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요병구산방 권중
  • 불정심요병구산방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정심요병구산방 003


又諸善男子善女人若至父母兄弟親眷到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12ㄱ

臨命終時恓惶之次速取西方一掬淨土書此陁羅尼燒作灰和其淨土作泥置於此人心頭上可以著衣裳蓋覆如是之人於一念中間承此陁羅尼威力便生西方極樂世界面見阿彌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12ㄴ

陁佛不住中蔭之身四十九日
Ⓒ 편찬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주001)
:
또. [又](부사).
善男子 주002)
선남자(善男子):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善女人이 주003)
선여인(善女人)이:
‘선여인(善女人)’은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를 이른다. ‘-이’는 주격조사.
다가 주004)
다가:
만약. 하다가. 다가[若](부사).
父母와 주005)
부모(父母)와:
부모(父母)와. ‘-와’는 접속조사.
兄弟와 주006)
형제(兄弟)와:
형제(兄弟)와.
아 주007)
아:
겨레와. 친척(親戚)과. 친족(親族)과. 아[親].
眷屬이 주008)
권속(眷屬)이:
권속(眷屬)이. ‘권속(眷屬)’은 식구, 곧 가족을 이름. ‘-이’는 주격조사.
命終 주009)
명종(命終):
명종(命終)할. ‘-’은 ‘--+ㄹ(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10)
제:
적에. 때에. 제. 제[時]+∅(처소부사격조사).
니르러 주011)
니르러:
이르러. 니를-[到]+어(연결어미).
두리운 주012)
두리운:
두려운. 두-[惶]+은(관형사형어미).
저긔 주013)
저긔:
때에. 적에. 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西方 주014)
서방(西方):
서방정토(西方淨土)의 줄임말. 극락세계(極樂世界). 특히 아미타불(阿彌陀 佛)의 국토를 이른다.
주015)
서방(西方)앳:
서방(西方)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조사의 상호 결합형이다.
주016)
:
한. [一](관형사).
우 주017)
우:
움큼의. 우훔[掬]+ㅅ(관형격조사).
조 주018)
조:
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 주019)
:
흙을. [土]+(목적격조사).
리 주020)
리:
빨리. -[速]+ㅣ(부사파생접미사).
가져다가 주021)
가져다가:
가져다가. 가지-[取]+어다가(완료상을 표현하는 종속적 연결어미).
주022)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陁羅尼 주023)
다라니(陁羅尼):
다라니(陁羅尼)를.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름.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타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은 목적격조사.
주024)
써:
써서. 써. 쓰-[書]+어(연결어미).
라 주025)
라:
살라. -[燒]+아(연결어미).
주026)
:
재를. [灰].
라 주027)
라:
만들어. -[作]+아(연결어미).
주028)
그:
그. 그[其](지시관형사).
조 주029)
조:
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 주030)
:
흙에. [土]+(처소부사격조사). ‘[土]’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섯거 주031)
섯거:
섞어. -[混]+어(연결어미).
니겨 주032)
니겨:
이겨서. 이겨. 니기-[作尼]+어(연결어미).
사 주033)
사:
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긔 주034)
긔:
심장(心臟)에. [心]#[臟]+의(처소부사격조사). ‘(片)’은 ‘특이처격어’이다.
노코 주035)
노코:
놓고. 놓-[置]+고(연결어미).
니벳 주036)
니벳:
입고 있는. 닙-[著]+어(연결어미)#잇-[有]+(관형사형어미). ‘-어#잇-’의 축약형인 ‘-엣-’은 동작상 중 완료상이다.
옷외로 주037)
옷외로:
옷으로. 의상(衣裳)으로. 옷[衣]#외[裳]+로(도구 부사격조사).
두프면 주038)
두프면:
덮으면. 둪-[蓋]+으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39)
이:
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 주040)
:
같은. -[如]+ㄴ(관형사형어미).
사미 주041)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42)
:
한. [一](수관형사).
주043)
염(念):
염(念)의. 생각의.
예 주044)
예:
사이에. [中間]+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i/j]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이 陁羅尼 威力을 주045)
위력(威力)을:
위력(威力)을. ‘위력(威力)’은 사람을 위압하는 강대한 힘이나 권력을 이른다. ‘-을’은 목적격조사.
니버 주046)
니버:
입어. 닙-[被]+어(연결어미).
西方 주047)
서방(西方):
서방정토(西方淨土)의 줄임말. 극락세계(極樂世界). 특히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국토를 이른다.
極樂世界예 주048)
극락세계(極樂世界)예:
극락정토(極樂淨土)에. 사바세계(裟婆世界)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佛國土)를 지난 곳에 있다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 일반적으로는 더 없이 안락하고 아무런 걱정이 없는 지경(地境), 또는 그러한 세계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예’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9)
나:
나. 태어나. 나-[生]+아(연결어미).
阿彌陁佛을 주050)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고도 하며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요한 부처 중 하나이다. ‘-을’은 목적격조사.
보와 주051)
보와:
보아. 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모미 주052)
모미:
몸이. 몸[身]+이(주격조사).
마 아래 주053)
마 아래:
마흔 아흐레를. 마[四十]#아래[九日]+(목적격조사).
中陰에 주054)
중음(中陰)에:
중음(中陰)에. ‘중음(中陰)’은 사유(四有)의 하나이다. 사람이 죽어서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의 49일 동안을 이른다. 중유(中有)라고도 한다. ‘-에’는 처소부사격조사.
잇디 주055)
잇디:
있지. 머무르지. 잇-[住]+디(보조적 연결어미).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중:32ㄱ

