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정목경집번전(鄭牧卿執幡傳)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목경집번전(鄭牧卿執幡傳)


鄭牧卿執幡傳 주001)
정목경집번전(鄭牧卿執幡傳):
정목경이 깃발[幡]을 잡은 이야기.

권념요록:18ㄴ

唐信士鄭牧卿 주002)
정목경(鄭牧卿):
중국 당나라 때 거사(居士).
은 榮陽人也이라 擧家 주003)
거가(擧家):
전가(全家). 온 집안. 모든 가족.
奉佛야 母及姉妹이 同祈淨土러니 至開元二十一年야 因疾困篤거을 有醫人及同道者이 咸勸喩言호 且進魚肉야 以救羸軀 고 痊復之後애 修持淨戒호미 不亦可乎아
Ⓒ 구결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 적 신 주004)
신:
신사(信士). ‘신사(信士)’는 불교에서 우바새(優婆塞)를 이른다. ‘우바새(優婆塞)’는 범어로 ‘Upāska’라고 한다. 출가하지 않고 부처님의 제자가 된 남자를 말한다. 거사(居士) 또는 청신사(淸信士)라고도 한다.
목경은 영 사이라 오온 집이 주005)
오온 집이:
온 집이. 거가(擧家)를 언해한 말이다.
부쳐을 봉준야 주006)
부쳐을 봉준야:
부처님을 봉준(奉遵)하여. ‘봉준(奉遵)’은 받들어 따른다는 말이다.
어미와  누위와 아누위왜 주007)
누위와 아누위왜:
큰누이와 누이동생이.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주격조사를 통합하였다. ‘누위와 아누위’는 ‘姉妹’를 옮긴 말이다. 이 책보다 앞선 문헌에서는 ‘누위’를 ‘누의’라고 했다. ¶妹 아누의라〈월석 21:162〉.
가지로 졍토을 비더니 주008)
가지로 졍토을 비더니:
함께 정토(淨土)에서 나기를 빌더니.
원 이십일 련의 주009)
원 이십일 련의:
개원(開元) 이십일(二十一) 년(年)에. ‘의’는 처소부사격조사. ‘개원(開元)’은 당(唐)나라 현종조(玄宗朝)의 연호(年號)이다. 개원 21년은 서력(西曆) 기원(紀元)으로 733년이다.
니르러 주010)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병을 인야 주011)
병을 인야:
병(病)으로 인(因)하여.
곤호미 돗갑거을 주012)
곤호미 돗갑거을:
곤(困)함이 돈독하거늘. 고생이 심하거늘. 곤(困)-+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돗갑-[篤)]+거을/거늘(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권념요록:19ㄱ

의원 사과 주013)
의원 사과:
의원(醫院)의 사람과. 의원에서 일하는 사람과.
가지로 도리 주014)
가지로 도리:
함께 도리(道理)하는. ‘도리(道理)’는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길을 이른다.
사이 이셔 다 권야 알외여 닐오 주015)
알외여 닐오:
알리어 이르되. 알외-[喩]+어/여(종속적 연결어미) 니-[言]+오/우(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아직 고기을 나소아 주016)
나소아:
드리어. 진상(進上)하여. 나소-[進]+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앞선 시기에는 ‘나-’가 쓰였다. ¶舍利 몯 나리어다〈석상 23:54〉.
여윈 모 구왼(→완)고 주017)
여윈 모 구왼(→완)고:
여윈 몸을 구완(救援)하고. 여위-[羸]+ㄴ(관형사형어미) 몸-[軀]+(목적격조사).
됴 후에 주018)
됴 후에:
좋은 후(後)에. 좋아진 후(後)에.
졍계을 주019)
졍계을:
정계(淨戒)를. 정계(淨戒)를. ‘정계(淨戒)’는 부처님이 제정(制定)하신 청정(淸淨)한 계행(戒行)을 이른다.
닷가 디뇨미 주020)
닷가 디뇨미:
닦아 지님이. -[修]+아(연결어미) 디니-[持]+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올치 아니야 주021)
올치 아니야:
옳지 않으냐. 옳-[可]+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ㄴ야(‘라’체의 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정목경집번전(鄭牧卿執幡傳)」
당(唐)나라 때의 신사(信士) 정목경(鄭牧卿)은 영양(榮陽) 사람이다. 온 집안이 부처를 봉준(奉遵)하여 어머니와 또 큰누이와 누이동생이 함께 정토(淨土)에 나기를 빌더니, 개원(開元) 21년에 이르러 병(病)으로 인하여 곤(困)함이 심해졌다. 의원(醫院)인 사람과 또 함께 도리(道理)하는 사람이 있어 다 권(勸)하여 알려서 말하되, “아직(장차) 고기를 드려 여윈 몸을 구완(救援)하고, 좋아진 후에 정계(淨戒)를 닦아 지님이 또 옳지 않으냐?”〈라고 하였으나,〉

