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3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3
  • 7. 배종(背腫)
메뉴닫기 메뉴열기

7. 배종(背腫)


背腫

구급간이방언해 권3:24ㄴ

宜服和劑方千金漏蘆湯五香連翹湯十宣散乳粉托裏散

의 난 긔
화졔 주001)
화졔:
중국 송나라 때 진사문(陳士文) 등이 지은 의서(醫書).
쳔금루로 주002)
쳔금루로: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오련효 주003)
오련효:
오향련교탕(五香連翹湯).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십션산 주004)
십션산:
십선산(十宣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분탁니산 주005)
분탁니산:
유분탁리산(乳粉托裏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과 머고미 맛니라

등에 난 종기
『화제방』에 나오는 천금누로탕과 오향련교탕과 십선산과 유분탁리산을 복용함이 마땅하다.

發背未成者不知頭在何處以濕紙搭上先乾處熱氣冲上是瘡頭也就於痕上炙如先疼痛炙卽不痛如先痒至痛爲度

구급간이방언해 권3:25ㄱ

브름 주006)
브름:
부스럼[腫].
이 의 나 몯 외야 부리 주007)
부리:
끄트머리. 가장자리. 여기서는 ‘부리’에 해당하는 원문이 ‘瘡頭’로 되어 있어 부스럼의 꼭지를 가리킨다.
아모 주008)
아모:
아모[某]+[處]. 아무데. 어디.
잇 주를 모거든 저즌 주009)
저즌:
젖-[濕]+-은(관형사형 어미). 젖은.
죠 우희 브텨 호 몬져  히 주010)
히:
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곳이.
부리니 그 우흘 라 주011)
라:
(뜸을) 뜨라.
다가 주012)
다가:
만일. 만약.
몬져 주013)
몬져:
먼저.
알거든 주014)
알거든:
아프거든.
면 즉재 알디 아니고 몬져 랍거든 주015)
랍거든:
랍-[痒]+-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가렵거든.
알록 라

부스럼이 등에 났지만 아직 크지 않아 〈부스럼의〉 꼭지가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거든 젖은 종이를 〈등의〉 위에 붙여 놓고는 먼저 마르는 곳이 그 꼭지이므로 그 위에 뜸을 떠라. 만약 먼저 아프거든 뜸을 뜨면 즉시 아프지 않을 것이며, 먼저 가렵거든 아플 정도가 되기까지 뜸을 떠라.

癰疽發背已潰未潰及諸毒腫 葀蔞根하랫 불휘 楡白皮느릅나못  거플 胡燕窠마 집 鼠坌土

구급간이방언해 권3:25ㄴ

쥐 몃낸  各等分爲末以女人月經衣겨지븨 월슈 무 것 水洗取汁和如泥封腫上乾卽易潰者四面封之已覺卽封從一日至五日令差

브르미 의 나 헤여디니와 주016)
헤여디니와:
헤여디-[潰]+-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헤어진 것과. ‘헤어지다’라는 동사는 살갗이 터져 갈라지거나 헐어 문드러짐을 뜻하는 말이다.
몯 헤여디니와 여러 가짓 모딘 주017)
모딘:
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나쁜.
브름이어든 하랫 주018)
하랫:
하눌타리[葀蔞]의. ‘하눌타리’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와 느릅나못 주019)
느릅나못:
느릅나무의. ‘느릅나무’는 부록의 <용어사전 id="">‘유백피’를 참조.
주020)
:
-[白]+-ㄴ(관형사형 어미). 흰.
거플 주021)
거플:
꺼풀. 껍질.
마 주022)
마:
마기[胡燕]+-(관형격 조사). 명매기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명매기집’을 참조.
집과 쥐 몃낸 주023)
몃낸:
면낸. 동사 ‘면내다’는 쥐나 개미 따위가 구멍을 뚫느라고 보드라운 가루 흙을 파 내어 놓는 것을 말한다.
과 게 화 주024)
화:
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라 겨지븨 주025)
겨지븨:
겨집[女]+-의(관형격 조사). 여자의. 아내의.
월슈 주026)
월슈:
월경수(月經水). 월경으로 나오는 피를 가리킨다.
에 라 티 야 브름 우

구급간이방언해 권3:26ㄱ

희 브텨 요 거든 라 라 헤여딘 브름이어든 면 주027)
면:
사면(四面).
에 브티고 라 브름이 긔특 주028)
긔특:
긔특(奇特)-+-(관형사형 어미). 기특한. 이상한. 신기한.
주를 주029)
주를:
줄(것, 의존 명사)+-을(목적격 조사). ~줄을. ~것을.
알어든 즉재 브티고 야 닷쇄 주030)
닷쇄:
닷새[五日].
만 면 됴리라

부스럼이 등에 나서 헐어 터진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 그 밖의 여러 가지의 악성 부스럼이거든 하눌타리 뿌리와 느릅나무의 흰 껍질과 명매기의 집과 쥐가 파내어 놓은 가루 흙을 똑같이 나누어 〈똑같은 분량으로〉 갈아서 여자의 월경 때 나오는 피에 진흙같이 개어서 부스럼 위에 붙여 매되 마르거든 다시 바꿔서 붙여라. 헐어 터진 부스럼이거든 네 면에 붙이고 매어라. 부스럼이 이상하다는 것을 알거든 즉시 붙이고 매어 닷새 정도 있으면 좋아질 것이다.

發背腫毒乳癰惡瘡用大黃 白芷구리댓 불휘 各四錢酒水各一鍾煎至一鍾服如惡心先飮生薑自然汁少許孕婦無服老弱量減或加甘草梔子지지  各一錢已成者瀉下膿血

구급간이방언해 권3:26ㄴ

읫 주031)
읫:
[背]+-읫(처소 관형격 조사). 등에 있는.
브름과 져젯 주032)
져젯:
졎[乳]+-엣(처소 관형격 조사). 젖에 있는.
브름과 모딘 브름이어든 대 주033)
대:
대(大黃)의. ‘대황’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와 구리댓 주034)
구리댓:
구릿대[白芷]의. ‘구릿대’는 부록의 <용어사전 id="">‘백지’를 참조.
불휘와 각 네 돈을 술와 믈와 각  애 주035)
애:
(鍾)+-애(처격 조사). 종지에.
달혀 주036)
달혀:
달여[煎].
 만 커든 주037)
커든:
-[爲]+-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하거든. 되거든. ‘거든’에서 ‘’모음이 탈락하고 ㅎ이 그 다음의 ㄱ과 합하여 ‘커든’이 되었다.
머그라 다가 안히 눅눅거든 몬져 앙 주038)
:
생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즛두드려 주039)
즛두드려:
즛-(접두사)+두드리-[打]+-어(연결 어미). 짓두드려.
주040)
:
(젖을) 짠.
즙을 져기 주041)
져기:
적이. 조금.
머고 아기 주042)
:
-[孕]+-ㄴ(관형사형 어미). 〈아기를〉 밴.
겨지비어든 먹디 말라 늘그니 주043)
늘그니:
늙-[老]+-은(관형사형 어미)+이(人, 의존 명사). 늙은이. 노인.
아 주044)
아:
아이[兒].
어든 짐쟉야 주045)
짐쟉야:
헤아려. 요량하여.
더러 주046)
더러:
덜-[減]+-어(연결 어미). 덜어. 줄여.
머그라  감초 주047)
감초: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지지 주048)
지지:
치자(梔子). 부록의 <용어사전 id="">‘치자’ 참조.
주049)
:
씨[種子].
와 각  돈을 더 드려 주050)
드려:
들-[入]+-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들이어. 넣어.
머그면 다 왼 주051)
왼:
외-[爲]+-ㄴ(관형사형 어미). 된.

구급간이방언해 권3:27ㄱ

브 고롬 주052)
고롬:
고름[膿].
과 피와 즈츼리라 주053)
즈츼리라:
즈츼-[瀉]+-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라(평서형 종결 어미). 지칠 것이다. 설사할 것이다. 쏟아질 것이다.

등에 난 부스럼과 젖에 난 부스럼과 악성 부스럼에는 대황의 뿌리와 구릿대의 뿌리 각각 너 돈을 술과 물 각각 한 종지를 합쳐 달여 한 종지 정도 되거든 먹어라. 만약 속이 느글느글하거든 먼저 생강을 짓두드려 짜낸 즙을 조금 먹되 아기 밴 여자는 먹지 말아라. 늙은이와 아이는 요량하여 양을 줄여 먹어라. 또 감초와 지지 씨 각각 한 돈을 더 넣어서 먹으면 다 커진 부스럼은 고름과 피가 나올 것이다.

大凡有背疽之人難於隱几但用菉豆十數斗作一大袋隱伏則自然心凉身體安穩得以靜心服藥將息也

의 브름 낸 사미 주054)
궤(几):
늙어서 벼슬을 그만두는 대신이나 중신에게 임금이 주던 물건이다. 앉아서 팔을 기대어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양편 끝은 조금 높고 가운데는 둥글게 우묵하고 모 가 없으며, 구멍이 있어 제면(綈綿)을 잡아 매었다.
지혀 주055)
지혀:
지혀-[依支]+-어(연결 어미). 의지하여. 지다〉지혀다.
이쇼미 주056)
이쇼미:
이시-[有]+-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있음이. 있는 것이.
어려우니 오직 록두 주057)
록두:
녹두(菉豆).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열두 주058)
열두:
열두어[十二三].
마 주059)
마:
말[斗]+-(목적격 조사). 말을.
쟐의 주060)
쟐의:
쟈[袋]+-의(처격 조사). 자루에. 명사 ‘쟈’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끝 모음 ‘’가 탈락하여 그 형태가 ‘쟐’로 교체되었다.
녀허 주061)
녀허:
녛-[入]+-어(연결 어미). 넣어.
업데여 주062)
업데여:
업데-[伏]+-어(연결 어미). 엎드려.
이시연[면] 주063)
이시면:
있으면.
연히 미 주064)
미:
[心]+-이(주격 조사). 마음이.
리니 주065)
리니:
-[淸]+-리-(미래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맑고 깨끗할 것이니.
모 주066)
모:
몸을.
편안히 야 잡 주067)
잡:
잡념. 잡생각.
업시 약

구급간이방언해 권3:27ㄴ

을 머거 됴리라 주068)
됴리라:
됴리(調理)-+-라(명령형 어미). 조리하여라. ‘조리하다’는 건강이 회복되도록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림을 뜻하는 말이다.

등에 부스럼이 난 사람이 궤에 의지하여 있는 것이 어려우니, 〈궤에 의지하지 말고〉 오직 녹두 열두어 말(斗)을 큰 자루에 넣어 이에 엎드려 있으면 자연스럽게 마음이 맑고 깨끗해질 것이니, 몸을 편안히 하여 잡념 없이 약을 먹고 조리하여라.

癰疽發背腫毒等瘡用小楡葉느릅나못 닙 有刺者洗淨不拘多少搗汁用黃丹調敷瘡上腫消爲度

의 난 브름과 모딘 브름이어든 효 주069)
효:
횩-[小]+-(관형사형 어미). 작은.
느릅나못 닙 가 주070)
가:
가[棘]+-∅(zero 주격 조사). 가시가.
잇닐 주071)
잇닐:
잇-[有]+-(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있는 것을.
조히 주072)
조히:
좋-[淨]+-이(부사 접미사). 깨끗이.
시서 주073)
시서:
씻어.
하나 져그나 주074)
하나 져그나:
많으나 적으나.
디허 주075)
디허:
찧어.
주076)
:
짜낸.
즙을 단 주077)
단: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애 섯거 브름 우희 브툐 주078)
브툐:
븥-[附着]+-이-(사동 접미사)+-오-(삽입 모음)+-(종속적 여결 어미). 붙이되.
스러디록 주079)
스러디록:
스러디-[消]+-록(부사형 어미). 사라지도록. 사라질 때까지.
라

등에 난 부스럼과 악성 부스럼이거든 작은 느릅나무의 잎 가시가 있는 것을 깨끗하게 씻어 많든 적든 간에 찧어서 짜낸 즙을 황단에 섞어 부스럼 위에 붙이되 사라질 때까지 하여라.

구급간이방언해 권3:28ㄱ

茜草곱도 불휘 焙乾爲末煎葱白湯팟 믿   글힌 믈 洗瘡將絹帛拭乾用香油기름 調塗立效

곱도 주080)
곱도:
꼭두서니[茜草]의. ‘꼭두서니’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  주081)
:
배롱(焙籠). 화로에 씌워 놓고 그 위에 젖은 기저귀나 옷을 얹어 말리도록 만든 기구로서 대오리를 휘어서 만들거나 좁은 쇠테로 만든다.
외야 주082)
외야:
-[乾]+-외-(사동 접미사)+-아(연결 어미). 말려서. 동사 어간 ‘-’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사동 접미사 앞에서 끝모음 ‘’가 탈락하여 어간이 ‘-’로 교체되었다.
라 팟 믿 주083)
팟믿:
파의 밑동.
  글힌 주084)
글힌:
끓인.
므레 달혀 브르믈 싯고 보라온 주085)
보라온:
보드라운.
헌거스로 주086)
헌거스로:
헝겊으로.
스서 주087)
스서:
슷-[拭]+-어(연결 어미). 닦아. 문질러.
거든 기르믈 주088)
기름:
참기름[香油].
면 주089)
면:
바르면[塗].
즉재 됴리라

꼭두서니의 뿌리를 배롱으로 말려서 갈아 파 밑동의 흰 부분을 끓인 물에 풀어서 달여 부스럼을 씻고 보드라운 헝겊으로 닦아 마르거든 참기름을 발라 주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癰腫發背乳房初起微赤用葀蔞하래 搗末井花水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믈 調方寸匕服

구급간이방언해 권3:28ㄴ

브르미 이어나 져제어나 주090)
져제어나:
졎[乳]+-에(처격 조사)+-거나(보조사). 젖에거나. 젖에 나거나.
처믜 주091)
처믜:
처[初]+-의(처격 조사). 처음에.
긔특야 간 블거거든 주092)
블거거든:
블거-[赤]+-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벌겋거든.
하래 주093)
하래:
하눌타리[葀蔞].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디 주094)
디:
찧은.
 주095)
:
가루를.
새배 주096)
새배:
새벽.
주097)
:
남[他人].
아니 기러셔 주098)
기러셔:
긷-[汲]+-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길어서. ‘긷다’는 ㄷ불규칙 활용 동사이므로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이 ‘긷-’에서 ‘길-’로 교체되었다.
몬져 주099)
몬져:
먼저.
기론 주100)
기론:
길-(汲, ㄷ불규칙동사)+∅(연결 어미 생략)+오[來]+ㄴ. 길어 온.
우믌므레 주101)
우믌므레:
우믈[井]+ㅅ(사이시옷)+믈[水]+-에(처격 조사). 우물물에.
술옴 주102)
술옴:
술[匙]+-곰(씩, 접미사). 숟갈씩. 접미사 ‘-곰’의 첫소리 ㄱ이 ㄹ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프러 주103)
프러:
풀어서[混合].
머그라

부스럼이 등에 나거나 젖에 나거나 처음에 이상하여 약간 벌겋게 되거든 하눌타리를 찧은 가루를 새벽에 다른 사람이 긷기 전에 먼저 길어 온 우물물에 한 숟갈씩 풀어서 먹어라.

