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14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14


렴일편ᄒᆞ면 션복이 스ᇰ여바ᇰᄉᆡᇰ일개ᄒᆞ고 젼심디렴일편ᄒᆞ면 멸오역죄ᄒᆞ고 일렴일ᄇᆡᆨ팔편ᄒᆞ면 블타삼도ᄒᆞ고 ᄆᆡ일디렴블졀ᄒᆞ면 필득치ᇰ견관음ᄒᆞ며 득디젼ᄉᆡᇰᄒᆞ며 디혜코 초ᇰ며ᇰᄒᆞ며 음셔ᇰ이 쳐ᇰ텰ᄒᆞ며 일쳬법문소ᄎᆔ쟈ᄅᆞᆯ 무블디ᄒᆡᄒᆞ며 ᄉᆞ대벼ᇰ토ᇰ이 블해어며ᇰᄒᆞ며 블ᄉᆡᇰ경포ᄒᆞ며 블티회ᇰᄉᆞᄒᆞ며 길샤ᇰ여의ᄒᆞ야 죄업쇼멸ᄒᆞ며 마쟈ᇰ블ᄉᆡᇰᄒᆞ며 팔만ᄉᆞ쳔샤마이 블느ᇰ침근ᄒᆞ며 복긔즈ᇰ댜ᇰᄒᆞ며 셰셰ᄉᆡᇰ쳐의 관음ᄌᆞᄌᆡ블니ᄒᆞ실ᄉᆡ 쳔겁지듀ᇰ에 블타삼도ᄒᆞ리라 뉵ᄌᆞ신쥬의 고ᇰ덕이 무비ᄒᆞ니 비셜고ᇰ덕인댄 관음이십칠반법문ᄂᆡ예 현셜ᄒᆞ얀ᄂᆞ니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3ㄱ

念一遍ᄒᆞ면 善福이 勝如放生一箇ᄒᆞ고 專心持念一遍ᄒᆞ면 滅五逆罪ᄒᆞ고 日念一百八遍ᄒᆞ면 不墮三途ᄒᆞ고 每日持念不絶ᄒᆞ면 必得親見觀音ᄒᆞ며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3ㄴ

得知前生ᄒᆞ며 智慧코 聰明ᄒᆞ며 音聲이 淸澈ᄒᆞ며 一切法門所取者ᄅᆞᆯ 無不知解ᄒᆞ며 四大病痛이 不害於命ᄒᆞ며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4ㄱ

不生驚怖ᄒᆞ며 不致橫死ᄒᆞ며 吉祥如意ᄒᆞ야 罪業消滅ᄒᆞ며 魔障不生ᄒᆞ며 八萬四千邪魔이 不能侵近ᄒᆞ며 福氣增長ᄒᆞ며 世世生處의 觀音自在不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4ㄴ

離ᄒᆞ실ᄉᆡ 千劫之中에 不墮三塗(途)ᄒᆞ리라 六字神呪의 功德이 無比ᄒᆞ니 備說功德인댄 觀音二十七般法門內예 現說ᄒᆞ얀ᄂᆞ니라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5ㄱ

편을
주001)
 편을:
한 편(遍)을. ᄒᆞᆫ[一](관형사)#편(遍)+을(목적격조사).
렴 주002)
렴(念):
염(念)한. 염하면. 렴(念)ᄒᆞ-+ㄴ(관형사형어미). ‘염(念)하-’는 진언(眞言)이나 불경 등을 외는 것이다.
어딘 주003)
어딘:
어진. 선한. 어딜-[善]+ㄴ(관형사형어미).
보기 주004)
보기:
복(福)이. 복(福)+이(주격조사).
호미 주005)
(勝)호미:
승(勝)함이. 뛰어남이. 승(勝)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 주006)
(衆生):
짐승.
나 주007)
나:
하나. 뒤 음절의 초성이 앞 음절에 영향을 주어 중철 표기한 것이다.
살아 주008)
살아(와):
살려. 살오-[使生]+아(연결어미).
노홈과 주009)
노홈과:
놓음과. 놓-[放]+옴/움(명사형어미)+과(부사격조사).
며 주010)
며:
같으며. ᄀᆞᇀ-[如]+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을 주011)
을:
마음을. ᄆᆞᄋᆞᆷ[心]+을(목적격조사).
