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역주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언해
  • 불정심다라니경 권상
  • 불정심다라니경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정심다라니경 003


爾時觀世音菩薩說此陁羅尼已十方世界皆大震動天雨寶華繽紛亂下爲供養此陁羅尼名薄伽梵蓮花手自在心王印若有善男子善女人得聞此秘密神妙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4ㄱ

章句一歷耳根身中所有百千萬罪悉皆消滅此陁羅尼能滅十惡五逆誹謗闡提非法說法或於三寶師主父母前起憍慢心或世世造業殺生害命或三朝滿月嫁女婚男橫殺衆生犯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4ㄴ

無邊大罪在於己身終日冥冥不知不覺天不容地不載千佛出世不通懺悔處者如是之人捨此一報身當墮落阿鼻無間地獄中受其苦楚一日一夜萬死萬生經八萬大劫受罪永無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5ㄱ

出期
Ⓒ 편찬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그 주001)
그:
그때. 그때에. 그[爾]#[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觀世音菩薩 주002)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대자대비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의 왼쪽 보처(補處).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외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解脫)에 이르게 해 준다고 전한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03)
-이:
-이(주격조사).
주004)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陁羅尼 주005)
다라니(陁羅尼):
다라니(陁羅尼)를.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니신대 주006)
니신대:
이르신즉. 이르시니. 니-[說]+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ㄴ대(설명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十方 世界ㅣ 주007)
시방세계(十方世界)ㅣ:
시방세계(十方世界)가. ‘-ㅣ’는 주격조사. ‘시방세계(十方世界)’는 사방(四方), 사우(四隅), 상하(上下)에 있는 무수한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곧, 온 세계를 이른다.
주008)
다:
다. 모두. 다[皆](지시관형사).
 주009)
:
매우. 크게. [大](부사).
드러치고 주010)
드러치고:
진동(震動)하고. 드러치-[震動]+고(연결어미).
하히 주011)
하히:
하늘이. 하ㅎ[天]+이(주격조사).
보 주012)
보:
보배(寶貝)의. 보[寶]+ㅅ(관형격조사).
고 주013)
고:
꽃을. 곶[華]+(목적격조사).
비허 주014)
비허:
뿌리어. 빟-[繽粉亂下]+어(연결어미).
陁羅尼 주015)
다라니(陁羅尼):
다라니(陁羅尼)를. ‘-’은 목적격조사.
供養오니 주016)
공양(供養)오니:
공양(供養)하니. ‘-오니’는 ‘--+(겸양법선어말어미)+니(연 결어미)’로 분석된다.
일후미 주017)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薄伽梵蓮花手自在心王印 주018)
박가범연화수자재심왕인(薄伽梵蓮花手自在心王印):
‘박가범(薄伽梵)’은 온갖 덕(德)을 성취 하였다는 뜻이고, ‘연화수(蓮花手)’는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을 가리킴. ‘자재(自在)’는 나아가고 물러남에 장애(障碍)가 없음과 마음이 번뇌의 계박(繫縛)을 여의고, 통달(通達) 하여 걸림이 없음을 이르고, ‘심왕(心王)’은 의식(意識) 작용(作用)의 본체(本體)를 이르는데, 곧, 깨달음이나 맹세 등을 나타냄. ‘인(印)’은 불상(佛像)의 손가락 끝으로 나타내는 여러 가지 모양의 표상(表象)을 이름. 주로 깨달음이나 맹세 등을 나타내는 표장(標章)이다.
이니 주019)
-이니:
-이니. ‘-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다가 주020)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善男子 주021)
선남자(善男子):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善女人 주022)
선여인(善女人):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
이 이 秘密 주023)
비밀(秘密):
비밀(秘密)한.
神妙章句 주024)
신묘장구(神妙章句):
헤아리지 못할 불가사의(不可思議)한 어구(語句)를 이르는 말. 헤아리지 못할 것[神]과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妙]이 ‘신묘(神妙)’이고, 글의 장(章)과 구(句)를 장구(章句)라 한다.
주025)
-:
-를. ‘-’은 목적격조사.
드러 주026)
드러:
들어서. 들어. 듣-[聞]+어(연결어미).
적 주027)
적:
한번. 한때. ‘적’은 ‘[一]#적[時]’이 어휘화한 것이다.
