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3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3
  • 4. 시종(腮腫)
메뉴닫기 메뉴열기

4. 시종(腮腫)


腮腫
宜服經驗良方加味消毒飮子

 브 
험 주001)
험(經驗良方):
중국 명나라 추복(鄒福)이 지은 의서(醫書).
가미쇼독음 주002)
가미쇼독음(加味消毒飮子):
부록의 <용어사전 id="">‘가미소독음’을 참조.
머고미 주003)
머고미:
먹음이. 복용함이.
맛니라

뺨이 붓는 병
『경험양방』에 나오는 가미소독음을 먹음이 마땅하다.

腮腫用赤小豆블근  末傅之立效

구급간이방언해 권3:9ㄱ

주004)
:
뺨[腮].
긔 주005)
긔:
종기(腫氣). 큰 부스럼.
나기[거]든 블근 주006)
블근:
븕-[赤]+-은(관형사형 어미). 붉은. 원순모음화에 의해 ‘븕다〉붉다’가 되었다.
 주007)
: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라 주008)
라:
(가루로) 갈아서.
먼[면] 즉재 됴리라

뺨에 종기가 나거든 붉은 팥을 갈아서 바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雞子淸 알 소뱃 몯 믈 調赤小豆볼[블]근 [픗] 末塗

 주009)
:
[雞]+-(관형격 조사). 닭의.
소뱃 주010)
소뱃:
솝[內]+-앳(처소 관형격 조사). 속엣. 속에 있는.
 주011)
:
-[淸]+-(관형사형 어미). 맑은.
므레 블근 주012)
:
팥[小豆]. 당시의 원형은 ‘’이나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으로 표기되었다.
 주013)
:
[粉]+-(목적격 조사). 가루를. 명사 ‘’의 끝모음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탈락함으로써 명사의 어형이 ‘’로 교체되었다.
라 라

달걀 속의 흰자위에 붉은 팥의 가루를 개어 발라라.

痄腮及喉下諸般腫痛用蝸牛이 飛麪 밄 硏勻貼痛處

비[미] 주014)
비:
‘미’의 오각이다. 뺨이.
허러 암디 주015)
암디:
암-[愈]+-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물지.
아니며 목 아래 여러

구급간이방언해 권3:9ㄴ

가짓 브은 주016)
브은:
븟-[腫]+-은(관형사형 어미). 부은. ‘브〉브은’에서 볼 수 있듯이 동사 어간 ‘븟-’의 끝소리 ㅅ은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가 다시 탈락하였다.
해 주017)
해:
ㅎ[處]+-애(처격 조사). 곳에. ‘ㅎ’는 ㅎ 끝소리 명사이다.
이 주018)
이:
달팽이[蝸].
 주019)
:
-[細]+-ㄴ(관형사형 어미). 가는. 여기서는 ‘고운’의 뜻으로 쓰였다.
밄와 라 고게 야 알 주020)
알:
알-[痛]+-ㄴ(관형사형 어미). 아픈. ‘알다’는 형용사로서 원래 동사인 ‘앓다’의 어간 ‘앓-’에 형용사 접미사 ‘--’가 통합되어 ‘앓-+-- ⟶ 알-’가 형성되었다. 다시 ‘알-’의 ㄹ이 탈락하면서 오늘날의 ‘아프-’가 되었다.
브티라 주021)
브티라:
븥-[附着]+-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붙여라.

뺨이 헐어 아물지 아니하고 목 아래 여러 가지로 부은 데에는 달팽이와 고운 밀가루를 갈아서 고르게 하여 아픈 데에 붙여라.

顋頰腫 草烏바곳 불휘 細辛 大黃 朴消各 等分 細末蜜合調塗之仍含少白梅 실 置腮腫邊良久嚥津卽效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애 난 긔예 바곳 불휘 주022)
바곳 불휘:
바꽃 뿌리. 초오(草烏)를 가리킨다. ‘초오’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셰 주023)
셰:
세신(細辛)의. ‘세신’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와 대 주024)
대:
대황(大黃)의. ‘대황’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와 박쇼 주025)
박쇼:
박초(朴硝)의 옛말. ‘박초’는 부록 참조. ‘박쇼’가 여기서의 원문에는 ‘朴消’로 표기되고 있으나 이 책의 권2:74ㄱ 원문에는 ‘박쇼’의 한자 표기가 ‘朴硝’로 되어 있다.
와 게 화 에 라 레 주026)
레:
꿀에.
라 고 주027)
:
-[白]+-ㄴ(관형사형 어미). 흰.
시 주028)
시:
실(梅實)+-(목적격 조사). 매실을. 매실은 매실나무의 열매를 가리키며 맛은 달면서도 새콤하다.
긔 난