젼일히 주012)
젼일(專一)히:
오로지 한가지로. 하나로. 전일(專一)히. ‘전일(專一)’은 마음과 몸을 오로지 한 가지 일에만 쏟는 것을 이른다.
야 주013)
야:
하여. ᄒᆞ-+야(종속적 연결어미).
편을 디녀 주014)
디녀:
지니어. 지녀. 디니-[持]+어(연결어미).
렴면 주015)
렴(念)면:
염(念)하면. 렴(念)-+면(종속적 연결어미).
오역죄 주016)
오역죄(五逆罪):
불교에서 말하는 다섯 종류의 가장 무거운 범죄를 이른다. 오역죄를 범하면 반드시 무간지옥(無間地獄)의 고과(苦果)를 받는다고 하여 오무간업(五無間業)이라고도 한다. ➀살부(殺父):아버지를 죽이는 죄 ➁살모(殺母):어머니를 죽이는 죄 ➂살아라한(殺阿羅漢):아라한을 죽이거나 몸과 마음을 상하게 하는 죄 ➃파화합승(破和合僧):승가(僧伽)의 화합을 깨뜨리는 죄 ➄불신출혈(佛身出血):부처님 몸에 피를 내는 죄 등이다.
멸며 주017)
멸(滅)며:
멸(滅)하며. 없어지게 하며. 멸(滅)-+며(대등적 연결어미).
날로 주018)
날로:
날마다. 날로. 날[日]+로(부사파생접미사).
일팔편을 렴면 삼도 주019)
삼도(三途):
삼악도(三惡道). 중생이 악업(惡業)의 결과로 죽어서 가게 된다는 세 가지 괴로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를 이른다.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한다.
주020)
삼도(三途)애:
삼악도(三惡道)에. 삼도(三途)+애(부사격조사).
러디디 주021)
러디디:
떨어지지. ᄠᅥ러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22)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일에 주023)
일(每日)에:
매일(每日)에. 날마다. 일(每日)+에(부사격조사).
디녀 주024)
디녀:
지녀. 디니-[持]+어(연결어미).
렴호 주025)
렴(念)호:
염(念)함을. 렴(念)-+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그치디 주026)
그치디:
그치지. 그치-[絶]+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면 주027)
아니면:
아니하면. 아니ᄒᆞ-[不]+면(종속적 연결어미).
일히 주028)
일히:
반드시. 일뎌ᇰ히[必](부사).
관음 주029)
관음보살(觀音菩薩):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이다.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이다.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염(念)하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에 이르게 해 준다고 한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30)
관음(觀音)을:
관음보살(觀音菩薩)을. 관음(觀音)+을(목적격조사).
친히 주031)
친(親)히:
몸소. 친(親)히. 손수. 친(親)히(부사).
보오며 주032)
보오며:
뵈오며. 보-[見]+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젼 주033)
젼(前生):
전생(前生)의. ‘전생’은 삼생(三生)의 하나로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생애(生涯)를 이른다.
일을 주034)
일을:
일을. 일[事緣]+을(목적격조사).
알며 주035)
알며:
알며. 알-[知]+며(대등적 연결어미).
디혜롭고 주036)
디혜(智慧)롭고:
지혜(智慧)롭고. 디혜(智慧)롭-+고(대등적 연결어미).
초ᇰ며 주037)
총(聰明)며:
총명(聰明)하며. 총(聰明)-+며(대등적 연결어미).
음이 주038)
음(音聲)이:
음성(音聲)이. 목소리가. 음(音聲)+이(주격조사).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5ㄴ

조며
주039)
조며:
깨끗하며. 좋-[淸]+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일쳬 주040)
일쳬(一切):
일체(一切)의. 모두의. 일쳬(一切)+∅(관형격조사).
법문마다 주041)
법문(法門)마다:
법문(法門)마다. 법문(法門)+마다(보조사). ‘법문’은 부처님의 교법(敎法)이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보 주042)
보:
보는. 보-[見]+ᄂᆞᆫ(관형사형어미).
거ᄉᆞᆯ 주043)
거:
것을. 것(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아디 주044)
아디:
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홈 주045)
아니홈:
아니함이. 아니ᄒᆞ-[不]+옴/움(명사형어미).
