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역주 권념요록
  • 수문황후전(隋文皇后傳)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문황후전(隋文皇后傳)


隋文皇后傳 주001)
수문황후전(隋文皇后傳):
수나라 문제의 황후 이야기.
隋文帝后이 雖㞐王宮나 深厭女質야 常誦阿彌陁佛더니 至臨終時야 異香滿室야 從空而至어을 文帝이 問闍提三藏호 是何祥瑞오 答曰四方有佛샤 號이 阿彌陁시니 皇后이 業高샤 神生彼國로다 況聖敎分明

권념요록:22ㄱ

니 無致疑矣니라
Ⓒ 구결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슈 문뎨 주002)
슈 문뎨:
수(隋)나라 문제(文帝)의.
후이 주003)
후이:
후(后)가. 왕비(王妃)가. ‘이’는 주격조사.
후 왕이 비라 주004)
후 왕이 비라:
후(后)는 임금의 비(妃)이다.
비록 왕궁애 사나 주005)
왕궁애 사나:
왕궁(王宮)에 살지만. ‘사나’는 ‘살-[居]+나(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어간이 ‘사-’인 것은 ‘ㄴ’ 앞에서 ‘ㄹ’ 탈락을 보인 것이다.
녀의 모 주006)
녀의 모:
여자(女子)의 몸을.
기피 슬희여 주007)
기피 슬희여:
깊이 싫어하여. 깊-[深]+이(부사파생접미사) 슬희-[厭]+어(종속적 연결어미).
애 아미타불을 외오더니  시 주008)
 시:
명(命)을 마칠 때에. -[終]+(관형사형어미) 시(時).
님호매 니르러 주009)
님호매 니르러:
임(臨)함에 이르러. 님(臨)-+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니를-[至]+어(종속적 연결어미).
긔이 긔 집에 야 허공을 븓터 니르거 주010)
허공을 븓터 니르거:
허공을 따라 이르니. ‘브터 니르거’은 ‘븥-[從]+어(연결어미) 니를-[至]+거(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문뎨 샤뎨 삼려 무로되 주011)
무로되:
묻되. 묻-[問]+오되/우되(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이 엇던 셔오 주012)
이 엇던 셔오:
이것이 어떤 상서(祥瑞)인가. 이[是](지시대명사) 엇던[何](지시관형사) 상서(祥瑞)+고/오(의문보조사). ‘상서(祥瑞)’는 복되고 길한 조짐을 이른다.
답야 오 셔방의 부톄 겨샤 일후미 아미태시니 (→왕)휘 업이 노샤 주013)
황(→왕)휘 업이 노샤:
왕후(王后)께서 업(業)이 높으시어. 왕후(王后)+ㅣ(주격조사) 업(業)이 높-[高]+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신이 뎌 나라희 나미로쇠다 주014)
뎌 나라희 나미로쇠다:
저 나라에서 남이로소이다. 나라ㅎ[國]+의(처소부사격조사) 나-[生]+ㅁ(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돗/롯(감동법 선어말어미)+이다(‘쇼셔’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저 나라는 아미타불의 정토, 곧 서방 극락정토를 말한다.
며 인 치샤미 분명니 의심을 닐위미 주015)
의심을 닐위미:
의심을 이룸이. 의심(疑心)+을(목적격조사) 닐위-[致]+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권념요록:22ㄴ

업스니다 주016)
업스니다:
없습니다. 없-[無]+으니이다(‘쇼셔’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구례 화엄사 / 1637년(인조 15) 7월 1일

「수문황후전(隋文皇后傳)」
수(隋)나라 문제(文帝)의 후(后)가【후(后)는 임금의 비(妃)이다.】 비록 왕궁(王宮)에 살지만 여자의 몸을 깊이 싫어하여 언제나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외웠다. 명(命)을 마칠 때 임(臨)함에 이르러 기이(奇異)한 향기가 집에 가득하여 허공을 따라 이르렀다. 문제가 사제(闍提) 삼장(三藏)더러 묻되, “이것이 어떤 상서(祥瑞)인가?”〈라고 했다.〉 대답하여 말하되, “서방(西方)에 부처가 계시는데, 이름이 아미타(阿彌陀)이십니다. 왕후(王后)께서 업(業)이 높으시어 신령(神靈)이 저 나라(서방정토)에 나신 것입니다. 하물며 성인(聖人)의 가르치심이 분명하니 의심을 이룸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수문황후전(隋文皇后傳):수나라 문제의 황후 이야기.
주002)
슈 문뎨:수(隋)나라 문제(文帝)의.
주003)
후이:후(后)가. 왕비(王妃)가. ‘이’는 주격조사.
주004)
후 왕이 비라:후(后)는 임금의 비(妃)이다.
주005)
왕궁애 사나:왕궁(王宮)에 살지만. ‘사나’는 ‘살-[居]+나(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어간이 ‘사-’인 것은 ‘ㄴ’ 앞에서 ‘ㄹ’ 탈락을 보인 것이다.
주006)
녀의 모:여자(女子)의 몸을.
주007)
기피 슬희여:깊이 싫어하여. 깊-[深]+이(부사파생접미사) 슬희-[厭]+어(종속적 연결어미).
주008)
 시:명(命)을 마칠 때에. -[終]+(관형사형어미) 시(時).
주009)
님호매 니르러:임(臨)함에 이르러. 님(臨)-+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니를-[至]+어(종속적 연결어미).
주010)
허공을 븓터 니르거:허공을 따라 이르니. ‘브터 니르거’은 ‘븥-[從]+어(연결어미) 니를-[至]+거(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1)
무로되:묻되. 묻-[問]+오되/우되(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2)
이 엇던 셔오:이것이 어떤 상서(祥瑞)인가. 이[是](지시대명사) 엇던[何](지시관형사) 상서(祥瑞)+고/오(의문보조사). ‘상서(祥瑞)’는 복되고 길한 조짐을 이른다.
주013)
황(→왕)휘 업이 노샤:왕후(王后)께서 업(業)이 높으시어. 왕후(王后)+ㅣ(주격조사) 업(業)이 높-[高]+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4)
뎌 나라희 나미로쇠다:저 나라에서 남이로소이다. 나라ㅎ[國]+의(처소부사격조사) 나-[生]+ㅁ(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돗/롯(감동법 선어말어미)+이다(‘쇼셔’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저 나라는 아미타불의 정토, 곧 서방 극락정토를 말한다.
주015)
의심을 닐위미:의심을 이룸이. 의심(疑心)+을(목적격조사) 닐위-[致]+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6)
업스니다:없습니다. 없-[無]+으니이다(‘쇼셔’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