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방저권타왕생전(房翥勸他徃生傳)
메뉴닫기 메뉴열기

방저권타왕생전(房翥勸他徃生傳)


房翥勸他徃生傳 주001)
방저권타왕생전(房翥勸他徃生傳):
방저가 다른 사람에게 염불을 권하여 왕생한 이야기.
唐房翥은 京兆人也라 暴死야 至陰府야

권념요록:20ㄴ

見閻羅王대 王이 曰據案簿호니 君이 曾勸一老人念佛야 已生淨土케니 君承此福야 亦合生淨土 故로 來相見로라 翥曰先許金剛經萬卷야 巡禮五臺언뎡 未欲徃生로라 王이 曰誦經巡禮이 固爲好事나 不如早生淨土어니녀 王이 知意不可奪고 乃放還니라 以此知勸人修者이 非徒徃生라 又感動幽㝠也로다
Ⓒ 구결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당 적 방쟈 경됴 사이라 과리 주002)
과리:
급자기. 문득. 과리[暴](부사).
주거

권념요록:21ㄱ

부애 니르러
주003)
음부애 니르러:
음부(陰府)에 이르러. ‘음부’는 ‘명부(冥府)’를 이르고, ‘명부’는 사람이 죽어서 심판을 받는다는 저승의 법정(法廷)을 이른다. 곧 ‘명조(冥曹)’이다.
【음부 명부이라】 염나을 본대 주004)
본대:
본즉. 보니. 보-[見]+ㄴ즉(설명·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왕이 오디 안부 의거호니 주005)
안부 의거호니:
안부(安簿)에 의거(依據)하니.
안부 명간 글월셔인이라 주006)
안부 명간 글월셔인이라:
안부(安簿)는 명간(冥間)의 문서(文書)이니라. ‘명간’은 ‘명부(冥府)’를 이른다. ‘글월셔’는 우리 문자와 한자의 복합이다. 곧 ‘문서(文書)’를 옮긴 말이다. ‘인이라’는 ‘이니라’를 과도교정한 표현이다. ‘안부(安簿)’는 저승의 장부(帳簿)를 이른다.
그 일즉 주007)
그 일즉:
그대가 일찍이.
 늘근 사을 주008)
 늘근 사을:
한 늙은 사람을. 한 늙은 사람에게.
렴불 권야 이믜 토애 나게 니 그 이 복을 바다 주009)
그 이 복을 바다:
그대가 이 복(福)을 받아서.
토애 나미 맛당 주010)
토애 나미 맛당:
정토(淨土)에 태어나는 것이 마땅하므로.
그러모로 와 서르 보로라 주011)
서르 보로라:
서로 보노라. 서르[相](부사). ‘보로라’는 ‘보노라’의 다른 표기이다. 보-[見]+로라/노라(‘라’체의 1인칭 평서형 종결어미).
쟈이 오 주012)
쟈이 오:
방저(房翥)가 가로되.
몬져 금 일만 권을 허야 오 두로 절호미언 주013)
오 두로 절호미언:
오대(五臺)를 두루 절하고 다닐지언정. ‘오대(五臺)’는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주(大州) 오대현의 동북쪽에 있는 산(山)이다. 동(東), 서(西), 남(南), 북(北), 중(中)의 5봉(峰)이 높이 솟았고, 정상에는 나무가 없이 흙을 모아 놓은 대(臺)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절호미언졍’은 ‘절-+[拜]+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건뎡/언뎡(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이 구절은 ‘巡禮 五臺’를 옮긴 말이다.
코져 아니로라 주014)
코져 아니로라:
왕생(往生)하고자 아니합니다. 왕생(往生)-+고져(의도의 종속적 연결어미) 아니-[未]+로라/노라(‘라’체의 1인칭의 평서형 종결어미). 그러나 왕(王)에게 대답하는 말이므로 ‘쇼셔’체로 옮긴다.
왕이 오 을 외와 두로 례호미 주015)
두로 례호미:
두루 예(禮)를 표함이. ‘례호미’는 ‘례(禮)-+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두로 례호미’는 ‘巡禮’를 옮긴 말이다.
진실로 됴 일이나 어셔 토애 남만 디 몯호미녀 주016)
어셔 토애 남만 디 몯호미녀:
어서 정토(淨土)에 나는 것만 같지 못함이겠느냐. ‘몯호미녀’는 ‘몯-[不]+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녀(수사 의문형어미)’로 분석된다. ‘이녀’는 ‘-잇’에 계사 ‘이-’와 판정 의문형어미 ‘-녀’가 결합되어 반어법(反語法)의 수사의문문을 구성한다.
왕이

