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08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08


셰간이 유여대바ᇰ일좌ᄒᆞ야 바ᇰ원일ᄇᆡᆨ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8ㄱ

유순 ᄂᆡ예 셔ᇰ바ᇰ지마포실호ᄃᆡ 유일블ᄉᆡᇰ블ᄉᆞ인이 조일겁과ᄒᆞ야사 거ᄎᆔ지마일닙ᄒᆞ야 여ᄎᆞᄎᆔ수은 유진커니와 ᄎᆞ신쥬의 고ᇰ덕은 무진ᄒᆞ니라
世間이 猶如大房一座ᄒᆞ야 方圓一百由旬 內예 盛放芝蔴蒲實호ᄃᆡ (或)有一不生不死人이 遭一劫過ᄒᆞ야사 去取芝蔴一粒ᄒᆞ야 如此取數은 有盡커니와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8ㄴ

此神呪의 功德은 無盡ᄒᆞ니라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셰간이 주001)
셰간(世間)이:
세간(世間)이. 세상(世上)이. 셰간(世間)+이(주격조사).
마치 주002)
마치:
마치. 마치[猶](부사).
큰  주003)
큰 (房):
큰 방(房)의. 크-[大]+ㄴ(관형사형어미)#바ᇰ(房)(명사).
 좌 주004)
 좌(座):
한 자리와. ᄒᆞᆫ[一]#좌(座)(명사).
여 주005)
여:
같아서. ᄀᆞᇀ-[如]+ᄋᆞ여(연결어미).
너(네)모나고 주006)
너(네)모나고:
네모나-[方]+고(대등적 연결어미).
두려온 주007)
두려온:
둥근. 두려ᇦ-[圓]+ᄋᆞᆫ(관형사형어미).
일 유슌 주008)
유순(由旬):
고대 인도의 거리 단위이다. 대유순 80리, 중유순 60리, 소유순 40리 등이다.
안해 주009)
안해:
안에. 안ㅎ[內]+애(부사격조사).
지최 주010)
지초(芝草)ㅣ:
지초(芝草)의 씨. 지초(芝草)+ㅣ(관형격조사)#[種](명사).
삼 주011)
삼 :
삼의 씨. 삼[藦]#ᄡᅵ[種](명사).
ᄑᆡ 주012)
ᄑᆡ :
부들[香蒲]의 씨를. ᄌᆞᆯ피[香蒲]#ᄡᅵ[種]+ᄅᆞᆯ(목적격조사).
다락 주013)
다락:
담으락. 담았다가. 담-[盛]+ᄋᆞ락(연결어미).
내락 주014)
내락:
꺼내락. 꺼냈다가. 내-[放]+락(연결어미).
호 주015)
호:
하되. ᄒᆞ-+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호(혹)유 주016)
:
한. 어떤. ᄒᆞᆫ[一](관형사).
사디도 주017)
사디도:
살지도. 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도(보조사).
아니며 주018)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죽디도 주019)
죽디도:
죽지도. 죽-[死]+디(보조적 연결어미)+도(보조사).
아니 주020)
아니:
아니한. 아니ᄒᆞ-[不]+ㄴ(관형사형어미).
사이 주021)
사이: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주022)
겁(劫):
천지(天地)가 한번 개벽(開闢)한 때부터 다음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란 뜻으로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디내오 주023)
디내오:
지냄을. 디내-[過]+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만나사 주024)
만나사:
만나서야. 만나-[遭]+아(연결어미)+사(보조사).
지최 삼 나콤 주025)
나콤:
하나씩. ᄒᆞᆫ나ㅎ[一粒]+곰(접미사).
거락 주026)
거(去)락:
버리락. 거(去)ᄒᆞ-+락(연결어미).
락 주027)
(取)락:
취(取)하락. ᄎᆔ(取)ᄒᆞ-+락(연결어미).
야 주028)
야:
하여. ᄒᆞ-+야(연결어미).
이티 주029)
이 티:
이와 같이. 이[此](대명사)#ᄀᆞ티[如](부사).
혜아티몬(리믄) 주030)
혜아티몬(리믄):
헤아림은. 헤아리는 것은. 혜아리-[取]+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다 주031)
다:
다할. 다ᄋᆞ-[盡]+ㄹ(관형사형어미).
저기 주032)
저기:
적이. 때가. 적[時]+이(주격조사).
잇거니와 주033)
잇거니와:
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이 신쥬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9ㄱ