牧卿이 曰噫라 如此浮生이 縱因葷穢야 而得痊平이나 終歸磨滅리라 不奉佛禁고 而惜微命야 何爲오 確然不許고 遂嚴佛事야 手執幡脚과 香爐야 一心로 稱念阿彌陁佛야 復作是言호 丈夫이 一心不退야 願

권념요록:19ㄴ

生西方라고 奄然長徃니 異香充庭야 隣里共知며 舅氏夢애 寶池花敷커을 見牧卿이 合掌趨上니 時當五十九러라
Ⓒ 구결 | 미상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목경이 오 슬프다 이  데 이 주022)
이  데 이:
이와 같은 뜬 삶이. 이[此](지시대명사) -[如]+ㄴ(관형사형어미) 데-[浮]+ㄴ(관형사형어미) (生)+이(주격조사).
비륵 내 나 주023)
내 나:
냄새가 나는. 내[葷] 나-[臭]+(관형사형어미).
더러운 거슬 인야 병 됴호 어드나 주024)
병 됴호 어드나:
병(病)이 좋음을 얻으나. 병(病)이 좋아짐을 얻으나. ‘됴호 어드나’는 ‘둏-[痊]+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얻-[得]+으나(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매 라 멸호매 도라가리라 주025)
라 멸호매 도라가리라:
갈아 멸(滅)함에 돌아갈 것이다. ‘라 멸호매’는 ‘磨滅’을 옮긴 말이다. -[磨]+아(연결어미) 멸(滅)-+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도라가-[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부쳐 금계을 밧디 아니고 주026)
금계을 밧디 아니고:
금계(禁戒)를 받들지 아니하고. ‘금계(禁戒)’는 금지한 계율(戒律)이나 계법(戒法)을 이른다. ‘밧디’는 ‘밧-[奉]+디(보조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앞선 시기에는 ‘받-’이었으나 여기서는 ‘밧-’으로 적혔다. ¶奉은 바 씨라〈월석 서:13〉.
져근 을 주027)
져근 을:
적은 명(命)을. 짧은 목숨을. ‘져근’은 ‘젹-[微]+은(관형사형어미)’로 분석.
앗겨 엇뎌리오 주028)
앗겨 엇뎌리오:
아끼어 어찌하겠느냐. 앗기-[惜]+어(연결어미) 엇뎌-[何]+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라’체의 설명 의문형어미).
야 구디 허치 아니고 주029)
구디 허치 아니고:
굳이 허(許)하지 아니하고.
드듸여 불 싁싁기 야 주030)
불 싁싁기 야:
불사(佛事)를 장엄(莊嚴)하게 하여. ‘싁싁기’는 앞선 시기에 ‘싁싀기’로 쓰고, 후기에는 ‘싁싁이’를 썼으나 이 책에는 드물게도 ‘ㄱ’ 거듭 적기를 했다.
손애 번발와 향노 자바 주031)
번발와 향노 자바:
번(幡)의 발과 향로(香爐)를 잡아 : ‘번발’은 ‘번의 자루’를 이른다.
일심으로

