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구난신험경 권하
  • 불정심구난신험경 008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정심구난신험경 008


此沙彌具說衣服內有佛頂心陀羅尼經三卷加被功德不可具述此官人聞語頂禮懺悔便於和尙邊請本破自已料錢喚人只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하:22ㄴ

向廳前抄造一千卷置道場內日以香花供養散施後勑加改任懷州刺史故知此經功德無量歡喜信受頂戴奉行
佛頂心經 下卷 終
Ⓒ 편찬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沙彌 주001)
사미(沙彌):
불문(佛門)에 든 지 얼마 되지 않아 불법(佛法)에 미숙한 승려를 이르는 말. 사미승(沙彌僧).
衣服 주002)
의복(衣服):
의복(衣服)의.
안해 주003)
안해:
안에. 안ㅎ[內]+애(처소부사격조사).
佛頂心陁羅尼經 주004)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陁羅尼經):
‘다라니(陁羅尼)’를 적은 경전의 하나. ‘불정(佛頂)’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정수리의 공덕을 인격화(人格化)하여 숭배하는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모든 불상(佛像) 중에 가장 소중히 여기는 대상이다. ‘심(心)’은 의식작용의 본체(本體)이며, 일반상(一般相)을 인지(認知)하는 정신작용이다.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다라니경(陁羅尼經)’은 ‘다라니’를 문자로 옮겨 놓은 경전(經典)이다. 따라서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陁羅尼經)’은 부처의 으뜸이 되고 핵심이 되는 ‘다라니경전’이다.
三卷 두쇼 주005)
두쇼:
두고 있음을. 두-[置]+(어)#(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두쇼-’는 본용언의 연결어미 ‘-어’와 보조용언의 어간 ‘이-’가 생략된 채로 동작상 중 진행상을 나타낸 표현이다.
니고 주006)
니고:
이르고. 말하고. 니-[說]+고(연결어미).
加被 주007)
가피(加被):
부처나 보살이 자비의 힘을 베풀어 중생을 이롭게 함을 이르는 말.
논 주008)
가피(加被)논:
가피(加被)하는. ‘-논’은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 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功德 주009)
공덕(功德):
현재, 또는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름. 덕(德).
은 다 니디 주010)
니디:
이르지. 말하지. 니-[述]+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리로다 주011)
몯리로다:
못할 것이로다. 몯-[不可]+리(추측법 선어말어미)+도(감동법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대 주012)
대:
한즉. 하니까. -+ㄴ대(연결어미).
이 官人이 듣고 주013)
듣고:
듣고. 듣-[聞]+고(연결어미).
저와 주014)
저와:
저쑤어. 절하여. 저-[頂禮]+아(연결어미).
懺悔고 주015)
참회(懺悔)고:
참회(懺悔)하고. ‘참회(懺悔)’는 과거의 죄악(罪惡)을 깨달아 뉘우치거나, 죄악을 뉘우쳐 부처께 고백하는 것을 이른다. ‘-고’는 ‘--+고(대등적 연결어미).’
和尙손 주016)
화상(和尙)손:
화상(和尙)에게. 화상(和尙)한테. ‘-손’는 상대 부사격조사.
本文을 주017)
본문(本文)을:
(경의) 본문(本文)을.
請야 주018)
청(請)야:
청(請)하여.
주019)
제:
제. 자기의. 저[自己]+ㅣ(관형격조사). ‘제’는 관형어이므로 평성(平聲)이다.
粮食앳 주020)
양식(粮食)앳:
양식(粮食)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돈을 주021)
돈을:
돈을. 돈[錢]+을(목적격조사).
허러 주022)
허러:
헐어. 헐-[破]+어(연결어미).
사 블러 주023)
블러:
불러. 브르-[喚]+어(연결어미). ‘브르-’는 ‘르’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이다.
알셔 주024)
알셔:
앞에서. 앒[前]+(처소부사격조사)+셔(보조사).
一千 卷을 라 주025)
라:
만들어. -[造]+아(연결어미).
道場 주026)
도량(道場):
‘보리도량(菩提道場)’의 줄임말로 불도(佛道)를 닦는 곳을 이른다.