귀예 주028)
귀예:
귀에. 귀[耳]+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디내면 주029)
디내면:
지내면. 겪으면. 지나게 하면. 디내-[歷]+면(연결어미).
모매 주030)
모매:
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잇 주031)
잇:
있는. 잇-[有]+(관형사형어미).
百千萬 罪ㅣ 주032)
죄(罪)ㅣ:
죄(罪)가. ‘-ㅣ’는 주격조사. ‘죄(罪)’는 도덕이나 종교·법률 등에 어긋나는 행위를 이르거나, 또는 좋지 않은 결과에 대한 원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주033)
다:
다. 모두. 다[悉](부사).
업스리라 주034)
업스리라:
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消滅]+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陁羅尼ㅣ 주035)
다라니(陁羅尼)ㅣ:
다라니(陁羅尼)가. ‘-ㅣ’는 주격조사.
十惡 주036)
십악(十惡):
몸[身], 입[口], 뜻[意]의 삼업(三業)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罪惡). 곧,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의 신업(身業)과 망어(妄語), 기어(綺語), 양설(兩舌), 악구(惡口)의 구업(口業)과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의 의업(意業)을 통틀어 이르는 말.
五逆 주037)
오역(五逆):
오역죄(五逆罪). 또는 오무간업(五無間業). 불교에 대한 다섯 종류의 역적(逆賊) 중죄(重罪)를 이른다.
주038)
-과:
-과. ‘-과’는 접속조사.
誹謗 주039)
비방(誹謗):
비방(誹謗)하는. ‘비방(誹謗)’은 남을 헐뜯고 욕하는 것을 이른다. ‘-’은 ‘--+(관형사형어미)’으로 분석된다.
闡提 주040)
천제(闡提):
일천제(一闡提). 성불(成佛)할 성품이 갖추어지지 않은 이나 보살이 대비심(大悲心)을 일으켜서 일체 중생을 모두 제도하기 위해, 예토(穢土)에 일부러 태어나 활동하여 성불할 시기가 없는 것을 이름.
주041)
천제(闡提)ㅣ:
천제(闡提)가. ‘-ㅣ’는 주격조사.
주042)
법(法):
법(法)이. ‘법(法)’은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아닌 주043)
아닌:
아닌. 아니[非]+∅(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
주044)
법(法):
법(法)을.
니며 주045)
니며:
이르며. 말하며. 니-[說]+며(연결어미).
闡提 주046)
천제(闡提):
천제(闡提)는. ‘-’은 관형사형어미.
信이 주047)
신(信)이:
믿음이. ‘-이’는 주격조사.
디 주048)
디:
갖추어지지. 갖추지. -[具]+디(연결어미).
아니며 주049)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非]+며(연결어미).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27ㄱ

주050)
선근(善根):
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또는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이 되는 일을 이름.
주051)
-을:
-을. ‘-을’은 목적격조사.
그칠시라 주052)
그칠시라:
끊는 것이다. 그치는 것이다. 그치-[斷]+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 술격조사)+라(종결어미).
시혹 주053)
시혹:
혹시(或是). 혹(或). 시혹(是或)(부사).
三寶 주054)
삼보(三寶):
부처와, 부처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經典)과, 그 가르침을 펴는 승려(僧侶). 곧, 불(佛), 법(法), 승(僧)을 이름.
스과 주055)
스과:
스승과. 스[師]+과(접속조사).
父母ㅅ 주056)
부모(父母)ㅅ:
부모의. ‘ㅅ’은 존대의 자질을 가진 체언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알 주057)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므더니 주058)
므더니:
소홀히. 대수롭지 않게. 므더니[憍慢](부사).
너굘 주059)
너굘:
여길. 너기-[然]+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 주060)
:
마음을. [心].
니와며 주061)
니와며:
일으키며. 니왇-[起]+며(연결어미).
시혹 世世예 주062)
세세(世世)예:
대대(代代)에. 대대(代代)로.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63)
업(業):
전세(前世)에 지은 악행(惡行)이나 선행(善行)으로 말미암아 현세(現世)에서 받는 응보(應報)를 이르는 말.
지 주064)
지:
지어. 만들어. -[造]+어(연결어미).
산 것 주065)
산 것:
산 것. 살아있는 것. 살-[生]+ㄴ(관형사형어미)#것(의존명사).
주겨 주066)
주겨:
죽이어. 죽여서. 죽-[殺]+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命을 주067)
명(命)을:
생명(生命)을.
