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 권상
  • 불정심다라니경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정심다라니경 001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1ㄱ

佛頂心陀羅尼經 卷上
爾時觀世音菩薩而白釋迦牟尼佛言是我前身不可思議福德因緣欲令利益一切衆生起大悲心能斷一切繫縛能滅一切怖畏一切衆生蒙此威神悉能離苦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1ㄴ

解脫爾時觀世音菩薩重白釋迦牟尼佛言我今欲爲若惱衆生說消除災厄臨難救苦衆生無礙自在心王智印大陁羅尼法以用救拔一切受苦衆生除一切疾病滅除惡業重罪成就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2ㄱ

一切諸善智速能滿足一切心願利益安樂一切衆生煩惱障閉唯願慈悲哀愍廳許
Ⓒ 편찬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25ㄱ

佛頂心陀羅尼經 卷上
그 주001)
그:
그때. 그때에. 그[爾]#[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觀世音菩薩 주002)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외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에 이르게 해 준다고 전한다. 관자재 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고도 한다.
釋迦牟尼佛 주003)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 불교(佛敎)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주004)
-:
-께(조사). ‘’는 ‘ㅅ(존대 자질을 가진 체언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긔(처격조사)’의 통합형이다.
오샤 주005)
오샤:
사뢰시되. 여쭙되. -[白]+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 연결어미).
주006)
이:
이것은. 이[是]+∅(주격조사).
주007)
내:
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내’는 관형어이므로 평성(平聲)이다.
前身 주008)
전신(前身):
전세(前世)의 몸을 이른다.
思議 주009)
사의(思議):
말로 나타내거나 마음으로 헤아리는 것.
몯홀 주010)
몯홀:
못할. 못한. 몯-[不可]+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福德 주011)
복덕(福德):
타고난 복(福)과 후(厚)한 마음.
因緣 주012)
인연(因緣):
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을 이름.
으로 一切 주013)
일체(一切):
모든 것. 또는 온갖 것.
衆生 주014)
중생(衆生):
부처의 구제(救濟)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利益게 주015)
이익(利益)게:
이익(利益)이 되게.
코져 주016)
코져:
하고자[欲]. ‘코져’는 ‘-+고져(의도형의미)’의 축약형.
야 주017)
야:
하여. -+야(연결어미).
大悲心 주018)
대비심(大悲心):
모든 중생의 고통을 없애려는 부처의 큰 마음. 곧, 불·보살의 마음을 이른다.
니르와다 주019)
니르와다:
일으켜. 니르왇-[起]+아(연결어미).
一切 얼쿄 주020)
얼쿄:
얽매임을. 얼키-[繫縛]+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그츠며 주021)
그츠며:
끊으며. 긏-[斷]+으며(연결어미).
一切 저포 주022)
저포:
두려움을. 저프-[怖畏]+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업게 주023)
업게:
없게. 없-[滅]+게(연결어미).
호니 주024)
호니:
하니. -+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一切 衆生이 주025)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威神 주026)
위신(威神):
불과(佛果; 수행으로 도달하는 부처의 지위) 위에 있는 존엄하고 측량(測量)할 수 없는 불가사의(不可思議)한 힘의 경지를 이름.
니버 주027)
니버:
입어. 입어서. 닙-[蒙]+어(연결어미).
주028)
다:
다. 모두. 다[悉](부사).
주029)
고(苦):
전세(前世)의 악업(惡業)에 의하여 받는 고통(苦痛)을 이름.
여희여 주030)
여희여:
여의어. 여희-[離]+어(연결어미).
버스리다 주031)
버스리다:
벗어날 것입니다. 벗-[解脫]+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청자존대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그 觀世音菩薩釋迦牟尼佛다시 주032)
다시:
다시. 다시[重](부사).
오샤 주033)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어이므로 거성(去聲)이다.
이제 주034)
이제:
이제. 지금. 이제[今](부사).
受苦 주035)
수고(受苦):
수고(受苦)하는. ‘수고(受苦)’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은 ‘--+ (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衆生을 爲야 주036)
위(爲)야:
위(爲)하여.
災厄 주037)
재액(災厄):
재앙(災殃)과 액운(厄運)을 이른다.
