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23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23


옴ᄌᆞ렴후셰득신단ᄂᆡ십디보살근젼셜법
마ᄌᆞ렴후셰득쳐ᇰ져ᇰ단ᄂᆡ십디보살근젼셜법
니ᄌᆞ렴후셰득고ᇰ덕단ᄂᆡ십디보살근젼셜법
반ᄌᆞ렴후셰득어단ᄂᆡ십디보살근젼셜법
몌ᄌᆞ렴후셰득작법단ᄂᆡ십디보살근젼셜법
훔ᄌᆞ렴후셰득의단ᄂᆡ십디보살근젼셜법
唵字念後世得身檀(壇)內十地菩薩根前說法
嘛字念後世得淸靜檀(壇)內十地菩薩根前說法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37ㄴ

呢字念後世得功德檀(壇)內十地菩薩根前說法
叭字念後世得語檀(壇)內十地菩薩根前說法
𡁠字念後世得作法檀(壇)內十地菩薩根前說法
吘字廉後世得意檀(壇)內十地菩薩根前說法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38ㄱ

옴
주001)
옴(唵字):
옴자(唵字)를. 옴(唵字)+(목적격조사).
렴면 주002)
렴(念)면:
염(念)하면. 렴(念)-+면(종속적 연결어미). ‘염(念)하-’는 진언(眞言)이나 불경 등을 외는 것이다.
후셰예 주003)
후셰(後世)예:
후세(後世)에. 후셰(後世)+예(부사격조사). ‘예’는 선행명사의 끝소리가 [i/j]일 때 실현되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신단 주004)
신단(神壇):
신(神)에게 제사를 올리기 위해 흙 등을 이용해서 주위보다 조금 높게 쌓아 올린 제단(祭壇)을 이른다.
주005)
ᄂᆡ(內):
내(內)의. 안의.
십디보살 주006)
십지보살(十地菩薩):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보살이다. 십성(十聖)이라고도 한다.
근젼 주007)
근전(根前):
근(根)은 기관보다 기능에 초점을 맞춘 인식기관이다. 곧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을 5색근(五色根)이라 하는데, 물질적 요소로 그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시적인 눈·귀·코·혀·몸을 말하는 부진근(扶塵根)과 눈에 보이지 않는 그것의 기능인 승의근(勝義根)으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근전(根前)은 10성(聖)의 인식 앞에서란 뜻으로 해석된다.
주008)
근전(根前)의:
근전(根前)에서. 근전(根前)+의(부사격조사).
셜법며 주009)
셜법(說法)며:
설법(說法)하며. 셜법(說法)-+며(대등적 연결어미). ‘설법(說法)’은 교법(敎法)을 말하여 남을 가르치는 일을 이른다.
맏 주010)
맏(嘛字):
마자(嘛字)를. 맏(嘛字)+(목적격조사). ‘마(嘛)’ 자(字)가 ‘맏’으로 표기된 것은 후행하는 ‘ᄌᆞ’의 ‘ㅈ’에 영향을 입은 혼철 표기이다.
렴면 쳥단 주011)
청정단(淸靜壇):
깨끗하고 고요한 제단을 이른다.
주012)
ᄂᆡ(內):
내(內)의. 안의.
십디보살 주013)
십지보살(十地菩薩):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보살이다. 십성(十聖)이라고도 한다.
근젼의 셜법며 닏 주014)
닏(呢字):
니자(呢字)를. 닏(呢字)+(목적격조사). ‘니(呢)’ 자(字)가 ‘닏’으로 표기된 것은 후행하는 글자 ‘ᄌᆞ’의 첫소리 ‘ㅈ’에 영향을 입은 혼철 표기이다.
렴면 공덕단 주015)
공덕단(功德壇):
착한 일을 많이 한 공덕(功德)으로 쌓아 올린 제단을 이른다.
주016)
ᄂᆡ(內):
내(內)의. 안의.
십디보살 주017)
십지보살(十地菩薩):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보살이다. 십성(十聖)이라고도 한다.
근젼의 셜법며 반 주018)
반(叭字):
반자(叭字)를. 반(叭字)+(목적격조사).
렴면 어단 주019)
어단(語壇):
말씀으로 쌓아 올린 제단을 이른다.
 십디보살 근젼의 셜법며 몓 주020)
몓(𡁠字):
몌자(𡁠字)를. 몓(𡁠字)+(목적격조사). ‘몌(𡁠)’ 자(字)가 ‘몓’으로 표기된 것은 후행하는 글자 ‘ᄌᆞ’의 첫소리 ‘ㅈ’에 영향을 입은 혼철 표기이다.
렴면 작법단 주021)
작법단(作法壇):
제를 올리기 위해 공양물(供養物)을 쌓아올린 제단을 이른다.
 십디보살 근젼의 셜법며 훔 주022)
훔(吘字):
훔자(吘字)를. 훔(吘字)+(목적격조사).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38ㄴ