害며 주068)
해(害)며:
해(害)치며. ‘-며’는 ‘--+며(대등적 연결어미).’
시혹 三朝滿月에 주069)
삼조만월(三朝滿月)에:
초사흘[三朝]과 보름[滿月]에.
겨집 주070)
겨집:
계집. 여인(女人). 겨집[女].
남진 주071)
남진:
사내. ‘남진[男]’은 남[男人]에서 온 말이다.
얼이며 주072)
얼이며:
혼인(婚姻)하며. 얼이-[婚]+며(연결어미).
남진 겨집 얼이노라 주073)
얼이노라:
혼인(婚姻)하느라. 얼이-[婚姻]+(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라(연결어미).
즘 주074)
즘:
짐승. ‘즘’은 ‘[衆生]’에서 온 말인데, 이 시기에 ‘즘’이 되었고 ‘즘’을 거쳐 현재의 ‘짐승’으로 바뀐 것이다.
그르 주075)
그르:
잘못. 부사 ‘그르[誤]’는 형용사 ‘그르-[橫]’의 어간이 어간 그대로 부사로 쓰인, 이른바 ‘어간형부사’이다.
주겨 주076)
:
가[邊]가. 끝이. [邊].
업슨 주077)
업슨:
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78)
큰:
큰. 크-[大]+ㄴ(관형사형어미).
罪 주079)
죄(罪):
죄(罪)를.
犯야 주080)
범(犯)야:
범(犯)하여. 저질러.
주081)
내:
내. 나의. 나[己]+ㅣ(관형격조사). ‘내’는 관형어이므로 평성(平聲)이다.
모매 주082)
모매:
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이쇼 주083)
이쇼:
있되. 있는데. 이시-[在]+오/우(연결어미).
졈그록 주084)
졈그록:
저물도록. 종일(終日)토록. 졈글-[日沒]+록(연결어미).
아야 주085)
아야:
아질아질하여. 혼미(昏迷)하여. 아-[冥冥]+야(연결어미).
아디 주086)
아디:
알지. 알-[知]+디(연결어미).
몯며 주087)
몯며:
못하며. 몯-[不]+며(연결어미).
디 주088)
디:
깨지. 깨닫지. -[覺]+디(보조적 연결어미).
몯야 주089)
몯야:
못하여. 몯-[不]+야(연결어미).
하히 주090)
하히:
하늘이. 하ㅎ[天]+이(주격조사).
두디 주091)
두디:
두지. 용서하지. 두-[容]+디(연결어미).
아니며 주092)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不]+며(연결어미).
히 주093)
히:
땅이. ㅎ[地]+이(주격조사).
싣디 주094)
싣디:
싣지. 실어주지. 싣-[載]+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야 주095)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연결어미).
千佛 주096)
천불(千佛):
1천의 부처. 곧,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의 삼겁(三劫)에 각각 나타난다는 1천의 부처. 주로는 현겁(現劫)에 차례로 출현한다는 구류손불(拘留孫佛), 구나함모니불(俱那含牟尼佛), 가섭불(迦葉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미륵불(彌勒佛)을 비롯하여 마지막 누지불(樓至佛)까지의 천불(千佛)을 이른다.
世예 주097)
세(世)예:
세상(世上)에.
나샤도 주098)
나샤도:
나시어도. 나-[生]+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도(방임형 연결어미).
懺悔 주099)
참회(懺悔):
과거의 죄악을 깨달아 뉘우치거나, 죄악을 뉘우쳐 부처에게 고백(告白)하는 것을 이르는 말.
주100)
-홀:
-할. ‘--+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고디 주101)
고디:
곳이. 곧[處]+이(주격조사).
업슨 주102)
업슨:
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사 주103)
사:
사람을. 사[者]+(목적격조사).
能히 업게 주104)
업게:
없게. 없-[無]+게(연결어미).
니 주105)
니:
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106)
이:
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 주107)
:
같은. -[如]+ㄴ(관형사형어미).
사 주108)
사:
사람은. 사[人]+(보조사).
주109)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주110)
:
한. [一](수관형사).
주111)
몸:
몸을. 몸[身].
리면 주112)
리면:
버리면. 리-[捨]+면(연결어미).
반기 주113)
반기:
반드시. 응당. 반기[當](부사).
