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역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09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음보살육자대명왕신주 009


ᄉᆞ대신쥬ᄂᆡ예 션남ᄌᆞ션녀인이 슈ᄒᆡᇰ득도ᄒᆞ면 여ᄎᆞ고ᇰ느ᇰ은 유수커니와 ᄎᆞ쥬의 고ᇰ덕은 무수ᄒᆞ니라
四大神洲內예 善男子善女人이 修行得道ᄒᆞ면 如此功能은 有數커니와 此呪의 功德은 無數ᄒᆞ니라
Ⓒ 구결 | 세조 / 1560년(명종 15) 월 일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19ㄴ

대신쥬 예
주001)
대신쥬(四大神洲) ᄂᆡ(內)예:
사대신주(四大神洲) 안에서. 대신쥬(四大神洲)#ᄂᆡ(內)+예(부사격조사).
션남과 주002)
션남(善男子)과(와):
선남자(善男子)와. 션남(善男子)+와(접속조사). ‘선남자(善男子)’는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를 이른다.
션녀인괘 주003)
션녀인(善女人)괘:
선여인(善女人)이. 션녀인(善女人)+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여기에서처럼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시켰다. ‘선여인(善女人)’은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를 이른다.
실을 주004)
ᄒᆡᇰ실(行實)을:
행실(行實)을. ᄒᆡᇰ실(行實)+을(목적격조사). ‘행실’은 일상의 행동, 곧 품행을 이른다.
닷가 주005)
닷가:
닦아. 다ᇧ-[修]+아(연결어미).
도리 주006)
도리(道理):
도리(道理)를. 도리(道理)+ᄅᆞᆯ(목적격조사). ‘도리(道理)’는 사람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 길을 이른다.
득면 주007)
득(得)면:
얻으면. 득(得)하면. 득(得)-+면(종속적 연결어미).
이 주008)
이:
이와 같은. 이[此](대명사)#ᄀᆞᇀ-[如]+ᄋᆞᆫ(관형사형어미).
고ᇰ느ᇰ은 주009)
고ᇰ느ᇰ(功能)은:
공능(功能)은. 고ᇰ느ᇰ(功能)+은(보조사). ‘공능(功能)’은 공적과 재능을 이른다.
혜아티(리)미 주010)
혜아티(리)미:
헤아림이. 혜아리-+[數]+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잇거니와 주011)
잇거니와:
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이 쥬의 주012)
이 쥬(呪)의:
이 신주(神呪)의. 이[此](관형사)#쥬(呪)+의(관형격조사). ‘주(呪)’는 곧 신주(神呪)이다. ‘신주’는 신험(神驗)을 얻기 위하여 외우는 주문이다. 신비한 주어(呪語)가 되므로 신주라고 한다.
고ᇰ덕은 주013)
고ᇰ덕(功德)은:
공덕(功德)은. 고ᇰ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수이 주014)
수(數量)이:
수량(數量)이. 수(數量)+이(주격조사).
업니라 주015)
업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560년(명종 15) 월 일

사대신주(四大神洲) 안에서 선남자(善男子)와 선여인(善女人)이 행실을 닦아 도리를 얻으면, 이와 같은 공능(功能)은 헤아림이 있거니와 이 주(呪)의 공덕은 수량이 없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신쥬(四大神洲) ᄂᆡ(內)예:사대신주(四大神洲) 안에서. 대신쥬(四大神洲)#ᄂᆡ(內)+예(부사격조사).
주002)
션남(善男子)과(와):선남자(善男子)와. 션남(善男子)+와(접속조사). ‘선남자(善男子)’는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남자를 이른다.
주003)
션녀인(善女人)괘:선여인(善女人)이. 션녀인(善女人)+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여기에서처럼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시켰다. ‘선여인(善女人)’은 불법(佛法)을 믿고 선(善)을 닦는 여자를 이른다.
주004)
ᄒᆡᇰ실(行實)을:행실(行實)을. ᄒᆡᇰ실(行實)+을(목적격조사). ‘행실’은 일상의 행동, 곧 품행을 이른다.
주005)
닷가:닦아. 다ᇧ-[修]+아(연결어미).
주006)
도리(道理):도리(道理)를. 도리(道理)+ᄅᆞᆯ(목적격조사). ‘도리(道理)’는 사람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 길을 이른다.
주007)
득(得)면:얻으면. 득(得)하면. 득(得)-+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08)
이:이와 같은. 이[此](대명사)#ᄀᆞᇀ-[如]+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09)
고ᇰ느ᇰ(功能)은:공능(功能)은. 고ᇰ느ᇰ(功能)+은(보조사). ‘공능(功能)’은 공적과 재능을 이른다.
주010)
혜아티(리)미:헤아림이. 혜아리-+[數]+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1)
잇거니와:있거니와. 잇-[有]+거니와(연결어미).
주012)
이 쥬(呪)의:이 신주(神呪)의. 이[此](관형사)#쥬(呪)+의(관형격조사). ‘주(呪)’는 곧 신주(神呪)이다. ‘신주’는 신험(神驗)을 얻기 위하여 외우는 주문이다. 신비한 주어(呪語)가 되므로 신주라고 한다.
주013)
고ᇰ덕(功德)은:공덕(功德)은. 고ᇰ덕(功德)+은(보조사). ‘공덕’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이른다. 또는 현재나 미래에 행복을 가져 올 선행을 이르기도 한다.
주014)
수(數量)이:수량(數量)이. 수(數量)+이(주격조사).
주015)
업니라:없는 것이다. 없-[無]+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