黃蘗벽 피 末和鷄子白 알 소뱃 믈 塗之

벽 핏 주104)
벽핏:
황벽(黃蘗)나무 껍질의.
  알 주105)
 알:
[鷄]+-(관형격 조사)+알[卵]. 닭의 알. 달걀.
소뱃 므레 주106)
흰므레:
흰물에. 〈달걀의〉 흰자위에.
라 라

황벽(黃蘗)나무의 껍질을 가루로 하여 달걀 속의 흰자위에 개어 발라라.

癰疽發背 葀蔞하래 二枚 去皮 留穰加倍用 沒藥二錢

구급간이방언해 권3:29ㄱ

半 別硏
甘草半兩 生用 白酒四椀煮甘草葀蔞煎減一半去滓入沒藥末放溫緩緩飮盡服此必膿多痛止如痛未止膿來多更依前作一劑服膿流三五日方洗

의 브르미 나거든 하래 주107)
하래:
하눌타리[葀蔞].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나 주108)
:
~낱을. ~개(個)를.
거플 주109)
거플:
꺼풀. 껍질.
업게 고 솝으란 두  두 나 더 드리고 몰약 주110)
몰약: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두 돈 반 주111)
닫:
따로.
오 주112)
오:
갈고[磨].
감초 반   주113)
:
[生]+-(목적격 조사). 날것을. 생것을. 중세 국에서는 ‘’이 명사로 쓰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날-(〈)’이 접두사로만 쓰이고 있다.
탁쥬 주114)
탁쥬:
탁주(濁酒). 막걸리.
사바래 주115)
사바래:
사발[椀]+-애(처격 조사). 사발에.
감초와 하래와

구급간이방언해 권3:29ㄴ

글혀 주116)
글혀:
끓여.
반만 외어든 주117)
외어든:
되거든.
즈 주118)
즈:
찌꺼기. 지스러기.
앗고 주119)
앗고:
앗-[奪, 去]+-고(대등적 연결 어미). 빼앗고. 없애고.
몰약  녀허 주120)
녀허:
녛-[入]+-어(연결 어미). 넣어.
닐 주121)
닐:
-[溫]+-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따뜻한 것을.
날회야 주122)
날회야:
천천히. 더디게.
다 머그면 고로미 주123)
고로미:
고롬[膿]+-이(주격 조사). 고름이.
주124)
해:
하-[多]+-이(부사 접미사). 많이.
나며 알포미 주125)
알포미:
알-[痛]+-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아픔이. 아픈 것이.
그츠리니 주126)
그츠리니:
긏-[止]+-으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그칠 것이니.
다가 알포미 긋디 주127)
긋디:
긏-[止]+-디(보조적 연결 어미). 그치지.
아니고 고로미 해 나거든 다시 이 약  번 지 주128)
지:
짓-[作]+-어(연결 어미). 지어. 동사 어간 ‘짓-’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머그면 고로미 흐르리니 사 주129)
사:
사흘.
닷쇄 주130)
닷쇄:
닷새.
만 커든 시서 리라 주131)
리라:
버리라.

등에 부스럼이 나거든 하눌타리 두 개를 껍질 벗겨 내고 속은 그대로 두되 또 두 개를 더하고, 몰약 두 돈 반을 따로 갈아 놓은 다음, 감초 생것 반 냥을 준비하여 〈먼저〉 탁주 네 사발에 감초와 하눌타리를 넣고 끓여 절반 정도 되거든 찌꺼기를 건져내고 몰약 가루를 넣어 따뜻한 것을 천천히 다 먹으면 고름이 많이 나오며 아픈 것이 그칠 것이니, 만약 아픈 것이 그치지 않고 고름이 많이 나오거든 다시 이 약을 한 번 지어 먹으면 고름이 흐를 것이니 사흘에서 닷새 정도 되거든 씻어 버려라.

生薑汁 猪膽도 게 搗勻貼瘡上仍磨好墨됴 먹 圍塗卽效

구급간이방언해 권3:30ㄱ

 주132)
:
생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즛두드려 주133)
:
짠.
즙과 도 주134)
도:
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게 주135)
게:
쓸개.
와 디허 골오 주136)
골오:
고루.
라 브름 우희 브티고 주137)
브티고:
붙이고.
됴 먹을 라 엔두루 주138)
엔두루:
두루.
면 즉재 됴리라

생강을 짓두드려 짜낸 즙과 돼지의 쓸개를 찧어 골고루 개어서 부스럼 위에 붙이고 좋은 먹을 갈아서 두루 바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漏蘆末傅幷服之良

루로 주139)
루로:
누로(漏蘆).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라 고 머고미 주140)
머고미:
먹-[服用]+-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먹음이. 먹는 것이.
됴리라

누로를 갈아서 바르고 먹는 것이 좋을 것이다.

栗毛殼밤이 煮浸亦爲末塗之

밤이 글혀 브르믈 혀이며 주141)
혀이며:
혀이-[浸]+-며(대등적 연결 어미). 적시며. 담그며.
 라  라 라

밤송이를 끓여 〈그 물에〉 부스럼을 담그며 또 갈아서 가루를 만들어 발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3:30ㄴ

磁石지남셕 爲末和油傅

지남셕 주142)
지남셕:
지남석(指南石). 부록의 <용어사전 id="">‘자석’ 참조.
을  라 기르메 라 라

지남석을 가루로 만들어 기름에 개어 발라라.

沙蔘더덕 擣傅

더덕 주143)
더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을 디허 브티라

더덕을 찧어서 붙여라.

烏頭바곳 불휘 搗和醋傅

바곳 불휘 디허 초애 라 라

바꽃 주144)
바꽃:
부록의 <용어사전 id="">‘초오(草烏)’ 참조.
의 뿌리를 찧어서 식초에 개어 발라라.

亂髮灰허튼 머리터럭 론  酒服方寸匕

구급간이방언해 권3:31ㄱ

허튼 주145)
허튼:
헡-[亂]+-은(관형사형 어미). 흐트러진.
머리터럭 주146)
터럭:
털.
론 주147)
론:
-[燒]+-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불사른. 불태운.
주148)
:
재[灰].
 수레 프러  주149)
술:
숟가락. 숟갈.
만 머그라

흐트러진 머리털을 불사른 재를 술에 풀어서 한 숟갈 정도 먹어라.

猪脂도 기름 傅上日四五度亦治發乳

도 기르믈 브름 우희 로 주150)
로:
-[塗]+-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바름을. 바르기를.
 주151)
:
하루.
너덧 번곰 주152)
너덧 번곰:
네다섯 번씩.
라  져제 주153)
져제:
졎[乳]+-에(처격 조사). 젖에. 유방에.
난 브름도 고티니라 주154)
고티니라:
고티-[愈]+--(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라(평서형 어미). 고친다.

돼지의 기름을 부스럼 위에 바르기를 하루 네다섯 번씩 하여라. 또 젖에 난 부스럼도 고친다.

伏龍肝가마 믿 마촘 아랫  二兩末 以好醋和作膏塗布上貼之乾卽易之

구급간이방언해 권3:31ㄴ

가마 믿 주155)
가마 믿:
가마솥 밑.
마촘 주156)
마촘:
마초-[適]+-옴(명사형 어미). 맞춤. 가까운 곳. 바로.
아랫  두  라 주157)
라:
갈아[磨].
됴 초애 라 주158)
골:
고약.
라 주159)
뵈:
베[布].
우희 라 브름 우희 브툐 거든 주160)
거든:
-[乾]+-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마르거든.
즉재 라 주161)
라:
갈아[易]. 바꿔.
라

가마솥 밑 바로 아래의 흙 두 냥을 갈아서 좋은 식초에 개어 고약을 만들어서는 베 위에 발라 부스럼 위에 붙이되 마르거든 즉시 바꿔서 붙여라.

擣百合根개나릿 불휘 傅之

개나릿 주162)
개나릿:
개나리의. ‘개나리’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 디허 브티라

개나리의 뿌리를 찧어서 붙여라.

犢子耳中塞야 귀 摻於瘡上立差不問黃牛水牛並良

야 주163)
야:
야지[犢]+-(관형격 조사). 송아지의. 모음의 조사 ‘-’ 앞에서 명사 ‘야지’의 끝모음 ㅣ가 탈락하였다.
귀 주164)
귀:
귀청.
 내야 브름 우희 브티면

구급간이방언해 권3:32ㄱ

됴리니 누른 쇼와 므 주165)
므:
믈[水]+쇼[牛]+-ㅣ(주격 조사). 물소가. ‘믈’과 ‘쇼’가 통합되면서 ‘믈’의 받침 ㄹ이 탈락하였는데, 이는 ‘말[馬]’과 ‘소[牛]’가 통합하면서 ㄹ이 탈락하여 ‘마소’가 된 경우와 같다.
다 됴니라

송아지의 귀청을 내어 부스럼 위에 붙이면 좋을 것이니 누런 소와 물소가 다 좋다.

多年烟熏壁土여러  예 그 맷  幷黃蘗벽 피 等分擣羅用生薑汁拌成膏攤貼之更以茅香湯調下一錢匕服妙也

여러 주166)
:
해[年].
예 주167)
예:
[烟]+-예(처격 조사). 연기에.
그 주168)
그:
그-[炱]+-ㄴ(관형사형 어미). 그을린.
맷 주169)
맷:
[壁]+-앳(처소 관형격 조사). 벽엣. 벽에 있는.
과 벽 피 주170)
벽 피:
황벽(黃蘗)나무의 껍질. ‘황벽’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와 게 화 주171)
화:
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디허 주172)
처:
츠-[篩]+-어(여결 어미). (체로) 쳐서.
 즛두드려  즙에 라 골 라 브름 우희 브티고  모 주173)
모:
모향(茅香).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글힌 므레 프러  수 주174)
수:
술[匙]+-(목적격 조사). 숟가락을. 숟갈을.
머고미 됴

구급간이방언해 권3:32ㄴ

니라

여러 해 동안 연기에 그을린 벽의 흙과 황벽나무의 껍질을 같은 분량으로 나눠 찧어 가루로 쳐서, 생강을 짓두드려 짜낸 즙에 개어 고약을 만들어서 부스럼 위에 붙이고 또 모향을 끓인 물에 풀어서 한 숟갈을 먹는 것이 좋다.

生菖蒲 의맛 불휘 擣貼若瘡乾擣末以水調塗之

주175)
:
날것. 생것.
의맛 주176)
의맛:
의마[菖蒲]+ㅅ(사이시옷). 창포의. ‘창포’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 디허 브툐 브르미 거든 디흔  므레 라 라

날것의 창포 뿌리를 찧어서 붙이되 부스럼이 마르거든 찧은 가루를 물에 개어 발라라.

不耕之地遇野人糞爲蟲烏所殘處卽以杖去糞取其下土篩以傅之卽如冰著背也

주177)
받:
밭[田]. 명사 ‘밭’의 끝소리 ㅌ이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ㄷ으로 교체되었다.
가디 주178)
가디:
갈-[耕]+-디(보조적 연결 어미). 갈지. 경작하지.
아니 햇 주179)
햇:
ㅎ[地]+-앳(처소 관형격 조사). 땅엣. 땅에 있는.
사 주180)
:
똥.
벌에 주181)
벌에:
벌레.

구급간이방언해 권3:33ㄱ

마괴
주182)
가마괴:
까마귀.
와 먹던  막대로 을 업게 고 그 아랫 을 체로 처 브티면 어르믈 주183)
어르믈:
얼음[氷]+-을(목적격 조사). 얼음을.
의 다혀 주184)
다혀:
닿-[着]+-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닿게 하여. 대이어.
잇 리라

경작하지 않은 밭의 땅에 있는 사람의 똥을 벌레와 까마귀가 먹던 자리에서 막대기로 그 똥을 치우고 그 아래의 흙을 체로 쳐서 붙이면 얼음을 등에 대고 있는 것과 같을 것이다.

只喫白煮蘿蔔댓무 믿 不以多少腫毒散爲度屢以治人極有神效也

댓무 주185)
댓무:
무.
미를[틀] 므레 글혀 주186)
글혀:
긇-[沸]+-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끓여서.
하나 주187)
하나:
많으나.
져그나 주188)
져그나:
적으나.
브 독이 업록 머그라 여러 번 사 고티니 지극 신긔 주189)
신긔:
신기(神奇)한.
효험이 잇니라

무 밑동을 물에 끓여서 많거나 적거나 간에 부스럼의 독이 없어지도록 먹어라. 여러 번 사람을 고치니 지극히 신기한 효험이 있다.

구급간이방언해 권3:33ㄴ

猪懸蹄도 며톱 淨洗不拘多少煎沸湯放溫淋洗拭乾

도 주190)
도:
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며톱 주191)
며톱:
며[婦]+톱[爪]. 며느리발톱. 이는 말이나 소 따위 짐승의 뒷발에 달린 발톱을 이르는 말이다.
조히 주192)
조히:
좋-[淨]+-이(부사 접미사). 깨끗이.
시서 주193)
시서:
씻어.
하나 져그나 달혀 주194)
달혀:
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내야 시 주195)
시:
-[溫]+-이(부사 접미사). 따뜻이.
야 싯고 스서 주196)
스서:
슷-[拭]+-어(연결 어미). 닦아.
게 라

돼지의 며느리발톱을 깨끗이 씻어서 많거나 적거나 간에 달여 내어 따뜻하게 해서 〈그 물에〉 씻고 닦아서 마르게 하여라.