덜며 주038)
덜며:
덜며. 덜어내며. 덜-[掃除]+며(연결어미).
주039)
난(難):
전쟁이나 천재지변(天災地變) 등으로 세상이 어지러워진 사태. 또는 그러한 전쟁이나 재변(災變).
보아 주040)
보아:
보아. 보아서. 보-[臨]+아(연결어미).
受苦 衆生을 救 주041)
구(救):
구(救)하는. ‘-’은 ‘--+(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無碍自在心王智印 주042)
무애자재심왕지인(無碍自在心王智印):
‘무애자재(無碍自在)’는 장애(障碍)가 없는 자유를 말하는 것이고, ‘심왕(心王)’은 의식(意識) 작용(作用)의 본체(本體)를 이름. ‘지인(智印)’은 사람이 인(印)이 있으면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것과 같이, 반야(般若)의 지(智)로써 인(印)을 삼는다면 실상(實相)의 이(理)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여 ‘지인(智印)’이라고 하는 것임.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25ㄴ

大陁羅尼法 주043)
대다라니법(大陁羅尼法):
범어(梵語)로 된 문구(文句)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읽거나 외는 것을 ‘다라니’라 하고, 구절이 긴 것을 ‘대다라니’라 함. ‘다라니’는 모든 악법(惡法)을 막고 선법(善法)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총지(總持).
닐어 주044)
닐어:
말하여. 일러. 니르-[說]+어(연결어미). ‘/르’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一切 受苦 衆生을 救야 주045)
구(救)야:
구(救)하여. ‘--+야(연결어미)’.
혀 주046)
혀:
빼어내되. 빼되. 혀-[拔]+오/우(연결어미).
一切 病을 덜며 惡業 주047)
악업(惡業):
고과(苦果)의 원인이 되는 나쁜 짓, 또는 전생(前生)의 나쁜 짓을 이름.
重 주048)
중(重):
중(重)한. 죄(罪) 등이 크거나 대단한 것을 이른다. ‘-’은 ‘--+ㄴ(관형사형어미)’.
罪 주049)
죄(罪):
죄(罪)를. ‘죄(罪)’는 도덕이나 종교, 법률 등에 어긋나는 행위를 말한다. ‘-’은 목적격조사.
업게 주050)
업게:
없게. 없-[滅除]+게(연결어미).
고 주051)
고:
하고. -+고(연결어미).
一切 여러 주052)
여러:
여러. 여러[諸](관형사).
善智 주053)
선지(善智):
좋은 지혜(智慧)를 이른다.
일우며 주054)
일우며:
이루며. 일우-[成就]+며(연결어미).
一切 주055)
일체(一切):
일체(一切). 일체(一切)의.
맷 주056)
맷:
마음의. [心]+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앳’은 조사의 상호 결합이다.
願을 주057)
원(願)을:
원(願)을. ‘원(願)’은 바라는 것을 기어이 얻으려는 희망(希望)을 이른다.
리 주058)
리:
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는 ‘’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
와 주059)
와:
채워. 채워서. 오-[滿]+아(연결어미).
一切 衆生을 利益 주060)
이익(利益):
이익(利益)되게.
安樂야 주061)
안락(安樂)야:
안락(安樂)하여. ‘안락(安樂)’은 근심 걱정이 없이 편안하고 즐거운 상태를 이른다. ‘-야’는 ‘--+야(연결어미).’
煩惱 주062)
번뇌(煩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름. 욕망, 노여움, 어리석음 등을 말한다.
막게 주063)
막게:
막게. 막-[障閉]+게(연결어미).
야지다 주064)
야지다:
하고 싶습니다. -+야(어간이 ‘-’인 경우에 실현되는 확인법 선어말어미)+지다(‘쇼셔’체의 소망형 종결어미). ‘-지다’는 반드시 ‘확인법 선어말어미’의 선접을 전제로 한다.
願온 주065)
원(願)온:
원(願)하는 것은. 원(願)한즉슨. ‘-온’은 ‘--+(겸양법선어말어미)+(조건이나 가정의 연결어미).’
慈悲 주066)
자비(慈悲):
부처가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
어엿비 주067)
어엿비:
가엾게. 어엿브-[哀愍]+이(부사파생접미사).