주034)
이 신쥬(神呪)의:
이 신주(神呪)의. 이[此](관형사)#신쥬(神呪)+의(관형격조사). ‘신주’는 신험(神驗)을 얻기 위하여 외우는 주문을 이른다. 신비한 주어(呪語)가 되므로 신주라고 한다.
고ᇰ덕은 주035)
고ᇰ덕(功德)은:
공덕(功德)은. 고ᇰ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다오미 주036)
다오미:
다함이. 다ᄋᆞ-[盡]+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니라 주037)
업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세간(世間)은 마치 큰 방(房)의 한 자리[座]와 같다. 네모나고 둥근 일백 유순(由旬) 안에 지초(芝草)의 씨, 삼[蔴]의 씨, 부들[香蒲]의 씨를 담았다가 꺼냈다가 하되, 혹 어떤 살지도 아니하며 죽지도 아니한 사람이 있어서[有] 한 겁(劫)의 지냄을 만나서야 (비로소) 지초(芝草)의 씨 삼[藦]의 씨를 하나씩 버리락 취하락 하여, 이와 같이 수(數)를 헤아리는 것은 다할 때가 있거니와 이 신주(神呪)의 공덕(功德)은 다함이 없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셰간(世間)이:세간(世間)이. 세상(世上)이. 셰간(世間)+이(주격조사).
주002)
마치:마치. 마치[猶](부사).
주003)
큰 (房):큰 방(房)의. 크-[大]+ㄴ(관형사형어미)#바ᇰ(房)(명사).
주004)
 좌(座):한 자리와. ᄒᆞᆫ[一]#좌(座)(명사).
주005)
여:같아서. ᄀᆞᇀ-[如]+ᄋᆞ여(연결어미).
주006)
너(네)모나고:네모나-[方]+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07)
두려온:둥근. 두려ᇦ-[圓]+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08)
유순(由旬):고대 인도의 거리 단위이다. 대유순 80리, 중유순 60리, 소유순 40리 등이다.
주009)
안해:안에. 안ㅎ[內]+애(부사격조사).
주010)
지초(芝草)ㅣ:지초(芝草)의 씨. 지초(芝草)+ㅣ(관형격조사)#[種](명사).
주011)
삼 :삼의 씨. 삼[藦]#ᄡᅵ[種](명사).
주012)
ᄑᆡ :부들[香蒲]의 씨를. ᄌᆞᆯ피[香蒲]#ᄡᅵ[種]+ᄅᆞᆯ(목적격조사).
주013)
다락:담으락. 담았다가. 담-[盛]+ᄋᆞ락(연결어미).
주014)
내락:꺼내락. 꺼냈다가. 내-[放]+락(연결어미).
주015)
호:하되. ᄒᆞ-+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16)
:한. 어떤. ᄒᆞᆫ[一](관형사).
주017)
사디도:살지도. 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도(보조사).
주018)
아니며: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9)
죽디도:죽지도. 죽-[死]+디(보조적 연결어미)+도(보조사).
주020)
아니:아니한. 아니ᄒᆞ-[不]+ㄴ(관형사형어미).
주021)
사이: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주022)
겁(劫):천지(天地)가 한번 개벽(開闢)한 때부터 다음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란 뜻으로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주023)
디내오:지냄을. 디내-[過]+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024)
만나사:만나서야. 만나-[遭]+아(연결어미)+사(보조사).
주025)
나콤:하나씩. ᄒᆞᆫ나ㅎ[一粒]+곰(접미사).
주026)
거(去)락:버리락. 거(去)ᄒᆞ-+락(연결어미).
주027)
(取)락:취(取)하락. ᄎᆔ(取)ᄒᆞ-+락(연결어미).
주028)
야:하여. ᄒᆞ-+야(연결어미).
주029)
이 티:이와 같이. 이[此](대명사)#ᄀᆞ티[如](부사).
주030)
혜아티몬(리믄):헤아림은. 헤아리는 것은. 혜아리-[取]+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031)
다:다할. 다ᄋᆞ-[盡]+ㄹ(관형사형어미).
주032)
저기:적이. 때가. 적[時]+이(주격조사).
주033)
잇거니와: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주034)
이 신쥬(神呪)의:이 신주(神呪)의. 이[此](관형사)#신쥬(神呪)+의(관형격조사). ‘신주’는 신험(神驗)을 얻기 위하여 외우는 주문을 이른다. 신비한 주어(呪語)가 되므로 신주라고 한다.
주035)
고ᇰ덕(功德)은:공덕(功德)은. 고ᇰ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주036)
다오미:다함이. 다ᄋᆞ-[盡]+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37)
업니라: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