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동녀권모전(童女勸母傳)
메뉴닫기 메뉴열기

동녀권모전(童女勸母傳)


童女勸母傳 주001)
동녀권모전(童女勸母傳):
어린 딸이 어머니에게 권하여 왕생한 이야기.
童女은 梁郡人也라 父子三人이 俱修西方호 唯母이 不修러니 女年이 十四라 死後七日애 却回啓母曰 兒은 徃西方호니 父兄

권념요록:28ㄱ

及己이 已有蓮花야 後當化生어니와 唯母이 獨無 兒이 今애 暫歸야 相報로라 至後야 母이 依兒敎야 日念彌陀니 四人이 盡得徃生安養矣리
Ⓒ 구결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동녀 군 사미라 아비 식과 세 사 주002)
아비와 식과 세 사:
이 부분의 표현은 정확하지 않다. 바로 아래에 ‘아비와 형과 나’라는 표현이 참고가 된다.
이 다 셔방을 닷고되 오직 어미 아니 닷더니 의 련이 주003)
련이:
나이가. ‘련’은 ‘년(年)’임.
열녜히라 주004)
열녜히라:
열넷이다. ‘열네헤(열넷에)’가 쓰일 자리임. 열+네ㅎ(ㅎ종성체언)+이+라.
주근 후 칠일애 도로 도라와 어믜게 와 주005)
와:
아뢰어. (-[白]+아)〉와. ‘와’의 ‘오’는 ‘ㅸ’이 변화한 것이다.
닐오  주006)
:
아이는. 저는. (兒)+(보조사). 1인칭 대명사가 쓰일 자리에 ‘(兒)’가 쓰임.
셔의 가시니 주007)
가시니:
갔으니. 가-[去]+아(연결어미)+이시/시-[有]+니. ‘-아시-’는 완료의 지속을 나타낸다.
아비와 주008)
형:
형(兄). 현대국어의 ‘형, 언니’를 통칭하는 것으로 보임.
나왜 주009)
나왜:
내가. 제가. 나(1인칭 대명사)+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마 련화의 이셔 후에 반기 화야 날여

권념요록:28ㄴ

니와
주010)
날여니와:
태어나려니와. 왕생하려니와.
오직 어미 호오사 주011)
호오사:
혼자. 오〉오아/오사〉호오사.
업 주012)
:
아이가. 제가. (兒)+ㅣ(주격조사).
이제 잠 와 서르 주013)
서르:
서로. 여기서는 ‘서르’가 쓰이지 않아야 바른 문장이다.
알외뇌다 주014)
알외뇌다:
아룁니다. 알외-++오/우+이(상대존대)+다.
야 후에 니르러 에미 의 치브터 날로 미타 렴니 녜(→네) 주015)
녜:
‘네[四]’의 오기(誤記)이다.
사이 다 안의 가 나 어드니라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동녀권모전(童女勸母傳)」
동녀(童女)는 양군(梁郡)의 사람이다. 아비와 자식 세 사람이 다 서방(西方)을 닦되, 오직 어머니가 아니 닦더니 딸의 나이가 열넷이라
(=열넷에)
죽은 후 칠일 만에 도로 돌아와 어머니에게 아뢰어 말했다. “아이는
(=저는)
서방에 갔으니 아버지와 형과 내가 이미 연꽃에 있어서 나중에 반드시 화생하여 날 것입니다. 〈그런데〉 오직 어머니 혼자 없으므로 아이가(제가) 이제 잠깐 와서 서로 아룁니다.”〈라고 하였다.〉 후에 이르러 어머니가 아이의 가르침에 의지하여 날마다 아미타불을 염하니, 네 사람이 다 안양(安養)에 가서 태어남을 얻었느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동녀권모전(童女勸母傳):어린 딸이 어머니에게 권하여 왕생한 이야기.
주002)
아비와 식과 세 사:이 부분의 표현은 정확하지 않다. 바로 아래에 ‘아비와 형과 나’라는 표현이 참고가 된다.
주003)
련이:나이가. ‘련’은 ‘년(年)’임.
주004)
열녜히라:열넷이다. ‘열네헤(열넷에)’가 쓰일 자리임. 열+네ㅎ(ㅎ종성체언)+이+라.
주005)
와:아뢰어. (-[白]+아)〉와. ‘와’의 ‘오’는 ‘ㅸ’이 변화한 것이다.
주006)
:아이는. 저는. (兒)+(보조사). 1인칭 대명사가 쓰일 자리에 ‘(兒)’가 쓰임.
주007)
가시니:갔으니. 가-[去]+아(연결어미)+이시/시-[有]+니. ‘-아시-’는 완료의 지속을 나타낸다.
주008)
형:형(兄). 현대국어의 ‘형, 언니’를 통칭하는 것으로 보임.
주009)
나왜:내가. 제가. 나(1인칭 대명사)+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주010)
날여니와:태어나려니와. 왕생하려니와.
주011)
호오사:혼자. 오〉오아/오사〉호오사.
주012)
:아이가. 제가. (兒)+ㅣ(주격조사).
주013)
서르:서로. 여기서는 ‘서르’가 쓰이지 않아야 바른 문장이다.
주014)
알외뇌다:아룁니다. 알외-++오/우+이(상대존대)+다.
주015)
녜:‘네[四]’의 오기(誤記)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