內예 두고 날마다 香花로 주027)
향화(香花)로:
향화(香花)로. ‘향화(香花)’는 부처께 바치는 향(香)과 꽃을 이른다. 향화(香華). ‘-로[以]’는 기구 부사격조사.
흐러 주028)
흐러:
흩어. 흗-[散]+어(연결어미).
供養더니 後에 勑야 주029)
칙(勑)야:
조칙(詔勅)하여. ‘조칙(詔勅)’은 임금의 선지(宣旨)를 일반에게 널리 알릴 목적으로 적은 문서를 이른다. 조서(詔書).
고텨 주030)
고텨:
고쳐. 고티-[改]+어(연결어미). ‘고티-’는 ‘곧-[直]+히(사동접미사)-’에서 온 말이다.
懷州 刺史ㅣ 주031)
자사(刺史)ㅣ:
자사(刺史)가. ‘자사(刺史)’는 중국 한(漢) 나라 때 군(群)과 국(國)을 감독하기 위하여 각 주에 두었던 감찰관을 이른다. 명나라 때 없어졌다.
외니라 주032)
외니라:
되니라. 되었다. 외-[爲]+니라(종결어미).
그럴 주033)
그럴:
그러므로. 그러()-[故]+ㄹ(연결어미).
알라 주034)
알라:
알-[知]+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經이 주035)
이 경(經)이:
이 경(經)이. ‘이 경(經)’은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陁羅尼經)’을 이른다.
功德이 그지 주036)
그지:
끝이. 한(限)이. 그지[限]+∅(주격조사).
업스니 주037)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종속적 연결어미).
깃거 주038)
깃거:
기뻐하여. -[歡喜]+어(연결어미).
信受야 주039)
신수(信受)야:
신수(信受)하여. ‘신수(信受)’는 믿어서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머리예 주040)
머리예:
머리에. 머리[頂]+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i/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연와 주041)
연와:
얹어. 엱-[戴]+(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奉行홀디니라 주042)
봉행(奉行)홀디니라:
봉행(奉行)할지니라. 봉행(奉行)할 것이니라. ‘-홀디니라’는 ‘--+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종결어미)’.
Ⓒ 언해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이 사미(沙彌)가 의복(衣服) 안에 불정심다라니경 세 권을 두고 있음을 말하고, “가피(加被)하는 공덕(功德)은 다 이르지 못할 것이로다.” 하였다. 이 관인(官人)이 들은 후 절하여 참회(懺悔)하고, 화상(和尙)에게 〈경전의〉 본문(本文)을 청(請)하였다. 〈그리 하고는〉 제 양식(粮食)의 돈을 헐고 사람을 불러 청(廳) 앞에서 1천 권을 〈다시〉 만들었다. 〈이후〉 도량(道場) 안에 두고 날마다 향화(香花)로 흩어 공양(供養)하였다. 후(後)에 〈임금이〉 조칙(詔勅)하여 다시 회주(懷州)의 자사(刺史)가 되었다. 그러므로 알라. 이 경(經)의 공덕이 끝이 없으니, 기뻐하여 신수(信受)하고 머리에 얹어서 봉행(奉行)할지니라.
불정심경 하권 종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미(沙彌):불문(佛門)에 든 지 얼마 되지 않아 불법(佛法)에 미숙한 승려를 이르는 말. 사미승(沙彌僧).
주002)
의복(衣服):의복(衣服)의.
주003)
안해:안에. 안ㅎ[內]+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4)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陁羅尼經):‘다라니(陁羅尼)’를 적은 경전의 하나. ‘불정(佛頂)’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정수리의 공덕을 인격화(人格化)하여 숭배하는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모든 불상(佛像) 중에 가장 소중히 여기는 대상이다. ‘심(心)’은 의식작용의 본체(本體)이며, 일반상(一般相)을 인지(認知)하는 정신작용이다.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다라니경(陁羅尼經)’은 ‘다라니’를 문자로 옮겨 놓은 경전(經典)이다. 따라서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陁羅尼經)’은 부처의 으뜸이 되고 핵심이 되는 ‘다라니경전’이다.