阿鼻無閒地獄 주114)
아비무간지옥(阿鼻無閒地獄):
‘무간지옥(無間地獄)’은 범어(梵語) ‘아비(阿鼻)’를 옮긴 말. 불교에서 이르는 팔열(八熱) 지옥의 하나. 오역죄(五逆罪)를 짓거나 인과(因果)를 무시하고 절[寺]의 성물(聖物)을 부수거나 성중(聖衆)을 비방하는 등의 잘못을 저지르면 가게 된다는 극열지옥(極熱地獄)을 이르는 말. 괴로움을 받는 것이 끊임이 없어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러디여 주115)
러디여:
떨어져. 러디-[墮落]+어(연결어미). ‘러디-’는 ‘-[振]+어(연결어미)#디-[落]+어(연결어미)’의 합성어.
苦로왼 주116)
고(苦)로왼:
괴로운. 고로외-[苦]+ㄴ(관형사형어미).
알포 주117)
알포:
아픔을. 알-[痛]+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알-’는 ‘앓-[痛] +-(형용사 파생접미사)’에서 온 말이다.
受호 주118)
수(受)호:
받되. ‘-호’는 ‘--+오/우(연결어미).’
 주119)
:
하루의. [一日]+ㅅ(관형격조사).
바 주120)
바:
밤에. 밤[夜]+(처소부사격조사). ‘밤[夜]’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萬死萬生야 주121)
만사만생(萬死萬生)야:
만사만생(萬死萬生)하여. ‘만사만생(萬死萬生)’는 수없이 죽고 또 살아난다는 뜻.
八萬大

불정심다라니경언해 권상:27ㄴ

주122)
팔만대겁(八萬大劫):
무한대의 시간을 이름. 팔만(八萬)은 양(量)이 무한(無限)한 것을 말한다.
디내야 주123)
디내야:
지내어. 디내-[經]+아(연결어미).
罪 주124)
죄(罪):
죄(罪)를. ‘-’은 목적격조사.
受호 永히 주125)
영(永)히:
영원히. 길이.
주126)
날:
날. 나올. 나-[出]+ㄹ(관형사형어미).
긔야기 주127)
긔야기:
기약이. 긔약[期約]+이(주격조사). ‘긔약’은 한자어 ‘기약(期約)’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 문헌부터 ‘期約/긔약’이 병존했다.
업스리라 주128)
업스리라:
없을 것이다. 없으리라. 없-[無]+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 언해 | 학조 / 1485년(성종 16) 2월 일

그때에 관세음보살이 이 다라니를 이르신즉, 시방세계(十方世界)가 다 크게 진동(震動)하고 하늘이 보배의 꽃을 뿌리어 이 다라니를 공양(供養)하니, 이름이 박가범연화수자재심왕인(薄伽梵蓮花手自在心王印)이다. 만약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善女人)이 이 비밀(秘密)한 신묘장구(神妙章句)를 듣고 한번 귀에 지나게 하면 몸에 있는 백천만(百千萬) 죄가 다 없어질 것이다. 이 다라니가 십악(十惡)과 오역(五逆)과 비방(誹謗)하는 천제(闡提)의 법(法)이 아닌 법을 이르며【‘천제(闡提)’는 믿음[信]이 갖추어지지 아니하며, 선근(善根)을 끊는 것이다.】 , 혹 삼보(三寶)와 스승과 부모의 앞에서 소홀히 여길 마음을 일으키며, 혹 대대(代代)로 업(業)을 짓고 살아 있는 것을 죽여 생명을 해치며, 혹 삼조만월(三朝滿月)에 계집과 사내가 혼인하며 사내와 계집이 혼인하느라, 짐승을 잘못 죽여 가없는 큰 죄를 범하고, 내 몸에 있되 저물도록 아질아질하여 알지 못하며 깨지 못하여, 하늘이 〈그냥〉 두지 아니하며 땅이 실어주지 아니하여, 천불(千佛)이 세상에 나시어도 참회할 곳이 없는 사람을 능히 없게 하느니라. 이와 같은 사람은 이 한 몸을 버리면 반드시 아비무간지옥(阿鼻無閒地獄)에 떨어지어 괴로운 아픔을 받되, 하룻밤에 만사만생(萬死萬生)하여 팔만대겁(八萬大劫)을 지내어도 죄를 받아, 길이 나올 기약(期約)이 없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0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 그때에. 그[爾]#[時]+의(처소부사격조사). ‘’는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대자대비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의 왼쪽 보처(補處).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외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解脫)에 이르게 해 준다고 전한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음보살(觀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03)
-이:-이(주격조사).
