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02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02


셕일에 셔텬보타산 셔븍에 유일셕암호ᄃᆡ 명왈마리오디러니 ᄉᆡᄂᆞᆫ 관음보살의 셥슈시고 암니면에ᄂᆞᆫ 무랴ᇰ슈불이 일화년화ㅣ러시니 ᄉᆞ덕이 구댜ᇰ며ᇰᄒᆞ야 슈ᄒᆡᇰᄒᆞ다가 득견무량슈불ᄒᆞᅀᆞ온대 불이 언ᄒᆞ샤ᄃᆡ 여가슈대비보살ᄒᆞ라 ᄒᆞ야시ᄅᆞᆯ ᄉᆞ이 ᄇᆡᆨ불언호ᄃᆡ 대비보살이 유하고ᇰ느ᇰ이니ᄭᅩ ᄒᆞ야ᄂᆞᆯ 불이 언ᄒᆞ샤ᄃᆡ 옴마니반몌훔ᄒᆞᄂᆞᆫ ᄎᆞ대비심뉵ᄌᆞ대과ᇰ며ᇰ와ᇰ쥬ㅣ라 ᄒᆞ시니라
昔日에 西天寶陀山 西北에 有一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3ㄱ

石巖호ᄃᆡ 名曰 馬里凹地러니 是ᄂᆞᆫ 觀音菩薩의 攝授시고 岩裡面에ᄂᆞᆫ 無量壽佛이 一化蓮花ㅣ러시니 師德이 求長命ᄒᆞ야 修行ᄒᆞ다가 得見無量壽佛ᄒᆞᅀᆞ온대 佛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3ㄴ

이 言ᄒᆞ샤ᄃᆡ 汝可修大悲菩薩ᄒᆞ라 ᄒᆞ야시ᄅᆞᆯ 師이 白佛言호ᄃᆡ 大悲菩薩이 有何功能이니ᄭᅩ ᄒᆞ야ᄂᆞᆯ 佛이 言ᄒᆞ샤ᄃᆡ 唵嘛呢叭𡁠吘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4ㄱ

ᄒᆞᄂᆞᆫ 此大悲心六字大光明王呪이라 ᄒᆞ시니라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주001)
녜:
옛적. 옛날. 녜[昔日].
셔텬 주002)
서천(西天):
서천(西天) 서역국(西域國)을 줄여서 이른 표현이다. 불타(佛陀)의 나라인 인도(印度)를 가리킨다.
보다산 주003)
보타산(寶陀山):
관음보살(觀音菩薩)이 거처한 곳이라고 하는 인도 남부의 산 이름이다. 화엄경(華嚴經) 입법계품(入法界品)에서 선재동자가 구도여행 중 관음보살을 찾아 간 곳이라고 하여 널리 알려졌다.
셔븍에 주004)
셔븍(西北)에:
서북(西北) 쪽에. 셔븍(西北)+에(부사격조사).
주005)
:
한. 하나의. ᄒᆞᆫ[一](관형사).
바회 주006)
바회:
바위가. 바회[石巖]+∅(주격조사).
이슈 주007)
이슈:
있되. 있는데. 이시-[有]+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일홈을 주008)
일홈을:
이름을. 일홈[名]+을(목적격조사).
닐오 주009)
닐오:
이르되. 니ᄅᆞ-[曰]+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마리오디라 주010)
마리오디(馬里凹地)라:
마리요지(馬里凹地)라. 마리오디(馬里凹地)+∅(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더니 주011)
더니:
하더니. 하였다. ᄒᆞ-+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이 주012)
이:
이는. 이것은. 이[是]+ᄂᆞᆫ(보조사).
관음보살 주013)
관음보살(觀音菩薩):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이다.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이다.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염(念)하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에 이르게 해 준다고 전한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고도 한다.
겨신 주014)
겨신:
계신. 겨시-[在]+ㄴ(관형사형어미).
구리니 주015)
구리니:
굴이니. 굴(窟)+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그 굴 주016)
그 굴:
그 굴의. 그[其](관형사)#굴[窟](명사).
