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궐공측현보전(闕公則現報傳)
메뉴닫기 메뉴열기

궐공측현보전(闕公則現報傳)


권념요록:16ㄱ

闕公則現報傳 주001)
궐공측현보전(闕公則現報傳):
죽은 궐공측이 나타나 알린 이야기.
東晋闕公則은 遠公白蓮社中人이라 已亡커을 友人이 於東京白馬寺애 作忌日러니 林木殿宇이 皆作金色고 空中有聲云호 我是闕公則로니 所祈徃生極樂寶國을 今已遂矣읠이 故來相報로라고 言訖不現니라
Ⓒ 구결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동진 적 주002)
동진 적:
동진(東晋) 적. 동진(東晋) 때의.
궐공측은 주003)
궐공측은:
궐공측(闕公則)은. 궐공칙(闕公則)은, ‘則’ 자의 음을 관련 책마다 ‘칙’ 또는 ‘측’으로 다르게 쓰고 있다. 여기서는 전설모음화를 반영하지 않고, 언해문에 쓰인 ‘측’ 자를 그대로 쓰기로 한다.
원공 련샤 듕 주004)
원공 련샤 듕:
원공(遠公) 백련사(白蓮社) (모임) 중. ‘원공(遠公)’은 백련사(白蓮社) 결사(結社)를 주도하던 혜원(慧遠) 법사(法師)를 이른다. ‘백련사’는 백련화사(白蓮華社)라고도 한다. 중국 동진(東晋) 때 여산(廬山) 동림사에서 염불 수행을 하기 위해 설치한 결사(結社)이다. 중심이었던 혜원은 서기 390년 7월 28일 동림사의 반야대 아미타불 불상 앞에서 동지 123인과 함께 재회(齋會)를 베풀고, 향과 꽃을 올리고 일제히 정업(淨業)을 닦아 극락세계에 가서 나기를 기약하는 서원을 올렸다고 한다. 이로부터 20년간 산문을 나서지 않고 대중과 같이 고요히 염불만 했다고 전한다. 염불당 앞 못에 흰 빛 연꽃이 있었기 때문에 이름을 백련사라고 한다.
사이라 이믜 죽거을 벋사미 주005)
벋사미:
벋들이. 벋[友]#사[人]+이(주격조사). ‘ㅁ’을 거듭 적었다.
 마뎔의 가 긔일을 짓더니 주006)
긔일을 짓더니:
기일(忌日)을 짓더니. 기일(忌日)을 모시더니.
숨풀 나모와 주007)
숨풀 나모와 :
수풀 나무와. 숨/수풀[林] 나모[木]+와(접속조사).
뎐집들왜 주008)
뎐집들왜:
전각(殿閣)과 집들이. 뎐(殿)#집[堂宇]+들(복수 접미사)+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집들’은 여기서 당우(堂宇)를 이른다. ‘당우(堂宇)’는 큰 집과 작은 지들을 아울러 이른다.

