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요병구산방 권중
  • 불정심요병구산방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정심요병구산방 001


佛頂心療病救産方 卷中
又設復若有一切諸女人或身懷六甲至十月滿足坐草之時忽分解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10ㄱ

不得被諸惡鬼神爲作障難令此女人苦通呌喚悶絶號哭無處投告者卽以好朱砂書此陀羅尼及秘字卽密用香水呑之當時分解産下智慧之男有相之女令人愛樂又若復胎衣不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10ㄴ

下致損胎傷殺不然兒爲母死乃至母爲兒亡或復母子俱喪速以朱砂書此頂輪王秘字印用香水呑之當卽便推下亡兒可以速棄向水中
Ⓒ 편찬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주001)
:
또. [又](부사).
다가 주002)
다가:
만약. 하다가. 다가[若](부사).
一切 주003)
일체(一切):
일체(一切)의. 일체(一切)+∅(관형격조사).
겨집히 주004)
겨집히:
계집들이. 겨집[女人]+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시혹 주005)
시혹:
혹. 시혹[或](부사).
모매 주006)
모매:
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30ㄴ

주007)
아기:
아기를. 아기[兒].
주008)
야:
배어. -[懷]+야(연결어미).
열  주009)
열 :
열 달이. 열[十](수사)#[月](명사).
주010)
차:
차서. -[滿]+아(연결어미).
나 주011)
나:
낳을. (아기) 낳을. 낳-[産]+(관형사형어미).
시졀에 주012)
시졀에:
시절에. 때에. 한자어 ‘시절(時節)’에서 온 말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 이후 ‘시졀/시절’과 한자 ‘時節’이 함께 나타난다.
니르러 주013)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연결어미).
믄득 주014)
믄득:
문득. 믄득[忽](부사).
디 주015)
디:
가리지. 분별(分別)하지. -[分]+디(보조적 연결어미).
몯야 주016)
몯야:
못하여. 몯-[不]+야(연결어미).
모딘 주017)
모딘:
모진. 나쁜. 사나운. 모딜-[惡]+ㄴ(관형사형어미).
鬼神의 주018)
귀신(鬼神)의:
귀신(鬼神)이.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 ‘-의’가 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과 관형절의 주어명사 뒤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마가 주019)
마가:
막아. 막아서. 막-[障]+아(연결어미).
어즈료미 주020)
어즈료미:
어지럽게 함이. 어지럽힘이. 어즈리-[使難]+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외야 주021)
외야:
되어. 외-[爲作]+야(연결어미).
주022)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겨집으로 주023)
겨집으로:
계집으로 (하여금). 여인(女人)으로 (하여금). 겨집[女人]+으로(도구 부사격조사).
受苦야 주024)
수고(受苦)야:
수고(受苦)하여. ‘수고(受苦)’는 고통을 당하다. 또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셜워 주025)
셜워:
서러워. 슬퍼. -[慘]+어(연결어미).
우르며 주026)
우르며:
울부짖으며. 부르짖으며. 우르-[叫喚]+며(연결어미).
블러 주027)
블러:
불러서. 불러. 부러짖어. 브르-[號]+어(연결어미). ‘ㄹ’불규칙의 이른바 ‘ㄹㄹ’ 형이다.
것주거 주028)
것주거:
까무러쳐. 것죽-[悶絶]+어(연결어미).
우러 주029)
우러:
울어. 울-[哭]+어(연결어미).
告 주030)
고(告):
고(告)할. 알릴. ‘-’은 ‘--+ㄹ(관형사형어미)’이다.
주031)
:
데가. 곳이. [處]+∅(주격조사).
업슨 주032)
업슨:
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사미어든 주033)
사미어든:
사람이거든. 사람이면. 사[者]+이(서술격조사)+거든/어든(연결어미). ‘-어든’은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즉재 주034)
즉재:
즉시. 즉재[卽](부사).
됴 주035)
됴:
좋은. 둏-[好]+(관형사형어미).