너기샤 주068)
너기샤:
여기시어. 너기-[然]+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드르쇼셔 주069)
드르쇼셔:
들으십시오. 들어주십시오. 듣-[聽許]+으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 언해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불정심다라니경 권상
그때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께 사뢰었다. “이것은 나의 전신(前身)이 사의(思議)하지 못한 복덕(福德) 인연(因緣)으로, 일체의 중생에게 이익이 되게 하고자 한 것입니다. 대비심(大悲心)을 일으켜서 모든 얽매임을 끊으며, 모든 두려움을 없게 하니, 일체 중생이 이러한 위신(威神)을 입고 다 고통을 여의어 벗어날 것입니다.” 그때에 관세음보살이 석가모니불께 다시 사뢰었다. “내가 이제 고통 받는 중생을 위하여 재액(災厄)을 덜어주며, 난(難)을 당해 고통 받는 중생을 구하는 무애자재심왕지인(無碍自在心王智印) 대다라니법(大陁羅尼法)을 말하겠습니다. 일체의 고통 받는 중생을 구하여 〈고통에서〉 빼어내되, 모든 병을 덜어주며 악업이 중(重)한 죄를 없게 하겠습니다. 일체의 여러 선지(善智)를 이루며, 모든 마음의 원(願)을 빨리 채워서 일체 중생을(에게) 이익이 되게 하고, 안락(安樂)하게 하여 번뇌를 막게 하고 싶습니다. 원(願)하는 것은 자비(慈悲)로 가엾게 여기시고 들어주십시오.”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0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 그때에. 그[爾]#[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외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에 이르게 해 준다고 전한다. 관자재 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03)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 불교(佛敎)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주004)
-:-께(조사). ‘’는 ‘ㅅ(존대 자질을 가진 체언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긔(처격조사)’의 통합형이다.
주005)
오샤:사뢰시되. 여쭙되. -[白]+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 연결어미).
주006)
이:이것은. 이[是]+∅(주격조사).
주007)
내: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내’는 관형어이므로 평성(平聲)이다.
주008)
전신(前身):전세(前世)의 몸을 이른다.
주009)
사의(思議):말로 나타내거나 마음으로 헤아리는 것.
주010)
몯홀:못할. 못한. 몯-[不可]+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11)
복덕(福德):타고난 복(福)과 후(厚)한 마음.
주012)
인연(因緣):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을 이름.
주013)
일체(一切):모든 것. 또는 온갖 것.
주014)
중생(衆生):부처의 구제(救濟)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015)
이익(利益)게:이익(利益)이 되게.
주016)
코져:하고자[欲]. ‘코져’는 ‘-+고져(의도형의미)’의 축약형.
주017)
야:하여. -+야(연결어미).
주018)
대비심(大悲心):모든 중생의 고통을 없애려는 부처의 큰 마음. 곧, 불·보살의 마음을 이른다.
주019)
니르와다:일으켜. 니르왇-[起]+아(연결어미).
주020)
얼쿄:얽매임을. 얼키-[繫縛]+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1)
그츠며:끊으며. 긏-[斷]+으며(연결어미).
주022)
저포:두려움을. 저프-[怖畏]+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3)
업게:없게. 없-[滅]+게(연결어미).
주024)
호니:하니. -+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5)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26)
위신(威神):불과(佛果; 수행으로 도달하는 부처의 지위) 위에 있는 존엄하고 측량(測量)할 수 없는 불가사의(不可思議)한 힘의 경지를 이름.
주027)
니버:입어. 입어서. 닙-[蒙]+어(연결어미).
주028)
다:다. 모두. 다[悉](부사).
주029)
고(苦):전세(前世)의 악업(惡業)에 의하여 받는 고통(苦痛)을 이름.
주030)
여희여:여의어. 여희-[離]+어(연결어미).
주031)
버스리다:벗어날 것입니다. 벗-[解脫]+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청자존대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32)
다시:다시. 다시[重](부사).
주033)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어이므로 거성(去聲)이다.
주034)
이제:이제. 지금. 이제[今](부사).