권념요록:20ㄱ

아미타불을 일라 주032)
일라:
일컬어. 일-[稱]+아(연결어미).
렴야 주033)
렴야:
염(念)하여. ‘렴/념(念)다’는 불경(佛經)이나 진언(眞言) 등을 독송(讀誦)한다는 뜻이다.
 이 말을 지으되 뷔 주034)
뷔:
장부(丈夫)가. 부(丈夫)+ㅣ(주격조사).
일심으로 믈러나디 아니야 원야 셔의 가 랄나코 주035)
셔의 가 랄나코:
서방(西方)에 가서 나려고. ‘가 랄나코/날나코’는 ‘가-[往]+아(연결어미) 나-[生]+[ㄹ]첨가+라(의도형 종속적 연결어미) -+고(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서방(西方)’은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이른다. 서방정토(西方淨土)는 사바세계(裟婆世界)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佛國土)를 지나간 곳에 있다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이다.
믄득 기리 가니 주036)
기리 가니:
길이 가니. 길게 가니. 길-[長]+이(부사파생접미사) 가-[往]+니(설명·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여기서는 죽었다는 말이다.
긔이 향긔 희 주037)
희:
뜰에. ㅎ[庭]+의(처소부사격조사).
츙만야 이웃 히 다 알(고) 구씨의 의 주038)
구씨의 의:
구씨(舅氏)의 꿈에. ‘구씨(舅氏)’는 외삼촌을 이른다.
【고(→구)씨 외삼촌이라】 보 모싀 주039)
보 모싀:
보배의 못에. 보(寶貝)+ㅅ(관형격조사) 못[池]+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조사이지만 여기서는 처소부사격의 기능을 한다. 이 책에는 처소부사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를 많이 쓰고 있다.
곳 픠거을 주040)
곳 픠거을:
꽃이 피거늘. 고[花] 픠-[敷]+거늘/거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목경이 손바닥 마초고 주041)
손바닥 마초고:
손바닥을 맞추고. ‘合掌’을 옮긴 말이다.
나사 오로 보니 주042)
오로 보니:
오름을 보니. 올라가는 것을 보니. 오-[趨上]+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보-[見]+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시예 나히 주043)
시예 나히:
그때에 나이가. 시(時)+에/예(부사격조사) 나ㅎ[歲]+이(주격조사).
쉰아홉의 당얏더라 주044)
당얏더라:
당(當)하였더라. 되었더라.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목경(牧卿)이 말하되, “슬프다. 이와 같은 뜬 삶[生]이 비록 냄새 나는 더러운 것으로 인하여 병(病)이 좋아짐을 얻으나(=얻을지 몰라도) 마침내 갈려 없어짐에 돌아갈 것이다. 부처님의 금계(禁戒)를 받들지 아니하고 짧은 목숨[命]을 아끼어 어찌하겠느냐?”〈라고〉 하여 굳이 허락하지 아니하였다. 〈그리 하고는〉 드디어 불사(佛事)를 장엄하게 하여 손에 번(幡)의 발과 향로(香爐)를 잡아서 한 마음으로 아미타불(阿彌陀佛) 일컬어 염(念)하고, 또 이 말을 지었다. ‘장부(丈夫)가 일심(一心)으로 물러나지 아니하고 원(願)하여야 서방(西方)에 가서 나려(=나려오).’ 하고 문득 길게 가니(=죽으니), 기이한 향기(香氣)가 뜰에 충만하여 이웃 마을이 다 알고, 구씨(舅氏)의 꿈에【구씨는 외삼촌이다.】 보배의 못에서 꽃이 피었는데, 목경(牧卿)이 손바닥을 맞추[合掌]고 나서 올라가는 것을 보니(=보았는데) 그 때 나이 쉰아홉에 당하였더라.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정목경집번전(鄭牧卿執幡傳):정목경이 깃발[幡]을 잡은 이야기.
주002)
정목경(鄭牧卿):중국 당나라 때 거사(居士).
주003)
거가(擧家):전가(全家). 온 집안. 모든 가족.
주004)
신:신사(信士). ‘신사(信士)’는 불교에서 우바새(優婆塞)를 이른다. ‘우바새(優婆塞)’는 범어로 ‘Upāska’라고 한다. 출가하지 않고 부처님의 제자가 된 남자를 말한다. 거사(居士) 또는 청신사(淸信士)라고도 한다.
주005)
오온 집이:온 집이. 거가(擧家)를 언해한 말이다.
주006)
부쳐을 봉준야:부처님을 봉준(奉遵)하여. ‘봉준(奉遵)’은 받들어 따른다는 말이다.
주007)
누위와 아누위왜:큰누이와 누이동생이.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주격조사를 통합하였다. ‘누위와 아누위’는 ‘姉妹’를 옮긴 말이다. 이 책보다 앞선 문헌에서는 ‘누위’를 ‘누의’라고 했다. ¶妹 아누의라〈월석 21:162〉.
주008)
가지로 졍토을 비더니:함께 정토(淨土)에서 나기를 빌더니.
주009)
원 이십일 련의:개원(開元) 이십일(二十一) 년(年)에. ‘의’는 처소부사격조사. ‘개원(開元)’은 당(唐)나라 현종조(玄宗朝)의 연호(年號)이다. 개원 21년은 서력(西曆) 기원(紀元)으로 733년이다.
주010)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1)
병을 인야:병(病)으로 인(因)하여.
주012)
곤호미 돗갑거을:곤(困)함이 돈독하거늘. 고생이 심하거늘. 곤(困)-+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돗갑-[篤)]+거을/거늘(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3)
의원 사과:의원(醫院)의 사람과. 의원에서 일하는 사람과.
주014)
가지로 도리:함께 도리(道理)하는. ‘도리(道理)’는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길을 이른다.