렴면 의단 주023)
의단(意壇):
뜻으로 쌓아 올린 제단을 이른다.
 십디보살 근젼의 셜법호 주024)
셜법(說法)호:
설법(說法)함을. 설법(說法)하는 것을. 셜법(說法)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득리라 주025)
득(得)리라:
얻을 것이다. 득(得)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옴자(唵字)를 염(念)하면 후세(後世)에 신단(神壇) 내의 십지보살(十地菩薩) 근전(根前)에서 설법(說法)하며, 마자(嘛字)를 염하면 청정단(淸靜壇) 내의 십지보살 근전에서 설법하며, 니자(呢字)를 염하면 공덕단(功德壇) 내의 십지보살 근전에서 설법하며, 반자(叭字)를 염하면 어단(語壇) 내의 십지보살 근전에서 설법하며, 몌자(𡁠字)를 염하면 작법단(作法壇) 내의 십지보살 근전에서 설법(說法)하며, 훔자(吘字)ᄅᆞᆯ 염하면 의단(意壇) 내의 십지보살 근전에서 설법함을 얻을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옴(唵字):옴자(唵字)를. 옴(唵字)+(목적격조사).
주002)
렴(念)면:염(念)하면. 렴(念)-+면(종속적 연결어미). ‘염(念)하-’는 진언(眞言)이나 불경 등을 외는 것이다.
주003)
후셰(後世)예:후세(後世)에. 후셰(後世)+예(부사격조사). ‘예’는 선행명사의 끝소리가 [i/j]일 때 실현되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주004)
신단(神壇):신(神)에게 제사를 올리기 위해 흙 등을 이용해서 주위보다 조금 높게 쌓아 올린 제단(祭壇)을 이른다.
주005)
ᄂᆡ(內):내(內)의. 안의.
주006)
십지보살(十地菩薩):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보살이다. 십성(十聖)이라고도 한다.
주007)
근전(根前):근(根)은 기관보다 기능에 초점을 맞춘 인식기관이다. 곧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을 5색근(五色根)이라 하는데, 물질적 요소로 그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시적인 눈·귀·코·혀·몸을 말하는 부진근(扶塵根)과 눈에 보이지 않는 그것의 기능인 승의근(勝義根)으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근전(根前)은 10성(聖)의 인식 앞에서란 뜻으로 해석된다.
주008)
근전(根前)의:근전(根前)에서. 근전(根前)+의(부사격조사).
주009)
셜법(說法)며:설법(說法)하며. 셜법(說法)-+며(대등적 연결어미). ‘설법(說法)’은 교법(敎法)을 말하여 남을 가르치는 일을 이른다.
주010)
맏(嘛字):마자(嘛字)를. 맏(嘛字)+(목적격조사). ‘마(嘛)’ 자(字)가 ‘맏’으로 표기된 것은 후행하는 ‘ᄌᆞ’의 ‘ㅈ’에 영향을 입은 혼철 표기이다.
주011)
청정단(淸靜壇):깨끗하고 고요한 제단을 이른다.
주012)
ᄂᆡ(內):내(內)의. 안의.
주013)
십지보살(十地菩薩):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보살이다. 십성(十聖)이라고도 한다.
주014)
닏(呢字):니자(呢字)를. 닏(呢字)+(목적격조사). ‘니(呢)’ 자(字)가 ‘닏’으로 표기된 것은 후행하는 글자 ‘ᄌᆞ’의 첫소리 ‘ㅈ’에 영향을 입은 혼철 표기이다.
주015)
공덕단(功德壇):착한 일을 많이 한 공덕(功德)으로 쌓아 올린 제단을 이른다.
주016)
ᄂᆡ(內):내(內)의. 안의.
주017)
십지보살(十地菩薩):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보살이다. 십성(十聖)이라고도 한다.
주018)
반(叭字):반자(叭字)를. 반(叭字)+(목적격조사).
주019)
어단(語壇):말씀으로 쌓아 올린 제단을 이른다.
주020)
몓(𡁠字):몌자(𡁠字)를. 몓(𡁠字)+(목적격조사). ‘몌(𡁠)’ 자(字)가 ‘몓’으로 표기된 것은 후행하는 글자 ‘ᄌᆞ’의 첫소리 ‘ㅈ’에 영향을 입은 혼철 표기이다.
주021)
작법단(作法壇):제를 올리기 위해 공양물(供養物)을 쌓아올린 제단을 이른다.
주022)
훔(吘字):훔자(吘字)를. 훔(吘字)+(목적격조사).
주023)
의단(意壇):뜻으로 쌓아 올린 제단을 이른다.
주024)
셜법(說法)호:설법(說法)함을. 설법(說法)하는 것을. 셜법(說法)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025)
득(得)리라:얻을 것이다. 득(得)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