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오장왕견불전(烏長王見佛傳)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장왕견불전(烏長王見佛傳)


권념요록:17ㄱ

烏長王見佛傳 주001)
오장왕견불전(烏長王見佛傳):
오장국(烏長國) 임금이 부처를 본 이야기.
烏長國王이 萬機之暇애 謂群臣曰朕은 爲人主로 不免生老病死無常之苦니 六趣輪回애 誰分貴賤이리오 聞호니 西方佛國은 誓願棲神라고 於是애 日夜精勤야 念佛行道며 廣行布施야 利樂衆生며 每日애 設一百僧齋호 王與后妃이 親手行食며 時請名僧야 咨扣妙法야 三十餘年을 精專無替러니 一日宮中애 見彌陁佛니 西方聖

권념요록:17ㄴ

衆이 來迎祥瑞이 不一러라 端坐示滅니 神色怡悅러라
Ⓒ 구결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오국 와(→왕)이 만긔 여가애 주002)
만긔 여가애:
만기(萬機)한 여가(餘暇)에. ‘만기(萬機)’는 임금의 정무(政務)를 이른다.
【만긔 왕의 뎡법비라 주003)
뎡법비라:
정법(政法)이다. ‘정법(政法)’은 정무(政務)의 방법(方法)을 이른다.
모 신하려 오 주004)
모 신하려 오:
모든 신하(臣下)더러 가로되. 모[群](관형사) 신하(臣下)+려(여격조사) -[曰]+오/우(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려’는 ‘리-[與]’의 활용형이 화석화하여 조사가 된 것이다. ‘니-’ 또는 ‘치-’의 지배를 받는다.
짐은 주005)
짐은:
짐(朕)은. ‘은’은 보조사. ‘짐(朕)’은 임금이
사이 읏듬 외여 이쇼 주006)
사이 읏듬 외여 이쇼:
사람이 으뜸이 되어 있되. 사[人]+이(주격조사) 읏듬[主] 외-[爲]+어/여(보조적 연결어미) 이시-[有]+오/우(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사이’는 분철 표기를 했다.
와 로와 병과 와의 주007)
와 로와 병과 와의:
생(生)과 노(老)와 병(病)과 사(死)의. ‘과/와’는 접속조사.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관형격조사를 통합했다.
덛덛홈 업슨 곧을 주008)
덛덛홈 업슨 곧을:
떳떳함이 없는 것을. 덛덛-[常]+옴(명사형어미) 없-[無]+은(관형사형어미) 곧[所/苦]+을(목적격조사). ‘덛덛홈 업슨’은 ‘無常’을 옮긴 말이다.
몯 면니 륙예 주009)
륙예:
육취(六趣)에. ‘예’는 음절 부음 [j] 다음에 실현되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육취(六趣)’는 미혹(迷惑)한 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나아가는 곳을 6취(趣)로 나눈 것이다. 지옥취(地獄趣), 아귀취(餓鬼趣), 축생취(畜生趣), 아수라취(阿修羅趣), 인간취(人間趣), 천상취(天上趣) 등을 이른다.
구우러 횟도로매 주010)
구우러 횟도로매:
굴러서 빙 도는 것에. 구울-[輪轉]+어(연결어미) 횟돌-[回]+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구우러 횟도로매’는 ‘輪回’를 옮긴 말이다.
주011)
뤼:
누가. 누/루[誰]+ㅣ(주격조사).
귀와 쳔와 호리오 주012)
귀와 쳔와 호리오:
귀(貴)와 천(賤)을 나누겠느냐. 귀(貴)+와(접속조사) 쳔(賤)+와(접속조사)+(목적격조사) 호-[分]+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라’체의 설명 의문형어미).
들오니 주013)
들오니:
들으니. 듣-[聞]+으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셔방 불국은 주014)
셔방 불국은:
서방(西方)의 불국(佛國)은. ‘서방(西方)’은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이른다. 서방정토(西方淨土)는 사바세계(裟婆世界)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佛國土)를 지나간 곳에 있다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이다. ‘불국(佛國)’은 부처가 사는 나라인 극락(極樂) 정토(淨土)를 이른다.
셔원으로 주015)
셔원으로:
맹서원(盟誓願)으로.
 깃기 니라 주016)
 깃기 수니라:
마음을 기꺼이 쉬는 것이다. [神]+(목적격조사) -[喜]+이(부사파생접미사) 수/쉬-[棲]+(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고 이애 낫밤애 졍히 브즈런이 주017)
낫밤애 졍히 브즈런이:
낮과 밤에 정(精)히 부지런히. ‘낫밤’은 ‘낮과 밤’을 이른다. 분철했다. ‘정(精)히’는 ‘면밀하게’라고 하는 뜻이다.
야 부쳐 렴호모로 도 며 보시 러비 주018)
보시 러비:
보시(布施)를 널리. ‘러비’는 ‘너비’의 다른 표기이다. ‘보시(布施)’는 범어로 ‘Dāna’라고 한다. 자비심으로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돈이나 물건 등을 베푸는 일을 이른다.