주015)
알외여 닐오:알리어 이르되. 알외-[喩]+어/여(종속적 연결어미) 니-[言]+오/우(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6)
나소아:드리어. 진상(進上)하여. 나소-[進]+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앞선 시기에는 ‘나-’가 쓰였다. ¶舍利 몯 나리어다〈석상 23:54〉.
주017)
여윈 모 구왼(→완)고:여윈 몸을 구완(救援)하고. 여위-[羸]+ㄴ(관형사형어미) 몸-[軀]+(목적격조사).
주018)
됴 후에:좋은 후(後)에. 좋아진 후(後)에.
주019)
졍계을:정계(淨戒)를. 정계(淨戒)를. ‘정계(淨戒)’는 부처님이 제정(制定)하신 청정(淸淨)한 계행(戒行)을 이른다.
주020)
닷가 디뇨미:닦아 지님이. -[修]+아(연결어미) 디니-[持]+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1)
올치 아니야:옳지 않으냐. 옳-[可]+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ㄴ야(‘라’체의 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주022)
이  데 이:이와 같은 뜬 삶이. 이[此](지시대명사) -[如]+ㄴ(관형사형어미) 데-[浮]+ㄴ(관형사형어미) (生)+이(주격조사).
주023)
내 나:냄새가 나는. 내[葷] 나-[臭]+(관형사형어미).
주024)
병 됴호 어드나:병(病)이 좋음을 얻으나. 병(病)이 좋아짐을 얻으나. ‘됴호 어드나’는 ‘둏-[痊]+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얻-[得]+으나(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25)
라 멸호매 도라가리라:갈아 멸(滅)함에 돌아갈 것이다. ‘라 멸호매’는 ‘磨滅’을 옮긴 말이다. -[磨]+아(연결어미) 멸(滅)-+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도라가-[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6)
금계을 밧디 아니고:금계(禁戒)를 받들지 아니하고. ‘금계(禁戒)’는 금지한 계율(戒律)이나 계법(戒法)을 이른다. ‘밧디’는 ‘밧-[奉]+디(보조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앞선 시기에는 ‘받-’이었으나 여기서는 ‘밧-’으로 적혔다. ¶奉은 바 씨라〈월석 서:13〉.
주027)
져근 을:적은 명(命)을. 짧은 목숨을. ‘져근’은 ‘젹-[微]+은(관형사형어미)’로 분석.
주028)
앗겨 엇뎌리오:아끼어 어찌하겠느냐. 앗기-[惜]+어(연결어미) 엇뎌-[何]+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라’체의 설명 의문형어미).
주029)
구디 허치 아니고:굳이 허(許)하지 아니하고.
주030)
불 싁싁기 야:불사(佛事)를 장엄(莊嚴)하게 하여. ‘싁싁기’는 앞선 시기에 ‘싁싀기’로 쓰고, 후기에는 ‘싁싁이’를 썼으나 이 책에는 드물게도 ‘ㄱ’ 거듭 적기를 했다.
주031)
번발와 향노 자바:번(幡)의 발과 향로(香爐)를 잡아 : ‘번발’은 ‘번의 자루’를 이른다.
주032)
일라:일컬어. 일-[稱]+아(연결어미).
주033)
렴야:염(念)하여. ‘렴/념(念)다’는 불경(佛經)이나 진언(眞言) 등을 독송(讀誦)한다는 뜻이다.
주034)
뷔:장부(丈夫)가. 부(丈夫)+ㅣ(주격조사).
주035)
셔의 가 랄나코:서방(西方)에 가서 나려고. ‘가 랄나코/날나코’는 ‘가-[往]+아(연결어미) 나-[生]+[ㄹ]첨가+라(의도형 종속적 연결어미) -+고(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서방(西方)’은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이른다. 서방정토(西方淨土)는 사바세계(裟婆世界)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佛國土)를 지나간 곳에 있다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이다.
주036)
기리 가니:길이 가니. 길게 가니. 길-[長]+이(부사파생접미사) 가-[往]+니(설명·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여기서는 죽었다는 말이다.
주037)
희:뜰에. ㅎ[庭]+의(처소부사격조사).
주038)
구씨의 의:구씨(舅氏)의 꿈에. ‘구씨(舅氏)’는 외삼촌을 이른다.
주039)
보 모싀:보배의 못에. 보(寶貝)+ㅅ(관형격조사) 못[池]+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조사이지만 여기서는 처소부사격의 기능을 한다. 이 책에는 처소부사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를 많이 쓰고 있다.
주040)
곳 픠거을:꽃이 피거늘. 고[花] 픠-[敷]+거늘/거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41)
손바닥 마초고:손바닥을 맞추고. ‘合掌’을 옮긴 말이다.
주042)
오로 보니:오름을 보니. 올라가는 것을 보니. 오-[趨上]+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보-[見]+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43)
시예 나히:그때에 나이가. 시(時)+에/예(부사격조사) 나ㅎ[歲]+이(주격조사).
주044)
당얏더라:당(當)하였더라. 되었더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