臘茶末섯래  찻  白湯더운 믈 調放冷洗

섯래 주197)
섯래:
섯[十二月]+-애(처격 조사). 섣달에. 십이월에.
주198)
:
-[摘]+-ㄴ(관형사형 어미). 딴. 따낸.
찻  더운 므레 프러 주199)
프러:
플-[混合]+-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거든 주200)
거든:
-[冷]+-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차가워지거든. 식거든.
시스라

섣달에 따낸 차의 가루를 더운 물에 풀어 식거든 〈부스럼을〉 씻어라.

菉豆粉록둣  炒赤放下出火毒 井水調敷四圍大凡

구급간이방언해 권3:34ㄱ

用藥塗瘡不可當心塗當心則瘡便走散只當在四圍塗住不可使之散去

록둣 주201)
록둣:
녹두의. ‘녹두’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븕게 주202)
븕게:
븕-[赤]+-게(부사형 어미). 붉게.
봇가 주203)
봇가:
-[炒]+-아(연결 어미). 볶아.
내야 노하 주204)
노하:
놓아[放].
화독 주205)
화독(火毒):
불의 독기.
업게 고 우믌므레 프러 네  주206)
:
[圍]+-애(처격 조사). 가에. 주위에. 가장자리에. 명사 ‘’의 끝소리 ㅅ이 모음의 조사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두루 라 믈읫 주207)
믈읫:
무릇.
약 브름 우희  주208)
제:
적[時]에.
가온 디 말라 가온 면 브름이 펴디리니 네  라 펴디디 주209)
펴디디:
펴디-[擴]+-디(보조적 연결 어미). 퍼지지.
아니케 라

녹두 가루를 붉게 볶아서 내어 놓고 불의 독기를 없게 한 다음 우물물에 풀어 사방으로 가장자리에 두루 발라라. 무릇 약을 부스럼 위에 바를 적에 가운데는 바르지 말아라. 가운데 바르게 되면 부스럼이 퍼질 것이니 사방의 가장자리에 발라 퍼지지 않게 하여라.

桃花복홧 곳 不拘多少平旦承露□取以釅醋

구급간이방언해 권3:34ㄴ

됴 초 硏絞去滓取汁塗傅瘡上有蟲卽出無花但桃葉亦得以臘月猪脂섯래 자 도 기름 和塗亦佳

복홧 고 주210)
복홧 고:
복화[桃花]+ㅅ(사이시옷)+곶[花]+-(목적격 조사). 복숭아꽃을. ‘복숭아꽃’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하나 져그나 아 주211)
아:
아[朝]+-(관형격 조사). 아침의.
이슬 조쳐 주212)
:
-[摘]+-아(연결 어미). (열매 등을) 따서.
됴 초애 라 주213)
:
-[窄]+-아(연결 어미). (기름 등을) 짜서.
즈 주214)
즈:
찌꺼기.
앗고 므를 내야 브름 우희 면 벌에 주215)
벌에:
벌레. 여기서는 병독(病毒)을 가리킨다.
즉재 나리니 곳곳 주216)
곳곳:
곶[花]+곳(강세 보조사). 꽃 곧. 명사 ‘곶’이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곳’이 되었다.
업거든 복홧 닙도 주217)
닙도:
닢[葉]+도(보조사). 잎도. 명사 ‘닢’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닙’이 되었다.
됴니 섯래 자 도 기르메 라 주218)
라:
[和, 調]+-아(연결 어미). 말아. 풀어. 개어.
로미 주219)
로미:
-[塗]+-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바름이. 바르는 것이.
 됴니

구급간이방언해 권3:35ㄱ


복숭아꽃을 많거나 적거나 간에 아침의 이슬과 함께 따서 좋은 식초에 넣고 갈아 찌꺼기를 걷어 낸 다음 즙을 내어 부스럼 위에 바르면 병충 즉 병독이 즉시 빠져나올 것이니, 꽃이 없거든 복숭아의 잎도 좋으므로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름에 개어 바르는 것이 또 좋다.

新馬糞 눈  厚塗腫上乾卽易之亦療發乳

주220)
:
갓. 방금. 이제 막.
주221)
눈:
누-[排]+-ㄴ(관형사형 어미). 눈.
 주222)
:
말똥[馬糞].
을 브름 우희 둗거이 주223)
둗거이:
둗겁-[厚]+-이(부사 접미사). 두껍게. 두터이.
로 거든 주224)
거든:
-[乾]+-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마르거든. 건조하거든.
라 주225)
라:
-[換]+-아(연결 어미). 갈아서. 바꿔서.
라  저[져]제 주226)
져제:
졎[乳]+-에(처격 조사). 젖에. 유방에.
난 브름도 고티니라

이제 방금 눈 말똥을 부스럼 위에 두껍게 바르되 마르거든 바꿔서 발라라. 또 젖에 생긴 부스럼도 고친다.

大麥보리 炒熟 九兩 甘草生用三兩 同爲末用酥수 少許和句微有酥氣仍以百沸湯拌和作餠劑方圓大小如瘡腫大熱傅之以油單幷故紙密

구급간이방언해 권3:35ㄴ

裹勿令通風冷卽換之常須喫黃耆너 불휘 米粥甚妙

보리 닉게 주227)
닉게:
닉-[熟]+-게(부사형 어미). 익도록.
봇그니 주228)
봇그니:
-[炒]+-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볶은 것.
아홉 과 감초 주229)
감초: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30)
:
날것. 생것.
석 과 디[] 라 수유 주231)
수유:
젖기름. 젖이나 우유에 들어 있는 지방.
져기 주232)
져기:
젹-[少]+-이(부사 접미사). 적게. 조금.
섯거 주233)
섯거:
-[混]+-어(연결 어미). 섞어.
간 수윳 긔운이 잇게 야 일 번 글힌 믈로 섯거 주234)
:
떡.
로 모나며 두렫며 주235)
두렫며:
두렫-[圓]+-며(대등적 연결 어미). 둥글며.
크며 져고 주236)
져고:
젹-[小]+-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작음을.
브름 크기만 야 더우닐 주237)
더우닐:
덥-[熱]+-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더운 것을.
브티고 뎔은[온] 주238)
뎔온:
뎔오-[油]+-ㄴ(관형사형 어미). 결은. 기름 따위가 흠씬 밴. 원문에 있는 ‘유단(油單)’은 기름에 결은 두껍고 질긴 큰 종이를 가리킨다.
죠와 으[오]란 주239)
오란:
오라-[久]+-ㄴ(관형사형 어미). 오랜.
죠로 구디 주240)
구디:
굳-[堅]+-이(부사 접미사). 굳게. 단단히.
야 주241)
야:
-[繫]+-아(연결 어미). (붙잡아) 매어.
 주242)
:
바람[風].

구급간이방언해 권3:36ㄱ

디 아니케 호 거든 주243)
거든:
-[冷]+-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차거든. 식거든.
라 주244)
라:
-[換]+-아(연결 어미). 갈아서. 교체해서.
라 녜 주245)
녜:
늘. 항상.
너 주246)
너:
너[黃耆]+ㅅ(사이시옷). 단너삼의. ‘단너삼’은 부록의 <용어사전 id="">‘황기’ 참조.
불휘 드려 주247)
드려:
들-[入]+-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들여. 넣어.
주248)
순:
수-[煮]+-ㄴ(관형사형 어미). (죽이나 메주 등을) 쑨.
쥭 주249)
쥭:
쌀죽. 흰죽.
을 머고미 됴니라

보리를 익도록 볶은 것 아홉 냥과 감초 생것 석 냥을 한데 갈아서는 젖기름을 조금 섞어 약간 젖기름 기운이 있도록 한 다음, 일백 번 끓인 물로 섞어 떡 같게 만들되 모나게 하거나 둥글게 하며,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을 부스럼 크기 정도에 맞추어 더운 것을 붙이고 기름에 결은 종이와 오래된 종이로 단단히 매어 바람이 들지 않게 하되 식거든 바꿔서 하여라. 늘 단너삼 뿌리를 넣어 쑨 쌀죽을 먹는 것이 좋다.

糯米 不拘多少炒熟細硏以井花水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믈 調塗四面乾卽易之

 주250)
:
[糯米]+-(목적격 조사). 찹쌀을.
하나 져그나 닉게 봇가 에 주251)
에:
가늘게. 잘게. 곱게.
라 새배 주252)
새배:
새벽.
주253)
:
남. 다른 사람.
아니 기러셔 주254)
기러셔:
긷-[汲]+-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물 길어서. ‘긷다’는 ㄷ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받침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되었다.
몬져 주255)
몬져:
먼저.
기론 주256)
기론:
물 길은.
우믌므래 라 주257)
라:
말아. 풀어. 개어.
면 주258)
면:
사면(四面).
에 로 거든 라 

구급간이방언해 권3:36ㄴ


찹쌀을 많거나 적거나 간에 익도록 볶아 곱게 갈아서는 새벽에 다른 사람이 물 긷기 전 먼저 길어 온 우물물에 개어 사면에 바르되 마르거든 바꿔서 하여라.

五倍子우 杏仁고  猪懸蹄도 며톱 白芷구리댓 불휘 蓮房련이 荊芥가 葱頭팟 믿 細茶葉찻닙 好者 水煎溫洗

우 주259)
우:
오배자(五倍子).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고  주260)
고:
살구씨[杏仁]. 부록의 <용어사전 id="">‘행인’ 참조.
와 도 며톱 주261)
며톱:
며[婦]+톱[爪]. 며느리발톱.
구리댓 주262)
구리댓:
구릿대[白芷]의. ‘구릿대’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백지’ 참조.
불휘와 련이 주263)
련이:
연꽃 송이. 부록의 <용어사전 id="">‘연꽃’ 참조.
가 주264)
가:
정가[荊芥]. 부록의 <용어사전 id="">‘형개’ 참조.
팟 믿 주265)
팟 믿:
파[葱]+ㅅ(사이시옷)+밑[下]. 파의 흰 밑동 부분. 명사 ‘밑’의 받침 ㅌ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ㄷ으로 교체되었다.
찻닙 주266)
찻닙:
차(茶)+ㅅ(사이시옷)+닢[葉]. 찻잎. 명사 ‘닢’의 받침 ㅍ도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ㅂ으로 교체되었다.
됴니 주267)
됴니:
둏-[好]+-(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좋은 것.
와 므레 달혀 시 주268)
시:
따뜻이.
야 시스라

오배자와 살구씨와 돼지의 며느리발톱과 구릿대의 뿌리와 연꽃 송이와 정가와 파의 흰 밑동과 찻잎 좋은 것을 물에 달여 따뜻이 해서 씻어라.

草烏頭바곳 불휘 去皮 秋後芙蓉葉 련닙 陰乾 等分爲

구급간이방언해 권3:37ㄱ

細末生薑自然汁調如膏傅瘡腫四面留一小竅出毒氣乾則易之其冷如冰痛立止腫立散毒氣盛者加天南星두야머주저깃 불휘 末等分

바곳 주269)
바곳:
바꽃. ‘바꽃’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초오’를 참조.
불휘 거플 주270)
거플:
꺼풀. 껍질.
업게 니와  주271)
:
ㅎ[秋]+ㅅ(사이시옷). 가을의. ㅎ끝소리 명사의 ㅎ이 사이시옷 앞에서는 소멸된다.
련닙 주272)
련닙:
연꽃 잎.
해 주273)
해:
ㅎ[陰]+-애(처격 조사). 그늘에.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외요니와 주274)
외요니와:
-[乾]+-외-(사동 접미사)+-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목적격 조사). 말린 것을. 삽입 모음과, 열거되는 명사 항목 중 맨 마지막 항목에 붙은 접속 조사는 현대 국어에서 그 용법이 소멸되었다. 그리고 동사 어간 ‘-’는 모음의 접사 앞에서 ‘-’로 교체되었다.
게 주275)
게:
같게. 같이.
화 주276)
화:
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에 주277)
에:
-[細]+-게(부사형 어미). 가늘게. 잘게. 어미 ‘-게’의 첫소리 ㄱ이 어간의 끝소리 ㄹ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라  주278)
:
생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즛두드려 주279)
즛두드려:
즛-(접두사)+두드리-[打]+-어(연결 어미). 짓두드려.
주280)
:
-[窄]+-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짜낸.
즙에 라 주281)
골:
고약.
게 야 브 면에 브툐 죠고매 주282)
죠고매:
조그마하게.
굼글 주283)
굼글:
구무[穴]+-을(목적격 조사). 구멍을. 명사 ‘구무’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이와 같은 교체를 보이는 대표적인 명사로 ‘나모’를 들 수 있다. ‘남기, 남, 남, 남로 …’ 등과 같다.
두어 모딘 긔운을 내요 거든 라 

구급간이방언해 권3:37ㄴ

어름 주284)
어름:
얼음[氷].
티 면 주285)
면:
차면[冷]. 차가우면.
알포미 주286)
알포미:
알-[痛]+-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아픔이.
즉재 그츠며 주287)
그츠며:
긏-[止]+-으며(대등적 연결 어미). 그치며.
브르미 즉재 업스리라 독 긔운이 하거든 주288)
하거든:
하-[多]+-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많거든. 심하거든.
두야머주저깃 주289)
두야머주저깃:
두여머조자기의. ‘두여머조자기’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천남성’ 참조.
불휫  게 드려 브티라

바꽃 뿌리의 껍질을 벗겨 낸 것과 가을의 연꽃 잎을 그늘에 말린 것을 똑같은 분량으로 나누어 곱게 갈아서는 생강을 짓두드려 짜 낸 즙에 개어 고약같이 만들어 부스럼의 사면에 붙이되 조그마하게 구멍을 내어 독한 기운이 빠져나오게 하고 마르거든 바꿔 하여라. 얼음같이 차가우면 아픔이 즉시 그치며 부스럼이 즉시 없어질 것이다. 독한 기운이 심하거든 두여머조자기 뿌리의 가루를 같은 분량으로 넣어 붙여라.