권념요록:18ㄱ

야 중☐☐히 즐기게 며 일애 일 즁의 식을 펴되 주019)
식을 펴되:
재식(齋食)을 펴되. ‘재식(齋食)’은 부처님의 계율을 따라 신업(身業), 구업(口業), 의업(意業)을 삼가고 정오(正午) 전에 먹는 음식을 이른다.
왕이 후비와로 주020)
왕이 후비와로:
왕(王)이 후비(后妃)와 더불어.
친히 손소 바 며후비 왕의 겨집이라 주021)
후비 왕의 겨집이라:
후비(后妃)는 왕(王)의 아내이다.
시졀로 일훔난 주022)
시졀로 일훔난:
시절(時節)에 이름난. 때에 이름난.
즁을 쳥야 미묘 법을 무러 삼십나  주023)
삼십나 :
삼십여 해를. ‘나’은 ‘여(餘)’의 의미를 가진 접미사이다.
졍히 올외여 주024)
졍히 올외여:
자세히[精] 온전하게 하여. 졍-(精)+이(부사파생접미사) 올외-[專]+어/여(종속적 연결어미).
옴 업더니 주025)
옴 업더니:
갈음이 없더니. 바꿈이 없더니.
 날애 주026)
 날애:
초하룻날에.
궁즁애 미타불을 보니 주027)
궁즁애 미타불을 보니:
궁중(宮中)에서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보니.
셔방 셩즁이 주028)
셔방 셩즁이:
서방(西方)에 있는 성중(聖衆)이. ‘서방(西方)’은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이른다. ‘성중(聖衆)’은 모든 보살(菩薩)과 성자(聖者)를 이른다. 또는 아미타불과 보살, 성자들을 이른다.
와 맏 주029)
와 맏:
와서 맞은. 와서 맞이하게 되는. 오-[來]+아(종속적 연결어미) 맏-[迎]+(관형사형어미).
셰 나 아니리라 주030)
셰 나 아니리라:
상서(祥瑞)가 하나가 아닐 것이다. 셔(祥瑞)+ㅣ(주격조사) 나[一]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단졍히 안자 멸도 뵈니 주031)
멸도 뵈니:
멸도(滅度)를 보이니. 멸도(滅度)+(목적격조사) 보-[示]+ㅣ(사동접미사)+니(이유·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멸도(滅度)’는 나고 죽는 큰 환난(患難)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으로 열반(涅槃)을 옮긴 말이다.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를 이른다.
신긔 빋치 주032)
신긔 빋치:
신기(神奇)한 빛이.
이열더라 주033)
이열더라:
이열(怡悅)하더라. ‘이열(怡悅)-’는 기쁘고 즐겁다는 뜻이다.
이열은 고올시라 주034)
이열은 고올시라:
이열(怡悅)은 고운 것이다. -[麗]+(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오장왕견불전(烏長王見佛傳)」
오장국(烏長國)의 임금이 만기(萬機)한 여가(餘暇)에【만기는 왕의 정법(政法)이다.】 모든 신하더러 가로되, “짐은 사람이 으뜸이 되어 있되, 생(生)과 노(老)와 병(病)과 사(死)의 무상(無常)함이 없는 것을 못 면하니, 육취(六趣)에 굴러서 빙 도는 것에 누가 귀(貴)와 천(賤)을 나누겠느냐? 〈내가〉 들으니 서방(西方)의 불국(佛國)은 맹서원(盟誓願)으로 마음을 기꺼이 쉬느니라.” 하고, 이에 낮과 밤에 정(精)히 부지런히 하여 부처를 염하므로 도(道)를 행하며, 보시(布施)를 널리 행하여 중생들이 즐기게 하며, 매일 일백 승려의 재식(齋食)을 펴되, 임금이 후비(后妃)와 더불어 친히 손수 밥을 행하며,【후비는 임금의 아내이다.】 시절(時節)에 이름난 승려를 청하여 미묘(微妙)한 법을 물어 삼십여 해를 정(精)히 온전하게 하여 갈음이 없었다. 초하룻날에 궁중(宮中)에서 미타불(彌陀佛)을 보니 서방(西方)의 성중(聖衆)이 와서 맞이하게 되는 상서(祥瑞)가 하나가 아닐 것이다. 단정(端正)히 앉아 멸도(滅度)를 보이니 신기한 빛이 이열(怡悅)하였다.【이열(怡悅)은 고운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오장왕견불전(烏長王見佛傳):오장국(烏長國) 임금이 부처를 본 이야기.
주002)
만긔 여가애:만기(萬機)한 여가(餘暇)에. ‘만기(萬機)’는 임금의 정무(政務)를 이른다.
주003)
뎡법비라:정법(政法)이다. ‘정법(政法)’은 정무(政務)의 방법(方法)을 이른다.
주004)
모 신하려 오:모든 신하(臣下)더러 가로되. 모[群](관형사) 신하(臣下)+려(여격조사) -[曰]+오/우(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려’는 ‘리-[與]’의 활용형이 화석화하여 조사가 된 것이다. ‘니-’ 또는 ‘치-’의 지배를 받는다.
주005)
짐은:짐(朕)은. ‘은’은 보조사. ‘짐(朕)’은 임금이
주006)
사이 읏듬 외여 이쇼:사람이 으뜸이 되어 있되. 사[人]+이(주격조사) 읏듬[主] 외-[爲]+어/여(보조적 연결어미) 이시-[有]+오/우(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사이’는 분철 표기를 했다.
주007)
와 로와 병과 와의:생(生)과 노(老)와 병(病)과 사(死)의. ‘과/와’는 접속조사.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관형격조사를 통합했다.