朱砂 주036)
주사(朱砂):
새빨간 빛이 나는 육방정계(六方晶系)의 광물. 수은(水銀)과 황(黃)의 화합물인데, 정제하여 물감이나 한방약으로 쓴다. 진사(辰砂), 또는 단주(丹朱)라고도 한다.
로 이 陁羅尼와 주037)
다라니(陁羅尼)와:
다라니(陁羅尼)와.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타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와’는 접속조사.
秘字印 주038)
비자인(秘字印):
밀교(密敎)에서 전하는 비밀(秘密) 인계(印契)를 이름. ‘계(契)’는 ‘계약(契約)’으로 ‘불개(不改)’의 뜻이다.
주039)
써:
써서. 쓰-[書]+어(연결어미).
香水예 주040)
향수(香水)예:
향수(香水)에. 향수(香水)로. ‘향수(香水)’는 관불(灌佛)할 때 신체나 불구(佛具), 또는 도량(道場)에 뿌리는 향(香)을 달인 물이다.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당시 ‘香水’의 한자음이 ‘:’였기 때문이다.
면 주041)
면:
삼키면. 기-[呑]+면(연결어미).
즉재 야 주042)
야:
가리어. 분별(分別)하여. -[分]+야(연결어미).
智慧왼 주043)
지혜(智慧)왼:
지혜(智慧)로운. ‘-왼’은 ‘-〉-외+ㄴ(관형사형어미)’.
아리어나 주044)
아리어나:
아들이거나. 아[男]+이(서술격조사)+거나/어나(연결어미). ‘-어나’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 주045)
:
자태가. 모습이. 양자가. ‘’는 한자어 ‘양자(樣姿)’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문헌부터 ‘’로 적히었다. 일찍이 우리말화하여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던 듯하다.
됴 주046)
됴:
좋은. 예쁜. 둏-[好]+(관형사형어미).
 주047)
:
딸을. [女]+(목적격조사).
나하 주048)
나하:
낳아. 낳-[産]+아(연결어미).
사미 주049)
사미:
사람들이. 사[人]+이(주격조사).
케 주050)
케:
사랑하게. -[愛]+게(보조적 연결어미).
며 주051)
며:
하며. -+며(연결어미).
 다가 胎衣 주052)
태의(胎衣):
태의(胎衣)를. ‘태의(胎衣)’는 태(胎)의 껍질이다. ‘-’은 목적격조사.
나티 주053)
나티:
낳지. 낳-[産]+디(보조적 연결어미).
몯야 주054)
몯야:
못하여. 몯-[不]+야(연결어미).
胎ㅣ 주055)
태(胎)ㅣ:
태(胎)가. ‘-ㅣ’는 주격조사.
야디여 주056)
야디여:
헐어져. 헤져. 헤어져. 야디-[損傷]+어(연결어미).
주구매 주057)
주구매:
죽음에. 죽-[殺]+옴/움(명사형어미)+애(처소부사격조사).
니를어나 주058)
니를어나:
이르거나. 니를-[至]+거나/어나(연결어미). ‘-어나’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그러티 주059)
그러티:
그러하지. 그러-[然]+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면 주060)
아니면:
아니하면. 아니-[不]+면(연결어미).
아 주061)
아:
아이가. 아[兒]+∅(주격조사).
어미로 주062)
어미로:
어미로. 어미[母]+로(부사격조사).
죽거나 주063)
죽거나:
죽거나. 죽-[死]+거나(선택형 연결어미).
어미 주064)
어미:
어미가. 어미[母]+∅(주격조사).
아로 주065)
아로:
아이로. 아[兒]+로(부사격조사).
죽거나  어미와 주066)
어미와:
어미와. 어미[母]+와(접속조사).
子息괘 주067)
자식(子息)괘:
자식(子息)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체언이 나열될 경우,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68)
다:
다. 모두. 다[俱](부사).
죽거나 커든 주069)
커든:
하거든. ‘커든’은 ‘거든’의 축약형. ‘거든’은 ‘-+거든(연결어미)’으로 분석된다.