주005)
두쇼:두고 있음을. 두-[置]+(어)#(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두쇼-’는 본용언의 연결어미 ‘-어’와 보조용언의 어간 ‘이-’가 생략된 채로 동작상 중 진행상을 나타낸 표현이다.
주006)
니고:이르고. 말하고. 니-[說]+고(연결어미).
주007)
가피(加被):부처나 보살이 자비의 힘을 베풀어 중생을 이롭게 함을 이르는 말.
주008)
가피(加被)논:가피(加被)하는. ‘-논’은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 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9)
공덕(功德):현재, 또는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善行)을 이름. 덕(德).
주010)
니디:이르지. 말하지. 니-[述]+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1)
몯리로다:못할 것이로다. 몯-[不可]+리(추측법 선어말어미)+도(감동법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주012)
대:한즉. 하니까. -+ㄴ대(연결어미).
주013)
듣고:듣고. 듣-[聞]+고(연결어미).
주014)
저와:저쑤어. 절하여. 저-[頂禮]+아(연결어미).
주015)
참회(懺悔)고:참회(懺悔)하고. ‘참회(懺悔)’는 과거의 죄악(罪惡)을 깨달아 뉘우치거나, 죄악을 뉘우쳐 부처께 고백하는 것을 이른다. ‘-고’는 ‘--+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16)
화상(和尙)손:화상(和尙)에게. 화상(和尙)한테. ‘-손’는 상대 부사격조사.
주017)
본문(本文)을:(경의) 본문(本文)을.
주018)
청(請)야:청(請)하여.
주019)
제:제. 자기의. 저[自己]+ㅣ(관형격조사). ‘제’는 관형어이므로 평성(平聲)이다.
주020)
양식(粮食)앳:양식(粮食)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으로 조사의 상호결합이다.
주021)
돈을:돈을. 돈[錢]+을(목적격조사).
주022)
허러:헐어. 헐-[破]+어(연결어미).
주023)
블러:불러. 브르-[喚]+어(연결어미). ‘브르-’는 ‘르’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이다.
주024)
알셔:앞에서. 앒[前]+(처소부사격조사)+셔(보조사).
주025)
라:만들어. -[造]+아(연결어미).
주026)
도량(道場):‘보리도량(菩提道場)’의 줄임말로 불도(佛道)를 닦는 곳을 이른다.
주027)
향화(香花)로:향화(香花)로. ‘향화(香花)’는 부처께 바치는 향(香)과 꽃을 이른다. 향화(香華). ‘-로[以]’는 기구 부사격조사.
주028)
흐러:흩어. 흗-[散]+어(연결어미).
주029)
칙(勑)야:조칙(詔勅)하여. ‘조칙(詔勅)’은 임금의 선지(宣旨)를 일반에게 널리 알릴 목적으로 적은 문서를 이른다. 조서(詔書).
주030)
고텨:고쳐. 고티-[改]+어(연결어미). ‘고티-’는 ‘곧-[直]+히(사동접미사)-’에서 온 말이다.
주031)
자사(刺史)ㅣ:자사(刺史)가. ‘자사(刺史)’는 중국 한(漢) 나라 때 군(群)과 국(國)을 감독하기 위하여 각 주에 두었던 감찰관을 이른다. 명나라 때 없어졌다.
주032)
외니라:되니라. 되었다. 외-[爲]+니라(종결어미).
주033)
그럴:그러므로. 그러()-[故]+ㄹ(연결어미).
주034)
알라:알-[知]+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35)
이 경(經)이:이 경(經)이. ‘이 경(經)’은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陁羅尼經)’을 이른다.
주036)
그지:끝이. 한(限)이. 그지[限]+∅(주격조사).
주037)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38)
깃거:기뻐하여. -[歡喜]+어(연결어미).
주039)
신수(信受)야:신수(信受)하여. ‘신수(信受)’는 믿어서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주040)
머리예:머리에. 머리[頂]+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i/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1)
연와:얹어. 엱-[戴]+(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42)
봉행(奉行)홀디니라:봉행(奉行)할지니라. 봉행(奉行)할 것이니라. ‘-홀디니라’는 ‘--+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