升麻三兩 爲末水三升煎一升分三服不拘時便定

마 주290)
마:
승마(升麻).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석  라 믈 서 되 주291)
서 되:
석 되[三升].
예 달혀  되만 주292)
-만:
-만큼. 정도.
커든 주293)
커든:
‘거든’의 축약형. 하거든. 되거든.
세헤 주294)
세헤:
세ㅎ[三]+-에(처격 조사). 셋에. 셋으로.
화 니 주295)
니:
끼니. 때.
혜디 주296)
혜디:
혜-[計]+-디(보조적 연결 어미). 헤아리지. 생각하지.
말오 머고미 주297)
머고미:
먹-[服用]+-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먹음이. 먹는 것이.

구급간이방언해 권3:38ㄱ

니라.

승마 석 냥을 갈아 물 석 되로 달여서 한 되 정도 되거든 세 등분으로 나누어 때를 생각하지 말고 먹는 것이 좋다.

黃牛乳누른 졋 二大盞 秦艽二兩 去苗剉 相和煎至一大盞去滓分溫三服當得快利爲效

누른 주298)
누른:
누런. 현대 국어의 기본형은 ‘누렇다’이다.
졋 주299)
졋:
쇼[牛]+-ㅣ(관형격 조사)+졎[乳]. 소의 젖. 우유.
두 되와 진교 주300)
진교(秦艽):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두  주301)
움:
새로 돋아나는 싹.
앗고 주302)
앗고:
빼앗고. 제거하고. 걷어내고.
사로니 주303)
사로니:
사-[剉]+-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썬 것.
와 섯거 달혀  되만 커든 즈 주304)
즈:
찌꺼기.
앗고 닐 주305)
닐:
따뜻한 것을.
세헤 주306)
세헤:
셋으로.
화 머그면 반시 훤히 주307)
훤히:
훤하게. 시원하게.
즈츼여 주308)
즈츼여:
즈츼-[痢]+-어(연결 어미). 지치어. 설사하여.
됴리라

누런 우유 두 되와 진교 두 냥을 싹 제거해 내고 썬 것을 〈우유와〉 섞어 달여서 한 되 정도 되거든 찌꺼기를 걷어내고 따뜻한 것을 세 등분으로 나누어 먹으면 반드시 시원하게 설사하여 좋아질 것이다.

發背始作毒盛煩悶 生椒葉 죠핏 닙 擣傅

구급간이방언해 권3:38ㄴ

의 브르미 시작야 독이 주309)
하:
하-[多]+-아(연결 어미). 많아서. 심해서.
답답거든 주310)
:
날것. 생것.
죠핏 주311)
죠핏:
초피나무의. ‘초피나무’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니플 주312)
니플:
닢[葉]+-을(목적격 조사). 잎을.
디허 브티라

등에 부스럼이 나기 시작하였는데 독이 심해 답답하거든 생것의 초피나무 잎을 찧어 붙여라.

發背瘡焮熱疼痛 熊膽고 열 麝香等分 同硏爲丸如黍米大凡用藥先以溫水洗瘡令淨安一丸於瘡口內上摻解毒生肌散後用醋麵糊攤於故帛上盖之手按不可忍者立效

의 브름이 나  덥달오 주313)
덥달오:
덥달-[熱]+-고(대등적 연결 어미). 덥게 달고. 몹시 열이 나고.
알거든

구급간이방언해 권3:39ㄱ

고 열 주314)
고 열:
곰[熊]+-(관형격 조사)+열[膽]. 곰의 쓸개. 부록의 <용어사전 id="">‘웅담’ 참조.
샤 주315)
샤:
사향(麝香).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과 게 화  라 주316)
환:
환약(丸藥). 알약.
로 주317)
로:
만들되.
기 주318)
기:
기장.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19)
:
쌀[米].
마곰 주320)
-마곰:
-만큼. -만 하게.
야 몬져  믈로 브르믈 시서 조케 주321)
조케:
좋-[淨]+-게(부사형 어미). 깨끗하게.
고  환을 브 부리 주322)
부리:
원문에 ‘창구(瘡口)’라고 되어 있어 여기서의 ‘부리’는 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을 말하는 것이다.
녀코 주323)
녀코:
녛-[入]+-고(대등적 연결 어미). 넣고.
그 우희 독 주324)
독:
해독(解毒). 몸 안에 들어간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앰.
긔산 주325)
긔산:
생기산(生肌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주326)
:
-[撒]+-(관형사형 어미). 뿌린.
후에 초애 밀플 주327)
밀플:
밀가루로 쑨 풀.
수어 주328)
수어:
쑤어.
 주329)
:
-[故]+-(관형사형 어미). 낡은.
젼 주330)
젼:
조각.
우희 펴 더프라 주331)
더프라:
덮-[覆]+-으라(명령형 어미). 덮어라. 이 책(권3)의 12ㄴ에는 동사 ‘덮다’가 ‘둪다’로 쓰였다.
소로 주332)
소로:
손[手]으로.
져 주333)
져:
만져.
호  알파 디 주334)
디:
-[忍]+-디(보조적 연결 어미). 참지.
몯 브름도 즉재 됴리라

등에 부스럼이 나서 몹시 열이 나고 아프거든 곰의 쓸개와 사향을 똑같은 분량으로 나누어 한데 갈아서 알약을 만들되 기장쌀만 하게 해서는, 먼저 따뜻한 물로 부스럼을 씻어 깨끗이 한 다음, 환약 하나를 부스럼의 구멍에 넣고 그 위에 독성을 없애 주는 생기산을 뿌린 후 식초에 밀가루로 풀을 쑤어 낡은 비단 조각 위에 펴서 〈부스럼 위에〉 덮어라. 손으로 만지며 하면 몹시 아파 참지 못할 부스럼도 즉시 좋아질 것이다.

發背初得毒腫焮熱赤痛取浮萍草和雞子

구급간이방언해 권3:39ㄴ

[] 알 소뱃   믈 爛搗濕裹之

의 브르미 처 나 븕고 덥다라 주335)
덥다라:
덥고 달아. 열이 나서.
알거든 부초 주336)
부초:
부평초(浮萍草).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주337)
:
닭[雞]의.
소뱃 주338)
소뱃:
솝[內]+-앳(처소 관형격 조사). 속엣. 속에 있는.
 주339)
:
-[淸]+-(관형사형 어미). 맑은.
믈 섯거 므르디허 주340)
므르디허:
흠씬 찧어.
저즈닐 주341)
저즈닐:
젖-[濕]+-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젖은 것을.
라 주342)
라:
-[包]+-아(연결 어미)+-[繫]+-라(명령형 어미). 싸매라.

등에 부스럼이 처음 생겨서 붉어지고 열이 나며 아프거든 부평초를 달걀 속의 맑은 흰자위에 섞어 흠씬 찧어서 젖은 것으로 싸매어라.

露蜂窠버릐 주343)
버릐:
벌[土蜂]+-의(관형격 조사). 말벌의. ‘말벌’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집 一兩半
甘草二兩生用 剉以水三升煎至二升去滓以緜浸湯中洗瘡四面辟除毒氣令瘡早差

버릐 집 주344)
버릐 집:
말벌의 집. 부록의 <용어사전 id="">‘노봉방’을 참조.
  반과 감초 두  와 주345)
와:
[生]+-과(접속 조사)+-(목적격 조사). 생것을. 날것을.

구급간이방언해 권3:40ㄱ

라
주346)
사라:
사-[剉]+-아(연결 어미). (칼로) 썰어.
믈 서 되예 달혀 두 되 주347)
-만:
-만큼. 정도(程度).
거든 즈 주348)
즈:
찌꺼기.
앗고 소오매 주349)
소오매:
소옴[緜]+-애(처격 조사). 솜에.
저져 주350)
저져:
젖-[浸]+-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적시어.
브 면을 주351)
면을:
사면(四面)을.
시서 모딘 긔운을 업게 면 리 됴리라

말벌의 집 한 냥 반과 감초 생것 두 냥을 썰어서 물 석 되로 달여 두 되 정도 되거든 찌꺼기를 걷어 낸 후 솜에 적셔서 부스름의 사면을 씻어 독성의 기운을 없게 하면 빨리 좋아질 것이다.

覺似發背但是熱腫卽用之令內消 皂莢一挺去黑皮及子 栗子밤 一十枚去殼曝乾 擣細羅爲散以新汲水 기론 믈 和如麪糊攤於布上以傅腫處乾卽易之

의 브름 난 호 주352)
호:
-(보조 형용사)+-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듯함을.
아라 덥고 븟거든 주353)
븟거든:
븟-[腫]+-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붓거든.

구급간이방언해 권3:40ㄴ

면 주354)
면:
쓰면[用]. 사용하면.
안로 주355)
안로:
안ㅎ[內]+-로(조격 조사). 안으로.
스러디리니 주356)
스러디리니:
스러디-[消]+-리-(미래시제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사라질 것이니.
조협 주357)
조협(皂莢):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나 주358)
나:
낯[個]+-(목적격 조사). ~낱을. ~개(個)를.
거믄 주359)
거믄:
검은[黑].
거플와  아니 주360)
아니:
앗-[去]+-(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제거한 것. 걷어낸 것.
와 밤 열 나 거플 업게 야 벼틔 주361)
벼틔:
볕[陽]+-의(처격 조사). 볕에.
외니 주362)
외니:
-[乾]+-외-(사동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말린 것.
와 디허 에 주363)
처:
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서.
주364)
:
갓. 방금.
기론 주365)
기론:
긷-[汲]+-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길은.
므레 프로 주366)
프로:
플-[混合]+-오-(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풀되.
밀플 주367)
밀플:
밀풀. 밀가루로 쑨 풀.
만 게 야 주368)
뵈:
베[布]. 천.
우희 펴 브르메 브툐 주369)
브툐:
붙이되.
거든 즉재 라 라

등에 부스럼이 난 듯함을 알게 되어 〈그 부위가〉 열이 나고 붓거든 〈다음의 처방을〉 쓰면 안으로 사라질 것이니, 〈그 처방은〉 쥐엄나무 열매 한 개를 검은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난 것과 밤 열 개를 껍질 벗겨 내고 볕에 말린 것을 찧어 곱게 체로 쳐서 방금 길어 온 물에 풀되 밀가루로 쑨 풀만큼 되게 해서 베 위에 편 다음 부스럼에 붙이되 마르거든 즉시 바꿔서 하여라.

發背兼腫毒擣益母草눈비엿 絞取汁每服一小盞餘滓罨腫上頻服之效

구급간이방언해 권3:41ㄱ

읫 브름과 다  난 모딘 브름이어든 눈비여슬 주370)
눈비여슬:
눈비엿[益母草]+-을(목적격 조사). 암눈비앗[益母草]을. 부록의 <용어사전 id="">‘익모초’ 참조.
디허 므를  서 홉을 머고 즈란 브름애 브티고 조 주371)
조:
자주.
머그면 됴리라

등에 있는 부스럼과 다른 데 난 악성의 부스럼이거든 암눈비앗을 찧어 물[汁]을 짜 내서 세 홉을 먹되 찌꺼기는 부스럼에 붙이고 자주 먹으면 좋아질 것이다.

發腦發背取鼠剝取熱皮中心開一孔子用貼瘡上數數易之無頭者便當作頭膿出卽愈

브르미 곡뒤 주372)
곡뒤:
꼭뒤. 뒤통수의 한가운데.
와 의 나거든 쥐 자바

구급간이방언해 권3:41ㄴ

더운 제 주373)
갓:
가죽. 명사 ‘갓’의 원형은 ‘갗’이나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갓’으로 교체된 것이다.
밧겨 주374)
밧겨:
밧-[剝]+-기-(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벗기어.
가온  굼글 주375)
굼글:
구멍을.
들워 주376)
들워:
듧-[穿]+-어(연결 어미). 뚫어. 어간 ‘듧-’이 모음 어미 앞에서 ‘들우-’로 교체되었다.
브름 우희 브툐 조 라 면 부리 주377)
부리:
어떤 물건의 끝이 뾰족한 부분. 여기서는 부스럼이 곪느라고 한가운데가 뾰족해진 것을 보고 그 부분을 ‘부리’라고 한 것이다.
업슨 브름이 부리 지 주378)
지:
짓-[作]+-어(연결 어미). 지어. 이루어. 동사 어간 ‘짓-’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고로미 주379)
고로미:
고롬[膿]+-이(주격 조사). 고름이.
나 즉재 됴리라

부스럼이 뒤통수의 한가운데와 등에 나거든 쥐를 잡아 더울 때 가죽을 벗겨 그 가운데에 구멍 하나를 뚫어서 부스럼 위에 붙이되 자주 바꾸어 하면 뾰족한 부분이 없던 부스럼이 뾰족한 부리가 생겨 고름이 나오면서 즉시 좋아질 것이다.

楓根白皮싣나못 불휫  거플 卽楓樹根旋取去土及麤赤皮就濕用爲麤末每用藥一升無灰酒됴 술 二升煎至八分取淸汁稍熱作三服藥滓傅瘡口瘡未破傅時留瘡口旣破用藥傅

구급간이방언해 권3:42ㄱ

□三服可活人命神妙

싣나못 주380)
싣나못:
신나무의. ‘신나무’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휫  거프를  주381)
:
-[用]+-우-(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쓰되. 사용하되.
과 웃블근 주382)
웃블근:
웃-(접두사)+븕-[赤]+-은(관형사형 어미). 보통 이상으로 많이 붉은. 접두사 ‘웃-’의 용법은 ‘웃자라다’고 할 때의 ‘웃-’과 같은 것이다.
거프 믄득 업게 고 저즌 제 굵게 로니 주383)
로니:
-[磨]+-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간 것.
 되 됴 술 두 되예 달혀 여듧 홉만 커든 주384)
커든:
-[爲]+-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하거든. 되거든.
 주385)
:
맑은.
믈 내야 간 덥게 야 세헤 화 머고 약 조의[즈]란 브 부리예 브티라 디디 주386)
디디:
디-[破]+-디(보조적 연결 어미). 터지지.
아니 제 브티면 부리 짓니 디거든 브티라 세 번 머그면 사 (사)

구급간이방언해 권3:42ㄴ

리니
주387)
사리니:
살-[活]+--(사동 접미사)+-리-(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살릴 것이니.
 됴니라

신나무 뿌리의 흰 껍질을 사용하되 흙과 많이 붉은 껍질은 곧바로 없게 하고 젖었을 때 굵게 간 것 한 되를 좋은 술 두 되로 달여 여덟 홉 정도 되거든 맑은 즙을 취해 잠깐 덥혀서 세 번으로 나누어 먹되 약의 찌꺼기는 부스럼의 뾰족한 부분에 붙여라. 〈부스럼이〉 터지지 않았을 때 붙이면 〈곪느라고 한가운데가〉 뾰족해질 것이니 터지거든 붙여라. 세 번을 먹으면 사람을 살릴 것이므로 아주 좋다.