업며 주046)
업며:
없으며. 없-[無]+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네 가지 주047)
네 가지:
네 가지의. 네[四](관형사)#가지[種]+∅(관형격조사).
큰 이 주048)
큰 (病)이:
큰 병(病)이. 큰[大]#벼ᇰ(病)+이(주격조사).
을 주049)
(命)을:
명(命)을. 목숨을. (命)+을(목적격조사).
해티 주050)
해(害)티:
해(害)하지. 해(害)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51)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대 주052)
사대(四大):
사대종(四大種)의 약칭. 물질세계를 구성하는 4대 원소. 곧 지(地), 수(水), 화(火), 풍(風) 등을 이른다.
이라 주053)
(病痛)이라:
병통(病痛)이라고. (病痛)+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 주054)
:
하는. ᄒᆞ-+ᄂᆞᆫ(관형사형어미).
마 주055)
마:
말은. 말[言]+ᄋᆞᆫ(보조사).
디대 주056)
지대(地大):
사대(四大)의 하나로 땅을 이른다.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워서 존재의 바탕이 된다고 한다.
주057)
디대(地大)과(와):
지대(地大)와. 디대(地大)+와(접속조사).
슈대 주058)
수대(水大):
사대(四大)의 하나로 물이다. 습성(濕性)으로 물체를 하나로 뭉치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059)
슈대(水大)과(와):
수대(水大)와. 슈대(水大)+와(접속조사).
화대 주060)
화대(火大):
사대(四大)의 하나로서, 따뜻한 속성으로 물체를 성숙시킨다고 한다.
주061)
화대(火大)과(와):
화대(火大)와. 화대(火大)+와(접속조사).
풍대 주062)
풍대(風大):
‘사대(四大)’의 하나로, 동작을 하게 만들고 움직이는 속성을 가졌다고 한다.
과 주063)
푸ᇰ대(風大)과(와):
풍대(風大)를. 푸ᇰ대(風大)+와(접속조사)+ᄅᆞᆯ(목적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여기서처럼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보조사나 격조사를 통합시켰다.
니니 주064)
니니:
이르니. 말하니. 니ᄅᆞ-[謂]+니(종속적 연결어미).
모매 주065)
모매:
몸에. 몸[身]. 몸[身]+애(부사격조사).
가핀 주066)
가핀(빈):
비유(譬喩)한. 가ᄌᆞᆯ비-[譬喩]+ㄴ(관형사형어미).
거시라 주067)
거시라:
것이다.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놀납고 주068)
놀납고:
놀랍고. 놀납-[驚]+고(대등적 연결어미).
저포 주069)
저포:
두려움을. 저프-[怖]+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내디 주070)
내디:
내지. 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 주071)
(橫死):
횡사(橫死)에. ‘횡사(橫死)’는 예기(豫期)치 못한 재앙으로 죽는 것을 이른다.
닐외디 주072)
닐외디:
이르게 하지. 닐외-[致]+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73)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어딜고 주074)
어딜고:
어질고. 선하고. 어딜-[吉]+고(대등적 연결어미).
셰로인 주075)
셰(셔)(祥瑞)로인:
상서(祥瑞)로운. 셔(祥瑞)로이-+ㄴ(관형사형어미).
일을 주076)
일을:
일을. 일[事]+을(목적격조사).
대로 주077)
대로:
뜻대로. ᄠᅳᆮ[意]+대로(보조사).
며 주078)
며:
하며. ᄒ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죄업 주079)
죄업(罪業):
몸, 입, 마음의 삼업(三業)으로 저지르는 죄악을 이른다.
주080)
죄업(罪業)이:
죄업(罪業)이. 죄업(罪業)+이(주격조사).
쇼멸며 주081)
쇼멸(消滅)며:
소멸(掃滅)하며. 쇼멸(消滅)-+며(대등적 연결어미). ‘소멸(消滅)’은 사라져 없어지는 것을 이른다.
마 주082)
마장(魔障):
일을 하는 도중에 예기치 못한 가운데 생긴 방해나 탈을 이른다.
주083)
마(魔障)이:
마장(魔障)이. 마(魔障)+이(주격조사).