주008)
덛덛홈 업슨 곧을:떳떳함이 없는 것을. 덛덛-[常]+옴(명사형어미) 없-[無]+은(관형사형어미) 곧[所/苦]+을(목적격조사). ‘덛덛홈 업슨’은 ‘無常’을 옮긴 말이다.
주009)
륙예:육취(六趣)에. ‘예’는 음절 부음 [j] 다음에 실현되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육취(六趣)’는 미혹(迷惑)한 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나아가는 곳을 6취(趣)로 나눈 것이다. 지옥취(地獄趣), 아귀취(餓鬼趣), 축생취(畜生趣), 아수라취(阿修羅趣), 인간취(人間趣), 천상취(天上趣) 등을 이른다.
주010)
구우러 횟도로매:굴러서 빙 도는 것에. 구울-[輪轉]+어(연결어미) 횟돌-[回]+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구우러 횟도로매’는 ‘輪回’를 옮긴 말이다.
주011)
뤼:누가. 누/루[誰]+ㅣ(주격조사).
주012)
귀와 쳔와 호리오:귀(貴)와 천(賤)을 나누겠느냐. 귀(貴)+와(접속조사) 쳔(賤)+와(접속조사)+(목적격조사) 호-[分]+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라’체의 설명 의문형어미).
주013)
들오니:들으니. 듣-[聞]+으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4)
셔방 불국은:서방(西方)의 불국(佛國)은. ‘서방(西方)’은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이른다. 서방정토(西方淨土)는 사바세계(裟婆世界)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국토(佛國土)를 지나간 곳에 있다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이다. ‘불국(佛國)’은 부처가 사는 나라인 극락(極樂) 정토(淨土)를 이른다.
주015)
셔원으로:맹서원(盟誓願)으로.
주016)
 깃기 수니라:마음을 기꺼이 쉬는 것이다. [神]+(목적격조사) -[喜]+이(부사파생접미사) 수/쉬-[棲]+(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7)
낫밤애 졍히 브즈런이:낮과 밤에 정(精)히 부지런히. ‘낫밤’은 ‘낮과 밤’을 이른다. 분철했다. ‘정(精)히’는 ‘면밀하게’라고 하는 뜻이다.
주018)
보시 러비:보시(布施)를 널리. ‘러비’는 ‘너비’의 다른 표기이다. ‘보시(布施)’는 범어로 ‘Dāna’라고 한다. 자비심으로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돈이나 물건 등을 베푸는 일을 이른다.
주019)
식을 펴되:재식(齋食)을 펴되. ‘재식(齋食)’은 부처님의 계율을 따라 신업(身業), 구업(口業), 의업(意業)을 삼가고 정오(正午) 전에 먹는 음식을 이른다.
주020)
왕이 후비와로:왕(王)이 후비(后妃)와 더불어.
주021)
후비 왕의 겨집이라:후비(后妃)는 왕(王)의 아내이다.
주022)
시졀로 일훔난:시절(時節)에 이름난. 때에 이름난.
주023)
삼십나 :삼십여 해를. ‘나’은 ‘여(餘)’의 의미를 가진 접미사이다.
주024)
졍히 올외여:자세히[精] 온전하게 하여. 졍-(精)+이(부사파생접미사) 올외-[專]+어/여(종속적 연결어미).
주025)
옴 업더니:갈음이 없더니. 바꿈이 없더니.
주026)
 날애:초하룻날에.
주027)
궁즁애 미타불을 보니:궁중(宮中)에서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보니.
주028)
셔방 셩즁이:서방(西方)에 있는 성중(聖衆)이. ‘서방(西方)’은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이른다. ‘성중(聖衆)’은 모든 보살(菩薩)과 성자(聖者)를 이른다. 또는 아미타불과 보살, 성자들을 이른다.
주029)
와 맏:와서 맞은. 와서 맞이하게 되는. 오-[來]+아(종속적 연결어미) 맏-[迎]+(관형사형어미).
주030)
셰 나 아니리라:상서(祥瑞)가 하나가 아닐 것이다. 셔(祥瑞)+ㅣ(주격조사) 나[一]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31)
멸도 뵈니:멸도(滅度)를 보이니. 멸도(滅度)+(목적격조사) 보-[示]+ㅣ(사동접미사)+니(이유·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멸도(滅度)’는 나고 죽는 큰 환난(患難)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으로 열반(涅槃)을 옮긴 말이다.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를 이른다.
주032)
신긔 빋치:신기(神奇)한 빛이.
주033)
이열더라:이열(怡悅)하더라. ‘이열(怡悅)-’는 기쁘고 즐겁다는 뜻이다.
주034)
이열은 고올시라:이열(怡悅)은 고운 것이다. -[麗]+(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