一切腫毒及治腫而疼痛者 葀蔞하래 五箇 取子細硏乳香五塊如棗子大亦細硏以白砂蜜밀 一斤 同熬成膏每服三二錢溫酒化下大治發背諸惡瘡等日進二服無不立效

대도 주388)
대도:
온. 모든.
모딘 브름과 브 주389)
브:
븟-[腫]+-어(연결 어미). 부어. 동사 어간 ‘븟-’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알닐 주390)
알닐:
앓-[痛]+-(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앓는 것을. 아파하는 것을.
고툐 주391)
고툐:
고티-[治]+-오-(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고치되. 고치려면.
허[하]래 주392)
하다래:
하눌타리.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다 나  내야 에 니와 주393)
니와:
-[硏]+-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간 것과. 일반적 형태로는 여기에 삽임 모음 ‘오’가 첨가된 ‘로니와’가 주로 쓰였다.
 주394)
:
유향(乳香).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다 무적 주395)
무적:
무더기. 덩이.
대초 주396)
대초:
대추씨.
닐 주397)
닐:
-[爲]+-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한 것을.


구급간이방언해 권3:43ㄱ

에 로니와 밀 주398)
밀:
백청밀(白淸蜜). 빛깔이 희고 품질이 좋은 꿀.
 근과  달혀 글[골] 라 두 주399)
두:
두[二]+서[三]. 두세.
돈곰  주400)
:
-[溫]+-ㄴ(관형사형 어미). 따뜻한.
수레 프러 머그라 읫 브름과 여러 가짓 모딘 브름과 고티니  두 번곰 머그면 즉재 아니 됴리 주401)
됴리:
둏-[好]+-(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zero 주격 조사). 좋을 것이.
업스리라

모든 독성의 부스럼과 부어서 아파하는 것을 고치려면 하눌타리 다섯 개에서 씨를 취하여 곱게 간 것과 대추씨만 한 유향 다섯 덩이를 곱게 간 것을 백청꿀 한 근과 한데 달여 고약같이 만들어서는 두세 돈씩 따뜻한 술에 풀어서 먹어라. 등에 난 부스럼과 여러 가지의 독성 부스럼을 고치나니 하루 두 번씩 먹으면 즉시 좋아지지 않을 것이 없을 것이다.

癰疽發背毒瘡發作便服使毒氣不內攻可保 眞麻油기름 銀器內煎十餘沸傾出候冷 一斤 和醇酒됴 술 二椀分五次盪溫日夜服

구급간이방언해 권3:43ㄴ

읫 브름과 모딘 브름 날 저긔 머그면 모딘 독이 안해 주402)
안해:
안ㅎ[內]+-애(처격 조사). 안에.
드디 몯야 됴리니 기름 주403)
기름:
참기름.
은그르세 주404)
은그르세:
은(銀)+그릇[器]+-에(처격 조사). 은그릇에.
소솜 주405)
소솜:
솟음. 약을 달일 때 약이 끓어 솟는 횟수를 세는 단위.
만 달혀 내야 니 주406)
니:
-[冷]+-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찬 것. 차가운 것.
 근을 됴 술 두 사바래 주407)
사바래:
사발[椀]+-애(처격 조사). 사발에.
프러 다 번에 회[화] 데여 주408)
데여:
데이-[加熱]+-어(연결 어미). 데워. 덥혀.
나 주409)
나:
낮[日]+-(처격 조사). 낮에.
머그라

등에 있는 부스럼과 독성이 있는 부스럼이 생길 적에 먹으면 나쁜 독성이 안에 들어오지 못해 좋을 것이니, 참기름을 은그릇으로 열 번 끓어 솟을 정도로 달여 내어서는 식은 것 한 근을 좋은 술 두 사발에 풀어 다섯 번으로 나누어 데워서 밤낮에 먹어라.

發背欲死取冬瓜화 截去頭合瘡上瓜當爛截去更合之瓜未盡瘡已斂小矣卽用膏養之

구급간이방언해 권3:44ㄱ

의 브름이 나 주글 주410)
주글:
죽-[死]+-을(관형사형 어미). 죽을.
거든 화 주411)
화:
동아[冬瓜].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머리 버히고 주412)
버히고:
버히-[割]+-고(대등적 연결 어미). 베고. 자르고.
브름 우희 어프면 주413)
어프면:
엎-[伏]+-으면(종속적 연결 어미). 엎으면.
홰 므르리니 주414)
므르리니:
므르-[爛]+-리-(미래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물러질 것이니.
버히고 다시 이[어]프라 화 몯다 셔 주415)
셔:
-[用]+-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써서. 사용해서.
브 바리 주416)
-바리:
-발(접미사)+-이(주격 조사). -발이. 접미사 ‘-발’은 ‘깃발, 눈발’ 등에 쓰인 것과 같은 접미사로서, ‘기세’ 또는 ‘힘’을 뜻을 나타낸다.
가다 주417)
가다:
갇-[收]+-아(연결 어미). 거두어. 걷혀.
져그리니 고 주418)
고:
골[膏]+-(목적격 조사). 고약을.
브텨 됴리 주419)
됴리:
조리(調理). 건강이 회복되도록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리는 일을 말한다.
라

등에 부스럼이 나서 죽을 듯하거든 동아의 머리 부분을 베어내고 부스럼 위에 엎어 놓으면 동아가 물러질 것이니, 베어내고 다시 엎어 놓아라. 동아를 못다 써서 부스럼의 기운이 걷혀서 적어질 것이니 〈그런 다음에는〉 고약을 붙여 조리하여라.

發背已結成膿 生葀蔞根하랫 불휘 細剉擣硏如糊塗之日三五度卽差

의 브름이 나 곪거든 주420)
곪거든:
곪-[膿]+-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곪거든.
하랫 주421)
하랫:
하눌타리[葀蔞]의. 부록 ‘하눌타리’ 참조.

구급간이방언해 권3:44ㄴ

휘 에 사라 주422)
사라:
사-[剉]+-아(연결 어미). 썰어.
디허 라 플 게 야 로  세 번이나 다 번이나 면 즉재 됴리라

등에 부스럼이 생겨 곪거든 생것의 하눌타리 뿌리를 잘게 썰어 찧고 갈아서 풀같이 하여 바르되 하루 세 번이나 다섯 번을 바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發背癰疽一切瘡熱痛不可忍者 百草霜솓미틧 거믜 生蠐螬산 굼이 等分同硏細貼之如氷痛卽止

읫 브름과 대도 주423)
대도:
온갖. 모든.
브르미 나 덥다라 주424)
덥다라:
덥고 달아. 열이 나서.
알포미 주425)
알포미:
알-[痛]+-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아픔이. 아픈 것이.
디 몯거든 주426)
솓:
솥[鼎].
미틧 주427)
미틧:
밑[底]+-읫(처소 관형격 조사). 밑엣. 밑에 있는.
거믜 주428)
거믜:
검댕[墨].

구급간이방언해 권3:45ㄱ

굼이 주429)
굼이:
굼벵이. 매미의 애벌레.
와 게 화  에 라 브티면 어름 주430)
어름:
얼음[氷].
티 주431)
차:
-[冷]+-아(연결 어미). 차서. 차가워서.
알포미 즉재 그츠리라 주432)
그츠리라:
긏-[止]+-으리-(미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그칠 것이다.

등엣 있는 부스럼과 온갖 부스럼이 생겨 열이 나고 아픔을 참지 못하겠거든 솥 밑에 있는 검댕과 산 굼벵이를 똑같은 분량으로 나누어 한데 곱게 갈아서 붙이면 얼음같이 차서 아픈 것이 즉시 그칠 것이다.

一切惡腫無名及發背高起未破 萆麻子一百粒 男髮雞彈一丸 油熬入丹成膏貼之只一箇便消加黃蠟 少許

대도 주433)
대도:
온. 모든.
모딘 일훔 주434)
일훔:
이름[名].
업슨 브름과 읫 브름이 노피 주435)
노피:
높-[高]+-이(부사 접미사). 높이.
내와다 주436)
내와다:
내왇-[出]+-아(연결 어미). 내밀어.
디디 주437)
디디:
디-[破]+-디(보조적 연결 어미). 터지지.
아니커든

구급간이방언해 권3:45ㄴ

마
주438)
피마:
피마자.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일 낫과 남진 주439)
남진:
사내. 남편.
머리터럭 주440)
머리터럭:
머리털. 이 문헌에서는 ‘髮’에 대하여 ‘머리터럭’과 ‘머리터리’의 두 가지 형 태가 다 쓰이고 있다. “머리터리 의 알만 긔요니 각 두 나”(권1:81ㄴ)
 주441)
:
[雞]+-(관형격 조사). 닭의.
알만 긔니 주442)
긔니:
긔-[團]+-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뭉친 것.
 낫과 기르메 글혀 단 주443)
단: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을 녀허 골 라 브티라  나 스러디리니 주444)
스러디리니:
스러디-[消]+-리-(미래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사라질 것이니. 스러질 것이니.
누른 미 주445)
미:
밀[臘]+-(목적격 조사). 밀랍을. ‘밀랍’은 벌집을 만들기 위하여 꿀벌이 분비하는 물질을 말한다. ‘밀’이라고 한다.
져기 조쳐 주446)
조쳐:
아울러. 함께. ‘조쳐’가 명사에 바로 연결되었을 때는 ‘-조차’의 뜻으로 쓰이고, 명사에 목적격 조사가 붙은 다음에 쓰였을 때는 ‘아울러’의 뜻을 나타낸다.
녀흐라

이름 없는 온갖 악성 부스럼과 등에 있는 부스럼이 높이 내밀어 터지지 아니하거든 피마자 일백 개와 남자의 머리털을 달걀만 하게 뭉친 것 한 낱을 기름에 끓여 황단을 넣고 고약을 만들어 붙여라. 한 낱에 〈부스럼이〉 사라질 것이니 누런 밀랍을 조금 함께 넣어라.

凡人初覺發背欲結未結赤熱腫痛先以濕紙覆其上立視候之其紙先乾處卽是結癰頭也取大蒜마 切成片如當三錢厚薄安其頭上用大艾炷炙之三壯卽換一蒜片痛

구급간이방언해 권3:46ㄱ

者炙至不痛不痛炙至痛時方住最要早覺早炙爲上一日三日十炙十活三日四日六七活五六日三四活過七日則不可炙矣若有十數頭作一處生者卽用大蒜硏成膏作薄餠鋪頭上聚艾於蒜餠上燒之亦能活也若背上初發赤腫一片中閒有一片黃粟米頭子便用獨頭蒜되야마 切去兩頭取中閒半寸厚薄正安於瘡上却用艾於蒜上炙十四

구급간이방언해 권3:46ㄴ

壯多至四十九壯

의 브름이 처 난 줄 알오 주447)
알오:
알고. ㄹ 다음에서 ㄱ이 탈락하였다.
외오져 주448)
외오져:
외-[爲]+-고져(종속적 연결 어미). 되고자. i, j 모음 아래에서 ㄱ이 탈락하였다. 여기서 동사 ‘외다’는 원문에 ‘結’이 쓰인 것으로 보아 부스럼이 낫게 되거나 아물게 되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보인다.
호 몯 외야셔 블거 주449)
블거:
붉어.
덥달오 주450)
덥달오:
열이 나고.
알거든 몬져 믈 저즌 주451)
저즌:
〈물에〉 젖은.
죠 주452)
죠:
종이.
로 그 우희 브텨 보 죠 몬져  히 주453)
히:
ㅎ[所]+-이(주격 조사). 땅이. 곳이.
브 부리니 굴근 주454)
굴근:
굵은.
마 주455)
마:
마[蒜]+-(목적격 조사). 마늘을.
베혀 주456)
베혀:
베히-[割]+-어(연결 어미). 베어. 바로 다음에는 ‘버혀’가 쓰인 것을 볼 수 있어 이 때에는 ‘베히다’와 ‘버히다’가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457)
편:
편(片). 작은 조각.
로 세  둗긔 주458)
둗긔:
두께.
만 야 부리 우희 노코 글 주459)
글:
[艾]+-을(목적격 조사). 쑥을.
크게 야  주460)
:
-[炙]+-우-(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뜸을 뜨되.
붓긔 주461)
붓긔:
[壯]+-의(처격 조사). ‘’은 뜸 뜨는 횟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뜸 뜨는 횟수를 한자로는 ‘장(壯)’으로 나타낸다.
 마 편곰 로 알니란 주462)
알니란:
알-[痛]+-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란(보조사). 아픈 것은. 아픈 데는.
알디

구급간이방언해 권3:47ㄱ

아니록 고 아니 알니란 알록 고 말라 리 아라 리 미 주463)
미:
-[炙]+-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뜨는 것이.
됴니 브름 난 날로셔 사 예 주464)
사 예:
사흘 내에. 사흘 안에.
면 열헤 주465)
열헤:
열ㅎ[十]+-에(처격 조사). 열에. 열 사람에.
열히 다 살오 사 나 주466)
나:
나흘.
예 면 열헤 여슷 닐굽만 살오 닷쇄 엿쇄 주467)
닷쇄 엿쇄:
닷새 엿새.
예 면 서너히 주468)
서너히:
서너ㅎ[三四]+-이(주격 조사). 서너 사람이. 서넛이.
살오 닐웨옷 주469)
닐웨옷:
닐웨[七日]+-곳(강세 보조사). 이레가. ‘닐웨’의 맨 끝소리 j 다음에서 ㄱ 탈락 현상이 일어났다.
디나면 주470)
디나면:
지나면.
디 몯리라 다가 주471)
다가:
만약.
브 부리 여라니 주472)
여라니:
여라[十餘]+이(個, 의존 명사)+∅(zero 주격 조사). 여남은 개가.
고대 주473)
고대:
곧[處]+-애(처격 조사). 곳에. 군데에.
나거든 굴근 마 라 열온 주474)
열온:
엷은.
주475)
:
떡.
게 야 부리 우