나디 주084)
나디:
생기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팔만쳔 샤마 주085)
사마(邪魔):
수행에 방해가 되는 마귀를 이른다.
히 주086)
샤마(邪魔)히:
사마(邪魔)들이. 샤마(邪魔)+ㅎ(접미사)+이(주격조사).
히 주087)
히:
능(能)히. 느ᇰ(能)히(부사).
갓가이 와 주088)
갓가이 와:
가까이 와서. 갓가이[近](부사)#오-[來]+아(연결어미).
침노티 주089)
침노(侵擄)티:
침로(侵擄)하지. 침노(侵擄)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복의 주090)
복(福)의:
복(福)의. 복(福)+의(관형격조사).
긔온은 주091)
긔온(氣運)은:
기운(氣運)은. 긔온(氣運)+은(보조사). ‘기운(氣運)’은 사세(事勢)나 대세(大勢)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이른다.
더고 주092)
더고:
더하고. 더ᄋᆞ-[增]+고(대등적 연결어미).
길며 주093)
길며:
길며. 길-[長]+며(대등적 연결어미).
셰셰마다 주094)
셰셰(世世)마다:
세세(世世)마다. 대대로. 셰셰(世世)+마다(보조사).
사 주095)
사:
사는. 살-[生]+ᄂᆞᆫ(관형사형어미).
고대 주096)
고대:
곳에. 곧-[處]+애(부사격조사).
관음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26ㄱ

보살
주097)
관음보살(觀音菩薩):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여디 주098)
여디:
떠나지. 여의지. 여ᄒᆡ-[離]+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실 주099)
아니실:
아니하시므로. 아니ᄒᆞ-[不]+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
쳔겁 주100)
쳔겁(千劫):
천겁(千劫). ‘천겁(千劫)’은 아주 오랜 세월, 곧 영겁(永劫)을 이른다.
에 주101)
(中)에:
중(中)에. (中)+에(부사격조사).
삼도 주102)
삼도(三途):
삼악도(三惡道). 중생이 악업(惡業)의 결과로 죽어서 가게 된다는 세 가지 괴로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를 이른다.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한다.
주103)
삼도(三途)애:
삼악도(三惡道)에. 삼도(三途)+애(부사격조사).
러디디 주104)
러디디:
떨어지지. ᄠᅥ러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리라 주105)
아니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뉵신쥬의 주106)
뉵신쥬(六字神呪)의:
육자신주(六字神呪)의. 뉵신쥬(六字神呪)+의(관형격조사).
덕이 주107)
덕(功德)이:
공덕(功德)이. 덕(功德)+이(주격조사).
가빌 주108)
가빌:
비유할 데가. 가비-[譬喩]+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주격조사).
업니 주109)
업니:
없으니. 없-[無]+ᄋᆞ니(종속적 연결어미).
덕을 초 주110)
초:
갖추. 갖추어. ᄀᆞ초[備](부사).
닐올딘대 주111)
닐올딘대:
이를진댄. 니ᄅᆞ-[說]+오(선어말어미)+ㄹ딘대ᄂᆞᆫ(연결어미).
관음 주112)
관음(觀音):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스믈닐곱 가지 법문 주113)
법문(法門):
부처님의 교법(敎法)이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예 주114)
(內)예:
내(內)에. 안에. (內)+예(부사격조사).
번시 주115)
번시:
뚜렷이. 번ᄃᆞ시[現](부사).