주004)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05)
다라니(陁羅尼):다라니(陁羅尼)를. ‘다라니(陁羅尼)’는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과 밀어(密語)라고 하여 다른 이에게 비밀히 한다는 뜻이 있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이나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陁羅尼)’, 또는 ‘대주(大呪)’라고 한다.
주006)
니신대:이르신즉. 이르시니. 니-[說]+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ㄴ대(설명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07)
시방세계(十方世界)ㅣ:시방세계(十方世界)가. ‘-ㅣ’는 주격조사. ‘시방세계(十方世界)’는 사방(四方), 사우(四隅), 상하(上下)에 있는 무수한 세계를 이르는 말이다. 곧, 온 세계를 이른다.
주008)
다:다. 모두. 다[皆](지시관형사).
주009)
:매우. 크게. [大](부사).
주010)
드러치고:진동(震動)하고. 드러치-[震動]+고(연결어미).
주011)
하히:하늘이. 하ㅎ[天]+이(주격조사).
주012)
보:보배(寶貝)의. 보[寶]+ㅅ(관형격조사).
주013)
고:꽃을. 곶[華]+(목적격조사).
주014)
비허:뿌리어. 빟-[繽粉亂下]+어(연결어미).
주015)
다라니(陁羅尼):다라니(陁羅尼)를. ‘-’은 목적격조사.
주016)
공양(供養)오니:공양(供養)하니. ‘-오니’는 ‘--+(겸양법선어말어미)+니(연 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7)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18)
박가범연화수자재심왕인(薄伽梵蓮花手自在心王印):‘박가범(薄伽梵)’은 온갖 덕(德)을 성취 하였다는 뜻이고, ‘연화수(蓮花手)’는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을 가리킴. ‘자재(自在)’는 나아가고 물러남에 장애(障碍)가 없음과 마음이 번뇌의 계박(繫縛)을 여의고, 통달(通達) 하여 걸림이 없음을 이르고, ‘심왕(心王)’은 의식(意識) 작용(作用)의 본체(本體)를 이르는데, 곧, 깨달음이나 맹세 등을 나타냄. ‘인(印)’은 불상(佛像)의 손가락 끝으로 나타내는 여러 가지 모양의 표상(表象)을 이름. 주로 깨달음이나 맹세 등을 나타내는 표장(標章)이다.
주019)
-이니:-이니. ‘-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20)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21)
선남자(善男子):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
주022)
선여인(善女人):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
주023)
비밀(秘密):비밀(秘密)한.
주024)
신묘장구(神妙章句):헤아리지 못할 불가사의(不可思議)한 어구(語句)를 이르는 말. 헤아리지 못할 것[神]과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妙]이 ‘신묘(神妙)’이고, 글의 장(章)과 구(句)를 장구(章句)라 한다.
주025)
-:-를. ‘-’은 목적격조사.
주026)
드러:들어서. 들어. 듣-[聞]+어(연결어미).
주027)
적:한번. 한때. ‘적’은 ‘[一]#적[時]’이 어휘화한 것이다.
주028)
귀예:귀에. 귀[耳]+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주029)
디내면:지내면. 겪으면. 지나게 하면. 디내-[歷]+면(연결어미).
주030)
모매: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주031)
잇:있는. 잇-[有]+(관형사형어미).
주032)
죄(罪)ㅣ:죄(罪)가. ‘-ㅣ’는 주격조사. ‘죄(罪)’는 도덕이나 종교·법률 등에 어긋나는 행위를 이르거나, 또는 좋지 않은 결과에 대한 원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주033)
다:다. 모두. 다[悉](부사).
주034)
업스리라: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消滅]+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35)
다라니(陁羅尼)ㅣ:다라니(陁羅尼)가. ‘-ㅣ’는 주격조사.
주036)
십악(十惡):몸[身], 입[口], 뜻[意]의 삼업(三業)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罪惡). 곧,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의 신업(身業)과 망어(妄語), 기어(綺語), 양설(兩舌), 악구(惡口)의 구업(口業)과 탐욕(貪慾), 진에(瞋恚), 사견(邪見)의 의업(意業)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037)
오역(五逆):오역죄(五逆罪). 또는 오무간업(五無間業). 불교에 대한 다섯 종류의 역적(逆賊) 중죄(重罪)를 이른다.