니리라
주056)
아니리라:
아니하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 언해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또 선남자, 선여인이 만약 부모와 형제와 친척과 권속들이 명종(命終)할 때 이르러 두려운 적에는 서방(西方)에 있는 한 움큼의 깨끗한 흙을 빨리 가져다가 이 다라니를 써서 〈불에〉 살라 재[灰]를 만들어라. 〈그리고는〉 그 깨끗한 흙에 섞어 이겨서 이 사람의 심장(心臟)에 놓고, 입고 있는 옷으로 덮으면, 이와 같은 사람은 한 염(念)의 사이에 이 다라니(陁羅尼)의 위력(威力)을 입게 된다. 〈그리하여〉 곧, 서방의 극락세계에 태어나서 아미타불을 보아 몸이 마흔 아흐레를 중음(中陰)에 있지
(=머무르지)
아니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0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又](부사).
주002)
선남자(善男子):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주003)
선여인(善女人)이:‘선여인(善女人)’은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를 이른다. ‘-이’는 주격조사.
주004)
다가:만약. 하다가. 다가[若](부사).
주005)
부모(父母)와:부모(父母)와. ‘-와’는 접속조사.
주006)
형제(兄弟)와:형제(兄弟)와.
주007)
아:겨레와. 친척(親戚)과. 친족(親族)과. 아[親].
주008)
권속(眷屬)이:권속(眷屬)이. ‘권속(眷屬)’은 식구, 곧 가족을 이름. ‘-이’는 주격조사.
주009)
명종(命終):명종(命終)할. ‘-’은 ‘--+ㄹ(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10)
제:적에. 때에. 제. 제[時]+∅(처소부사격조사).
주011)
니르러:이르러. 니를-[到]+어(연결어미).
주012)
두리운:두려운. 두-[惶]+은(관형사형어미).
주013)
저긔:때에. 적에. 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14)
서방(西方):서방정토(西方淨土)의 줄임말. 극락세계(極樂世界). 특히 아미타불(阿彌陀 佛)의 국토를 이른다.
주015)
서방(西方)앳:서방(西方)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조사의 상호 결합형이다.
주016)
:한. [一](관형사).
주017)
우:움큼의. 우훔[掬]+ㅅ(관형격조사).
주018)
조: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주019)
:흙을. [土]+(목적격조사).
주020)
리:빨리. -[速]+ㅣ(부사파생접미사).
주021)
가져다가:가져다가. 가지-[取]+어다가(완료상을 표현하는 종속적 연결어미).
주022)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23)
다라니(陁羅尼):다라니(陁羅尼)를.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름.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는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타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은 목적격조사.
주024)
써:써서. 써. 쓰-[書]+어(연결어미).
주025)
라:살라. -[燒]+아(연결어미).
주026)
:재를. [灰].
주027)
라:만들어. -[作]+아(연결어미).
주028)
그:그. 그[其](지시관형사).
주029)
조: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주030)
:흙에. [土]+(처소부사격조사). ‘[土]’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31)
섯거:섞어. -[混]+어(연결어미).
주032)
니겨:이겨서. 이겨. 니기-[作尼]+어(연결어미).
주033)
사: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주034)
긔:심장(心臟)에. [心]#[臟]+의(처소부사격조사). ‘(片)’은 ‘특이처격어’이다.
주035)
노코:놓고. 놓-[置]+고(연결어미).
주036)
니벳:입고 있는. 닙-[著]+어(연결어미)#잇-[有]+(관형사형어미). ‘-어#잇-’의 축약형인 ‘-엣-’은 동작상 중 완료상이다.
주037)
옷외로:옷으로. 의상(衣裳)으로. 옷[衣]#외[裳]+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38)
두프면:덮으면. 둪-[蓋]+으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39)
이: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주040)
:같은. -[如]+ㄴ(관형사형어미).
주041)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42)
:한. [一](수관형사).
주043)
염(念):염(念)의. 생각의.
주044)
예:사이에. [中間]+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i/j]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5)
위력(威力)을:위력(威力)을. ‘위력(威力)’은 사람을 위압하는 강대한 힘이나 권력을 이른다. ‘-을’은 목적격조사.
주046)
니버:입어. 닙-[被]+어(연결어미).
주047)
서방(西方):서방정토(西方淨土)의 줄임말. 극락세계(極樂世界). 특히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국토를 이른다.
주048)
극락세계(極樂世界)예:극락정토(極樂淨土)에. 사바세계(裟婆世界)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佛國土)를 지난 곳에 있다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 일반적으로는 더 없이 안락하고 아무런 걱정이 없는 지경(地境), 또는 그러한 세계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예’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9)
나:나. 태어나. 나-[生]+아(연결어미).
주050)
아미타불(阿彌陀佛)을: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있다는 부처의 이름.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고도 하며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요한 부처 중 하나이다. ‘-을’은 목적격조사.
주051)
보와:보아. 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52)
모미:몸이. 몸[身]+이(주격조사).
주053)
마 아래:마흔 아흐레를. 마[四十]#아래[九日]+(목적격조사).
주054)
중음(中陰)에:중음(中陰)에. ‘중음(中陰)’은 사유(四有)의 하나이다. 사람이 죽어서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의 49일 동안을 이른다. 중유(中有)라고도 한다. ‘-에’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55)
잇디:있지. 머무르지. 잇-[住]+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56)
아니리라:아니하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