리 주070)
리:
빨리. -[速]+ㅣ(부사파생접미사).
朱砂로 이 頂輪王秘字印 주071)
정륜왕비자인(頂輪王秘字印):
‘정륜왕(頂輪王)’은 금륜불정(金輪佛頂)의 다른 이름. 태장만다라(台藏蔓茶羅)의 석가원(釋迦院)에 있는 부처를 이른다. 최승불정(最勝佛頂), 또는 일자금륜(一字金輪)이라고도 한다. 모든 불정(佛頂)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자인(秘字印)’은 밀교(密敎)에서 전 하는 비밀(秘密) 인계(印契)를 이름. 인계(印契)는 곧, ‘인(印)’이고 ‘인(印)’은 불상(佛像)의 손가락 끝으로 나타내는 여러 가지 모양의 표상(表象)을 이름. 주로 깨달음이나 맹세 등을 나타내는 표장(標章)이다. ‘계(契)’는 ‘계약(契約)’으로 ‘불개(不改)’의 뜻이다.
주072)
정륜왕비자인(頂輪王秘字印)을:
정륜왕(頂輪王)의 비자인(秘字印)을. ‘-을’은 목적격조사.
주073)
써:
써서. 쓰-[書]+어(연결어미).
香水예 주074)
향수(香水)예:
향수(香水)에. ‘향수(香水)’는 관불(灌佛)할 때 신체나 불구(佛具), 또는 도량 (道場)에 뿌리는 향(香)을 달인 물이다.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당시 ‘香水’의 한자음이 ‘:’였기 때문이다.
면 주075)
면:
삼키면. 기-[呑]+면(연결어미).
주076)
곧:
곧. 곧[當卽](부사).
주근 주077)
주근:
죽은. 죽-[亡]+은(관형사형어미).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31ㄱ

아기 주078)
아기:
아기를. 아기[兒]+(목적격조사).
미러 주079)
미러:
밀어서. 밀어. 밀-[推]+어(연결어미).
리오리니 주080)
리오리니:
내리게 할 것이니. 리-[下]+오(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리 주081)
리:
빨리. -[速]+ㅣ(부사파생접미사).
므레 주082)
므레:
물에. 믈[水]+에(처소부사격조사).
리라 주083)
리라:
버리어라. 버려라. 리-[棄]+라(종결어미).
Ⓒ 언해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불정심요병구산방 권중
또, 만약 일체의 계집들이 몸에 아기를 배어 열 달이 차 낳을 시절에 이르러, 문득 분별(分別)하지 못하면, 모진 귀신이 막아서 어지럽게 함이 될 것이다. 이 계집으로 〈하여금〉 수고(受苦)하여 서러워서 울부짖으며, 〈또한〉 불러 까무러치고 울어서 고(告)할 데 없는 사람이면, 즉시 좋은 주사朱砂)로 이 다라니(陁羅尼)와 비자인(秘字印)을 써서 향수(香水)에 삼키어라. 그러면 곧 분별(分別)하여 지혜로운 아들이나 자태가 좋은 딸을 낳아 사람들이 사랑하게 할 것이다. 또 만약 태의(胎衣)를 낳지 못해 태(胎)가 헤져서 죽음에 이르거나, 그렇지 아니하면 아이가 어미를 위하여 죽거나, 어미가 아이를 위하여 죽거나, 또 어미와 자식(子息)이 다 죽거나 할 수 있다. 〈이때〉 빨리 주사(朱砂)로 이 정륜왕(頂輪王)의 비자인을 써서 향수에 삼키면 곧, 죽은 아기를 밀어 내리게 할 것이니 빨리 물에 버리어라.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又](부사).
주002)
다가:만약. 하다가. 다가[若](부사).
주003)
일체(一切):일체(一切)의. 일체(一切)+∅(관형격조사).
주004)
겨집히:계집들이. 겨집[女人]+ㅎ(복수접미사)+이(주격조사).
주005)
시혹:혹. 시혹[或](부사).
주006)
모매: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7)
아기:아기를. 아기[兒].