권념요록:16ㄴ

다 금빗치 외여 주009)
다 금빗치 외여:
다 금빛이 되어. ‘금빗치’는 ‘金色’을 옮긴 말로 중철 표기이다.
허공 가온 소리 이셔 닐오 내 이 궐공측이로니 비러 주010)
비러:
빌어. 기도하여. 빌-[祈]+어(종속적 연결어미).
극락 보 나라희 가 나 주011)
보 나라희 가 나:
보배 나라에 가서 태어남을. 보배 나라ㅎ[國]+의(처소부사격조사) 가-[往]+아(종속적 연결어미) 나-[生]+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이제 이믜 일울 주012)
이믜 일울:
이미 이루므로. 이믜[已](부사) 일우-[遂]+ㄹ(이유·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그러모로 와 주013)
그러모로 와:
그러므로 와서. 그러모로[故](부사) 오-[來]+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서르 알외노라 주014)
서르 알외노라:
서로 알리노라. 서르[相](부사) 알외-[報]+(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 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고 말 매 주015)
말 매:
망을 마침에. 말[言] -[訖]+(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낟디 아니니라 주016)
낟디 아니니라:
나타나지 아니하니라. 낱-[現]+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궐공측현보전(闕公則現報傳)」
동진(東晋) 때의 궐공측(闕公則)은 원공(遠公, 慧遠法師)의 백련사(白蓮社) 〈모임〉 중의 〈한〉 사람이다. 이미 죽으니 벗들이 동경(東京) 백마사(白馬寺)에 가서 기일(忌日)을 모셨다. 〈그런데〉 수풀 나무와 전각(殿閣)과 당우(堂宇)들이 다 금빛이 되고 허공 가운데 소리가 있어서 이르되, “내가 이 궐공측(闕公則)이니, 빌어(기도하여) 극락 보배(寶貝) 나라에 가서 태어남을 이제 이미 이루었다. 그러므로 와서 서로 알리노라.” 하고, 말 마치자 나타나지 아니하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궐공측현보전(闕公則現報傳):죽은 궐공측이 나타나 알린 이야기.
주002)
동진 적:동진(東晋) 적. 동진(東晋) 때의.
주003)
궐공측은:궐공측(闕公則)은. 궐공칙(闕公則)은, ‘則’ 자의 음을 관련 책마다 ‘칙’ 또는 ‘측’으로 다르게 쓰고 있다. 여기서는 전설모음화를 반영하지 않고, 언해문에 쓰인 ‘측’ 자를 그대로 쓰기로 한다.
주004)
원공 련샤 듕:원공(遠公) 백련사(白蓮社) (모임) 중. ‘원공(遠公)’은 백련사(白蓮社) 결사(結社)를 주도하던 혜원(慧遠) 법사(法師)를 이른다. ‘백련사’는 백련화사(白蓮華社)라고도 한다. 중국 동진(東晋) 때 여산(廬山) 동림사에서 염불 수행을 하기 위해 설치한 결사(結社)이다. 중심이었던 혜원은 서기 390년 7월 28일 동림사의 반야대 아미타불 불상 앞에서 동지 123인과 함께 재회(齋會)를 베풀고, 향과 꽃을 올리고 일제히 정업(淨業)을 닦아 극락세계에 가서 나기를 기약하는 서원을 올렸다고 한다. 이로부터 20년간 산문을 나서지 않고 대중과 같이 고요히 염불만 했다고 전한다. 염불당 앞 못에 흰 빛 연꽃이 있었기 때문에 이름을 백련사라고 한다.
주005)
벋사미:벋들이. 벋[友]#사[人]+이(주격조사). ‘ㅁ’을 거듭 적었다.
주006)
긔일을 짓더니:기일(忌日)을 짓더니. 기일(忌日)을 모시더니.
주007)
숨풀 나모와 :수풀 나무와. 숨/수풀[林] 나모[木]+와(접속조사).
주008)
뎐집들왜:전각(殿閣)과 집들이. 뎐(殿)#집[堂宇]+들(복수 접미사)+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집들’은 여기서 당우(堂宇)를 이른다. ‘당우(堂宇)’는 큰 집과 작은 지들을 아울러 이른다.
주009)
다 금빗치 외여:다 금빛이 되어. ‘금빗치’는 ‘金色’을 옮긴 말로 중철 표기이다.
주010)
비러:빌어. 기도하여. 빌-[祈]+어(종속적 연결어미).
주011)
보 나라희 가 나:보배 나라에 가서 태어남을. 보배 나라ㅎ[國]+의(처소부사격조사) 가-[往]+아(종속적 연결어미) 나-[生]+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12)
이믜 일울:이미 이루므로. 이믜[已](부사) 일우-[遂]+ㄹ(이유·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3)
그러모로 와:그러므로 와서. 그러모로[故](부사) 오-[來]+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4)
서르 알외노라:서로 알리노라. 서르[相](부사) 알외-[報]+(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 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5)
말 매:망을 마침에. 말[言] -[訖]+(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016)
낟디 아니니라:나타나지 아니하니라. 낱-[現]+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