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12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12


십바ᇰ국토애 ᄒᆞᆼ하사수에 유불국ᄒᆞ거든 ᄆᆡ일국듀ᇰ에 요ᇰ햐ᇰ화드ᇰ도과ᄒᆞ야 고ᇰ야ᇰᄒᆞ면 기고ᇰ야ᇰᄒᆞᆫ 복션공덕은 유비커니와 ᄎᆞ뉵ᄌᆞ신쥬의 고ᇰ덕은 무비ᄒᆞ니라
十方國土애 恒河沙數에 有佛國ᄒᆞ거든 每日國中에 用香花燈塗果ᄒᆞ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1ㄴ

供養ᄒᆞ면 其供養ᄒᆞᆫ 福善功德은 有比커니와 此六字神呪의 功德은 無比ᄒᆞ니라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십바ᇰ국토 주001)
시방국토(十方國土):
‘시방(十方)’은 불교에서 동(東), 서(西), 남(南), 북(北)의 사방(四方)과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의 사우(四隅) 및 상(上), 하(下)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시방국토(十方國土)’는 온 천지에 있는 나라의 땅을 가리킨다.
주002)
십방국토(十方國土)애:
시방국토(十方國土)에. 십방국토(十方國土)+애(부사격조사).
하사 주003)
항하사(恒河沙):
항하(恒河, 지금의 인도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無數), 무량(無量)의 대수(大數)를 비유하여 이른 말이다. 극(極)의 억(億) 곱절이면서 아승기(阿僧衹)의 1억분의 1이다.
수에 주004)
수(數)에(의):
수(數)의. 수(數)+의(관형격조사).
불국이 주005)
불국(佛國)이:
불국(佛國)이. 불국(佛國)+이(주격조사). ‘불국’은 부처님이 있으면서 교화하는 나라인 극락정토, 곧 부처님의 나라를 이른다.
잇거든 주006)
잇거든:
있거든. 있는데. 잇-[有]+거든(연결어미).
일 주007)
일(每日):
매일(每日).
국듀ᇰ에 주008)
국듀ᇰ(國中)에:
국중(國中)에. 나라 안에. 국듀ᇰ(國中)+에(부사격조사).
과 곳과 주009)
곳과:
꽃과. 곳[花]+과(접속조사).
드ᇰ도과 주010)
등도(燈塗)과(와):
등(燈)과 도(塗)와. 등도(燈塗)+와(접속조사). ‘도(塗)’는 바르는 향수(香水)를 이른다.
과실로 주011)
과실(果實)로:
과일로. 과실(果實)+로(부사격조사).
 주012)
공양(供養):
범어로 ‘pūjanā’이다.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으로 불·보살(佛菩薩)이나 스승, 부모, 죽은 이의 영혼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을 이른다. 본래는 신체적인 행위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약, 꽃, 차(茶), 등(燈), 향(香) 등의 재물뿐만 아니라, 공경심(恭敬心)과 신심(信心), 수행(修行)까지도 공양의 대상이 된다. 절에서는 식사 일반에까지 확대해서 쓰기도 한다.
면 주013)
(供養)면:
공양(供養)하면. (供養)-+면(종속적 연결어미).
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2ㄱ

주014)
(供養):
공양(供養)한. 공양(供養)ᄒᆞ-+ㄴ(관형사형어미).
복션 주015)
복션(福善):
남을 돕고 선행을 하는 일이다.
덕은 주016)
덕(功德)은:
덕(功德)은. 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가빌 주017)
가빌:
비유(譬喩)할 데. 가비-[譬喩]+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주격조사).
잇거니와 주018)
잇거니와:
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주019)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뉵신쥬의 주020)
뉵신쥬(六字神呪)의:
육자신주(六字神呪)의. 뉵신쥬(六字神呪)+의(관형격조사).
덕은 가빌  업니라 주021)
업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시방국토(十方國土)에 항하사(恒河沙) 수(數)의 불국(佛國)이 있는데, 매일 나라 안에 향(香)과 꽃과 등(燈)과 도(塗)와 과일로 공양하면, 그 공양(供養)한 복선(福善) 공덕(功德)은 비유(譬喩)할 데가 있거니와 이 육자신주(六字神呪)의 공덕(功德)은 비유할 데가 없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방국토(十方國土):‘시방(十方)’은 불교에서 동(東), 서(西), 남(南), 북(北)의 사방(四方)과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의 사우(四隅) 및 상(上), 하(下)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시방국토(十方國土)’는 온 천지에 있는 나라의 땅을 가리킨다.
주002)
십방국토(十方國土)애:시방국토(十方國土)에. 십방국토(十方國土)+애(부사격조사).
주003)
항하사(恒河沙):항하(恒河, 지금의 인도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無數), 무량(無量)의 대수(大數)를 비유하여 이른 말이다. 극(極)의 억(億) 곱절이면서 아승기(阿僧衹)의 1억분의 1이다.
주004)
수(數)에(의):수(數)의. 수(數)+의(관형격조사).
주005)
불국(佛國)이:불국(佛國)이. 불국(佛國)+이(주격조사). ‘불국’은 부처님이 있으면서 교화하는 나라인 극락정토, 곧 부처님의 나라를 이른다.
주006)
잇거든:있거든. 있는데. 잇-[有]+거든(연결어미).
주007)
일(每日):매일(每日).
주008)
국듀ᇰ(國中)에:국중(國中)에. 나라 안에. 국듀ᇰ(國中)+에(부사격조사).
주009)
곳과:꽃과. 곳[花]+과(접속조사).
주010)
등도(燈塗)과(와):등(燈)과 도(塗)와. 등도(燈塗)+와(접속조사). ‘도(塗)’는 바르는 향수(香水)를 이른다.
주011)
과실(果實)로:과일로. 과실(果實)+로(부사격조사).
주012)
공양(供養):범어로 ‘pūjanā’이다.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으로 불·보살(佛菩薩)이나 스승, 부모, 죽은 이의 영혼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을 이른다. 본래는 신체적인 행위만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정신적인 것까지도 포함하여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약, 꽃, 차(茶), 등(燈), 향(香) 등의 재물뿐만 아니라, 공경심(恭敬心)과 신심(信心), 수행(修行)까지도 공양의 대상이 된다. 절에서는 식사 일반에까지 확대해서 쓰기도 한다.
주013)
(供養)면:공양(供養)하면. (供養)-+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14)
(供養):공양(供養)한. 공양(供養)ᄒᆞ-+ㄴ(관형사형어미).
주015)
복션(福善):남을 돕고 선행을 하는 일이다.
주016)
덕(功德)은:덕(功德)은. 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주017)
가빌:비유(譬喩)할 데. 가비-[譬喩]+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주격조사).
주018)
잇거니와: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주019)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20)
뉵신쥬(六字神呪)의:육자신주(六字神呪)의. 뉵신쥬(六字神呪)+의(관형격조사).
주021)
업니라: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