릴엔니라 주116)
릴엔니라:
말한 것이다. 이른 것이다. 니ᄅᆞ-[說]+어(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잇-’의 끝소리가 후행하는 선어말어미 ‘-ᄂᆞ-’의 영향으로 비음화한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한 편(遍)을 염(念)하면 어진 복(福)의 승(勝)함이 짐승 하나를 살려 놓은 것과 같으며, 마음을 전일(專一)하게 하여 한 편을 지녀서 염하면 오역죄(五逆罪)를 멸하며, 날로 일백팔 편(遍)을 염하면 삼악도(三惡道)에 떨어지지 아니하며, 날마다 지녀 염(念)함을 그치지 아니하면, 반드시 관음보살(觀音菩薩)을 친히 뵈오며 전생(前生)의 일을 알며, 지혜롭고 총명하며 음성이 깨끗하며 일체의 법문(法門)마다 보는 것을 알지 아니함이 없으며, 네 가지 큰 병이 명(命)을 해(害)하지 아니하며,【사대 병통(病痛)이라고 하는 말은 지대(地大)와 수대(水大)와 화대(火大)와 풍대(風大)를 이르니 몸에 비유한 것이다.】 놀라움과 두려움을 내지 아니하며, 횡사(橫死)에 이르게 하지 아니하며, 어질고 상서(祥瑞)로운 일을 뜻대로 하며, 죄업(罪業)이 소멸하며, 마장(魔障)이 생기지 아니하며, 팔만사천의 사마(邪魔)들이 능히 가까이 와서 침노하지 아니하며, 복(福)의 기운은 더하고 길며, 세세(世世)마다 사는 곳에 관음보살(觀音菩薩)이 떠나지 아니하시므로 천겁(千劫) 중에는 삼악도(三惡道)에 떨어지지 아니할 것이다. 육자신주(六字神呪)의 공덕이 비유할 데가 없으니, 공덕을 갖추어 이를진댄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스물일곱 가지 법문(法門) 내에 뚜렷이 이른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편을:한 편(遍)을. ᄒᆞᆫ[一](관형사)#편(遍)+을(목적격조사).
주002)
렴(念):염(念)한. 염하면. 렴(念)ᄒᆞ-+ㄴ(관형사형어미). ‘염(念)하-’는 진언(眞言)이나 불경 등을 외는 것이다.
주003)
어딘:어진. 선한. 어딜-[善]+ㄴ(관형사형어미).
주004)
보기:복(福)이. 복(福)+이(주격조사).
주005)
(勝)호미:승(勝)함이. 뛰어남이. 승(勝)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6)
(衆生):짐승.
주007)
나:하나. 뒤 음절의 초성이 앞 음절에 영향을 주어 중철 표기한 것이다.
주008)
살아(와):살려. 살오-[使生]+아(연결어미).
주009)
노홈과:놓음과. 놓-[放]+옴/움(명사형어미)+과(부사격조사).
주010)
며:같으며. ᄀᆞᇀ-[如]+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1)
을:마음을. ᄆᆞᄋᆞᆷ[心]+을(목적격조사).
주012)
젼일(專一)히:오로지 한가지로. 하나로. 전일(專一)히. ‘전일(專一)’은 마음과 몸을 오로지 한 가지 일에만 쏟는 것을 이른다.
주013)
야:하여. ᄒᆞ-+야(종속적 연결어미).
주014)
디녀:지니어. 지녀. 디니-[持]+어(연결어미).
주015)
렴(念)면:염(念)하면. 렴(念)-+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16)
오역죄(五逆罪):불교에서 말하는 다섯 종류의 가장 무거운 범죄를 이른다. 오역죄를 범하면 반드시 무간지옥(無間地獄)의 고과(苦果)를 받는다고 하여 오무간업(五無間業)이라고도 한다. ➀살부(殺父):아버지를 죽이는 죄 ➁살모(殺母):어머니를 죽이는 죄 ➂살아라한(殺阿羅漢):아라한을 죽이거나 몸과 마음을 상하게 하는 죄 ➃파화합승(破和合僧):승가(僧伽)의 화합을 깨뜨리는 죄 ➄불신출혈(佛身出血):부처님 몸에 피를 내는 죄 등이다.
주017)
멸(滅)며:멸(滅)하며. 없어지게 하며. 멸(滅)-+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8)
날로:날마다. 날로. 날[日]+로(부사파생접미사).
주019)
삼도(三途):삼악도(三惡道). 중생이 악업(惡業)의 결과로 죽어서 가게 된다는 세 가지 괴로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를 이른다.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한다.
주020)
삼도(三途)애:삼악도(三惡道)에. 삼도(三途)+애(부사격조사).
주021)
러디디:떨어지지. ᄠᅥ러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2)
아니며: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3)
일(每日)에:매일(每日)에. 날마다. 일(每日)+에(부사격조사).
주024)
디녀:지녀. 디니-[持]+어(연결어미).