주038)
-과:-과. ‘-과’는 접속조사.
주039)
비방(誹謗):비방(誹謗)하는. ‘비방(誹謗)’은 남을 헐뜯고 욕하는 것을 이른다. ‘-’은 ‘--+(관형사형어미)’으로 분석된다.
주040)
천제(闡提):일천제(一闡提). 성불(成佛)할 성품이 갖추어지지 않은 이나 보살이 대비심(大悲心)을 일으켜서 일체 중생을 모두 제도하기 위해, 예토(穢土)에 일부러 태어나 활동하여 성불할 시기가 없는 것을 이름.
주041)
천제(闡提)ㅣ:천제(闡提)가. ‘-ㅣ’는 주격조사.
주042)
법(法):법(法)이. ‘법(法)’은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주043)
아닌:아닌. 아니[非]+∅(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
주044)
법(法):법(法)을.
주045)
니며:이르며. 말하며. 니-[說]+며(연결어미).
주046)
천제(闡提):천제(闡提)는. ‘-’은 관형사형어미.
주047)
신(信)이:믿음이. ‘-이’는 주격조사.
주048)
디:갖추어지지. 갖추지. -[具]+디(연결어미).
주049)
아니며:아니하며. 아니-[非]+며(연결어미).
주050)
선근(善根):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또는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이 되는 일을 이름.
주051)
-을:-을. ‘-을’은 목적격조사.
주052)
그칠시라:끊는 것이다. 그치는 것이다. 그치-[斷]+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 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53)
시혹:혹시(或是). 혹(或). 시혹(是或)(부사).
주054)
삼보(三寶):부처와, 부처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經典)과, 그 가르침을 펴는 승려(僧侶). 곧, 불(佛), 법(法), 승(僧)을 이름.
주055)
스과:스승과. 스[師]+과(접속조사).
주056)
부모(父母)ㅅ:부모의. ‘ㅅ’은 존대의 자질을 가진 체언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57)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58)
므더니:소홀히. 대수롭지 않게. 므더니[憍慢](부사).
주059)
너굘:여길. 너기-[然]+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60)
:마음을. [心].
주061)
니와며:일으키며. 니왇-[起]+며(연결어미).
주062)
세세(世世)예:대대(代代)에. 대대(代代)로.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63)
업(業):전세(前世)에 지은 악행(惡行)이나 선행(善行)으로 말미암아 현세(現世)에서 받는 응보(應報)를 이르는 말.
주064)
지:지어. 만들어. -[造]+어(연결어미).
주065)
산 것:산 것. 살아있는 것. 살-[生]+ㄴ(관형사형어미)#것(의존명사).
주066)
주겨:죽이어. 죽여서. 죽-[殺]+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67)
명(命)을:생명(生命)을.
주068)
해(害)며:해(害)치며. ‘-며’는 ‘--+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69)
삼조만월(三朝滿月)에:초사흘[三朝]과 보름[滿月]에.
주070)
겨집:계집. 여인(女人). 겨집[女].
주071)
남진:사내. ‘남진[男]’은 남[男人]에서 온 말이다.
주072)
얼이며:혼인(婚姻)하며. 얼이-[婚]+며(연결어미).
주073)
얼이노라:혼인(婚姻)하느라. 얼이-[婚姻]+(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라(연결어미).
주074)
즘:짐승. ‘즘’은 ‘[衆生]’에서 온 말인데, 이 시기에 ‘즘’이 되었고 ‘즘’을 거쳐 현재의 ‘짐승’으로 바뀐 것이다.
주075)
그르:잘못. 부사 ‘그르[誤]’는 형용사 ‘그르-[橫]’의 어간이 어간 그대로 부사로 쓰인, 이른바 ‘어간형부사’이다.
주076)
:가[邊]가. 끝이. [邊].
주077)
업슨: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78)
큰:큰. 크-[大]+ㄴ(관형사형어미).
주079)
죄(罪):죄(罪)를.
주080)
범(犯)야:범(犯)하여. 저질러.
주081)
내:내. 나의. 나[己]+ㅣ(관형격조사). ‘내’는 관형어이므로 평성(平聲)이다.
주082)
모매: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주083)
이쇼:있되. 있는데. 이시-[在]+오/우(연결어미).
주084)
졈그록:저물도록. 종일(終日)토록. 졈글-[日沒]+록(연결어미).