안면에 주017)
안면에:
안쪽에는. 안면[裡面]+에(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무슈불 주018)
무수불(無量壽佛):
서방 정토(淨土) 극락세계에 살면서 중생을 위해 자비를 베푸는 부처로서 아미타불(阿彌陀佛), 또는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고도 부른다.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요한 부처 중 하나이다.
년ᄭᅩ 주019)
년ᄭᅩ:
연꽃을. 년[蓮]+ㅅ(사잇소리)#곶[花]+ᄋᆞᆯ(목적격조사).
티 주020)
티:
한결같이. ᄒᆞᆫᄀᆞᆯᄀᆞ티[一化](부사).
픠웟시니 주021)
픠웟시니:
피우고 있으시더니. 프-[發]+ㅣ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잇-[在]+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회상법 선어말어미 ‘-더-’ 앞에 어간 ‘잇-’의 끝소리 ‘ㅅ’을 거듭 적었다.
덕이라 주022)
덕(師德)이라:
사덕(師德)이라. 덕(師德)+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 주023)
:
하는. ᄒ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쥬ᇰ이 주024)
쥬ᇰ이:
중이. 승려가. 비구(比丘)가. 쥬ᇰ[僧]+이(주격조사). 중세국어 당시의 책들에는 ‘쥬ᇰ’은 ‘비구(比丘)’라 하고, ‘승(僧)’은 ‘비구니(比丘尼)’라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댜ᇰ을 주025)
댜ᇰ(長命)을:
장명(長命)을. 장수(長壽)를. 댜ᇰ(長命)+을(목적격조사).
구야 주026)
구(求)야:
구(求)하여. 바라서. 구(求)ᄒᆞ-+야(연결어미).
그 굴에 주027)
가:
가서. 가-[行]+아(연결어미).
도을 주028)
도(道行)을:
도행(道行)을. 도(道行)+을(목적격조사).
닷다가 주029)
닷다가:
닦다가. 다ᇧ-[修]+다가(연결어미).
무슈불을 보온대 주030)
보온대:
뵈오니. 뵌즉. 보-[見]+ᄋᆞ오(겸양법 선어말어미)+ㄴ대(연결어미). ‘-ᄋᆞ온ᄃᆡ’는 ‘-ᅀᆞᇦ+ᄋᆞᆫ대’의 후대형이다.
부톄 주031)
부톄:
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여기서는 무량수불을 가리킨다.
니샤 주032)
니샤:
이르시되. 니ᄅᆞ-[言]+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33)
네: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대비보살 주034)
대비보살(大悲菩薩):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이므로 관세음보살을 지칭하는 말이다.
닷사 주035)
닷사:
닦아야. 다ᇧ-[修]+아(연결어미)+사(보조사).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4ㄴ

니라
주036)
올니라:
옳으니라. 옳-[可]+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야시 주037)
야시:
하시거늘. 하시니. ᄒ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야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어미 ‘-야ᄂᆞᆯ’ 사이에 ‘-시-’가 끼어들어가 있다.
그 쥬ᇰ이 주038)
그 쥬ᇰ이:
그 비구가. 그[其](지시관형사)#쥬ᇰ[比丘]+이(주격조사).
부텻 주039)
부텻:
부처께. 부텨[佛]+ᄭᅴ(부사격조사). 체언과 조사 사이에 ‘ㅅ’을 거듭 적었다.
소아 주040)
소아:
사뢰어. ᄉᆞᆲ-[白]+ᄉ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ᄉᆞᇦ아〉ᄉᆞᄫᅡ〉ᄉᆞ와’. ‘ᄉᆞᆲ-’은 ‘니ᄅᆞ-’의 존대 보충어인데 거기에 다시 겸양법이 실현되었다.
닐오 주041)
닐오:
이르되. 니ᄅᆞ-[言]+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대비보살이 엇 주042)
엇:
어떠한. 엇더ᄒᆞ-[何]+ㄴ(관형사형어미).
고ᇰ느ᇰ을 주043)
고ᇰ(功能)을:
공능(功能)을. 고ᇰ(功能)+을(목적격조사). ‘공능’은 공적과 재능을 이른다.