주025)
렴(念)호:염(念)함을. 렴(念)-+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026)
그치디:그치지. 그치-[絶]+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7)
아니면:아니하면. 아니ᄒᆞ-[不]+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28)
일히:반드시. 일뎌ᇰ히[必](부사).
주029)
관음보살(觀音菩薩):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보살이다. 미타삼존(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 보처(補處)이다. 중생이 괴로울 때 그의 이름을 염(念)하면 대자대비를 내리고 해탈에 이르게 해 준다고 한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30)
관음(觀音)을:관음보살(觀音菩薩)을. 관음(觀音)+을(목적격조사).
주031)
친(親)히:몸소. 친(親)히. 손수. 친(親)히(부사).
주032)
보오며:뵈오며. 보-[見]+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3)
젼(前生):전생(前生)의. ‘전생’은 삼생(三生)의 하나로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생애(生涯)를 이른다.
주034)
일을:일을. 일[事緣]+을(목적격조사).
주035)
알며:알며. 알-[知]+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6)
디혜(智慧)롭고:지혜(智慧)롭고. 디혜(智慧)롭-+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37)
총(聰明)며:총명(聰明)하며. 총(聰明)-+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8)
음(音聲)이:음성(音聲)이. 목소리가. 음(音聲)+이(주격조사).
주039)
조며:깨끗하며. 좋-[淸]+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40)
일쳬(一切):일체(一切)의. 모두의. 일쳬(一切)+∅(관형격조사).
주041)
법문(法門)마다:법문(法門)마다. 법문(法門)+마다(보조사). ‘법문’은 부처님의 교법(敎法)이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주042)
보:보는. 보-[見]+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43)
거:것을. 것(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주044)
아디: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45)
아니홈:아니함이. 아니ᄒᆞ-[不]+옴/움(명사형어미).
주046)
업며:없으며. 없-[無]+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47)
네 가지:네 가지의. 네[四](관형사)#가지[種]+∅(관형격조사).
주048)
큰 (病)이:큰 병(病)이. 큰[大]#벼ᇰ(病)+이(주격조사).
주049)
(命)을:명(命)을. 목숨을. (命)+을(목적격조사).
주050)
해(害)티:해(害)하지. 해(害)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51)
아니며: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52)
사대(四大):사대종(四大種)의 약칭. 물질세계를 구성하는 4대 원소. 곧 지(地), 수(水), 화(火), 풍(風) 등을 이른다.
주053)
(病痛)이라:병통(病痛)이라고. (病痛)+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054)
:하는. ᄒᆞ-+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55)
마:말은. 말[言]+ᄋᆞᆫ(보조사).
주056)
지대(地大):사대(四大)의 하나로 땅을 이른다.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워서 존재의 바탕이 된다고 한다.
주057)
디대(地大)과(와):지대(地大)와. 디대(地大)+와(접속조사).
주058)
수대(水大):사대(四大)의 하나로 물이다. 습성(濕性)으로 물체를 하나로 뭉치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059)
슈대(水大)과(와):수대(水大)와. 슈대(水大)+와(접속조사).
주060)
화대(火大):사대(四大)의 하나로서, 따뜻한 속성으로 물체를 성숙시킨다고 한다.
주061)
화대(火大)과(와):화대(火大)와. 화대(火大)+와(접속조사).
주062)
풍대(風大):‘사대(四大)’의 하나로, 동작을 하게 만들고 움직이는 속성을 가졌다고 한다.
주063)
푸ᇰ대(風大)과(와):풍대(風大)를. 푸ᇰ대(風大)+와(접속조사)+ᄅᆞᆯ(목적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여기서처럼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보조사나 격조사를 통합시켰다.
주064)
니니:이르니. 말하니. 니ᄅᆞ-[謂]+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65)
모매:몸에. 몸[身]. 몸[身]+애(부사격조사).
주066)
가핀(빈):비유(譬喩)한. 가ᄌᆞᆯ비-[譬喩]+ㄴ(관형사형어미).
주067)
거시라:것이다.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8)
놀납고:놀랍고. 놀납-[驚]+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69)
저포:두려움을. 저프-[怖]+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070)
내디:내지. 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1)
(橫死):횡사(橫死)에. ‘횡사(橫死)’는 예기(豫期)치 못한 재앙으로 죽는 것을 이른다.