주035)
수고(受苦):수고(受苦)하는. ‘수고(受苦)’는 고통을 받는다는 뜻이다. ‘-’은 ‘--+ (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36)
위(爲)야:위(爲)하여.
주037)
재액(災厄):재앙(災殃)과 액운(厄運)을 이른다.
주038)
덜며:덜며. 덜어내며. 덜-[掃除]+며(연결어미).
주039)
난(難):전쟁이나 천재지변(天災地變) 등으로 세상이 어지러워진 사태. 또는 그러한 전쟁이나 재변(災變).
주040)
보아:보아. 보아서. 보-[臨]+아(연결어미).
주041)
구(救):구(救)하는. ‘-’은 ‘--+(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42)
무애자재심왕지인(無碍自在心王智印):‘무애자재(無碍自在)’는 장애(障碍)가 없는 자유를 말하는 것이고, ‘심왕(心王)’은 의식(意識) 작용(作用)의 본체(本體)를 이름. ‘지인(智印)’은 사람이 인(印)이 있으면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것과 같이, 반야(般若)의 지(智)로써 인(印)을 삼는다면 실상(實相)의 이(理)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여 ‘지인(智印)’이라고 하는 것임.
주043)
대다라니법(大陁羅尼法):범어(梵語)로 된 문구(文句)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읽거나 외는 것을 ‘다라니’라 하고, 구절이 긴 것을 ‘대다라니’라 함. ‘다라니’는 모든 악법(惡法)을 막고 선법(善法)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총지(總持).
주044)
닐어:말하여. 일러. 니르-[說]+어(연결어미). ‘/르’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45)
구(救)야:구(救)하여. ‘--+야(연결어미)’.
주046)
혀:빼어내되. 빼되. 혀-[拔]+오/우(연결어미).
주047)
악업(惡業):고과(苦果)의 원인이 되는 나쁜 짓, 또는 전생(前生)의 나쁜 짓을 이름.
주048)
중(重):중(重)한. 죄(罪) 등이 크거나 대단한 것을 이른다. ‘-’은 ‘--+ㄴ(관형사형어미)’.
주049)
죄(罪):죄(罪)를. ‘죄(罪)’는 도덕이나 종교, 법률 등에 어긋나는 행위를 말한다. ‘-’은 목적격조사.
주050)
업게:없게. 없-[滅除]+게(연결어미).
주051)
고:하고. -+고(연결어미).
주052)
여러:여러. 여러[諸](관형사).
주053)
선지(善智):좋은 지혜(智慧)를 이른다.
주054)
일우며:이루며. 일우-[成就]+며(연결어미).
주055)
일체(一切):일체(一切). 일체(一切)의.
주056)
맷:마음의. [心]+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앳’은 조사의 상호 결합이다.
주057)
원(願)을:원(願)을. ‘원(願)’은 바라는 것을 기어이 얻으려는 희망(希望)을 이른다.
주058)
리: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는 ‘’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
주059)
와:채워. 채워서. 오-[滿]+아(연결어미).
주060)
이익(利益):이익(利益)되게.
주061)
안락(安樂)야:안락(安樂)하여. ‘안락(安樂)’은 근심 걱정이 없이 편안하고 즐거운 상태를 이른다. ‘-야’는 ‘--+야(연결어미).’
주062)
번뇌(煩惱):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름. 욕망, 노여움, 어리석음 등을 말한다.
주063)
막게:막게. 막-[障閉]+게(연결어미).
주064)
야지다:하고 싶습니다. -+야(어간이 ‘-’인 경우에 실현되는 확인법 선어말어미)+지다(‘쇼셔’체의 소망형 종결어미). ‘-지다’는 반드시 ‘확인법 선어말어미’의 선접을 전제로 한다.
주065)
원(願)온:원(願)하는 것은. 원(願)한즉슨. ‘-온’은 ‘--+(겸양법선어말어미)+(조건이나 가정의 연결어미).’
주066)
자비(慈悲):부처가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
주067)
어엿비:가엾게. 어엿브-[哀愍]+이(부사파생접미사).
주068)
너기샤:여기시어. 너기-[然]+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69)
드르쇼셔:들으십시오. 들어주십시오. 듣-[聽許]+으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