주085)
아야:아질아질하여. 혼미(昏迷)하여. 아-[冥冥]+야(연결어미).
주086)
아디:알지. 알-[知]+디(연결어미).
주087)
몯며:못하며. 몯-[不]+며(연결어미).
주088)
디:깨지. 깨닫지. -[覺]+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89)
몯야:못하여. 몯-[不]+야(연결어미).
주090)
하히:하늘이. 하ㅎ[天]+이(주격조사).
주091)
두디:두지. 용서하지. 두-[容]+디(연결어미).
주092)
아니며:아니하며. 아니-[不]+며(연결어미).
주093)
히:땅이. ㅎ[地]+이(주격조사).
주094)
싣디:싣지. 실어주지. 싣-[載]+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95)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연결어미).
주096)
천불(千佛):1천의 부처. 곧,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의 삼겁(三劫)에 각각 나타난다는 1천의 부처. 주로는 현겁(現劫)에 차례로 출현한다는 구류손불(拘留孫佛), 구나함모니불(俱那含牟尼佛), 가섭불(迦葉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미륵불(彌勒佛)을 비롯하여 마지막 누지불(樓至佛)까지의 천불(千佛)을 이른다.
주097)
세(世)예:세상(世上)에.
주098)
나샤도:나시어도. 나-[生]+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도(방임형 연결어미).
주099)
참회(懺悔):과거의 죄악을 깨달아 뉘우치거나, 죄악을 뉘우쳐 부처에게 고백(告白)하는 것을 이르는 말.
주100)
-홀:-할. ‘--+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101)
고디:곳이. 곧[處]+이(주격조사).
주102)
업슨: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103)
사:사람을. 사[者]+(목적격조사).
주104)
업게:없게. 없-[無]+게(연결어미).
주105)
니: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106)
이: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주107)
:같은. -[如]+ㄴ(관형사형어미).
주108)
사:사람은. 사[人]+(보조사).
주109)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110)
:한. [一](수관형사).
주111)
몸:몸을. 몸[身].
주112)
리면:버리면. 리-[捨]+면(연결어미).
주113)
반기:반드시. 응당. 반기[當](부사).
주114)
아비무간지옥(阿鼻無閒地獄):‘무간지옥(無間地獄)’은 범어(梵語) ‘아비(阿鼻)’를 옮긴 말. 불교에서 이르는 팔열(八熱) 지옥의 하나. 오역죄(五逆罪)를 짓거나 인과(因果)를 무시하고 절[寺]의 성물(聖物)을 부수거나 성중(聖衆)을 비방하는 등의 잘못을 저지르면 가게 된다는 극열지옥(極熱地獄)을 이르는 말. 괴로움을 받는 것이 끊임이 없어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주115)
러디여:떨어져. 러디-[墮落]+어(연결어미). ‘러디-’는 ‘-[振]+어(연결어미)#디-[落]+어(연결어미)’의 합성어.
주116)
고(苦)로왼:괴로운. 고로외-[苦]+ㄴ(관형사형어미).
주117)
알포:아픔을. 알-[痛]+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알-’는 ‘앓-[痛] +-(형용사 파생접미사)’에서 온 말이다.
주118)
수(受)호:받되. ‘-호’는 ‘--+오/우(연결어미).’
주119)
:하루의. [一日]+ㅅ(관형격조사).
주120)
바:밤에. 밤[夜]+(처소부사격조사). ‘밤[夜]’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121)
만사만생(萬死萬生)야:만사만생(萬死萬生)하여. ‘만사만생(萬死萬生)’는 수없이 죽고 또 살아난다는 뜻.
주122)
팔만대겁(八萬大劫):무한대의 시간을 이름. 팔만(八萬)은 양(量)이 무한(無限)한 것을 말한다.
주123)
디내야:지내어. 디내-[經]+아(연결어미).
주124)
죄(罪):죄(罪)를. ‘-’은 목적격조사.
주125)
영(永)히:영원히. 길이.
주126)
날:날. 나올. 나-[出]+ㄹ(관형사형어미).
주127)
긔야기:기약이. 긔약[期約]+이(주격조사). ‘긔약’은 한자어 ‘기약(期約)’에서 온 말인데, 정음 초기 문헌부터 ‘期約/긔약’이 병존했다.
주128)
업스리라:없을 것이다. 없으리라. 없-[無]+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