내용을. 죽-[煞]+이(사동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주011)
써:
써서. 쓰-[書]+어(연결어미).
雄과 주012)
웅(雄)과:
웅(雄)과. 수컷과. ‘-과’는 접속조사.
雌와 주013)
자(雌)와:
자(雌)를. 암컷을. ‘-와’은 ‘-와(접속조사)+(목적격조사)’.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목적격조사가 통합되었다.
허러 주014)
허러:
헐어. 무너뜨리어. 헐-[破]+어(연결어미).
마치 주015)
마치:
맞히는. 맞-[射]+히(사동접미사)+(관형사형어미).
魍魎鬼神이 주016)
망량귀신(魍魎鬼神)이:
망량귀신(魍魎鬼神)이. ‘망량귀신(魍魎鬼神)’은 산이나 물, 나무 등의 정기(精氣)가 어리어 된 도깨비이다. ‘망량(魍魎)’은 이매망량(魑魅魍魎)의 준말이다. ‘-이’는 주격조사.
서르 주017)
서르:
서로. 서르[相](부사).
침로야 주018)
침로야:
침노(侵擄)하여. 한자어 ‘침로(侵擄)’에서 온 말인데, 중세국어 시기의 문헌에는 주로 ‘침로/침노’로 적혔다.
䱩魎 주019)
망량(䱩魎):
망량(䱩魎)은. ‘망량(䱩魎)’은 망량귀신(魍魎鬼神)을 이른다.
鬼神 주020)
귀신(鬼神):
귀신(鬼神)의.
일후미라 주021)
일후미라:
이름이다. 일훔[名]+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사 주022)
사:
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지븨 주023)
지븨:
집에. 집[家]+의(처소부사격조사). ‘집’은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이셔 주024)
이셔:
있어. 있으면서. 이시-[在]+어(연결어미).
사  주025)
:
사이에. [間].
얻니거든 주026)
얻니거든:
얻으러 다니거든. 얻으러 다니므로. 얻-[得]#니-[行]+거든(연결어미).
다가 주027)
다가:
하다가. 만약. 다가[若].
주028)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陁羅尼經을 주029)
다라니경(陁羅尼經)을:
다라니를 문자로 옮겨 놓은 경전(經典)이다.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을’은 목적격조사.
맛나 주030)
맛나:
만나. 만나서. 맞나-[遭遇]+아(연결어미).
잇논 주031)
잇논:
있는. 잇-[在]+(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고대 주032)
고대:
곳에. 곧[所]+애(처소부사격조사).
供養면 주033)
공양(供養)면:
공양(供養)하면. ‘-면’은 ‘--+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34)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鬼神히 주035)
귀신(鬼神)히:
귀신(鬼神)들이. ‘-히’는 ‘-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36)
다:
다. 모두. 다[悉](부사).
라나 주037)
라나:
달아나. 달아나서. -[走]+아(연결어미)#나-[出]+아(연결어미).
간도 주038)
간도:
잠깐도. 간[暫]+도(보조사).
침로며 주039)
침로며:
침노(侵擄)하며.
害티 주040)
해(害)티:
해(害)하지. 해(害)치지.
몯리라 주041)
몯리라:
못하리라. 못할 것이다. 몯-[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 언해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또,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善女人)이 ―동녘 이웃과 서녘 집에 글을 날려 죽임(죽인다는 내용)을 써서, 웅(雄)과 자(雌)를 헐어 맞힌다는 망량귀신(魍魎鬼神)이 서로 침노(侵擄)하여【망량(䱩魎)은 귀신(鬼神)의 이름이다.】, 사람의 집에 있으면서 사람의 사이에 얻으러 다니므로― 만약 이 다라니경(陁羅尼經)을 만나 있는 곳에서 공양(供養)하면, 이 귀신들이 다 달아나 잠깐도 침노하며 해치지 못할 것이다.
불정심경 중권 종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又](부사).
주002)
선남자(善男子):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주003)
선여인(善女人)이:‘선여인(善女人)’은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를 이른다. ‘- 이’는 주격조사.
주004)
동(東)녁:동(東)녘.
주005)
이웃과:이웃과. 이웃[隣]+과(접속조사).
주006)
서(西)ㅅ녁:서(西)녘. ‘ㅅ’은 사잇소리 표기.
주007)
지븨:집에. 집[舍]+의(처소부사격조사). ‘집’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8)
글왈:글을. 문건(文件)을.
주009)
[]여:날리어. -[飛]+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원전에는 이 부분이 탈각되어 보이지 않으나 역자가 의미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飛]’로 판독했다. 이는 나중에 복각본을 통해서도 확인이 되었다.
주010)
주규믈:죽임을. 죽인다는 내용을. 죽-[煞]+이(사동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주011)
써:써서. 쓰-[書]+어(연결어미).
주012)
웅(雄)과:웅(雄)과. 수컷과. ‘-과’는 접속조사.
주013)
자(雌)와:자(雌)를. 암컷을. ‘-와’은 ‘-와(접속조사)+(목적격조사)’.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목적격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14)
허러:헐어. 무너뜨리어. 헐-[破]+어(연결어미).
주015)
마치:맞히는. 맞-[射]+히(사동접미사)+(관형사형어미).
주016)
망량귀신(魍魎鬼神)이:망량귀신(魍魎鬼神)이. ‘망량귀신(魍魎鬼神)’은 산이나 물, 나무 등의 정기(精氣)가 어리어 된 도깨비이다. ‘망량(魍魎)’은 이매망량(魑魅魍魎)의 준말이다. ‘-이’는 주격조사.
주017)
서르:서로. 서르[相](부사).
주018)
침로야:침노(侵擄)하여. 한자어 ‘침로(侵擄)’에서 온 말인데, 중세국어 시기의 문헌에는 주로 ‘침로/침노’로 적혔다.
주019)
망량(䱩魎):망량(䱩魎)은. ‘망량(䱩魎)’은 망량귀신(魍魎鬼神)을 이른다.
주020)
귀신(鬼神):귀신(鬼神)의.
주021)
일후미라:이름이다. 일훔[名]+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22)
사: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주023)
지븨:집에. 집[家]+의(처소부사격조사). ‘집’은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4)
이셔:있어. 있으면서. 이시-[在]+어(연결어미).
주025)
:사이에. [間].
주026)
얻니거든:얻으러 다니거든. 얻으러 다니므로. 얻-[得]#니-[行]+거든(연결어미).
주027)
다가:하다가. 만약. 다가[若].
주028)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29)
다라니경(陁羅尼經)을:다라니를 문자로 옮겨 놓은 경전(經典)이다.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을’은 목적격조사.
주030)
맛나:만나. 만나서. 맞나-[遭遇]+아(연결어미).
주031)
잇논:있는. 잇-[在]+(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32)
고대:곳에. 곧[所]+애(처소부사격조사).
주033)
공양(供養)면:공양(供養)하면. ‘-면’은 ‘--+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34)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35)
귀신(鬼神)히:귀신(鬼神)들이. ‘-히’는 ‘-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36)
다:다. 모두. 다[悉](부사).
주037)
라나:달아나. 달아나서. -[走]+아(연결어미)#나-[出]+아(연결어미).
주038)
간도:잠깐도. 간[暫]+도(보조사).
주039)
침로며:침노(侵擄)하며.
주040)
해(害)티:해(害)하지. 해(害)치지.
주041)
몯리라:못하리라. 못할 것이다. 몯-[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