구급간이방언해 권3:47ㄴ

희 펴 노코 글 마 우희 뫼화 주476)
뫼화:
뫼호-[集]+-아(연결 어미). 모아.
노하 주477)
노하:
놓아.
오면 주478)
오면:
불사르면.
살리라 다가  우희 블근 브름 나히 날 제 가온  조 주479)
조:
좁쌀.
만 부리 잇거든 되야마 주480)
되야마:
외톨마늘을. ‘외톨마늘’은 한 통에 한 쪽만 든 마늘을 말한다.
주481)
녁:
쪽.
머리 버혀 리고 가온 두틔 주482)
두틔:
두께.
반 치만 케 야 브름 우희 바 노코 그로 마 우흘 열네 붓만  주483)
해:
하+이. 많이.
거든 마 주484)
마:
마흔.
아홉 붓지히 주485)
지히:
지(至)히. 이르도록. -까지.
라

등에 부스럼이 생긴 줄 처음 알고 잘 되게 하고자 했으나 잘 되지 못하여 〈그 부위가〉 붉게 되어 열이 나고 아프거든 먼저 물에 젖은 종이로 그 위에 붙여서 보면 종이가 먼저 마르는 데가 곧 부스럼의 한가운데 뾰족한 부분이다. 〈그래서〉 굵은 마늘을 베어 작은 조각으로 만들되 서 돈 두께 정도 하여 뾰족한 부분 위에 놓고 쑥을 크게 빚어 뜸을 뜨되 세 번 뜸에 마늘 한 조각씩 바꿔서 아픈 데는 아프지 아니할 때까지 뜨고 아프지 아니한 데는 아프게 될 때까지 뜨고는 하지 말아라. 빨리 알아서 빨리 뜨는 것이 좋으니 부스럼이 생긴 날로부터 사흘 안에 뜨면 열에 열 사람이 다 살고, 사흘 나흘 안에 뜨면 열에 여섯 일곱 사람 정도 살며, 닷새 엿새에 뜨면 〈열에〉 서너 사람이 살게 되고, 이레가 지나면 뜸을 뜨지 못할 것이다. 만약 부스럼의 뾰족한 부분 여남은 개가 한 군데에 생기거든 굵은 마늘을 갈아 얇은 떡 같게 해서 뾰족한 부분 위에 펴 놓고 쑥을 마늘 위에 모아 놓아 불사르면 〈사람이〉 살 것이다. 만약 등 위에 붉은 부스럼 하나가 생길 때 가운데에 좁쌀 한 개만 한 뾰족한 부분이 있거든 외톨마늘 두 쪽을 머리 부분을 베어서 버리고 가운데를 두께 반 치 정도 되게 하여 부스럼 위에 바로 놓고 쑥으로 마늘 위를 열네 번 정도 뜨되 많이 뜨려거든 마흔 아홉 번까지 뜸을 떠라.

初覺背有點白粒幷赤腫先從背脊骨第二

구급간이방언해 권3:48ㄱ

椎下陷中兩旁相去同身寸各一寸五分名熱腑穴此穴宣泄背上諸陽熱氣兩處可炙七壯止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의 브르미 처 나 니 주486)
니:
입쌀[稻米]. 멥쌀.
만 니와 블거 븟거든 몬져  주487)
:
등마루의. ‘등마루’는 등골뼈가 있는 두두룩하게 줄진 곳을 가리킨다.
둘챗  주488)
둘챗 :
둘쨋 뼈.
아랫 오목 로 두   사 주489)
 사:
병든 사람의. 병이 있는 사람의.
가온 가락으로 각  주490)
촌:
길이의 단위인 ‘치’를 말한다. 한 치는 한 자의 10분의 1로서 대략 3.33cm에 해당한다.
주491)
분:
길이의 단위인 ‘푼’을 말한다. 한 푼은 한 치의 10분의 1로서 대략 0,33cm에 해당한다.
만   일후믈 부혈 주492)
부혈:
열부혈(熱腑穴). 그 위치는 제2 등뼈 아래에서 양 옆으로 각각 1치 5푼쯤 되는 곳이다.
이라 니 이 주493)
혈(穴):
침을 놓거나 뜸을 뜰 때의 올바른 자리. ‘경혈(經穴)’의 준말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경혈’ 참조.
은  우희 모

