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13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13


셰계지듀ᇰ에 불샤니보탑을 쳐블단졀ᄒᆞ야 죠ᇰ죠ᇰ고ᇰ야ᇰᄒᆞᆫ 션복은 ᄎᆔ감유수커니와 ᄎᆞ뉵ᄌᆞ신쥬의 고ᇰ덕은 무수ᄒᆞ니라
世界之中에 佛舍利寶塔을 處不斷絶ᄒᆞ야 種種供養ᄒᆞᆫ 善福은 取勘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2ㄴ

有數커니와 此六字神呪의 功德은 無數ᄒᆞ니라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셰계 주001)
셰계(世界):
세계(世界).
듀ᇰ에 주002)
듀ᇰ(中)에:
중(中)에. 속에. 듀ᇰ(中)+에(부사격조사).
부텨 주003)
부텨:
범어로 ‘buddha’라고 한다. 처음에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에 국한해서 쓴 말로 각자(覺者)라는 의미이다. 나중에 불교의 교리(敎理)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샤니 주004)
샤니(舍利):
사리. 참된 수행의 결과로 생겨난다고 여겨지는 구슬 모양의 유골을 이른다.
보탑을 주005)
보탑(塔)을:
보배[寶貝] 탑(塔)을. 보ᄇᆡ[寶貝]#탑(塔)+을(목적격조사).
쳐마다 주006)
쳐마다:
처마다. 곳마다. 쳐(處)(명사)+마다(보조사).
긋디 주007)
긋디:
그치지. 끊어지지. 긋-[斷絶]+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야 주008)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ᄒᆞ-[不]+야(연결어미).
가지가지 주009)
가지가지:
가지가지. 가지가지[種種](부사).
 주010)
(供養):
공양(供養)한. (供養)ᄒᆞ-+ㄴ(관형사형어미). ‘공양’은 범어로 ‘pūjanā’이다.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으로 불·보살(佛菩薩)이나 스승, 부모, 죽은 이의 영혼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을 이른다. 본래는 신체적인 행위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약, 꽃, 차(茶), 등(燈), 향(香) 등의 재물뿐만 아니라, 공경심(恭敬心)과 신심(信心), 수행(修行)까지도 공양의 대상이 된다. 절에서는 식사 일반에까지 확대해서 쓰기도 한다.
어딘 주011)
어딘:
어진. 선한. 어딜-[善]+ㄴ(관형사형어미).
복은 주012)
복(福)은:
복(福)은. 복(福)+은(보조사).
가(게) 주013)
가(게):
잘게. 세밀하게. ᄌᆞᆯ-[細]+게(보조적 연결어미).
혜오믄 주014)
혜오믄:
헤아림은. 혜오-[勘]+ㅁ(명사형어미)+은(보조사).
수이 주015)
수(數量)이:
수량(數量)이. 수(數量)+이(주격조사).
잇거니와 주016)
잇거니와:
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주017)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뉵신쥬의 주018)
뉵신쥬(六字神呪)의:
육자신주(六字神呪)의. 뉵신쥬(六字神呪)+의(관형격조사).
덕은 주019)
덕(功德)은:
공덕(功德)은. 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수이 업니라 주020)
업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세계 속에 부처의 사리 보배 탑(塔)을 모신 곳이 처마다 끊어지지 아니하여, 가지가지 공양(供養)한 어진 복(福)을 세밀하게 살펴 헤아림은 수량(數量)이 있거니와 이 육자신주(六字神呪)의 공덕(功德)은 수량이 없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셰계(世界):세계(世界).
주002)
듀ᇰ(中)에:중(中)에. 속에. 듀ᇰ(中)+에(부사격조사).
주003)
부텨:범어로 ‘buddha’라고 한다. 처음에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에 국한해서 쓴 말로 각자(覺者)라는 의미이다. 나중에 불교의 교리(敎理)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주004)
샤니(舍利):사리. 참된 수행의 결과로 생겨난다고 여겨지는 구슬 모양의 유골을 이른다.
주005)
보탑(塔)을:보배[寶貝] 탑(塔)을. 보ᄇᆡ[寶貝]#탑(塔)+을(목적격조사).
주006)
쳐마다:처마다. 곳마다. 쳐(處)(명사)+마다(보조사).
주007)
긋디:그치지. 끊어지지. 긋-[斷絶]+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8)
아니야:아니하여. 아니ᄒᆞ-[不]+야(연결어미).
주009)
가지가지:가지가지. 가지가지[種種](부사).
주010)
(供養):공양(供養)한. (供養)ᄒᆞ-+ㄴ(관형사형어미). ‘공양’은 범어로 ‘pūjanā’이다.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으로 불·보살(佛菩薩)이나 스승, 부모, 죽은 이의 영혼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을 이른다. 본래는 신체적인 행위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약, 꽃, 차(茶), 등(燈), 향(香) 등의 재물뿐만 아니라, 공경심(恭敬心)과 신심(信心), 수행(修行)까지도 공양의 대상이 된다. 절에서는 식사 일반에까지 확대해서 쓰기도 한다.
주011)
어딘:어진. 선한. 어딜-[善]+ㄴ(관형사형어미).
주012)
복(福)은:복(福)은. 복(福)+은(보조사).
주013)
가(게):잘게. 세밀하게. ᄌᆞᆯ-[細]+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14)
혜오믄:헤아림은. 혜오-[勘]+ㅁ(명사형어미)+은(보조사).
주015)
수(數量)이:수량(數量)이. 수(數量)+이(주격조사).
주016)
잇거니와: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주017)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18)
뉵신쥬(六字神呪)의:육자신주(六字神呪)의. 뉵신쥬(六字神呪)+의(관형격조사).
주019)
덕(功德)은:공덕(功德)은. 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주020)
업니라: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