권념요록:21ㄴ

듸 아시디
주017)
듸 아시디:
뜻에 빼앗기지. [意]+의(부사격조사) 앗-[奪]+이(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 알고 이애 노하 보내니 주018)
이애 노하 보내니:
이에 놓아 보내니.
일로  권야 주019)
일로  권야:
이것으로써 남에게 권(勸)하여.
닷게  사이 주020)
닷게  사이:
닦게 한 사람이.
갓 주021)
갓:
한갓. 단지. 갓[徒](부사).
  아니라 주022)
  아니라:
왕생(往生) 할 뿐만 아니라.
유애 주023)
유애:
유명(幽冥)에. ‘유명(幽冥)’은 저승을 이른다.
감  알리로다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방저권타왕생전(房翥勸他徃生傳)」
당(唐)나라 때의 방저(房翥)는 경조(京兆) 사람이다. 갑자기 죽어서 음부(陰府)에 이르러【음부(陰府)는 명부(冥府)이다.】 염라대왕(閻羅大王)을 본즉 왕이 말하되, “안부(安簿)에 의거(依據)하니,【안부(安簿)는 명간(冥間)의 문서(文書)이니라.】 그대가 일찍이 한 늙은 사람에게 염불을 권하여 이미 정토(淨土)에 나게 하였다. 〈그러니〉 그대가 이 복(福)을 받아 또 정토에 태어남이 마땅하니라. 그러므로 와서 서로 보노라.”〈라고 하니,〉 방저(房翥)가 말하되, “먼저 금강경(金剛經) 일만 권을 허락하여 오대(五臺)에 두루 절을 함일지언정 왕생(往生)하고자 아니합니다.”〈라고 하므로,〉 왕(王)이 말하되, “경(經)을 외워 두루 예(禮)를 함이 진실로 좋은 일이나 어서 정토에 나는 것만 같지 못함이겠느냐?”〈라고 하였다.〉 왕(王)이 뜻에 빼앗기지 아니하는 것을 알고 이에 놓아 보내니, 이것으로써 남에게 권하여 닦게 한 사람이 단지 왕생할 뿐만 아니라, 유명(幽冥)에 감동한 줄을 알 것이도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방저권타왕생전(房翥勸他徃生傳):방저가 다른 사람에게 염불을 권하여 왕생한 이야기.
주002)
과리:급자기. 문득. 과리[暴](부사).
주003)
음부애 니르러:음부(陰府)에 이르러. ‘음부’는 ‘명부(冥府)’를 이르고, ‘명부’는 사람이 죽어서 심판을 받는다는 저승의 법정(法廷)을 이른다. 곧 ‘명조(冥曹)’이다.
주004)
본대:본즉. 보니. 보-[見]+ㄴ즉(설명·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5)
안부 의거호니:안부(安簿)에 의거(依據)하니.
주006)
안부 명간 글월셔인이라:안부(安簿)는 명간(冥間)의 문서(文書)이니라. ‘명간’은 ‘명부(冥府)’를 이른다. ‘글월셔’는 우리 문자와 한자의 복합이다. 곧 ‘문서(文書)’를 옮긴 말이다. ‘인이라’는 ‘이니라’를 과도교정한 표현이다. ‘안부(安簿)’는 저승의 장부(帳簿)를 이른다.
주007)
그 일즉:그대가 일찍이.
주008)
 늘근 사을:한 늙은 사람을. 한 늙은 사람에게.
주009)
그 이 복을 바다:그대가 이 복(福)을 받아서.
주010)
토애 나미 맛당:정토(淨土)에 태어나는 것이 마땅하므로.
주011)
서르 보로라:서로 보노라. 서르[相](부사). ‘보로라’는 ‘보노라’의 다른 표기이다. 보-[見]+로라/노라(‘라’체의 1인칭 평서형 종결어미).
주012)
쟈이 오:방저(房翥)가 가로되.
주013)
오 두로 절호미언:오대(五臺)를 두루 절하고 다닐지언정. ‘오대(五臺)’는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주(大州) 오대현의 동북쪽에 있는 산(山)이다. 동(東), 서(西), 남(南), 북(北), 중(中)의 5봉(峰)이 높이 솟았고, 정상에는 나무가 없이 흙을 모아 놓은 대(臺)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절호미언졍’은 ‘절-+[拜]+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건뎡/언뎡(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이 구절은 ‘巡禮 五臺’를 옮긴 말이다.
주014)
코져 아니로라:왕생(往生)하고자 아니합니다. 왕생(往生)-+고져(의도의 종속적 연결어미) 아니-[未]+로라/노라(‘라’체의 1인칭의 평서형 종결어미). 그러나 왕(王)에게 대답하는 말이므로 ‘쇼셔’체로 옮긴다.
주015)
두로 례호미:두루 예(禮)를 표함이. ‘례호미’는 ‘례(禮)-+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두로 례호미’는 ‘巡禮’를 옮긴 말이다.
주016)
어셔 토애 남만 디 몯호미녀:어서 정토(淨土)에 나는 것만 같지 못함이겠느냐. ‘몯호미녀’는 ‘몯-[不]+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녀(수사 의문형어미)’로 분석된다. ‘이녀’는 ‘-잇’에 계사 ‘이-’와 판정 의문형어미 ‘-녀’가 결합되어 반어법(反語法)의 수사의문문을 구성한다.
주017)
듸 아시디:뜻에 빼앗기지. [意]+의(부사격조사) 앗-[奪]+이(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8)
이애 노하 보내니:이에 놓아 보내니.
주019)
일로  권야:이것으로써 남에게 권(勸)하여.
주020)
닷게  사이:닦게 한 사람이.
주021)
갓:한갓. 단지. 갓[徒](부사).
주022)
  아니라:왕생(往生) 할 뿐만 아니라.
주023)
유애:유명(幽冥)에. ‘유명(幽冥)’은 저승을 이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