구급간이방언해 권3:48ㄴ

주494)
덥단:
덥달-[熱]+-ㄴ(관형사형 어미). 덥고 단. 몹시 열이 난.
긔운을 업게 니 그 부혈 두 고 주495)
두 고:
두[二]+곧[處]+-(목적격 조사). 두 곳을.
닐굽 붓곰 주496)
붓곰:
~장(壯)씩. ~번씩.
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등에 부스럼이 처음 생겨 입쌀만 한 데다 붉어지며 붓거든 먼저 등마루의 둘째 뼈 아래의 오목한 데에서 양쪽 가장자리로 병든 본인의 가운데 손가락으로 짚어 각각 한 치 다섯 푼 정도 되는 곳을 이름하여 열부혈(熱腑穴)이라 하는데, 이 혈(穴)은 등 위의 모든 양(陽)의 열 기운을 없게 하므로 그 열부혈의 두 곳을 일곱 번씩 뜸을 떠라. (이 경혈에 자주 침을 놓거나 뜸을 떠서 모든 양의 열기를 내리면 등에는 일체의 종기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
Ⓒ 역자 | 김문웅 / 2008년 6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졔:중국 송나라 때 진사문(陳士文) 등이 지은 의서(醫書).
주002)
쳔금루로: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3)
오련효:오향련교탕(五香連翹湯).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4)
십션산:십선산(十宣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5)
분탁니산:유분탁리산(乳粉托裏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6)
브름:부스럼[腫].
주007)
부리:끄트머리. 가장자리. 여기서는 ‘부리’에 해당하는 원문이 ‘瘡頭’로 되어 있어 부스럼의 꼭지를 가리킨다.
주008)
아모:아모[某]+[處]. 아무데. 어디.
주009)
저즌:젖-[濕]+-은(관형사형 어미). 젖은.
주010)
히: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곳이.
주011)
라:(뜸을) 뜨라.
주012)
다가:만일. 만약.
주013)
몬져:먼저.
주014)
알거든:아프거든.
주015)
랍거든:랍-[痒]+-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가렵거든.
주016)
헤여디니와:헤여디-[潰]+-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헤어진 것과. ‘헤어지다’라는 동사는 살갗이 터져 갈라지거나 헐어 문드러짐을 뜻하는 말이다.
주017)
모딘: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나쁜.
주018)
하랫:하눌타리[葀蔞]의. ‘하눌타리’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19)
느릅나못:느릅나무의. ‘느릅나무’는 부록의 <용어사전 id="">‘유백피’를 참조.
주020)
:-[白]+-ㄴ(관형사형 어미). 흰.
주021)
거플:꺼풀. 껍질.
주022)
마:마기[胡燕]+-(관형격 조사). 명매기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명매기집’을 참조.
주023)
몃낸:면낸. 동사 ‘면내다’는 쥐나 개미 따위가 구멍을 뚫느라고 보드라운 가루 흙을 파 내어 놓는 것을 말한다.
주024)
화: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주025)
겨지븨:겨집[女]+-의(관형격 조사). 여자의. 아내의.
주026)
월슈:월경수(月經水). 월경으로 나오는 피를 가리킨다.
주027)
면:사면(四面).
주028)
긔특:긔특(奇特)-+-(관형사형 어미). 기특한. 이상한. 신기한.
주029)
주를:줄(것, 의존 명사)+-을(목적격 조사). ~줄을. ~것을.
주030)
닷쇄:닷새[五日].
주031)
읫:[背]+-읫(처소 관형격 조사). 등에 있는.
주032)
져젯:졎[乳]+-엣(처소 관형격 조사). 젖에 있는.
주033)
대:대(大黃)의. ‘대황’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34)
구리댓:구릿대[白芷]의. ‘구릿대’는 부록의 <용어사전 id="">‘백지’를 참조.
주035)
애:(鍾)+-애(처격 조사). 종지에.
주036)
달혀:달여[煎].
주037)
커든:-[爲]+-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하거든. 되거든. ‘거든’에서 ‘’모음이 탈락하고 ㅎ이 그 다음의 ㄱ과 합하여 ‘커든’이 되었다.
주038)
:생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39)
즛두드려:즛-(접두사)+두드리-[打]+-어(연결 어미). 짓두드려.
주040)
:(젖을) 짠.
주041)
져기:적이. 조금.
주042)
:-[孕]+-ㄴ(관형사형 어미). 〈아기를〉 밴.
주043)
늘그니:늙-[老]+-은(관형사형 어미)+이(人, 의존 명사). 늙은이. 노인.
주044)
아:아이[兒].
주045)
짐쟉야:헤아려. 요량하여.
주046)
더러:덜-[減]+-어(연결 어미). 덜어. 줄여.
주047)
감초: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48)
지지:치자(梔子). 부록의 <용어사전 id="">‘치자’ 참조.
주049)
:씨[種子].
주050)
드려:들-[入]+-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들이어. 넣어.
주051)
왼:외-[爲]+-ㄴ(관형사형 어미). 된.
주052)
고롬:고름[膿].
주053)
즈츼리라:즈츼-[瀉]+-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라(평서형 종결 어미). 지칠 것이다. 설사할 것이다. 쏟아질 것이다.
주054)
궤(几):늙어서 벼슬을 그만두는 대신이나 중신에게 임금이 주던 물건이다. 앉아서 팔을 기대어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양편 끝은 조금 높고 가운데는 둥글게 우묵하고 모 가 없으며, 구멍이 있어 제면(綈綿)을 잡아 매었다.
주055)
지혀:지혀-[依支]+-어(연결 어미). 의지하여. 지다〉지혀다.
주056)
이쇼미:이시-[有]+-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있음이. 있는 것이.
주057)
록두:녹두(菉豆).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58)
열두:열두어[十二三].
주059)
마:말[斗]+-(목적격 조사). 말을.
주060)
쟐의:쟈[袋]+-의(처격 조사). 자루에. 명사 ‘쟈’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끝 모음 ‘’가 탈락하여 그 형태가 ‘쟐’로 교체되었다.
주061)
녀허:녛-[入]+-어(연결 어미). 넣어.
주062)
업데여:업데-[伏]+-어(연결 어미). 엎드려.
주063)
이시면:있으면.
주064)
미:[心]+-이(주격 조사). 마음이.
주065)
리니:-[淸]+-리-(미래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맑고 깨끗할 것이니.
주066)
모:몸을.
주067)
잡:잡념. 잡생각.
주068)
됴리라:됴리(調理)-+-라(명령형 어미). 조리하여라. ‘조리하다’는 건강이 회복되도록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림을 뜻하는 말이다.
주069)
효:횩-[小]+-(관형사형 어미). 작은.
주070)
가:가[棘]+-∅(zero 주격 조사). 가시가.
주071)
잇닐:잇-[有]+-(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있는 것을.
주072)
조히:좋-[淨]+-이(부사 접미사). 깨끗이.
주073)
시서:씻어.
주074)
하나 져그나:많으나 적으나.
주075)
디허:찧어.
주076)
:짜낸.
주077)
단: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78)
브툐:븥-[附着]+-이-(사동 접미사)+-오-(삽입 모음)+-(종속적 여결 어미). 붙이되.
주079)
스러디록:스러디-[消]+-록(부사형 어미). 사라지도록. 사라질 때까지.
주080)
곱도:꼭두서니[茜草]의. ‘꼭두서니’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81)
:배롱(焙籠). 화로에 씌워 놓고 그 위에 젖은 기저귀나 옷을 얹어 말리도록 만든 기구로서 대오리를 휘어서 만들거나 좁은 쇠테로 만든다.
주082)
외야:-[乾]+-외-(사동 접미사)+-아(연결 어미). 말려서. 동사 어간 ‘-’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사동 접미사 앞에서 끝모음 ‘’가 탈락하여 어간이 ‘-’로 교체되었다.
주083)
팟믿:파의 밑동.
주084)
글힌:끓인.
주085)
보라온:보드라운.
주086)
헌거스로:헝겊으로.
주087)
스서:슷-[拭]+-어(연결 어미). 닦아. 문질러.
주088)
기름:참기름[香油].
주089)
면:바르면[塗].
주090)
져제어나:졎[乳]+-에(처격 조사)+-거나(보조사). 젖에거나. 젖에 나거나.
주091)
처믜:처[初]+-의(처격 조사). 처음에.
주092)
블거거든:블거-[赤]+-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벌겋거든.
주093)
하래:하눌타리[葀蔞].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94)
디:찧은.
주095)
:가루를.
주096)
새배:새벽.
주097)
:남[他人].
주098)
기러셔:긷-[汲]+-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길어서. ‘긷다’는 ㄷ불규칙 활용 동사이므로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이 ‘긷-’에서 ‘길-’로 교체되었다.
주099)
몬져:먼저.
주100)
기론:길-(汲, ㄷ불규칙동사)+∅(연결 어미 생략)+오[來]+ㄴ. 길어 온.
주101)
우믌므레:우믈[井]+ㅅ(사이시옷)+믈[水]+-에(처격 조사). 우물물에.
주102)
술옴:술[匙]+-곰(씩, 접미사). 숟갈씩. 접미사 ‘-곰’의 첫소리 ㄱ이 ㄹ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주103)
프러:풀어서[混合].
주104)
벽핏:황벽(黃蘗)나무 껍질의.
주105)
 알:[鷄]+-(관형격 조사)+알[卵]. 닭의 알. 달걀.
주106)
흰므레:흰물에. 〈달걀의〉 흰자위에.
주107)
하래:하눌타리[葀蔞].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08)
:~낱을. ~개(個)를.
주109)
거플:꺼풀. 껍질.
주110)
몰약: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11)
닫:따로.
주112)
오:갈고[磨].
주113)
:[生]+-(목적격 조사). 날것을. 생것을. 중세 국에서는 ‘’이 명사로 쓰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날-(〈)’이 접두사로만 쓰이고 있다.
주114)
탁쥬:탁주(濁酒). 막걸리.
주115)
사바래:사발[椀]+-애(처격 조사). 사발에.
주116)
글혀:끓여.
주117)
외어든:되거든.
주118)
즈:찌꺼기. 지스러기.
주119)
앗고:앗-[奪, 去]+-고(대등적 연결 어미). 빼앗고. 없애고.
주120)
녀허:녛-[入]+-어(연결 어미). 넣어.
주121)
닐:-[溫]+-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따뜻한 것을.
주122)
날회야:천천히. 더디게.
주123)
고로미:고롬[膿]+-이(주격 조사). 고름이.
주124)
해:하-[多]+-이(부사 접미사). 많이.
주125)
알포미:알-[痛]+-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아픔이. 아픈 것이.
주126)
그츠리니:긏-[止]+-으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그칠 것이니.
주127)
긋디:긏-[止]+-디(보조적 연결 어미). 그치지.
주128)
지:짓-[作]+-어(연결 어미). 지어. 동사 어간 ‘짓-’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주129)
사:사흘.
주130)
닷쇄:닷새.
주131)
리라:버리라.
주132)
:생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33)
:짠.
주134)
도: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주135)
게:쓸개.
주136)
골오:고루.
주137)
브티고:붙이고.
주138)
엔두루:두루.
주139)
루로:누로(漏蘆).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40)
머고미:먹-[服用]+-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먹음이. 먹는 것이.
주141)
혀이며:혀이-[浸]+-며(대등적 연결 어미). 적시며. 담그며.
주142)
지남셕:지남석(指南石). 부록의 <용어사전 id="">‘자석’ 참조.
주143)
더덕: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44)
바꽃:부록의 <용어사전 id="">‘초오(草烏)’ 참조.
주145)
허튼:헡-[亂]+-은(관형사형 어미). 흐트러진.
주146)
터럭:털.
주147)
론:-[燒]+-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불사른. 불태운.
주148)
:재[灰].
주149)
술:숟가락. 숟갈.
주150)
로:-[塗]+-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바름을. 바르기를.
주151)
:하루.
주152)
너덧 번곰:네다섯 번씩.
주153)
져제:졎[乳]+-에(처격 조사). 젖에. 유방에.
주154)
고티니라:고티-[愈]+--(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라(평서형 어미). 고친다.
주155)
가마 믿:가마솥 밑.
주156)
마촘:마초-[適]+-옴(명사형 어미). 맞춤. 가까운 곳. 바로.
주157)
라:갈아[磨].
주158)
골:고약.
주159)
뵈:베[布].
주160)
거든:-[乾]+-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마르거든.
주161)
라:갈아[易]. 바꿔.
주162)
개나릿:개나리의. ‘개나리’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63)
야:야지[犢]+-(관형격 조사). 송아지의. 모음의 조사 ‘-’ 앞에서 명사 ‘야지’의 끝모음 ㅣ가 탈락하였다.
주164)
귀:귀청.
주165)
므:믈[水]+쇼[牛]+-ㅣ(주격 조사). 물소가. ‘믈’과 ‘쇼’가 통합되면서 ‘믈’의 받침 ㄹ이 탈락하였는데, 이는 ‘말[馬]’과 ‘소[牛]’가 통합하면서 ㄹ이 탈락하여 ‘마소’가 된 경우와 같다.
주166)
:해[年].
주167)
예:[烟]+-예(처격 조사). 연기에.
주168)
그:그-[炱]+-ㄴ(관형사형 어미). 그을린.
주169)
맷:[壁]+-앳(처소 관형격 조사). 벽엣. 벽에 있는.
주170)
벽 피:황벽(黃蘗)나무의 껍질. ‘황벽’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71)
화: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주172)
처:츠-[篩]+-어(여결 어미). (체로) 쳐서.
주173)
모:모향(茅香).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74)
수:술[匙]+-(목적격 조사). 숟가락을. 숟갈을.
주175)
:날것. 생것.
주176)
의맛:의마[菖蒲]+ㅅ(사이시옷). 창포의. ‘창포’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177)
받:밭[田]. 명사 ‘밭’의 끝소리 ㅌ이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ㄷ으로 교체되었다.
주178)
가디:갈-[耕]+-디(보조적 연결 어미). 갈지. 경작하지.
주179)
햇:ㅎ[地]+-앳(처소 관형격 조사). 땅엣. 땅에 있는.
주180)
:똥.
주181)
벌에:벌레.
주182)
가마괴:까마귀.
주183)
어르믈:얼음[氷]+-을(목적격 조사). 얼음을.
주184)
다혀:닿-[着]+-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닿게 하여. 대이어.
주185)
댓무:무.
주186)
글혀:긇-[沸]+-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끓여서.
주187)
하나:많으나.
주188)
져그나:적으나.
주189)
신긔:신기(神奇)한.
주190)
도: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주191)
며톱:며[婦]+톱[爪]. 며느리발톱. 이는 말이나 소 따위 짐승의 뒷발에 달린 발톱을 이르는 말이다.
주192)
조히:좋-[淨]+-이(부사 접미사). 깨끗이.
주193)
시서:씻어.
주194)
달혀: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주195)
시:-[溫]+-이(부사 접미사). 따뜻이.
주196)
스서:슷-[拭]+-어(연결 어미). 닦아.
주197)
섯래:섯[十二月]+-애(처격 조사). 섣달에. 십이월에.
주198)
:-[摘]+-ㄴ(관형사형 어미). 딴. 따낸.
주199)
프러:플-[混合]+-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주200)
거든:-[冷]+-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차가워지거든. 식거든.
주201)
록둣:녹두의. ‘녹두’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02)
븕게:븕-[赤]+-게(부사형 어미). 붉게.
주203)
봇가:-[炒]+-아(연결 어미). 볶아.
주204)
노하:놓아[放].
주205)
화독(火毒):불의 독기.
주206)
:[圍]+-애(처격 조사). 가에. 주위에. 가장자리에. 명사 ‘’의 끝소리 ㅅ이 모음의 조사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주207)
믈읫:무릇.
주208)
제:적[時]에.
주209)
펴디디:펴디-[擴]+-디(보조적 연결 어미). 퍼지지.
주210)
복홧 고:복화[桃花]+ㅅ(사이시옷)+곶[花]+-(목적격 조사). 복숭아꽃을. ‘복숭아꽃’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11)
아:아[朝]+-(관형격 조사). 아침의.
주212)
:-[摘]+-아(연결 어미). (열매 등을) 따서.
주213)
:-[窄]+-아(연결 어미). (기름 등을) 짜서.
주214)
즈:찌꺼기.
주215)
벌에:벌레. 여기서는 병독(病毒)을 가리킨다.
주216)
곳곳:곶[花]+곳(강세 보조사). 꽃 곧. 명사 ‘곶’이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곳’이 되었다.
주217)
닙도:닢[葉]+도(보조사). 잎도. 명사 ‘닢’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닙’이 되었다.
주218)
라:[和, 調]+-아(연결 어미). 말아. 풀어. 개어.
주219)
로미:-[塗]+-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바름이. 바르는 것이.
주220)
:갓. 방금. 이제 막.
주221)
눈:누-[排]+-ㄴ(관형사형 어미). 눈.
주222)
:말똥[馬糞].
주223)
둗거이:둗겁-[厚]+-이(부사 접미사). 두껍게. 두터이.
주224)
거든:-[乾]+-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마르거든. 건조하거든.
주225)
라:-[換]+-아(연결 어미). 갈아서. 바꿔서.
주226)
져제:졎[乳]+-에(처격 조사). 젖에. 유방에.
주227)
닉게:닉-[熟]+-게(부사형 어미). 익도록.
주228)
봇그니:-[炒]+-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볶은 것.
주229)
감초: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30)
:날것. 생것.
주231)
수유:젖기름. 젖이나 우유에 들어 있는 지방.
주232)
져기:젹-[少]+-이(부사 접미사). 적게. 조금.
주233)
섯거:-[混]+-어(연결 어미). 섞어.
주234)
:떡.
주235)
두렫며:두렫-[圓]+-며(대등적 연결 어미). 둥글며.
주236)
져고:젹-[小]+-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작음을.
주237)
더우닐:덥-[熱]+-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더운 것을.
주238)
뎔온:뎔오-[油]+-ㄴ(관형사형 어미). 결은. 기름 따위가 흠씬 밴. 원문에 있는 ‘유단(油單)’은 기름에 결은 두껍고 질긴 큰 종이를 가리킨다.
주239)
오란:오라-[久]+-ㄴ(관형사형 어미). 오랜.
주240)
구디:굳-[堅]+-이(부사 접미사). 굳게. 단단히.
주241)
야:-[繫]+-아(연결 어미). (붙잡아) 매어.
주242)
:바람[風].
주243)
거든:-[冷]+-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차거든. 식거든.
주244)
라:-[換]+-아(연결 어미). 갈아서. 교체해서.
주245)
녜:늘. 항상.
주246)
너:너[黃耆]+ㅅ(사이시옷). 단너삼의. ‘단너삼’은 부록의 <용어사전 id="">‘황기’ 참조.
주247)
드려:들-[入]+-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들여. 넣어.
주248)
순:수-[煮]+-ㄴ(관형사형 어미). (죽이나 메주 등을) 쑨.
주249)
쥭:쌀죽. 흰죽.
주250)
:[糯米]+-(목적격 조사). 찹쌀을.
주251)
에:가늘게. 잘게. 곱게.