주008)
야:배어. -[懷]+야(연결어미).
주009)
열 :열 달이. 열[十](수사)#[月](명사).
주010)
차:차서. -[滿]+아(연결어미).
주011)
나:낳을. (아기) 낳을. 낳-[産]+(관형사형어미).
주012)
시졀에:시절에. 때에. 한자어 ‘시절(時節)’에서 온 말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 이후 ‘시졀/시절’과 한자 ‘時節’이 함께 나타난다.
주013)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연결어미).
주014)
믄득:문득. 믄득[忽](부사).
주015)
디:가리지. 분별(分別)하지. -[分]+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6)
몯야:못하여. 몯-[不]+야(연결어미).
주017)
모딘:모진. 나쁜. 사나운. 모딜-[惡]+ㄴ(관형사형어미).
주018)
귀신(鬼神)의:귀신(鬼神)이. 명사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 ‘-의’가 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과 관형절의 주어명사 뒤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주019)
마가:막아. 막아서. 막-[障]+아(연결어미).
주020)
어즈료미:어지럽게 함이. 어지럽힘이. 어즈리-[使難]+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1)
외야:되어. 외-[爲作]+야(연결어미).
주022)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23)
겨집으로:계집으로 (하여금). 여인(女人)으로 (하여금). 겨집[女人]+으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24)
수고(受苦)야:수고(受苦)하여. ‘수고(受苦)’는 고통을 당하다. 또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주025)
셜워:서러워. 슬퍼. -[慘]+어(연결어미).
주026)
우르며:울부짖으며. 부르짖으며. 우르-[叫喚]+며(연결어미).
주027)
블러:불러서. 불러. 부러짖어. 브르-[號]+어(연결어미). ‘ㄹ’불규칙의 이른바 ‘ㄹㄹ’ 형이다.
주028)
것주거:까무러쳐. 것죽-[悶絶]+어(연결어미).
주029)
우러:울어. 울-[哭]+어(연결어미).
주030)
고(告):고(告)할. 알릴. ‘-’은 ‘--+ㄹ(관형사형어미)’이다.
주031)
:데가. 곳이. [處]+∅(주격조사).
주032)
업슨: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33)
사미어든:사람이거든. 사람이면. 사[者]+이(서술격조사)+거든/어든(연결어미). ‘-어든’은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주034)
즉재:즉시. 즉재[卽](부사).
주035)
됴:좋은. 둏-[好]+(관형사형어미).
주036)
주사(朱砂):새빨간 빛이 나는 육방정계(六方晶系)의 광물. 수은(水銀)과 황(黃)의 화합물인데, 정제하여 물감이나 한방약으로 쓴다. 진사(辰砂), 또는 단주(丹朱)라고도 한다.
주037)
다라니(陁羅尼)와:다라니(陁羅尼)와.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타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와’는 접속조사.
주038)
비자인(秘字印):밀교(密敎)에서 전하는 비밀(秘密) 인계(印契)를 이름. ‘계(契)’는 ‘계약(契約)’으로 ‘불개(不改)’의 뜻이다.
주039)
써:써서. 쓰-[書]+어(연결어미).
주040)
향수(香水)예:향수(香水)에. 향수(香水)로. ‘향수(香水)’는 관불(灌佛)할 때 신체나 불구(佛具), 또는 도량(道場)에 뿌리는 향(香)을 달인 물이다.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당시 ‘香水’의 한자음이 ‘:’였기 때문이다.
주041)
면:삼키면. 기-[呑]+면(연결어미).
주042)
야:가리어. 분별(分別)하여. -[分]+야(연결어미).
주043)
지혜(智慧)왼:지혜(智慧)로운. ‘-왼’은 ‘-〉-외+ㄴ(관형사형어미)’.
주044)
아리어나:아들이거나. 아[男]+이(서술격조사)+거나/어나(연결어미). ‘-어나’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주045)
:자태가. 모습이. 양자가. ‘’는 한자어 ‘양자(樣姿)’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문헌부터 ‘’로 적히었다. 일찍이 우리말화하여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던 듯하다.