두엔닛 주044)
두엔닛:
두었습니까. 두-[果]+어(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닛고(‘ᄒᆞ쇼셔’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이 책에는 청자존대 선어말어미 ‘-ᅌᅵ-’가 쓰이지 않았고, 불연속 의문형어미 ‘니고’사이에 ‘ㅅ’이 끼어들었다. 결과적으로 ‘하쇼셔’체와 ‘ᄒᆞ야쎠’체가 동일 형태로 실현된 것이다.
야 주045)
야:
하거늘. ᄒᆞ-+야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부톄 니샤 오마니반몌훔 주046)
오마니반몌훔(唵嘛呢叭𡁠吽):
옴마니반몌훔(唵嘛呢叭𡁠吽)이라고 하는. ‘-ᄒᆞᄂᆞᆫ’은 ‘-ᄒᆞ-+ᄂᆞᆫ(관형사형어미)’으로 분석된다.
주047)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대비십뉵대쥬이라 시니라 주048)
시니라:
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ᄒ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옛적 서천(西天) 보타산(寶陀山)의 서북(西北) 쪽에 한 바위가 있었는데, 이름을 마리요지(馬里凹地)라 하였다. 이것은 관음보살(觀音菩薩)이 계신 굴이니, 그 굴의 안쪽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이 연꽃을 한결같이 피우고 계셨다. 사덕(師德)이라고 하는 비구가 장명(長命)을 구(求)하여 그 굴에 가 도행(道行)을 닦다가 무량수불을 뵌즉 부처께서 이르시되, “네가 대비보살(大悲菩薩)을 닦아야 옳으니라.” 라고 하였다. 그 비구가 부처께 사뢰어 이르되, “대비보살이 어떠한 공능(功能)을 가지고 있습니까?”(라고) 여쭈었다. 부처께서 이르시되, “‘옴마니반몌훔’이라고 하는 이 대비심육자대광명왕주(大悲心六字大光明王呪)다.” (라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녜:옛적. 옛날. 녜[昔日].
주002)
서천(西天):서천(西天) 서역국(西域國)을 줄여서 이른 표현이다. 불타(佛陀)의 나라인 인도(印度)를 가리킨다.
주003)
보타산(寶陀山):관음보살(觀音菩薩)이 거처한 곳이라고 하는 인도 남부의 산 이름이다. 화엄경(華嚴經) 입법계품(入法界品)에서 선재동자가 구도여행 중 관음보살을 찾아 간 곳이라고 하여 널리 알려졌다.
주004)
셔븍(西北)에:서북(西北) 쪽에. 셔븍(西北)+에(부사격조사).
주005)
:한. 하나의. ᄒᆞᆫ[一](관형사).
주006)
바회:바위가. 바회[石巖]+∅(주격조사).
주007)
이슈:있되. 있는데. 이시-[有]+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008)
일홈을:이름을. 일홈[名]+을(목적격조사).
주009)
닐오:이르되. 니ᄅᆞ-[曰]+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010)
마리오디(馬里凹地)라:마리요지(馬里凹地)라. 마리오디(馬里凹地)+∅(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011)
더니:하더니. 하였다. ᄒᆞ-+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12)
이:이는. 이것은. 이[是]+ᄂᆞᆫ(보조사).
주013)
관음보살(觀音菩薩):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이다.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이다.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염(念)하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에 이르게 해 준다고 전한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14)
겨신:계신. 겨시-[在]+ㄴ(관형사형어미).
주015)
구리니:굴이니. 굴(窟)+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16)
그 굴:그 굴의. 그[其](관형사)#굴[窟](명사).
주017)
안면에:안쪽에는. 안면[裡面]+에(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주018)
무수불(無量壽佛):서방 정토(淨土) 극락세계에 살면서 중생을 위해 자비를 베푸는 부처로서 아미타불(阿彌陀佛), 또는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고도 부른다.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중요한 부처 중 하나이다.
주019)
년ᄭᅩ:연꽃을. 년[蓮]+ㅅ(사잇소리)#곶[花]+ᄋᆞᆯ(목적격조사).