주252)
새배:새벽.
주253)
:남. 다른 사람.
주254)
기러셔:긷-[汲]+-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물 길어서. ‘긷다’는 ㄷ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받침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되었다.
주255)
몬져:먼저.
주256)
기론:물 길은.
주257)
라:말아. 풀어. 개어.
주258)
면:사면(四面).
주259)
우:오배자(五倍子).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60)
고:살구씨[杏仁]. 부록의 <용어사전 id="">‘행인’ 참조.
주261)
며톱:며[婦]+톱[爪]. 며느리발톱.
주262)
구리댓:구릿대[白芷]의. ‘구릿대’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백지’ 참조.
주263)
련이:연꽃 송이. 부록의 <용어사전 id="">‘연꽃’ 참조.
주264)
가:정가[荊芥]. 부록의 <용어사전 id="">‘형개’ 참조.
주265)
팟 믿:파[葱]+ㅅ(사이시옷)+밑[下]. 파의 흰 밑동 부분. 명사 ‘밑’의 받침 ㅌ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ㄷ으로 교체되었다.
주266)
찻닙:차(茶)+ㅅ(사이시옷)+닢[葉]. 찻잎. 명사 ‘닢’의 받침 ㅍ도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ㅂ으로 교체되었다.
주267)
됴니:둏-[好]+-(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좋은 것.
주268)
시:따뜻이.
주269)
바곳:바꽃. ‘바꽃’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초오’를 참조.
주270)
거플:꺼풀. 껍질.
주271)
:ㅎ[秋]+ㅅ(사이시옷). 가을의. ㅎ끝소리 명사의 ㅎ이 사이시옷 앞에서는 소멸된다.
주272)
련닙:연꽃 잎.
주273)
해:ㅎ[陰]+-애(처격 조사). 그늘에.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274)
외요니와:-[乾]+-외-(사동 접미사)+-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목적격 조사). 말린 것을. 삽입 모음과, 열거되는 명사 항목 중 맨 마지막 항목에 붙은 접속 조사는 현대 국어에서 그 용법이 소멸되었다. 그리고 동사 어간 ‘-’는 모음의 접사 앞에서 ‘-’로 교체되었다.
주275)
게:같게. 같이.
주276)
화: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주277)
에:-[細]+-게(부사형 어미). 가늘게. 잘게. 어미 ‘-게’의 첫소리 ㄱ이 어간의 끝소리 ㄹ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주278)
:생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79)
즛두드려:즛-(접두사)+두드리-[打]+-어(연결 어미). 짓두드려.
주280)
:-[窄]+-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짜낸.
주281)
골:고약.
주282)
죠고매:조그마하게.
주283)
굼글:구무[穴]+-을(목적격 조사). 구멍을. 명사 ‘구무’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이와 같은 교체를 보이는 대표적인 명사로 ‘나모’를 들 수 있다. ‘남기, 남, 남, 남로 …’ 등과 같다.
주284)
어름:얼음[氷].
주285)
면:차면[冷]. 차가우면.
주286)
알포미:알-[痛]+-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아픔이.
주287)
그츠며:긏-[止]+-으며(대등적 연결 어미). 그치며.
주288)
하거든:하-[多]+-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많거든. 심하거든.
주289)
두야머주저깃:두여머조자기의. ‘두여머조자기’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천남성’ 참조.
주290)
마:승마(升麻).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291)
서 되:석 되[三升].
주292)
-만:-만큼. 정도.
주293)
커든:‘거든’의 축약형. 하거든. 되거든.
주294)
세헤:세ㅎ[三]+-에(처격 조사). 셋에. 셋으로.
주295)
니:끼니. 때.
주296)
혜디:혜-[計]+-디(보조적 연결 어미). 헤아리지. 생각하지.
주297)
머고미:먹-[服用]+-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먹음이. 먹는 것이.
주298)
누른:누런. 현대 국어의 기본형은 ‘누렇다’이다.
주299)
졋:쇼[牛]+-ㅣ(관형격 조사)+졎[乳]. 소의 젖. 우유.
주300)
진교(秦艽):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01)
움:새로 돋아나는 싹.
주302)
앗고:빼앗고. 제거하고. 걷어내고.
주303)
사로니:사-[剉]+-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썬 것.
주304)
즈:찌꺼기.
주305)
닐:따뜻한 것을.
주306)
세헤:셋으로.
주307)
훤히:훤하게. 시원하게.
주308)
즈츼여:즈츼-[痢]+-어(연결 어미). 지치어. 설사하여.
주309)
하:하-[多]+-아(연결 어미). 많아서. 심해서.
주310)
:날것. 생것.
주311)
죠핏:초피나무의. ‘초피나무’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12)
니플:닢[葉]+-을(목적격 조사). 잎을.
주313)
덥달오:덥달-[熱]+-고(대등적 연결 어미). 덥게 달고. 몹시 열이 나고.
주314)
고 열:곰[熊]+-(관형격 조사)+열[膽]. 곰의 쓸개. 부록의 <용어사전 id="">‘웅담’ 참조.
주315)
샤:사향(麝香).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16)
환:환약(丸藥). 알약.
주317)
로:만들되.
주318)
기:기장.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19)
:쌀[米].
주320)
-마곰:-만큼. -만 하게.
주321)
조케:좋-[淨]+-게(부사형 어미). 깨끗하게.
주322)
부리:원문에 ‘창구(瘡口)’라고 되어 있어 여기서의 ‘부리’는 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을 말하는 것이다.
주323)
녀코:녛-[入]+-고(대등적 연결 어미). 넣고.
주324)
독:해독(解毒). 몸 안에 들어간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앰.
주325)
긔산:생기산(生肌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26)
:-[撒]+-(관형사형 어미). 뿌린.
주327)
밀플:밀가루로 쑨 풀.
주328)
수어:쑤어.
주329)
:-[故]+-(관형사형 어미). 낡은.
주330)
젼:조각.
주331)
더프라:덮-[覆]+-으라(명령형 어미). 덮어라. 이 책(권3)의 12ㄴ에는 동사 ‘덮다’가 ‘둪다’로 쓰였다.
주332)
소로:손[手]으로.
주333)
져:만져.
주334)
디:-[忍]+-디(보조적 연결 어미). 참지.
주335)
덥다라:덥고 달아. 열이 나서.
주336)
부초:부평초(浮萍草).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37)
:닭[雞]의.
주338)
소뱃:솝[內]+-앳(처소 관형격 조사). 속엣. 속에 있는.
주339)
:-[淸]+-(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340)
므르디허:흠씬 찧어.
주341)
저즈닐:젖-[濕]+-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젖은 것을.
주342)
라:-[包]+-아(연결 어미)+-[繫]+-라(명령형 어미). 싸매라.
주343)
버릐:벌[土蜂]+-의(관형격 조사). 말벌의. ‘말벌’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44)
버릐 집:말벌의 집. 부록의 <용어사전 id="">‘노봉방’을 참조.
주345)
와:[生]+-과(접속 조사)+-(목적격 조사). 생것을. 날것을.
주346)
사라:사-[剉]+-아(연결 어미). (칼로) 썰어.
주347)
-만:-만큼. 정도(程度).
주348)
즈:찌꺼기.
주349)
소오매:소옴[緜]+-애(처격 조사). 솜에.
주350)
저져:젖-[浸]+-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적시어.
주351)
면을:사면(四面)을.
주352)
호:-(보조 형용사)+-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듯함을.
주353)
븟거든:븟-[腫]+-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붓거든.
주354)
면:쓰면[用]. 사용하면.
주355)
안로:안ㅎ[內]+-로(조격 조사). 안으로.
주356)
스러디리니:스러디-[消]+-리-(미래시제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사라질 것이니.
주357)
조협(皂莢):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58)
나:낯[個]+-(목적격 조사). ~낱을. ~개(個)를.
주359)
거믄:검은[黑].
주360)
아니:앗-[去]+-(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제거한 것. 걷어낸 것.
주361)
벼틔:볕[陽]+-의(처격 조사). 볕에.
주362)
외니:-[乾]+-외-(사동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말린 것.
주363)
처: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서.
주364)
:갓. 방금.
주365)
기론:긷-[汲]+-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길은.
주366)
프로:플-[混合]+-오-(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풀되.
주367)
밀플:밀풀. 밀가루로 쑨 풀.
주368)
뵈:베[布]. 천.
주369)
브툐:붙이되.
주370)
눈비여슬:눈비엿[益母草]+-을(목적격 조사). 암눈비앗[益母草]을. 부록의 <용어사전 id="">‘익모초’ 참조.
주371)
조:자주.
주372)
곡뒤:꼭뒤. 뒤통수의 한가운데.
주373)
갓:가죽. 명사 ‘갓’의 원형은 ‘갗’이나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갓’으로 교체된 것이다.
주374)
밧겨:밧-[剝]+-기-(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벗기어.
주375)
굼글:구멍을.
주376)
들워:듧-[穿]+-어(연결 어미). 뚫어. 어간 ‘듧-’이 모음 어미 앞에서 ‘들우-’로 교체되었다.
주377)
부리:어떤 물건의 끝이 뾰족한 부분. 여기서는 부스럼이 곪느라고 한가운데가 뾰족해진 것을 보고 그 부분을 ‘부리’라고 한 것이다.
주378)
지:짓-[作]+-어(연결 어미). 지어. 이루어. 동사 어간 ‘짓-’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주379)
고로미:고롬[膿]+-이(주격 조사). 고름이.
주380)
싣나못:신나무의. ‘신나무’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81)
:-[用]+-우-(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쓰되. 사용하되.
주382)
웃블근:웃-(접두사)+븕-[赤]+-은(관형사형 어미). 보통 이상으로 많이 붉은. 접두사 ‘웃-’의 용법은 ‘웃자라다’고 할 때의 ‘웃-’과 같은 것이다.
주383)
로니:-[磨]+-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간 것.
주384)
커든:-[爲]+-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하거든. 되거든.
주385)
:맑은.
주386)
디디:디-[破]+-디(보조적 연결 어미). 터지지.
주387)
사리니:살-[活]+--(사동 접미사)+-리-(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살릴 것이니.
주388)
대도:온. 모든.
주389)
브:븟-[腫]+-어(연결 어미). 부어. 동사 어간 ‘븟-’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주390)
알닐:앓-[痛]+-(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앓는 것을. 아파하는 것을.
주391)
고툐:고티-[治]+-오-(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고치되. 고치려면.
주392)
하다래:하눌타리.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93)
니와:-[硏]+-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간 것과. 일반적 형태로는 여기에 삽임 모음 ‘오’가 첨가된 ‘로니와’가 주로 쓰였다.
주394)
:유향(乳香).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395)
무적:무더기. 덩이.
주396)
대초:대추씨.
주397)
닐:-[爲]+-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ㄹ(목적격 조사). 한 것을.
주398)
밀:백청밀(白淸蜜). 빛깔이 희고 품질이 좋은 꿀.
주399)
두:두[二]+서[三]. 두세.
주400)
:-[溫]+-ㄴ(관형사형 어미). 따뜻한.
주401)
됴리:둏-[好]+-(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zero 주격 조사). 좋을 것이.
주402)
안해:안ㅎ[內]+-애(처격 조사). 안에.
주403)
기름:참기름.
주404)
은그르세:은(銀)+그릇[器]+-에(처격 조사). 은그릇에.
주405)
소솜:솟음. 약을 달일 때 약이 끓어 솟는 횟수를 세는 단위.
주406)
니:-[冷]+-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찬 것. 차가운 것.
주407)
사바래:사발[椀]+-애(처격 조사). 사발에.
주408)
데여:데이-[加熱]+-어(연결 어미). 데워. 덥혀.
주409)
나:낮[日]+-(처격 조사). 낮에.
주410)
주글:죽-[死]+-을(관형사형 어미). 죽을.
주411)
화:동아[冬瓜].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412)
버히고:버히-[割]+-고(대등적 연결 어미). 베고. 자르고.
주413)
어프면:엎-[伏]+-으면(종속적 연결 어미). 엎으면.
주414)
므르리니:므르-[爛]+-리-(미래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물러질 것이니.
주415)
셔:-[用]+-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써서. 사용해서.
주416)
-바리:-발(접미사)+-이(주격 조사). -발이. 접미사 ‘-발’은 ‘깃발, 눈발’ 등에 쓰인 것과 같은 접미사로서, ‘기세’ 또는 ‘힘’을 뜻을 나타낸다.
주417)
가다:갇-[收]+-아(연결 어미). 거두어. 걷혀.
주418)
고:골[膏]+-(목적격 조사). 고약을.
주419)
됴리:조리(調理). 건강이 회복되도록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리는 일을 말한다.
주420)
곪거든:곪-[膿]+-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곪거든.
주421)
하랫:하눌타리[葀蔞]의. 부록 ‘하눌타리’ 참조.
주422)
사라:사-[剉]+-아(연결 어미). 썰어.
주423)
대도:온갖. 모든.
주424)
덥다라:덥고 달아. 열이 나서.
주425)
알포미:알-[痛]+-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아픔이. 아픈 것이.
주426)
솓:솥[鼎].
주427)
미틧:밑[底]+-읫(처소 관형격 조사). 밑엣. 밑에 있는.
주428)
거믜:검댕[墨].
주429)
굼이:굼벵이. 매미의 애벌레.
주430)
어름:얼음[氷].
주431)
차:-[冷]+-아(연결 어미). 차서. 차가워서.
주432)
그츠리라:긏-[止]+-으리-(미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그칠 것이다.
주433)
대도:온. 모든.
주434)
일훔:이름[名].
주435)
노피:높-[高]+-이(부사 접미사). 높이.
주436)
내와다:내왇-[出]+-아(연결 어미). 내밀어.
주437)
디디:디-[破]+-디(보조적 연결 어미). 터지지.
주438)
피마:피마자.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439)
남진:사내. 남편.
주440)
머리터럭:머리털. 이 문헌에서는 ‘髮’에 대하여 ‘머리터럭’과 ‘머리터리’의 두 가지 형 태가 다 쓰이고 있다. “머리터리 의 알만 긔요니 각 두 나”(권1:81ㄴ)
주441)
:[雞]+-(관형격 조사). 닭의.
주442)
긔니:긔-[團]+-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뭉친 것.
주443)
단: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444)
스러디리니:스러디-[消]+-리-(미래 선어말 어미)+-니(종속적 연결 어미). 사라질 것이니. 스러질 것이니.
주445)
미:밀[臘]+-(목적격 조사). 밀랍을. ‘밀랍’은 벌집을 만들기 위하여 꿀벌이 분비하는 물질을 말한다. ‘밀’이라고 한다.
주446)
조쳐:아울러. 함께. ‘조쳐’가 명사에 바로 연결되었을 때는 ‘-조차’의 뜻으로 쓰이고, 명사에 목적격 조사가 붙은 다음에 쓰였을 때는 ‘아울러’의 뜻을 나타낸다.
주447)
알오:알고. ㄹ 다음에서 ㄱ이 탈락하였다.
주448)
외오져:외-[爲]+-고져(종속적 연결 어미). 되고자. i, j 모음 아래에서 ㄱ이 탈락하였다. 여기서 동사 ‘외다’는 원문에 ‘結’이 쓰인 것으로 보아 부스럼이 낫게 되거나 아물게 되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보인다.
주449)
블거:붉어.
주450)
덥달오:열이 나고.
주451)
저즌:〈물에〉 젖은.
주452)
죠:종이.
주453)
히:ㅎ[所]+-이(주격 조사). 땅이. 곳이.
주454)
굴근:굵은.
주455)
마:마[蒜]+-(목적격 조사). 마늘을.
주456)
베혀:베히-[割]+-어(연결 어미). 베어. 바로 다음에는 ‘버혀’가 쓰인 것을 볼 수 있어 이 때에는 ‘베히다’와 ‘버히다’가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457)
편:편(片). 작은 조각.
주458)
둗긔:두께.
주459)
글:[艾]+-을(목적격 조사). 쑥을.
주460)
:-[炙]+-우-(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뜸을 뜨되.
주461)
붓긔:[壯]+-의(처격 조사). ‘’은 뜸 뜨는 횟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뜸 뜨는 횟수를 한자로는 ‘장(壯)’으로 나타낸다.
주462)
알니란:알-[痛]+-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란(보조사). 아픈 것은. 아픈 데는.
주463)
미:-[炙]+-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뜨는 것이.
주464)
사 예:사흘 내에. 사흘 안에.
주465)
열헤:열ㅎ[十]+-에(처격 조사). 열에. 열 사람에.
주466)
나:나흘.
주467)
닷쇄 엿쇄:닷새 엿새.
주468)
서너히:서너ㅎ[三四]+-이(주격 조사). 서너 사람이. 서넛이.
주469)
닐웨옷:닐웨[七日]+-곳(강세 보조사). 이레가. ‘닐웨’의 맨 끝소리 j 다음에서 ㄱ 탈락 현상이 일어났다.
주470)
디나면:지나면.
주471)
다가:만약.
주472)
여라니:여라[十餘]+이(個, 의존 명사)+∅(zero 주격 조사). 여남은 개가.
주473)
고대:곧[處]+-애(처격 조사). 곳에. 군데에.
주474)
열온:엷은.
주475)
:떡.
주476)
뫼화:뫼호-[集]+-아(연결 어미). 모아.
주477)
노하:놓아.
주478)
오면:불사르면.
주479)
조:좁쌀.
주480)
되야마:외톨마늘을. ‘외톨마늘’은 한 통에 한 쪽만 든 마늘을 말한다.
주481)
녁:쪽.
주482)
두틔:두께.
주483)
해:하+이. 많이.
주484)
마:마흔.
주485)
지히:지(至)히. 이르도록. -까지.
주486)
니:입쌀[稻米]. 멥쌀.
주487)
:등마루의. ‘등마루’는 등골뼈가 있는 두두룩하게 줄진 곳을 가리킨다.
주488)
둘챗 :둘쨋 뼈.
주489)
 사:병든 사람의. 병이 있는 사람의.
주490)
촌:길이의 단위인 ‘치’를 말한다. 한 치는 한 자의 10분의 1로서 대략 3.33cm에 해당한다.
주491)
분:길이의 단위인 ‘푼’을 말한다. 한 푼은 한 치의 10분의 1로서 대략 0,33cm에 해당한다.
주492)
부혈:열부혈(熱腑穴). 그 위치는 제2 등뼈 아래에서 양 옆으로 각각 1치 5푼쯤 되는 곳이다.
주493)
혈(穴):침을 놓거나 뜸을 뜰 때의 올바른 자리. ‘경혈(經穴)’의 준말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경혈’ 참조.
주494)
덥단:덥달-[熱]+-ㄴ(관형사형 어미). 덥고 단. 몹시 열이 난.
주495)
두 고:두[二]+곧[處]+-(목적격 조사). 두 곳을.
주496)
붓곰:~장(壯)씩. ~번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