구급간이방언해 권3:10ㄱ

마초매 주029)
마초매:
마초-[適]+-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바로 그 자리에.
머구머셔 주030)
머구머셔:
머굼-[含]+-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머금어서.
추미 주031)
춤:
침.
나면 됴리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뺨에 난 종기에 바꽃의 뿌리와 세신의 뿌리와 대황의 뿌리와 박초를 똑같이 나누어 곱게 갈아서는 〈이를〉 꿀에 타서 바르고, 흰 매실을 종기가 난 자리에 맞추어 입 안에 머금고 있다가 침이 나오면 좋아질 것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8년 6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험(經驗良方):중국 명나라 추복(鄒福)이 지은 의서(醫書).
주002)
가미쇼독음(加味消毒飮子):부록의 <용어사전 id="">‘가미소독음’을 참조.
주003)
머고미:먹음이. 복용함이.
주004)
:뺨[腮].
주005)
긔:종기(腫氣). 큰 부스럼.
주006)
블근:븕-[赤]+-은(관형사형 어미). 붉은. 원순모음화에 의해 ‘븕다〉붉다’가 되었다.
주007)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주008)
라:(가루로) 갈아서.
주009)
:[雞]+-(관형격 조사). 닭의.
주010)
소뱃:솝[內]+-앳(처소 관형격 조사). 속엣. 속에 있는.
주011)
:-[淸]+-(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012)
:팥[小豆]. 당시의 원형은 ‘’이나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으로 표기되었다.
주013)
:[粉]+-(목적격 조사). 가루를. 명사 ‘’의 끝모음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탈락함으로써 명사의 어형이 ‘’로 교체되었다.
주014)
비:‘미’의 오각이다. 뺨이.
주015)
암디:암-[愈]+-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물지.
주016)
브은:븟-[腫]+-은(관형사형 어미). 부은. ‘브〉브은’에서 볼 수 있듯이 동사 어간 ‘븟-’의 끝소리 ㅅ은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가 다시 탈락하였다.
주017)
해:ㅎ[處]+-애(처격 조사). 곳에. ‘ㅎ’는 ㅎ 끝소리 명사이다.
주018)
이:달팽이[蝸].
주019)
:-[細]+-ㄴ(관형사형 어미). 가는. 여기서는 ‘고운’의 뜻으로 쓰였다.
주020)
알:알-[痛]+-ㄴ(관형사형 어미). 아픈. ‘알다’는 형용사로서 원래 동사인 ‘앓다’의 어간 ‘앓-’에 형용사 접미사 ‘--’가 통합되어 ‘앓-+-- ⟶ 알-’가 형성되었다. 다시 ‘알-’의 ㄹ이 탈락하면서 오늘날의 ‘아프-’가 되었다.
주021)
브티라:븥-[附着]+-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붙여라.
주022)
바곳 불휘:바꽃 뿌리. 초오(草烏)를 가리킨다. ‘초오’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23)
셰:세신(細辛)의. ‘세신’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24)
대:대황(大黃)의. ‘대황’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25)
박쇼:박초(朴硝)의 옛말. ‘박초’는 부록 참조. ‘박쇼’가 여기서의 원문에는 ‘朴消’로 표기되고 있으나 이 책의 권2:74ㄱ 원문에는 ‘박쇼’의 한자 표기가 ‘朴硝’로 되어 있다.
주026)
레:꿀에.
주027)
:-[白]+-ㄴ(관형사형 어미). 흰.
주028)
시:실(梅實)+-(목적격 조사). 매실을. 매실은 매실나무의 열매를 가리키며 맛은 달면서도 새콤하다.
주029)
마초매:마초-[適]+-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바로 그 자리에.
주030)
머구머셔:머굼-[含]+-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머금어서.
주031)
춤: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