주072)
닐외디:이르게 하지. 닐외-[致]+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3)
아니며: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74)
어딜고:어질고. 선하고. 어딜-[吉]+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75)
셰(셔)(祥瑞)로인:상서(祥瑞)로운. 셔(祥瑞)로이-+ㄴ(관형사형어미).
주076)
일을:일을. 일[事]+을(목적격조사).
주077)
대로:뜻대로. ᄠᅳᆮ[意]+대로(보조사).
주078)
며:하며. ᄒ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79)
죄업(罪業):몸, 입, 마음의 삼업(三業)으로 저지르는 죄악을 이른다.
주080)
죄업(罪業)이:죄업(罪業)이. 죄업(罪業)+이(주격조사).
주081)
쇼멸(消滅)며:소멸(掃滅)하며. 쇼멸(消滅)-+며(대등적 연결어미). ‘소멸(消滅)’은 사라져 없어지는 것을 이른다.
주082)
마장(魔障):일을 하는 도중에 예기치 못한 가운데 생긴 방해나 탈을 이른다.
주083)
마(魔障)이:마장(魔障)이. 마(魔障)+이(주격조사).
주084)
나디:생기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85)
사마(邪魔):수행에 방해가 되는 마귀를 이른다.
주086)
샤마(邪魔)히:사마(邪魔)들이. 샤마(邪魔)+ㅎ(접미사)+이(주격조사).
주087)
히:능(能)히. 느ᇰ(能)히(부사).
주088)
갓가이 와:가까이 와서. 갓가이[近](부사)#오-[來]+아(연결어미).
주089)
침노(侵擄)티:침로(侵擄)하지. 침노(侵擄)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90)
복(福)의:복(福)의. 복(福)+의(관형격조사).
주091)
긔온(氣運)은:기운(氣運)은. 긔온(氣運)+은(보조사). ‘기운(氣運)’은 사세(事勢)나 대세(大勢)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이른다.
주092)
더고:더하고. 더ᄋᆞ-[增]+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93)
길며:길며. 길-[長]+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94)
셰셰(世世)마다:세세(世世)마다. 대대로. 셰셰(世世)+마다(보조사).
주095)
사:사는. 살-[生]+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96)
고대:곳에. 곧-[處]+애(부사격조사).
주097)
관음보살(觀音菩薩):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또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고도 한다.
주098)
여디:떠나지. 여의지. 여ᄒᆡ-[離]+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99)
아니실:아니하시므로. 아니ᄒᆞ-[不]+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
주100)
쳔겁(千劫):천겁(千劫). ‘천겁(千劫)’은 아주 오랜 세월, 곧 영겁(永劫)을 이른다.
주101)
(中)에:중(中)에. (中)+에(부사격조사).
주102)
삼도(三途):삼악도(三惡道). 중생이 악업(惡業)의 결과로 죽어서 가게 된다는 세 가지 괴로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를 이른다.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한다.
주103)
삼도(三途)애:삼악도(三惡道)에. 삼도(三途)+애(부사격조사).
주104)
러디디:떨어지지. ᄠᅥ러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05)
아니리라:아니할 것이다. 아니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06)
뉵신쥬(六字神呪)의:육자신주(六字神呪)의. 뉵신쥬(六字神呪)+의(관형격조사).
주107)
덕(功德)이:공덕(功德)이. 덕(功德)+이(주격조사).
주108)
가빌:비유할 데가. 가비-[譬喩]+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주격조사).
주109)
업니:없으니. 없-[無]+ᄋᆞ니(종속적 연결어미).
주110)
초:갖추. 갖추어. ᄀᆞ초[備](부사).
주111)
닐올딘대:이를진댄. 니ᄅᆞ-[說]+오(선어말어미)+ㄹ딘대ᄂᆞᆫ(연결어미).
주112)
관음(觀音):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주113)
법문(法門):부처님의 교법(敎法)이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주114)
(內)예:내(內)에. 안에. (內)+예(부사격조사).
주115)
번시:뚜렷이. 번ᄃᆞ시[現](부사).
주116)
릴엔니라:말한 것이다. 이른 것이다. 니ᄅᆞ-[說]+어(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잇-’의 끝소리가 후행하는 선어말어미 ‘-ᄂᆞ-’의 영향으로 비음화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