주046)
됴:좋은. 예쁜. 둏-[好]+(관형사형어미).
주047)
:딸을. [女]+(목적격조사).
주048)
나하:낳아. 낳-[産]+아(연결어미).
주049)
사미:사람들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50)
케:사랑하게. -[愛]+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51)
며:하며. -+며(연결어미).
주052)
태의(胎衣):태의(胎衣)를. ‘태의(胎衣)’는 태(胎)의 껍질이다. ‘-’은 목적격조사.
주053)
나티:낳지. 낳-[産]+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54)
몯야:못하여. 몯-[不]+야(연결어미).
주055)
태(胎)ㅣ:태(胎)가. ‘-ㅣ’는 주격조사.
주056)
야디여:헐어져. 헤져. 헤어져. 야디-[損傷]+어(연결어미).
주057)
주구매:죽음에. 죽-[殺]+옴/움(명사형어미)+애(처소부사격조사).
주058)
니를어나:이르거나. 니를-[至]+거나/어나(연결어미). ‘-어나’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59)
그러티:그러하지. 그러-[然]+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60)
아니면:아니하면. 아니-[不]+면(연결어미).
주061)
아:아이가. 아[兒]+∅(주격조사).
주062)
어미로:어미로. 어미[母]+로(부사격조사).
주063)
죽거나:죽거나. 죽-[死]+거나(선택형 연결어미).
주064)
어미:어미가. 어미[母]+∅(주격조사).
주065)
아로:아이로. 아[兒]+로(부사격조사).
주066)
어미와:어미와. 어미[母]+와(접속조사).
주067)
자식(子息)괘:자식(子息)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체언이 나열될 경우,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68)
다:다. 모두. 다[俱](부사).
주069)
커든:하거든. ‘커든’은 ‘거든’의 축약형. ‘거든’은 ‘-+거든(연결어미)’으로 분석된다.
주070)
리:빨리. -[速]+ㅣ(부사파생접미사).
주071)
정륜왕비자인(頂輪王秘字印):‘정륜왕(頂輪王)’은 금륜불정(金輪佛頂)의 다른 이름. 태장만다라(台藏蔓茶羅)의 석가원(釋迦院)에 있는 부처를 이른다. 최승불정(最勝佛頂), 또는 일자금륜(一字金輪)이라고도 한다. 모든 불정(佛頂)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자인(秘字印)’은 밀교(密敎)에서 전 하는 비밀(秘密) 인계(印契)를 이름. 인계(印契)는 곧, ‘인(印)’이고 ‘인(印)’은 불상(佛像)의 손가락 끝으로 나타내는 여러 가지 모양의 표상(表象)을 이름. 주로 깨달음이나 맹세 등을 나타내는 표장(標章)이다. ‘계(契)’는 ‘계약(契約)’으로 ‘불개(不改)’의 뜻이다.
주072)
정륜왕비자인(頂輪王秘字印)을:정륜왕(頂輪王)의 비자인(秘字印)을. ‘-을’은 목적격조사.
주073)
써:써서. 쓰-[書]+어(연결어미).
주074)
향수(香水)예:향수(香水)에. ‘향수(香水)’는 관불(灌佛)할 때 신체나 불구(佛具), 또는 도량 (道場)에 뿌리는 향(香)을 달인 물이다.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당시 ‘香水’의 한자음이 ‘:’였기 때문이다.
주075)
면:삼키면. 기-[呑]+면(연결어미).
주076)
곧:곧. 곧[當卽](부사).
주077)
주근:죽은. 죽-[亡]+은(관형사형어미).
주078)
아기:아기를. 아기[兒]+(목적격조사).
주079)
미러:밀어서. 밀어. 밀-[推]+어(연결어미).
주080)
리오리니:내리게 할 것이니. 리-[下]+오(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81)
리:빨리. -[速]+ㅣ(부사파생접미사).
주082)
므레:물에. 믈[水]+에(처소부사격조사).
주083)
리라:버리어라. 버려라. 리-[棄]+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