주020)
티:한결같이. ᄒᆞᆫᄀᆞᆯᄀᆞ티[一化](부사).
주021)
픠웟시니:피우고 있으시더니. 프-[發]+ㅣ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잇-[在]+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회상법 선어말어미 ‘-더-’ 앞에 어간 ‘잇-’의 끝소리 ‘ㅅ’을 거듭 적었다.
주022)
덕(師德)이라:사덕(師德)이라. 덕(師德)+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023)
:하는. ᄒ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24)
쥬ᇰ이:중이. 승려가. 비구(比丘)가. 쥬ᇰ[僧]+이(주격조사). 중세국어 당시의 책들에는 ‘쥬ᇰ’은 ‘비구(比丘)’라 하고, ‘승(僧)’은 ‘비구니(比丘尼)’라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주025)
댜ᇰ(長命)을:장명(長命)을. 장수(長壽)를. 댜ᇰ(長命)+을(목적격조사).
주026)
구(求)야:구(求)하여. 바라서. 구(求)ᄒᆞ-+야(연결어미).
주027)
가:가서. 가-[行]+아(연결어미).
주028)
도(道行)을:도행(道行)을. 도(道行)+을(목적격조사).
주029)
닷다가:닦다가. 다ᇧ-[修]+다가(연결어미).
주030)
보온대:뵈오니. 뵌즉. 보-[見]+ᄋᆞ오(겸양법 선어말어미)+ㄴ대(연결어미). ‘-ᄋᆞ온ᄃᆡ’는 ‘-ᅀᆞᇦ+ᄋᆞᆫ대’의 후대형이다.
주031)
부톄: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여기서는 무량수불을 가리킨다.
주032)
니샤:이르시되. 니ᄅᆞ-[言]+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33)
네:네가. 너[汝]+ㅣ(주격조사).
주034)
대비보살(大悲菩薩):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이므로 관세음보살을 지칭하는 말이다.
주035)
닷사:닦아야. 다ᇧ-[修]+아(연결어미)+사(보조사).
주036)
올니라:옳으니라. 옳-[可]+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7)
야시:하시거늘. 하시니. ᄒ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야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어미 ‘-야ᄂᆞᆯ’ 사이에 ‘-시-’가 끼어들어가 있다.
주038)
그 쥬ᇰ이:그 비구가. 그[其](지시관형사)#쥬ᇰ[比丘]+이(주격조사).
주039)
부텻:부처께. 부텨[佛]+ᄭᅴ(부사격조사). 체언과 조사 사이에 ‘ㅅ’을 거듭 적었다.
주040)
소아:사뢰어. ᄉᆞᆲ-[白]+ᄉ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ᄉᆞᇦ아〉ᄉᆞᄫᅡ〉ᄉᆞ와’. ‘ᄉᆞᆲ-’은 ‘니ᄅᆞ-’의 존대 보충어인데 거기에 다시 겸양법이 실현되었다.
주041)
닐오:이르되. 니ᄅᆞ-[言]+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42)
엇:어떠한. 엇더ᄒᆞ-[何]+ㄴ(관형사형어미).
주043)
고ᇰ(功能)을:공능(功能)을. 고ᇰ(功能)+을(목적격조사). ‘공능’은 공적과 재능을 이른다.
주044)
두엔닛:두었습니까. 두-[果]+어(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닛고(‘ᄒᆞ쇼셔’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이 책에는 청자존대 선어말어미 ‘-ᅌᅵ-’가 쓰이지 않았고, 불연속 의문형어미 ‘니고’사이에 ‘ㅅ’이 끼어들었다. 결과적으로 ‘하쇼셔’체와 ‘ᄒᆞ야쎠’체가 동일 형태로 실현된 것이다.
주045)
야:하거늘. ᄒᆞ-+야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주046)
오마니반몌훔(唵嘛呢叭𡁠吽):옴마니반몌훔(唵嘛呢叭𡁠吽)이라고 하는. ‘-ᄒᆞᄂᆞᆫ’은 ‘-ᄒᆞ-+ᄂᆞᆫ(관형사형어미)’으로 분석된다.
주047)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48)
시니라: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ᄒ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